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애과정적 관점에서 바라본 빈곤노인의 노동

        김수영,오혜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3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labor trajectory of the elderly under poverty and to grasp the dynamic meanings of their poverty and work. Drawing on Mandelbaum’s life history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elderly people, including 5 people who suddenly fell into poverty (dropped poverty) and 6 people who have lived in poverty since childhood (cumulative povert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lderly in a seemingly similar economic situation have different labor experience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life history in poverty. First, for the elderly under cumulative poverty, personal event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ir poverty, but for the elderly under dropped poverty, the influence of social events such as the IMF financial crisis was relatively greater. In addition, the elderly under dropped poverty tended to undergo diverse changes in work experiences, while the elderly under cumulative poverty, who had suffered deficient family relationships and deprivation of early life opportunities, tended to remain in fringe labor even at a late age. Finally, the elderly under cumulative poverty felt comfortable and liberated in their old age since they finally reached the social security age, eligible for welfare benefits. But, the elderly under dropped poverty felt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old lives due to the gap between their current and former life standard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ophisticated, long-term services for elderly people reflecting their work and life history. 본 연구는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들의 생애과정 동안 수행했던 노동활동을 추적함으로써, 노인의 빈곤과 노동의의미를 입체적이고 역동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틀을 활용해, 생애에서 갑작스럽게 빈곤으로 떨어진 노인(하락빈곤) 5명과 어릴 적부터 빈곤 속에서 살아온(누적빈곤) 노인 6명을포함해 총 11명의 노동생애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현재 현상적으로 비슷한 빈곤층 노인이라도 빈곤에 처한 생애사적맥락에 따라 노동경험이 상이하다는 점을 드러났다. 누적빈곤 노인은 개인적 사건이 당사자의 빈곤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하락빈곤 노인은 IMF와 같은 사회적 사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생애 전반기부터가족지지의 결핍과 기회박탈로 변두리 노동을 해온 누적빈곤 노인은 생애 후반기에도 여전히 육체노동에 머무르려는경향을 보이는 반면, 생애 전반기에 평균적 노동패턴을 밟아온 하락빈곤 노인은 생애 후반기에 급변한 노동환경에적응하려고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장기간 빈곤에 시달렸던 누적빈곤 노인은 사회보장제도의 수급연령에도달해 복지혜택을 받게 되면서 비로소 노년의 편안함과 해방감을 느끼는 반면, 하락빈곤 노인은 현실과 이상의 격차로노년의 삶을 고단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을 위한 일자리사업, 사회서비스, 소득보장정책을 수행할때, 이들의 생애사적 맥락을 고려해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Economic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Women: How Secure Are They?

        문정숙,이영애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Asian Women Vol.26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conomic status of elderly women and specified risk factors for elderly women in povert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 conditions of older women and to provide considerable policy implications for elderly demographic changes in the futur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from the baseline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nd the sample consists of 2,419 elderly women. To examine the economic status of older women, poverty rates based on absolute and relative poverty thresholds were used, and income portfolios were analyzed. Multivariate analysis was used to provide an estimate of the extent to which older women correlated with poverty. The major findings were: (1) the poverty rate for elderly women was more than 40 percent in a given year; (2) older women living alone were economically vulnerable in terms of poverty rate and income distribution; (3) private transfers were the main source of income for older women living alone and for poor elderly women in general; (4) elderly women’s living arrangement, current employment status, holding of income from assets, pensions, and private transfers, net-worth level, and educational attainment correlated with elderly women poverty; (5) incomes from government transfers were not sufficient to preclude poverty among older women in later stages of life. Thus, income maintenance programs for poor elderly women need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prevent older women from becoming poor. In addition, improving younger women’s life chances by expanding their lifetime work is needed in order to make possible their financial security in later life. This study examined the economic status of elderly women and specified risk factors for elderly women in povert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 conditions of older women and to provide considerable policy implications for elderly demographic changes in the futur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from the baseline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nd the sample consists of 2,419 elderly women. To examine the economic status of older women, poverty rates based on absolute and relative poverty thresholds were used, and income portfolios were analyzed. Multivariate analysis was used to provide an estimate of the extent to which older women correlated with poverty. The major findings were: (1) the poverty rate for elderly women was more than 40 percent in a given year; (2) older women living alone were economically vulnerable in terms of poverty rate and income distribution; (3) private transfers were the main source of income for older women living alone and for poor elderly women in general; (4) elderly women’s living arrangement, current employment status, holding of income from assets, pensions, and private transfers, net-worth level, and educational attainment correlated with elderly women poverty; (5) incomes from government transfers were not sufficient to preclude poverty among older women in later stages of life. Thus, income maintenance programs for poor elderly women need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prevent older women from becoming poor. In addition, improving younger women’s life chances by expanding their lifetime work is needed in order to make possible their financial security in later life.

