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실리테이터의 성장 과정 탐색 : 비가시적 권력 대응의 근거이론적 접근

        한선미(Han, Sunmi),이희수(Lee, Heesu)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퍼실리테이터의 성장 과정을 이론적 모형으로 제시하고, 퍼실리테이터가 비가시적 권력을 어떻게 대응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퍼실리테이터 11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접근 방법에 의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퍼실리테이터 성장 과정은 비가시적 권력의 갈등 대응을 위해 퍼실리테이터로서 성찰이라는 인지적 과정, 감정적 공감이나 지지의 정서적 과정, 사회적 상호작용이 통합되어 자신-관계-퍼실리테이션으로 변화한다. 둘째, 퍼실리테이터의 갈등 대응 과정은 비가시적 권력이 참여자에게 전이되지 않도록 상황에 따라 저항과 타협 그리고 수용을 반복하며 확인단계-대응단계-조정단계 과정으로 발전하는 순환구조로 나타난다. 셋째, 퍼실리테이터 비가시적 권력은 퍼실리테이터와 의뢰자, 그리고 퍼실리테이터와 참여자 간에 다르게 작용한다. 퍼실리테이터는 참여자에게 활동통제와 동시에 참여자 존중의 형태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해방적 차원의 저항이 나타난다. 또 의뢰기관 간, 스태프 간에는 굳어진 갈등적 권력 관계에서 권력을 인식하면서 저항하거나 타협과 수용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는 퍼실리테이터의 불안정한 고용구조로 인해 의뢰기관이나 메인 퍼실리테이터가 일방적인 상황을 형성하고, 의뢰기관으로부터 메인 퍼실리테이터와 스태프에게로 권력이 전이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만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growth process of the facilitator as a theoretical model and to explore how the facilitator responds to invisible power.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conducted with 11 facilitators.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facilitator growth, the cognitive process of reflection as a facilitator, the emotional process of emotional empathy or support, and social interaction are integrated to respond to the conflict of invisible power and change into self, relationship, and facilitation. Second, the conflict response process of the facilitator appears as a cyclical structure that develops into a confirmation stage, a response stage, and a mediation stage, repeating resistance, compromise, and acceptance depending on the situation so that invisible power is not transferred to the participants. Third, the invisible power of the facilitator acts differently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client, and between the facilitator and the participant. As the facilitator exercised power in the form of respect for the participant at the same time as controlling the activity, an emancipatory level of resistance appeared. In addition, while recognizing the power in the conflicting power relationship that has been fixed between the client agencies and the staff, they resisted or responded with compromise and acceptance. This creates a one-sided situation between the requesting organization or the main facilitator due to the unstable employment structure of the facilitator, and repeats a vicious cycle in which power is transferred from the requesting organization to the main facilitator and staff.

      • KCI등재

        기업 내 HRD 활동을 위한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의 역할 및 필요역량 탐색

        송영수 한국기업교육학회 201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국내 기업 내 HRD 활동을 위한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의 역할 및 필요역량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퍼실리테이터협회(KFA)의 인증전문퍼실리테이터(CPF) 2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최종 3차 20명 응답). 연구결과, 국내 기업 내 퍼실리테이터의 주요역할은 회의 촉진자, 성과 창출 지원자, 의사소통자, 프로세스 관리자, 변화 관리자 등 5가지로 정의되었으며, 각 주요역할에 따른 필요역량은 중립적 태도 유지, 참여촉진스킬, 질문스킬, 관계형성능력, 갈등관리역량 등 총 22가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조직 내 퍼실리테이터들의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HRD 담당자들은 퍼실리테이터로서 조직 내 다양성을 지닌 인재들의 협업을 촉진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통해 조직의 성과창출을 지원하는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 내 퍼실리테이터의 주요역할과 그에 따른 필요역량을 제시함으로써 각 기업 내 HRD 담당자들이 향후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 수행 및 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facilitator's roles and required competencies for HRD in corporate setting. The Delphi method was conducted three times for this study. The 22 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s(CPF) of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KFA) were selected as a group of experts for the study. The totals of 20 responses were collected finally. From this study, the 5 roles of facilitator in organization were defined as a facilitator of conference, a supporter of performance creation, a communicator, a manager of process, and a manager of change. Additionally, the 22 required competencies related to the roles were drawn such as remaining neutral attitude, facilitating skills, question skills, developing relationship, and conflict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oles of HRD professional are emphasized on facilitating collaboration of diverse talents in organization and supporting creation outcomes by efficient decision-making process as the facilitators recently taking a greater role in organ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HRD professionals accomplishing roles and developing ability as a facilitator by providing the major roles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facilitators in corporate setting.

