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관련공약이 당선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18대 총선을 중심으로 -

        나동규,이루지,남미경,김주희,김범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2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5 No.1

        This paper has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promises on electoral competitiveness. To achieve this goal, 860 candidates of all 18th General Election candidates in 2008 were selected as a subject, except parties which did not produce congressman. Data for candidates and collection for campaign promises of the 18th General Election in 2008 from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ere collected through operational definition, fitting for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for physical education promises by Lee(1996) were modified and used, and competitiveness index by Hwang(2002)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t-test, Two-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PSSWIN 18.0 program. As a result, first, as the result of t-test for the difference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whether having physical education promises, candidates having the promises had higher electoral competitiveness than candidates who do not have it. Second, as the result of Two-way ANOVA for the difference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political party factors and whether the promises,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political party, the main effect between the promises and regionalism, and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the ruling/opposition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Third, as the result of Two-way ANOVA for the difference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candidate factors and whether having the promises,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education, the main effect between the promises and age, and the main and interactional effects between the promises and incumbent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Fourth, physical education promi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lectoral competitiveness. Fifth, types of physical education promises that candidates suggested was facility, hold even, program, and club foundation were in order, and sport for all in facility accounted for majority in the promises. 본 연구는 체육관련공약이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8대 총선 입후보자 1113명 중 단 한명의 당선자도 배출하지 못한 정당의 입후보자들을 제외한 86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 홈페이지의 ‘제18대 국회의원 선거관리 시스템(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8)’이 제공하는 후보자 데이터와 선관위에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확보한 ‘제18대 총선 입후보자 공약집’을 본 연구에 맞게 조작화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체육관련공약의 측정은 이용식(1996)이 사용한 정의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당선경쟁력의 측정은 황아란(2002)이 개발한 당선경쟁력지수(C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이원변량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관련공약 유무에 따른 후보자간 당선경쟁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체육관련공약을 가진 후보자 집단이 공약을 가지지 않은 후보자 집단에 비해 당선경쟁력 지수가 높았다. 둘째, 정당요인에 따른 체육관련공약을 가진 후보자와 가지지 않은 후보자간 당선경쟁력 지수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공약과 지역연고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공약과 주요정당의 주효과, 공약과 여야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후보자요인에 따른 체육관련공약을 가진 후보자와 가지지 않은 후보자간 당선경쟁력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공약과 학력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공약과 연령의 주효과, 공약과 현직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체육관련공약은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후보자가 제시한 체육관련공약 유형은 시설 분야의 공약, 이벤트 유치, 프로그램, 스포츠클럽 분야 순이었으며, 시설분야 공약 중에서도 생활체육시설 공약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정당 공약과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이정진(Jeong Jin Lee),송태종(Taijong Song) 건국대학교 시민정치연구소 2020 시민정치연구 Vol.1 No.-

        이 연구는 제21대 총선에서 각 정당이 제시한 선거공약을 비교하고 정당 공약이 유권자의 투표 결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구선거 참여 정당은 일자리나 부동산 등 경제공약에 중점을 둔 반면, 비례대표선거에 참여한 정당은 정치개혁이나 사회적 이슈를 강조하여 정책 차별성을 보였다. 코로나19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유권자들은 후보자 선택시 소속 정당과 정책·공약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 선거에 비교할 때 후보자 요인보다 정책·공약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 것은 정책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이 선거 직전의 이슈와 무관하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다수 유권자들이 매니페스토 정책선거에 대해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매니페스토에 대한 접근통로가 TV나 포스터, 현수막 등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향후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책선거 홍보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lection promises proposed by each political party and Manifesto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and analyzed the effect of Manifesto on voters voting decisions. The election promises between the Political parties participating in regional district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participating in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ve election were different. Despite the impact of Covid-19, it was found that voters regarded the promises and policies of the political parties seriously. In particular,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olicies and commitments more than candidate factors compared to existing elections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voters interest in policy elections is expanding irrespective of the issues just before the election. However, many voters are not aware of the Manifesto policy election, and the access path to Manifesto is concentrated on TV, posters, and banners. 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motion of policy elections through various media in the future.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체육관련공약의 변화와 당선경쟁력에 관한 연구

        나동규(DongKyuNa),김용은(YongEunKim)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6