      • KCI등재

        노인복지정책의 연대성효과 - 빈곤노인을 중심으로 -

        이은주 한국보건사회학회 2015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8

        Although the welfare policy for elderly has developed in Korea, it isn't enough to protect the elderly's life. Most elderly have an experience of income poverty after their retirement. The income poverty has brought another poverty like, medical and housing. It means that the elderly's poverty is characterized as an integral poverty. One of characteristics in elderly's poverty is that level of relative poverty is higher than that of absolute poverty. If there is not the sufficient policy to protect the relative poverty, this poverty will be placed in absolute poverty. Besides, the material poverty may bring about the emotional poverty. These poverties will finally make their social exclusion. Therefore the mechanism of solidarity should be built in the elderly's welfare policy for preventing their social ex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had an insufficient effect of solidarity for preventing a poverty. Its causes are a piecemeal design of the policy, deficiency of analyse for multi elements of poverty, a lack of clarity of policy's purpose, a lack of consciousness of government's responsibility for protecting the elderly‘s social right. With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lderly's welfare policy for preventing the elderly's poverty and to achieving their social solidarity.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후의 사회보장정책이 확대 발전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노후생활을 보장하는 정책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소득의 중단으로 발생되는 노년층의 소득빈곤은 의료와 주거빈곤을 동반하여 총체적인 빈곤을 형성한다. 노인빈곤의 특징 중 하나는 상대적 빈곤율이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기 때문에 상대적 빈곤을 위한 정책이 미흡할 경우 절대빈곤으로 될 가능성이높은 것이다. 또한 노년층은 물질적 빈곤과 함께 이로 인한 사회적관계의 단절로 정서적 빈곤을 경험하면서 다중적 요인으로 사회적 배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빈곤노인층의 사회적 배제를방지하고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정책에 연대형성기제가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노인복지정책에는 빈곤을 예방하는 연대성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원인은 정책의 단편적설계, 다차원적 빈곤요인의 미 고려, 정책목적의 불명확성, 노인들의 생활권 권리보장에 대한 확고한정부의 책임의식 결여 등에서 비롯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노인빈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에근거한 다차원적인 정책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이전소득의 독거노인가구 빈곤경감 효과 비교

        김수영(Kim, Sooyoung),이강훈(Lee, Kanghoo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4

