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대광고에 나타난 패키지디자인 고찰 : 신문 광고를 중심으로

        김응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7 No.1

        1876년 「한성주보」4호에 실린 세창양행 광고를 효시로 우리나라 광고는 시작되었고 시대구분은 한국광고단체연합회의에 의거하면 구한말 시대(1886~1910), 일제시대(1910~1945), 인쇄광고 시대(1945~1959), 인쇄전파광고 시대(1959~1981), 컬러광고 시대(1981~)로 구분된다. 구한말시대부터 일제시대 까지를 보통 근대라고 하는데 조선시대 말기에 해당한다. 조선의 근대화는 물질적·현실적 기반을 결여한 채 서구화와 근대, 문명, 개화의 담론을 통한 상부구조-문화-의식의 변화가 먼저 시작되었다. 전통의 해체와 제도 개혁, 그리고 서구화는 문화적 언어적 표상에 의해 주도되고 상상되었으며, 현실에 온전히 적용할 수 없는 불구상태의 근대적 지식, 교육, 정보, 경험, 담론, 상징들에 대한 집단적 열망이 현실 변화보다 앞서 나갔다. 현대 광고의 밑거름이 된 근대광고는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발전하였기 때문에 파급효과는 지금과는 매우 달랐을 것이다. 근대 광고는 자본주의의 발전에 조응하는 광고라고는 할 수 없으나 근대사의 형식과 내용이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본질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광고에 남아있는 패키지디자인의 형태는 그 시대의 현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근대자료가 부족한 패키지디자인 연구에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나간 우리의 것을 연구 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가능한 더욱 폭 넓고 깊이 있는 기록이 이루어 져야 될 것이다. 근대 신문광고를 통한 연구는 이러한 실정에 가장 합리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근대 상품과 그에 따른 패키지디자인의 특징을 파악하게 되었으며 또한 패키지디자인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자화상으로서의 위상을 가지게 된다는 점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Advertising in our country started with the advertisement of Sechang Industrial Company posted on the fourth edition of Hansung Weekly in 1876. The era of advertising can be classified into the late Korean Empire (1886~1910), Japanese colonial era (1910~1945), era of printing advertisement (1945~1959), era of printing and broadcasting (1959~1981), era of color advertisement (1981~) according to Korea Federation of Advertising Associations. The period from the late Korean Empire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is normally called the modern period, which falls into the late era of Chosun Dynasty. The modernization of Chosun first began with changes in the upper structure-culture-consciousness through the discourses of Westernization, civilization and opening with the lack of physical and realistic foundations. The dismantlement of tradition, renovation of institution, and Westernization was led and imagined by the symbols of culture and language while the collective passion to the modern knowledge, education, information, experience, discourse and symbols among others in a crippled state that could not be applied completely to the reality went ahead of any realistic changes. As the modern advertisements underlying today's advertisements were advanced around the printing media, the derivative effects could have been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oday. Although the modern advertisements could not be said any advertising adaptive to the advancement of capitalism, we cannot but have to admit that they become very important materials in understanding their nature as they accommodate the styles and contents of the modern history. Especially, as the patterns of package design remaining in those advertisements contain the phenomena in the times as they were, they are considered very meaningful in the study of package design where we are lacking of the modern materials. It is very meaningful to have any academic research on things in the past in our country, and thus wider and deeper records should be made as much as possible. The study through advertisements in the newspapers in the modern times is one of the most reasonable methods in respect of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identify the features of package design along with the modern products and to perceive the point again that the package design is positioned as the self-portrait which represents the times.

      • KCI등재

        슈미트(Bernd H. Schmitt)의 경험 모듈을 중심으로 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활용 방안 연구 -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