      • KCI등재

        농촌진흥공무원 전문지도연구회 퍼실리테이터 교육과정 설계

        홍아정,백평구,조윤성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rural extension workers' professional training and development. Three approaches, such as experts conference, member check, and SME reviews, were applied for this study. First, in experts conference, 34 roles of facilitator were suggested through nominal group technique, in consequence, four role models were derived from aforementioned roles. Second, reviews for role models suggested by experts conference were executed from 7 areas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s recipients via written statement. Researchers generalized the facilitator role model in rural development by synthesizing their reviews and adding roles of facilitator. Lastly, facilitator roles and competencies are validated by two SMEs who have specialty in respective area, one in facilitating, and the other in competency modeling. A total of 5 role categories and 14 competencies were derived as facilitators for Korea Extension Specialist. 5 roles are as follows: ① CoP activation facilitator ② CoP change agent ③ CoP performance supporter ④ HRD process manager ⑤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acilitator.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s consist of 7 modules which reflects of the 14 competencies and has two types as kind of crops and extension. This study recommends the diversification 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profile and delivery methods in accordance with maturity level of Korea Extension Specialist as CoP for enlarging facilitato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진흥공무원 직무교육 활성화를 위해 농촌진흥청 실행공동체인 전문지도연구회의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 구성원 점검, 전문가 검토의 세 가지 접근 방식을 적용하였다. 먼저, 전문가협의회에서는 명목그룹기법을 통해 퍼실리테이터의 다양한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네 가지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구성원 점검에서는 7대 분야별 전문지도연구회를 대상으로 전문가협의회에서 도출된 역할에 관한 서면의견서를 발송하여 역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종합하고 추가적인 역할을 덧붙임으로써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일반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 역량 모델링과 퍼실리테이팅 관련 내용전문가 2인의 검증 과정을 통해 역할과 역량 모델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지도연구회 퍼실리테이터의 5대 역할과 14개의 역량을 정립하였다.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은 ① CoP 활성화 촉진자, ② CoP 변화관리자, ③ CoP 성과창출 지원자, ④ HRD 프로세스 지원자, ⑤ 교육과정 촉진자 등과 같다. 설계된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은 7개의 모듈에서 14개의 역량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과정의 경우에는 전문지도연구회의 7대 그룹별 구성을 감안해 작목 분야 중심과 농업지원 중심으로 구별하였다. 향후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의 확산을 위해서는 전문지도연구회에 대해 실행공동체로서의 성숙도 수준별로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교육과정의 구성 및 교육 운영 방식을 차별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 및 수행수준 인식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 CPF(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와 기업 내 HRD담당자를 중심으로 -

        염우선,송영수 한국산업교육학회 2011 산업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과 현재 수행수준 인식 간 인식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전문퍼실리테이터들과 기업 HRD담당자들에게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성공적 역할 수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퍼실리테이터협회(KFA)의 인증전문퍼실리테이터(CPF) 20명과 국내 주요 기업 HRD담당자 124명을 대상으로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 및 수행수준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로써 첫째,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분석결과 CPF집단은 프로세스 관리자, HRD담당자 집단은 의사소통자를 가장 높은 중요도로 인식하고 있었고, 역할에 대한 수행수준 인식은 각각 회의 촉진자, 의사소통자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소그룹 퍼실리테이터의 각 역할에 따른 주요역량에 대한 중요성에서 의사소통자 역할과 관련해서 CPF집단은 질문스킬, HRD담당자 집단은 적극적 경청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고 프로세스 관리자 역할과 관련해서는 각각 프로세스 계획 수립과 관계형성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각 역할에 따른 주요역량에 대한 수행수준 인식에서 성과 창출 지원자 관련하여 CPF집단은 문제해결능력, HRD담당자 집단은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가장 높은 역량으로 나타났고, 프로세스 관리자의 경우 각각 프로세스 계획 수립과 관계형성능력을 수행수준 인식이 가장 높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전문퍼실리테이터들과 국내 기업의 HRD담당자들이 조직 내 퍼실리테이터로서의 역할과 주요역량을 규명하고, 향후 전문퍼실리테이터로서 성공적 역할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Korean existing 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CPF) and HRD professional of companies with implications for their successful role performance as a facilitator by analyzing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a major role and required competencies as a small group facilitator.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 Certified Professional Facilitators of Korea Facilitators Association and 124 HRD practitioners working in domestic business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facilitator's major role showed that CPF group put the greatest importance on process manager, while HRD professional group did so on communicator. Also the analysis of recognition of performance levels about small group facilitator's major role revealed that in case of CPF group, they thought of meeting facilitator as major role in which they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levels. On the other hand, HRD professional group chose communicator as the major role in which their highest performance levels were shown. Second, in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required competencies for small group facilitator, about communicator role, CPF group thought that question skill i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and HRD professional group chose active listening. When it comes to process manager role, CPF group recognized planning process, while HRD professional group considered relationship-making 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Third, the analysis of recognition about performance levels regarding required competencies of small group facilitator, about the role of performance-creating supporter, CPF group responded problem-solving skill and HRD professional group responded understanding of diversity respectively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the role of process manager, CPF group and HRD professional group answered respectively planning process and relationship-making ability for competency in which they showed their highest performance level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HRD professionals accomplishing their successful role performance as a facilitator and give a clear definition about major roles and required competencies of facilitators in a corporate setting.