        2008년 기초노령연금제도가 시행되면서 공적 노후소득보장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아직 기초노령연금은 보조수당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소득보장제도로서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며, 경제적 자립이 어려운 노인들은 총소득 중 여전히 사적이전소득 의존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경제활동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공적소득보장제도의 적용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노인가구의 빈곤율은 노인이 아닌 가구에 비해 더 높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이 노후 생활보장의 핵심적인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노인가구의 빈곤을 어느 정도 경감시키는가를 비교해 보았다. 특히 노인인구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독거노인가구를 대상으로 하여 공적 및 사적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공적 소득보장제도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혼자 사는 독거노인가구이며, 분석자료는 통계청의 가계조사 중 2006년-2008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거노인가구의 빈곤정도와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정도를 상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체인구 및 전체 노인가구의 빈곤율과 비교하였고, 독거노인가구에 속한 하위집단의 빈곤정도와 이전소득의 빈곤경감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성별, 연령, 경제활동 여부 등 인구사회학적인 특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가구 전체의 빈곤율은 기초노령연금 및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된 2008년 이후에도 전년대비 감소하지 않았다. 둘째, 독거노인가구를 포함한 노인가구에서 두 가구 중 한 가구는 절대빈곤상태에 놓여 있으며, 특히 독거노인가구 중 여성, 비근로, 저학력, 고령, 농어촌 노인가구의 빈곤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셋째, 독거노인가구의 빈곤감소에서 공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효과가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사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가 공적이전에 의한 빈곤감소보다 더 크게 기여하였다. 넷째, 공적이전효과 중에서는 생계비 지원 등의 사회보장 수혜효과가 공적연금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basic old-age pension system was enforced in 2008, the base for old-age income security was founded. However, due to the basic old-age pension played a minor role as assistant allowance, it did not reach to sufficient level to cover full income security system. It is estimated that the dependency on private transfer income among the elderly who are difficult to be economically independent is still high. Therefore the poverty rate of the elderly households, who are not economically active or who are not protected by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is more likely to be higher than that of non-elderly household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ublic transfer income system should become a central means of old-age life guarantee, this study examined the poverty mitigation effects among the elderly households by comparing the private transfer income and the public transfer income.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single-elderly-households who have been considered the most vulnerable to poverty. We used 2006- 2008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set that contained single-elderly who were older than 65 years old. To understand the conditions of poverty among single-elderly-households and the degree of poverty-reducing effect originated from income transfer system, we compared the poverty rates of total households and the whole elderly households. Next, we analysed the poverty of the single-elderly-households by social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economic activity. Ou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overty rate of the whole elderly households were not reduced, even though the basic old-age pension and long-term care management system were enforced in 2008. Second, half of the elderly households including single-elderly-households belonged to the absolute poverty line. Relatively higher level of poverty among the single-elderly-households was found especially those who were female, unemployed, low-educated, older, and rural single-elderly-households. Third, the effect of the public transfer income on mitigating the single-elderly-households poverty showed a little progress. However, even greater poverty reducing effect was found by the private transfer income system. Fourth, in a group of the public transfer systems, the public assistance such as supporting living costs contributed more to reduce poverty of the elderly population than the public pension system did.