        김응화,홍우정,미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2

        최근 디지털 시대 소비자의 생활 모습과 패키지의 의미가 변화하여 소비자는 패키지를 통한 다양한 경험을 요구한다. 해외 기업은 소비자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첨단 기 술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 융합 패키지를 개발하고 있 으나 국내에서는 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연구목적은 번 H. 슈미트(Bernd H. Schmitt)가 제안한 전략적 경험 모듈(감 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을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활용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은 문헌조사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번트 H. 슈미트(Bernd H. Schmitt)의 다섯 가지 전략적 경험 모듈을 따라 경험 디자 인의 이론적 근거를 확립,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사례에서 경험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 경험 소비 관 점에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평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F.D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지 사례가 패키지 디자인 선호도와 차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F.D 디스플레이 기반 패키 지가 사용자에게 독자적인 경험을 제공한다는 긍정적인 결과 로 판단된다. 최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상용화하고 자 일회용 디스플레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시대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은 소비자와 상호 작용해 다양한 브랜드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이다. 앞으로 플렉서블 디 스플레이 기반 패키지는 전략적이고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consumers' lifestyles and the meaning of packages have recently changed in the digital age, consumers dem and various experiences through the package. Overseas c ompanies are developing packages that combin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which is a high technology, as a strat egy to provide a unique experience for consumers. Howe ver, in South Korea, the progress of the study is rather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util ization of flexible display-based package design through five strategic experience elements (sensory, emotional, co gnitive, behavior, and relationships) proposed by Bernd H. Schmidt. The research method follows five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from Flexible Display and Bernd H. Schmidt to establish the rationale for experience design, followed by analyzing experience design elements in flexi ble display-based package design cases. We analyzed the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flexible display-based packa ge design cases from an experience consumption perspec tive. Research has shown that F.D. Display-based packa ge cas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ckage design aff inity and differentiation. It is judged as a positive result that the F.D display-based package provides a unique ex perience to users. Recently, research on disposable displa y is underway to commercialize flexible display technolog ies. In the digital age, flexible display technology is the method to interact with consumers and create various br and values. In the future, flexible display-based packages will work as a strategic and effective design method.

      • KCI등재

        근대 상품광고로 본 新소비문화와 신여성

        김응화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2 동국사학 Vol.52 No.-

        본 연구는 서구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등장한 근대 신여성이 향유한 새로운 소비문화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당대 신여성상의 한 측면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처음 ‘신여성’이라는 말은 대체로 학교를 통해 근대적 신교육을 받은 여성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고, 전통적인 여성 즉 ‘구여성’과 대립되는 용어로서 불리었다. 이들 신여성들은 외형의 스타일에도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면서 근대 상품 소비의 주체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신여성의 범주가 점차 넓어짐에 따라 그들에 대한 남성 중심 사회의 시선은 점차 부정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에 따라 신여성의 이미지도 사치와 낭비를 일삼는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근대 상품광고의 흐름을 살펴보면, 1900년대 이전과 1910년, 1920년까지 자주 등장했던 담배와 주류 광고는 점차 다른 상품광고에 자리를 내어주었고, 의약품의 경우는 근대 전 시기를 걸쳐 가장 많은 광고가 게재되어, 의약업계가 최대의 광고주로 위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1910년대 들어 제화 시계 모자 안경 등의 장신구 광고가 37.4%로 두 번째를 차지했고, 화장품 광고가 그 다음을 잇고 있다. 이러한 상품 광고를 통해 근대의 새로운 소비문화, 즉 신소비문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장신구 및 화장품, 의류 등의 광고가 시기가 지날수록 꾸준히 증가세를 보인다는 점은 당시 여성들의 소비 경향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신여성의 소비는 화장품뿐만 아니라 의류, 각종 장신구 등에 이르기까지 외모를 꾸밀 수 있는 모든 상품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따라서 신여성은 전통적 구여성과 외모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나아가 전통을 지키려는 구여성과 새로운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신여성의 생활태도에도 차이가 나타나며 양자 간의 사회적 갈등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신식 교육을 받은 많은 여성들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였고 新소비문화의 중심에 위치하였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구여성과 구별되는 신여성의 일반적 특징으로 정착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朝鮮時代 嘉禮圖監儀軌에 나타난 包裝形態에 關한 考察(Ⅱ) : 哲宗哲仁后, 朝鮮時代 嘉禮圖鑑儀軌(1851)를 중심으로 Focusing on Chul-jong, chul-in-hoo Ka-rye To-gam Eui-guae(1851)

        김응화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199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 No.-