        본 논문에서는 제 14대 총선부터 제 19대 총선까지의 입후보자의 선거 공약 중 체육관련공약의 시기별·유형별 변화추이와 당선경쟁력으로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14대 국회의원선거부터 19대 국회의원선거까지 출마한입후보자 6670명 중 단 한명의 당선자도 배출하지 못한 정당의 입후보자들과 무소속 후보들을 제외한 45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선관위에서 제공하는 후보자선전물, 입후보자 공약집, 역대선거정보, 정책·공약 등의 자료를 본 연구에 맞게 조작화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체육관련공약을 제시한 후보자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관련공약의 1인당 평균 출현 빈도 또한 대체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당요인·후보자요인과 체육관련공약 유무에 따른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체육관련공약을 제시한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이 공약을 제시하지 않은 후보자의 당선경쟁력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연고와 야당 후보자, 고졸이하와 대졸, 그리고 비현직 후보자에게서 체육관련공약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d in the promises of candidates in from the 14th to 19th general election in order to know the change andeffect of sport promises. The subjects of study are 4577 of 6670 candidates who ran for from the 14th to 19th general election,except candidates of political parties who did not win and independent. Data was collected from pamphlet for candidates,platform, a line of election data, policies and promises of candidates and modified for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frequency analysis and Two-Way ANOVA by using SPSS WIN 18.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roportion ofcandidates suggesting sport promises increased steadily, and the frequency of sport promises per man generally increased. Asthe result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first, candidates with sport promises had higher electoral competitiveness thancandidates without it. Next, sport promis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ndidates without storonghold, opposition partycandidates, candidate with less high-school and graduate degree, and non-incumbent.

      • KCI등재

        매니페스토 지방선거와 거버넌스

        박재욱(Park Jae-Wook)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0 국제정치연구 Vol.13 No.1

        This paper discussed policy vision, objectives, key strategic measures and public satisfaction for party promises. Yet this paper did not deal with the criteria, indicators or the development of measures in an effort to properly evaluate party manifesto during recent local elections. Long-term and macro vision for local party promises was established based on "a sustainable and creative city development." I have proposed three kinds of policy objectives and five main strategic means for the vision realization. The change of public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ransition of their value system should be reflected on the party promises or their assessment. Finally, in order to help create sustainable and creative promises this paper presented principles and alternatives needed for manifesto local elections.

      • KCI등재

        교육감 선거와 ‘인정의 정치’: 어떤 후보자가 ‘다문화’ 공약을 제시하는가?

        함승환,이승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0 다문화교육연구 Vol.13 No.2

        To observe an aspect of the ‘politics of recognition’ that appears in political elec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election promises made by candidates for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in the 2014 and 2018 nationwide local elections. A series of analyses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data derived from the promises of the 130 candidates of these elections. The results reveal that issues of cultural diversity in education tended to be advanced more explicitly by those candidates who demonstrated greater competitiveness in the election process, irrespective of their ideological orientations or local contexts. This pattern does not appear to be well explained by conventional ‘actor-centric’ perspectives that understand both candidates and voters as ‘rational’ actors in the ‘political marketplace.’ Instead, an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deserves close attention-a perspective that regards ‘the logic of appropriateness’ as largely determined by elaborate epistemic models that evolve in transnational institutional environments. The diversity and equity agendas seem to serve as an ‘appropriate’ bundle of promises favored by influential candidates with sharp attentiveness to such models.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인정의 정치’의 일면을 교육감 선거의 공약 측면에서 관찰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2014년과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치러진 교육감 선거에서 어떤 후보자가 다문화 관련 공약을 제시했는지 검토했다. 후보자 130명의 공약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공약은 후보자의 정치적 진영이나 출마 지역의 특수성을 떠나, 높은 당선 경쟁력을 갖춘 후보자들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제시되어 온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거 후보자와 유권자를 ‘정치 시장’의 ‘합리적’ 참여자로 간주하는 ‘행위자 중심적’ 시각으로는 제대로 설명되지 않는 것이다. 대신, 후보자의 공약 제시가 상당한 정도로 ‘적절성의 논리’에 따라 이루어질 가능성을 강조하는 ‘제도주의’ 가설과 부합한다. 교육감 선거에서 다문화 공약은 높은 제도적 ‘정당성’을 갖춘 ‘적절한’ 정책 의제로서 주요 후보자들을 중심으로 제시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국회의원선거의 정책선거 여부 분석 -18대총선과 19대총선을 중심으로-