      • KCI등재

        미국 노인들의 빈곤이행에 대한 삶의 사건들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애 ( Young Ae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빈곤노인들에 대한 노년기 삶의 다양한 경험들의 영향과 빈곤이행 경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고, 노인빈곤은 개인들의 삶을 통틀어 복잡한 인관관계에 의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노인빈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고령화시대를 맞이하는 기본적인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미국의 “Health and Retirement Study”(HRS)로 2년에 한번씩 수집되는 전국적인 패널조사이다. 본 연구는 노인빈곤의 특성과 빈곤이행에 대한 동태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HRS가 처음으로 수집되었던 1992년부터 가장 최근의 자료인 2006년까지 총 8차년도의 자료를 대상으로 50세 이상(HRS 원자료의 표본이 50세이상부터 표집되었음)의 30,405명의 노인들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5년간의 미국의 동태적인 노인빈곤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곤탈출, 빈곤재진입 위험율을 추정함에 있어 Kaplan-Meier product-limt 추정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노인의 빈곤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노년기 삶의 경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이산시간위험모델(discrete-time hazard model)을 적용하여 빈곤진입과 빈곤탈출 모형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다변량분석기법은 노인빈곤에 대해 관찰되지 않는 이질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도움을 주게 되며, 나아가 노인빈곤의 원인을 보다 실질적으로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대략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Kaplan-Meier product-limt 추정법을 이용하여 전체 응답자들의 지난 15년간의 빈곤탈출율과 재진입율을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기간이 증가할수록 빈곤탈출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빈곤기간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빈곤재진입율은 약 10%정도로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빈곤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이산시간위험모델로 분석한 결과, 노인빈곤진입에 영향을 주는 사건들로는 은퇴와 나빠진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빈곤탈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은퇴, 증가된 총자산, 정부 복지프로그램의 수급자 선정 등의 사건들로 나타났다. 생애변수 선정된 총 노동시장 참여 년수와 결혼지속년수는 노인의 빈곤진입과 탈출에 모두 주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빈곤지속기간이 증가할수록 빈곤탈출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한번 빈곤에 진입한 노인들의 경우는 그들의 노년기를 빈곤하게 보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노인들의 빈곤 재진입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결과를 통해 노년층의 소득수준이 빈곤선 이하로 떨어질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은퇴의 경우 빈곤진입과 탈출에 모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은퇴기 이후를 대비하기 위한 노년기 소득보장대책이 강화되어야 함을 제언할 수 있다. 노년기는 생애과정을 통해 축적된 적정한 수준의 경제적 안정이 보장되어 있지 않거나, 만성질환의 발생으로 인한 건강악화로 인해 최소한의 경제적 안정없이 생을 마감해야 할지도 모르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집단인 빈곤노인들과 장애노인들의 건강불균형을 정책적으로 해소하고 그들을 위한 각종 보장혜택을 강구하는 방안이 고민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kelihood of poverty transition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events on poor elderly.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the aging population has grown rapidly, and elderly poverty involves many complex relationships across an individual`s life spa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lderly poverty and to provide considerable policy implications for elderly demographic changes in the future. The data for this study are from the years 1992-2006 of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HRS) and the sample consists of 30,405 elderly individuals from eight waves. To examine the incidence and dynamics of elderly poverty, the poverty exit(re-entry) hazard rate based on Kaplan-Meier product-limit estimates are used. Entry into and exit from elderly poverty models are separately used to estimate the con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transition and multiple trigger events as well as various covariates using the discrete-time hazard model. These multivariate techniques show a more realistic picture of elderly poverty transition in terms of providing a preliminary explanation of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of the elderly poverty. The major findings are: (1) in terms of poverty entry and exit rates, the exit rate was decreased during the 1990s, but the rate was increased during the 2000s while the entry rate fell somewhat during the 1990s and rose somewhat during the 2000s; (2) as the length of the poverty spel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poverty exit decreased; (3) as the non-poverty duration increases, the poverty reentry rates are constant at around 10 percent; (4) retirement and a negative change in health condition bot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lderly poverty entry, while retirement, increase in total wealth, and becoming insured from any government health program a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lderly poverty exit; and (5) life history variables, such as total years of work and length of marriag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elderly poverty entry and exit. Results from the hazard rates(exit and re-entry rate) imply that a person who falls into poverty during his or her elderly years is highly likely to remain poor because the exit probabilities fall as the length of the poverty spell increa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nstant re-entry rates infer that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osed to the risk of falling to an income that puts them below the poverty line. Results from multivariate analysis suggest that retirement has an important role in elderly poverty transition and a negative change in health condition also has positive impact on elderly poverty entry. Thus, effective income support programs and social policies for the elderly help to prevent elderly individuals from becoming poor.

      • KCI등재

        노년기 빈곤이 계층의식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준범,장대연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bsolute / relative poverty on the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ubjective social status by type of elderly resi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327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nd 668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from 3rd to 5th wave data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poverty rate for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ccounted for 43.5 percent and 51.4 percent, while 63.8 percent and 77.2 percent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respectively. Second,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e elderly living together than living alone, However, life satisfaction was not related to condition of pover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Third, absolute / relative poverty we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together,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had a mediating effect. However, relative poverty was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which indicated that it needs to support not only the financial approach to overcome absolute poverty but also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perspective in the interven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o make a tool to measure of poverty using multi-dimensional poverty indica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절대 및 상대빈곤 여부가 노인거주 형태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관적 계층의식의 매개효과를 종단으로 검증하고 독거 및 동거노인의 대별되는 특성을 분석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개입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고령화연구패널 3차∼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거노인 3,327명, 독거노인 66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3년 기준 동거노인의 절대빈곤은 전체의 43.5%, 상대빈곤은 51.4%로 나타난 반면 독거노인의 경우 절대빈곤층은 전체의 63.8%, 그리고 상대빈곤층은 77.2%에 육박하여 노인빈곤의 실태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거노인의 경우 절대 및 상대 비빈곤층 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독거노인의 경우, 빈곤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거노인의 노년기 절대 및 상대빈곤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주관적 계층의식은 매개효과를 가지나 독거노인의 경우 상대빈곤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 독거노인에 대한 개입에 있어 소득빈곤뿐만 아니라 다차원적 빈곤의 관점으로 접근해야 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빈곤지표를 활용한 빈곤측정 도구 마련 등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빈곤과 노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김용태 대한변호사협회 201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39