      • KCI등재

        개인중심계획 촉진자 훈련(Person-centered planning facilitator training) 프로그램 개념 모델 기초 연구

        김은하 ( Eunha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개인중심계획(PCP, person- centered planning)의 촉진자를 훈련하는 프로그램의 개념적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국내외의 실제 교육 프로그램들을 찾아 살펴보았다. 짧게는 10년에서 30년에 이르는 역사를 가진 각 기관들에서 제공하고 있는 PCP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은 PCP의 철학, 개념과 모델 및 적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PCP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은 워크숍 형태의 면대면 교육, 영상과 교육자료 및 웨비나 형식의 온라인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국내 PCP 촉진자들과의 핵심집단면담을 통하여 국내 PCP 촉진자 훈련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PCP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은 PCP 이론과 더불어 PCP 촉진자의 역할과 촉진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내용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둘째, PCP 촉진자 훈련프로그램의 구성은 교육 대상의 전문성과 교육목적에 따라 구분되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PCP 촉진자 훈련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수립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PCP촉진자 훈련의 교육 방법은 면대면 교육을 중심으로 하되 온라인 커뮤니티와 컨설팅 및 자료제공을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며, 중급 이상의 PCP 촉진자가 교육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호간의 전문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이 적절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교육 및 서비스 현장에서 PCP의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onceptual model of a program to train PCP facilitators to promote the best practice of person-centered planning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er searched the actual training program for PCP facilitator. The contents of the PCP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provided by each institution with the history of 10 to 30 years were the philosophy, concept, model and application of the PCP. These PCP facilitator training programs consisted of face-to-face training in the form of workshops, and online training such as video, training materials, and webinars.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domestic PCP facilitator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field and draw implications for the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content of the PCP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improved with the systematic facilitation technology for PCP. The composition of the PCP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organized in a systematic and continuous manner by dividing the areas or phases according to the facilitator-to-be`s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purpose. It is appropriate to use PCP facilitator training method as an auxiliary means to provide online community and consulting and data centering on face-to-face education. Finall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made to activate the application of PCP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education and services.

      • SCOPUS

        The Roles of Online Instructional Facilitators and Student Performance of Online Class Activity

        LEE, Jung Wan Korea Distribution Science Association 2020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7 No.8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nline instructional facilitator's qualities on student performance of online class activities. The study explores the roles of instructional facilitators who may influence student performance of online class activitie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employs a set of aggregated data from 1,362 subjects and 10 facilitators who participated in multiple online classes. The results of independent samples t-test reveal that the student performance in online classes has no association with facilitators' educational background or academic degree, as well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udent evaluation records and instructional achievemen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facilitator engagement has a positive relation to the enhancement of student interaction, reading discussion messages, and the quality of discussion messages in online discussion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 facilitator engage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increasing the number of reading discussion messag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discussion messages. The facilitator engagement increases the quantity of reading discussion postings and enhances the quality of discussion messages, which would b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student performance by facilitators.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 perform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lasses are not independent of facilitator engagement.