        With such vocabulary as free Competi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coming into frequent use, it is the concept of originality that strongly needs to be considered on the other side from this point of view, I firmly believe that traditional packaging should be studied in the field of package design as well. Classifying our traditional packages into chronological order, this study broadly defines the traditional packaging as that preceding the Korean War in the close past. The reason why I choose the Korean War to be a turning point is found in the successive appearance of new package materials via the U.S Armed forces since the Korean War; alongside waves of industrialization, it came to rapidly expand and result in diverse forms of package design in these days, Moreover, throughout a tumult following the War, little trace of study about traditional packaging as a specific field has been found. Eventually, It is assumed that lots of traditional packaging were lost track of during that time. Previously, I already researched on package forms persented by each class of Chosun society in "Inquiry about Traditional Package Forms Depicted in Folk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I: Package Forms as Moving Devices in Culture of Each Class" (Kim Eung Hwa, In Han-Sung University's Collection of papers. Oct., 1991);it particularly explored how to clarify historical aspects of package forms with authenticity, by investigaing forms of packaging depicted in the folk paintings. In consequence, Eui-Gyue Ban-Cha-Do was discovered, in which a number of ceremonial proprieties and accordingly the package forms were recorded in detail. Though the package forms are limited to wrapping clothes, caskets, and chests, I regard reinterpretation and documentation of their selective uses based on color or material into symbolic meanings to be worthwhile.

      • KCI등재

        古庵 祥彦의 선사상과 의의 고찰

        김응화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5 No.-

        古庵 祥彦(1899~1988)은 霽山 淨源(1862~1930)을 은사로, 龍城 震鐘(1846~1940)을 법사로 하고, 당대 의 여러 선지식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으며한국불교의 禪脈을 이었다. 용성에게 깨달음의 인가를 받았 고 이후로는 제방의조실로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정으로 중생제도에 앞장서, 한국불교의 위상을세우고 종단의 안정을 이끌었다. 고암은 선의 핵심사상인 一心의 本證自覺을 강조한다. 부처님의 자비광명이비추기에 한 물건(一物) 바 로 알고 한마음(一心) 잘 쓰면 곧바로 성인이 된다고하며 그의 본증사상을 전개한다. 또한 간화선, 염 불 등으로 수행자들을 지도하되,화두참구이건 염불이건 여타의 수행법들은 오직 自性을 見하기 위한 방법임을분명히 하고 있다. 고암은 이러한 선의 관점에서 그 체득을 위한 선사로서의 투철한 수행정신과실천을 강조했으며, 이는 자비보살로 화현되는 그의 모습에서 고스란히 엿볼 수있다. 불교, 선은 상구보리 하화중생을 목적으로 한다. 수행의 결과 드러나야 할것은 하화중생의 모습이며, 또한 수행의 과정에서 성찰되어져야 할 것 도 자비의면면들이다. 고암이 보여준 ‘但行劍上路’의 삶과 수행, 자비보살의 면면들은오늘날 개인의 수 행에 목말라 이리저리 헤매며 허덕이는 수행자들이 되새겨보아야 할 수행의 본분이자 정신일 것이다. Great Master Goam Sang-eon (1899~1988) was taught by several masters of his time including his eunsa (his greatly respected teacher) Jesan (1862~1930), and beopsa (Dharma teacher) Yongseong (1846~1940), and inherited the tradition of Korean Seon (Zen) by attaining inga (sanction) from Master Yongseong, In the forefront of teaching sentient beings in his capacity as jongjeong (supreme patriarch)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Goam stabilized the order and enhanced the status of Korean Buddhism. Goam emphasized in his teaching the essence of Zen thought, namely the self-awakening of original enlightenment 本證自覺 as the One Mind. He unfolded his thought of original enlightenment, stating that, if one rightly understand the One Thing 一物 and correctly uses the One Mind, one can directly achieve sainthood as the radiance of the Buddha’s compassion permeates everywhere. Furthermore, Goam emphasized teaching students Ganhwa Seon and chanting as a means of attaining enlightenment; however, he made it clear that all the practice methods, whether hwadu investigation or chanting, aim at helping to see one’s intrinsic nature. Retaining this view in mind, Goam, as a Zen master, put an emphasis on practicing with rigorous spirit for attaining enlightenment. This can be observed in full from his image embodied as a Bodhisattva of compassion. Considering that Buddhism including Zen pursues seeking bodhi above and saving sentient beings below, the fruit of Buddhist practice should take the form of compassionate activities. Goam’s compassionate life and practice of ‘merely going on the blade of a sword’ 但行劍上路 provide a lesson for today’s practitioners, who wander and struggle around only looking for personal advantages, to ruminate upon.