        박창규 ( Chang Gyu Bark ) 대한정치학회 2015 大韓政治學會報 Vol.23 No.3

        대의제민주정치에서, 유권자들이 투표할 후보자를 선택할 때 공약은 매우 중요하다. 2012년에 치러진 제19대국회의원선거는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2004년의 예비후보 자제도 도입과 참여경선제 도입, 2006년 지방선거부터 본격화된 매니페스토 운동 등 정책선거를 위한 노력의 성공적 정착의 기로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회의 원선거의 정책지향 정도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간하는 유권자의식조사를 주요 자료로 분석하였다. 특히 제18대총선과 제19대총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선거일 1주일쯤 전에 지지할 후보자를 결정한 유권자를 주로 분석하였다. 이들 중 꼭 투표한 다는 유권자는 정책과 공약을 고려하여 실제로 투표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제18대국 회의원들이 제시했던 공약에 대한 이행정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19대 국회 의원선거에서 당선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비패권지역에서는 선거공약의 실행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재출마할 때 당선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권 자들은 공약을 투표에서 고려하고 있으며, 정책선거의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campaign promises is very important when voters choose a candidate to vote. Articl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2012, has many meanings. Preliminary candidate system and the Public participation candidacy decision introduced in 2004, manifesto and policy motion introduced in 2006 provincial election was also the crossroads of the successful settlement. In this respect, Voter``s opion survey released by the Central Election Commission as the main material, I analyzed the voter``s attitude to policy-oriented degree of parliamentary elections. In particular, I analyzed the 18th general election and 19th general election. The voters decided to support the candidate about a week before the election, I was mainly analyzed. Of these voting means that voters actually vote is expected to consider the policies and commitments. I also analyze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commitments that Article 18 parliamentarians were present. I analyzed whether they are elected from 19 parliamentary elections. As a result, in the non-hegemonic regions, if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the election pledges were low, the possibility of re-election chances are low. In other words, voters considers campaign promises in election and the election can be said that the possibility of a policy-elections gradually increasing.

      • KCI등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안동시 선거구 참여관찰

        박영환(Young Hwan Park)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16 미래정치연구 Vol.6 No.2

        이 논문은 제20대 총선에서 안동시 선거구를 대상으로 직접 참여관찰을 통해 주요 후보들의 선거운동의 양상과 전략, 각 후보들의 공약, 그리고 문중의 영향력이 강한 안동의 지역적 특성이 선거과정과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참여관찰의 분석 결과 주요 후보의 공천과정에서 문중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지역 현안에 대한 입장이나 공약의 내용에 있어 전반적으로 각 후보들 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공약의 실현 가능성 및 실천방안에 있어서는 후보별로 차이가 발견되었다. 참여관찰을 통하여 선거과정에서 후보자와 유권자 간의 정치적 연계를 다시 모색해보고 대의민주주의 대표성 증진에 대해 논의해본다. Using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Andong-Si electoral district in the 20<SUP>th</SUP> National Assembly election, this article explores candidates’ campaign activities and strategies, candidates’ election promises, and the prestigious families’ influence on electoral processes and elec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show that the process of candidate selection was influenced by the prestigious families. And there was hardly any difference among candidates’ stances on issues and their election promises but differences among candidates occurred in terms of the feasibility and the implementation of election promises. Throughout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we seek to reconsider political linkage between candidates and voters in the electoral process and enhance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representative democracy.