      • KCI등재

        비실 시간 온라인 토론에서 토론진행방식이 인지적 참여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숙희 ( Sook Hee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비실 시간으로 온라인 소집단 토론을 진행할 때 학생 진행자의 유무 및 역할에 따라 구성원들의 인지적 참여도와 만족도 면에서 어떤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98명의 대학생들을 토론진행방식이 다른 세 집단(진행자가 없는 집단, 상호작용 촉진 진행자 집단, 과제수행 촉진 진행자 집단)에 무선적으로 배정하였고, 각 집단을 다시 4~6명씩의 조들로 구성하여 2주동안 토론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토론진행방식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세 집단간에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적 참여도에 있어서는 비판적 수준과 재생적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비판적 수준에서는 과제수행 촉진 진행자 집단이 가장 높은 참여도를 나타내었고, 재생적 수준에서는 진행자가 있는 집단들이 진행자가 없는 집단에 비해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비판적인 인지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진행자가 과제수행 촉진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생적 수준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진행자를 중심으로 토론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different discussion methods (i.e.,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 student facilitator and his/her role) affect the level of students`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i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For this purpose, 98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adopting different discussion methods: a group with no facilitator, a group with an interaction facilitator, and a group with a task-performance facilitator. In each group, students were again divided into small groups and engaged in online discussions for 2 wee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however, in cognitive learning engage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he group with a task-performance facilitator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ritical engagement. As for reproductive engagement, the two groups with a facilitator showed higher levels of engagement than the group with no facilitator. This study implies that in online discussions a task-performance facilitator is needed to promote participants` critical thinking while an interaction or task-performance facilitator can help promot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t the level of reproductive engagement.

      • KCI등재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에 기반을 둔 뮤지컬의상 디자인 및 제작 교육

        노은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earner-centered efficient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experience of learners’ by applying facilitation techniques to the education of design and production of musical stage costumes.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a case study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books and Internet materials. The case of research was a subject related to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costumes for musical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School of Performing Arts. The teacher participated in the course as a teacher and a facilitator and conducted a one-to-one interview with the learn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urs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teacher explained to the students the concept of facilitation in detail before offering classes using various kinds of facilitation tools. Second, the teacher listened to the students carefully as a facilitator and asked effective questions to tap their potential capability. Third, in general, th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teaching method using facilitation than the existing teaching method. In screenplay analysis, the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learning when they participated in a Brainstorming session and used a Rich Picture. In the process of cloth cutting and sewing, the student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pair work done together with their partners. Fourth, it was found out that the teaching method using facilitation tools can increase the degree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help the students solve a given problem through teamwork, and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tudy and the level of concentration by actively acquiring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problem solving.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for continuou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on design and production of musical stage costumes using facilitation. First,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based on facilitation needs relatively more teaching hours than the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 as there are more courses that require interaction among students. Thus, it is necessary for both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to adjust the teaching and learning load in order to finish the given volume of learning and assignments during limited class hours. Second, the teacher should promote smooth communication among the team members by offering counseling time for each team to evaluate and understand well one another during non-class times so that the team members could communicate well among them. Third, the one-to-one interviews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after class to hear students’ opinions in detail.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guarantee anonymity. Thus, in-depth thoughts of students could be grasped if observation method and survey method are used together for collection of students’ opinions. Fourth, if the education using facilitation is conducted continuously in the education area related to performing arts costumes, it will be of help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methods in related areas through accumulation of objective data necessary for confirmation of the educational use of facilitation and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기법을뮤지컬의상의 디자인 및 제작 교육에 적용시켜 ‘학습자의 경험’에 기반을 둔 학습자 중심의 효율적인 교육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논문, 단행본, 인터넷 자료 등을 토대로 한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사례는 서울 소재 대학교의 공연예술학부에서 진행된 뮤지컬을 위한 의상 디자인 및 제작관련 교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는 이 교과목의교수자이자 퍼실리테이터로 참여하고 학습과정 종료후 학습자와 1:1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퍼실리테이션의 개념을 자세히 설명한 후, 다양한 퍼실리테이션 도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둘째, 교수자는 퍼실리테이터가 되어 학습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들의 역량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질문을 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기존의 수업방식보다퍼실리테이션을 적용한 수업방식에 만족하였다. 대본분석 과정에서는 브레인스토밍과 리치픽쳐를 사용하는 경우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재단 및 봉제과정에서는 짝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퍼실리테이션의 도구를 활용한 수업방식은 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여주고 팀워크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문제해결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능동적으로 습득함으로써 학습내용에 대한이해도와 집중도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퍼실리테이션을 적용한 뮤지컬의상 디자인 및 제작교육의 지속적인 개발과 적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같다. 첫째, 퍼실리테이션에 기반을 둔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은 교수자 중심의 수업 방식보다 학습자들 간의 상호 활동을 이끌어내는 과정이 많아 상대적으로많은 수업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수자와 학습자들 모두 한정된 수업시간 동안 주어진 학습량과 과제를 진행하기 위해 수업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수업 이외의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하여, 팀 구성원들이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면서 적극적으로 팀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와 1:1 면접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으므로관찰법을 병행하여 학습자들의 의견을 수렴한다면 좀더 심도 있는 학습자들의 생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공연예술의상 관련 교육 분야 및 패션디자인교육, 타 전공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퍼실리테이션을적용한 교육을 진행한다면 퍼실리테이션의 교육적 활용도 및 적용 범위를 확인할 수 있고 객관적인 자료가 축적되어 관련 분야의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을 위한 이론과 실천의 만남