      • KCI등재

        한글 적용의 실담범자(悉曇梵字)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고딕세리프체(소망체)를 중심으로-

        김응화,왕용군,전서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Siddhaṃ script is an old classic style of writing that is still used up to nowadays. However, it is a typeface design quite unsuitable for modern society, due to its in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aims for finding design which satisfies many young and frequent users, even if they are limited to a small group.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ould study Siddhaṃ script typeface design appropriate for modern society by referring to Hanguel Somang typeface for several reasons. First of all, the structure of the Korean alphabet in the Hanguel Somang font is very similar to the Siddhaṃ script structure. Moreover, the Hanguel Somang font is a writing style which emphasizes soft serifs in a straight Gothic structure, giving it a modern and refined look. Finally, it is a typeface that is clear and natural, giving us a familiar and friendly impression. In order to study the design of Siddhaṃ script with a Korean application, we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ddhaṃ script and Hanguel Somang font and designed the collec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with a Gothic serif design.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the design proposal, the book cover of Sanskrit’s philosophical literature ‘Upaniṣad’ was designed with the newly developed typeface.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onsumers, the stratification extraction method and scale method commonly used in social statistics were appli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ering criteria for the formative aesthetic evaluation of letters. The research subjects were Chinese people interested in Sanskri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eople in twenties and thirties with a group division of 10 regions in China (Guangdong, Beijing, Zhejiang, Shanghai, Sichuan, Shandong, Jiangsu Fujian, Henan and Liaoning), and 274 cases were retrieved analyzed, excluding the missing data. According to the study, a consumer survey of Siddhaṃ script with Hanguel Somang font was preferred over other conventional typefaces due to its harmonious and unifying features. Furthermore, a simple, unified Gothic-serf style has been confirmed to enhance readability. However, responses revealed that specific word combinations with complex integr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showed a lack of unity, proportionality and order.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a design study of more complex structure word combinations. This research aims to work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iddhaṃ script typefaces, and expects further studies. 실담범자는 오래된 고전적인 글자체로 오늘날까지사용되고 있으나, 현대사회에 적합한 서체 디자인 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실담범자 사용이 일부 사용자에 한정되어 있기는 하나 연령대가 젊고 사용 빈도가 높은 다수의 사용자를 위하여 시대가 요구하는디자인이 어떠한 것인지 연구하고 그에 맞는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한글 소망체를 참고하여 현대사회에 적합한 실담범자서체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소망체의한글 구조는 실담범자 구조와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소망체는 직선인 고딕 구조에 부드러운세리프를 강조하여 만든 글씨체로서 현대적이며 세련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셋째, 명쾌하면서도 자연스러워 우리 시각에 익숙하고 친근감을 주는 서체이기때문이다. 연구의 내용은 실담범자의 역사와 발전 및 현황을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한글을 적용한 실담범자 디자인 연구를 위해 한글 소망체와 실담범자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 소망체를 적용한 고딕세리프체 실담범자 모음과, 자음을 디자인하였으며, 개발된 서체를 적용하여 산스크리트어 철학문헌 「우파니샤드」 책표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소비자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사회통계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층화 추출방법과 척도법을 사용하여문자의 조형적 심미성 평가 측정기준을 근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산스크리트어에 관심이 많은 중국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중국의10개 지역을 구분하여 20∼30대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중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274개를 회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한글 소망체를 적용한 실담범자의소비자 조사에서 기존의 서체보다 조화롭고 통일성이있는 특징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일성있는 단순한 고딕세리프는 가독성을 높이는 것으로확인되었으며, 현대 사회와 잘 맞는 디자인이라는 좋은 반응이 있었다. 하지만 자음과 모음의 조합이 복잡한 형태의 특정 단어 조합을 통한 소비자 조사에서는통일성과 비례 및 질서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찾을수 있었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복잡한 구조의 단어 합자(合 字)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실담범자의 우수성은 같은 계열의 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 다른 문자 보다 심플하여 학습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현대사회에 유용한 실담범자의 서체 개발을 시작으로 이를 통해 다양하게 발전되어 산스크리트어 사용에주 표기 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