      • KCI등재

        정책지향형 투표자들은 누구인가?: 2006 캐나다 연방선거를 대상으로

        송근원,이영,이상현 세종연구소 2008 국가전략 Vol.14 No.3

        This paper attempts to find out the ratio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oriented voters in Canada, who are defined in terms of the voters who vote for the candidate whose policy positions are congruent with theirs, by using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discriminant analysis and X2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atio of the policy-oriented voters is 69% in the 2006 Canadian General Election. Policy voting is associated with the variables of residential area, political knowledge and political activities. That is to say, 'eorin people,' the non-policy oriented voters, are relatively more distributed in the Northeast in Canada and are equipped with less political knowledge and less political activities. Eight issues among 15 policy issues prevalent in the election period are found as influential ones on vote choice: The most influential issue is 'goods and service tax' issue, and 'private hospital permission' issue, 'homosexuality' issue, 'environment budget' issue, etc. follow in turn. 이 연구에서는 캐나다의 2006년 총선에서 정책-투표 불일치형 유권자인 ‘어린 백성들’의 비율 및 이들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판별분석, 교차분석 등의 분석기법을 동원하여 밝히고 있다. 분석 결과 캐나다 ‘어린 백성들’의 비율은 31.0%이고, 이들은 거주 지역, 정치적 지식, 정치 활동 변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다. 곧, 캐나다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며 정치적 지식이 낮고, 정치적 활동이 작은 유권자 층에 상대적으로 ‘어린 백성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한편, 2006년 캐나다 총선에서 후보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정책 이슈는 ‘재화 및 용역세 인상’ 이슈였으며, 다음으로는 ‘사설 병원 허용’ 이슈, ‘동성 결혼 허용’ 이슈 등의 순서로 영향을 미쳤음을 밝혀냈다.

      • KCI등재후보

        제20대 총선 대구지역 출마 후보자의 여성분야 선거공약 분석

        이지인,이재필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6 대구경북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policies for women in local governments. This has been done by analysing candidates and pledges for women in Daegu for the 20th assembly election. Especially, it aims to provide pledges that apply regional features. The results show that pledges for women is partially distributed to certain policy areas. Moreover, it is difficult to find regional issues. The pledges for women from the central political parties are used in local areas without any differentiation. Therefore there needs to develop specific pledges for women that mirror realities and feature of the region in various point of views. For this, central and regional offices of political parties and regional institutes for women have to collaborate for recommending pledges. 본 연구는 지난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나타난 대구지역 출마 후보자들의 여성분야 공약 분석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여성정책 과제를 정리하는 한편 지역특성이 반영된 여성공약 마련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대구지역 총선 출마 후보자들의 여성분야 선거공약 분석에서 나타난 대구여성정책의 가장 큰 이슈는 ‘돌봄지원과 일가정양립’에 관한 다양한 정책지원 및 확대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후보자들의 여성공약은 정당의 정책공약과 유사성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향후 각종 지역 선거 공약은 각 정당차원에서 여성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시⋅도지부와 연계하여 전문기관의 조력을 얻는다면 좀 더 지역특성을 반영한 현실적인 여성정책이 시행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매니페스토 이행과정에서 심의 민주주의 적용 사례 연구 -지자체단체장 공약이행 평가를 위한 주민배심원제 운영 평가-

        오현순 ( Hyun Soon Oh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3 시민사회와 NGO Vol.11 No.2

        공동체와 더불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가꿔가는 민주 사회에서 대의제 민주주의는 많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고, 실질적인 시민 권리가 작동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대의제 민주주의와 시민 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을 것인가가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심의 민주주의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매니페스토 이행과정에서 심의 민주주의를 실제 적용한 주민배심원제 사례를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심의 민주주의를 적용한 주민배심원제는 투표를 통해 시민들의 의사가 집합되는 선호집합적인 민주주의를 넘어 공약의 이행과정에서 시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공약에 대한 재검토와 공약 이행도 평가를 통해 공약정책의 집행과정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공약 이행과정에서의 주민배심원제는 한국사회에서 최초로 2012년부터 2013년까지 9개 지자체에서 진행되었고, 그 가운데 본 연구는 대구시, 서울 관악구, 인천 남동구, 경기 양평군 등 4개 지역에 대하여 심의 민주주의의 중요한 요소 및 기능으로서 시민참여와 심의성, 민주시민교육적 기능의 효과성, 지방정부의 신뢰성 제고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심의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presentative democracy in a democratic society, where people live their lives with the community, has many limitations. Therefore, for its citizens to exercise their actual rights, it is essential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citizen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deliberative democracy as a way to remedy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ivil jury cases, to which deliberative democracy is appli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manifestos. The purpose of civil jury system, to which deliberative democracy is applied, is to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election promises by reviewing and evaluating election promis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beyond aggregative democracy in which the preferences of citizens are aggregated through elections. Civil jury system has been used by 9 local governments in Korea between 2012 and 2013. Of these, this study used the cases in Daegu, Gwanak-gu; Seoul, Namdong-gu; Incheon, and Yangpyeong-gun; Gyeonggi-do.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effectiveness of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function, and impro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s reliability as important elements and functions of deliberative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