        이연주,이희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4

        Individuals in a modern society are required to equipe themselves with a critical thinking ability. This critical reflection helps them overcome the old way of thinking, knowledge and approach to the problems from new perspectives. Critical reflection, which can enhanc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individual lives, is one of major goals in adult and higher education. Also, improvement of critical reflection is considered as both the final goal of learning and important function of facilitators. However, facilitators' critical reflection, which can be decisive on the outcome of learning, has not been given enough academic consideration. Thus,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importance of facilitators' critical reflection,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theories of critical reflection, and to present practical methods to encourage facilitators of the field to reflect critically. The previous literature has shown that critical reflection of facilitation can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learners and improvement of facilitators' own critical reflection. This ambiguity of facilitation requires facilitators to critically reflect on two things: First, a facilitator should reflect critically, which is to objectify himself for the improvement of himself. Second, a facilitator should encourage the learner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mselves, which is for the better outcome of education. A facilitator should be aware of both sides of critical reflection.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a productive environment for the facilitation. Finally, in order for individual’s critical reflection to be connected with community and our society should make great efforts to build a climate conducive to the critical reflection. 비판적 성찰은 개인의 삶에서부터 사회공동체의 발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성인교육과 고등교육의 목적으로 중시된다. 학습자 편에서는 학습자의 비판적 성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학습의 최종 목표이자 퍼실리테이터의 중요한 역할이다. 최근에는 교실을 넘어 일터에서의 생산적 성찰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에 관한 이론적 고찰은 일천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학습에서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비판적 성찰의 이론적 배경과 특성을 검토하여, 퍼실리테이터의 비판적 성찰을 강화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착수되었다. 지금까지의 문헌 분석 결과, 퍼실리테이터는 조직학습을 이끄는 동시에 자신의 삶을 스스로 촉진하는 개인학습자이기도 하다. 이러한 퍼실리테이터의 양면성은 퍼실리테이터에게 두 가지 비판적 성찰을 요구한다. 내적으로 퍼실리테이터는 자신의 성장을 위해 스스로를 대상화하여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비판적 자기 성찰(주관적 재구성)이 요구된다. 외적으로 퍼실리테이터의 효과적 역할 수행을 위해 학습현장에서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존재가 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이 요구된다. 실천면에서 퍼실리테이터로서 스스로를 퍼실리테이션 하는 비판적 자기성찰과 학습자의 비판적 성찰을 돕는 역할에 대해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퍼실리테이터와 학습자가 만나는 학습현장을 비판적 성찰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장으로 만들어야 할 책임이 퍼실리테이터에게 있다. 끝으로 비판적 성찰이 개인수준에서 공동체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사회와 조직에서 비판적 성찰 풍토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농업교육강사를 위한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이연주,이희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1

        농업교육에서 강사의 역량은 교육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소규모 그룹의 참여형, 실습형 교육을 선호하는 농업인의 특성을 고려한 강사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더 없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농업교육강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퍼실리테이션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동일 피험자 사전 사후 검증으로 설계 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농업기술원의 강사반 참석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퍼실리테이션 프로그램을 체험한 참가자들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이 전체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퍼실리테이션의 각 하위 역량 중 조직화 역량, 분위기 조성 역량, 과업 역량에서 큰 향상이 나타났고, 전문가적 태도 역량에서는 향상이 크지 않았다. 이는 농업교육강사 양성 시 퍼실리테이션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에 있어서 각 역량에 따라 전략적인 시간과 접근 방법이 필요하며, 각각의 하위 역량의 향상을 위해 차별적인 시도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facilitator has been increasingly attracting more attention recently.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facilitator training program to train agricultural facilitators. For this purpose, a facilitation program was developed with five sub-competencies: communication, task, relationship or climate,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attitude. Also a two week facilit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offer total fifteen hours of agricultural facilitator training. Thirty agricultural facilitators participated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Their competence on facilitatio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y received the facilitation program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test score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participants’ facilitation capacit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major findings, this research concludes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facilitators need to have excellent facilitation competence to improve agriculture education effectiveness. The agricultural facilitation program, in fact, wa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acilitation competence on organization, task and relationship or climate competence. However, professional attitude was difficult to improve with the same condition compared with other components. Second, the developed facilitation program needs to have strategic approaches to each sub-facilitation competence. Finally, more specific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hat meets the needs of agricultural facilit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