        Many elderly citizens of Korea live in poverty. Almost half the elderly in Koreawhich arrive at ‘unprepared’ senescence live in poverty. Poverty increases suffering of advancedage such as illness, loneliness etc. Poverty falls into several categories, for example, objectivepoverty, subjective poverty, absolute poverty, relative poverty, political poverty etc. TheConstitution of Korea expressing the poor(needy people) on “Citizens who are incapable of earninga livelihood”(Para 5 of Article 34), not only enjoins a duty on state that must protect the poor’slife, but also invests the poor with rights which demand for protect their’s life to the nation,through social fundamental rights. Namely, Constitution(Para 5 of Article 34) explicitly prescribes‘have a right’ that Citizens who are incapable of earning a livelihood shall be protected by the State. Like this, to distinguish whether he is “Citizens who are incapable of earning alivelihood”-presented on constitution Para 5 of Article 34-must serve various poverty concepts whichmentioned earlier. Finally, on the assumption objective poverty, constitution enjoins a duty on statewhich protect citizens from absolute poverty, also invests citizens with rights corresponding to it. Thesignificance is that if constitutional concept and criteria about poverty can be comprised in any way,it means that legislator who definitize concept and criteria of poverty by law is bound by constitution. Meanwhile, constitution Para 1 of Article 34 prescribes “all citizens shall be entitled to a life worthyof human beings.” This social fundamental right can be up and running for resolving poverty of theelderly, I examine concept and legal nature of one, and contents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Act’s the minimum cost of living, National Pension Act’s old age pension, Basic Senior Pension Act’sbasic old age pension as exteriorized-legislation for the welfare of the aged for realization thisfundamental right, and critically examine each legislation for the welfare of the aged for incomesecurity for elderly. Lastly, I critically examine in constitutional aspect about legislation for the welfareof the aged for income security for elderly. 2013년 현재 대한민국 다수의 노인들은 빈곤하다. ‘준비되지 못한’ 노년기를 맞이한 우리나라노인은 절반 가까이가 빈곤층이다. 빈곤은 질병과 외로움 등 노년의 고통을 증폭시킨다. 빈곤은 객관적빈곤, 주관적 빈곤, 절대적 빈곤, 상대적 빈곤, 정책적 빈곤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우리 헌법은 빈곤자를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으로 표현하면서(제34조 제5항), 국가에 대해 빈곤자의 생활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부과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본권 등을 통하여 빈곤자가 국가를 상대로 자신의 생활을 보호해주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도 부여하고 있다. 즉 헌법 제34조 제5항은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에 대해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헌법이 표현하고 있는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빈곤자)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다양한빈곤 개념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결국 헌법은 객관적 빈곤을 전제로, 절대적 빈곤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국가에게 부담시키고, 이에 상응하는 권리를 국민에게 부여하고 있다 할 것이다. 중요한 점은 어떤 식으로든 빈곤에 대한 헌법적 개념과 기준이 구성될 수 있다면, 이는 법률로써 빈곤의개념과 기준을 구체화하는 입법자를 구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헌법 제34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한다. 인간다운생활을 할 권리는 노인빈곤의 해소를 위한 기본권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이 기본권의 개념과 법적 성격을 살펴보고, 노인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구체화하고 있는 노인복지법제로서 ①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근거한 최저생계비제도, ② 국민연금법에 근거한 노령연금제도, ③ 기초노령연금법에 근거한 기초노령연금제도의 내용을 검토한 후,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노인복지법제 각각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노후 소득보장을 위한 노인복지법제에 대해 헌법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Decision Tree Analysis for Prediction Model of Poverty of The Older Population in South Korea

        이수창,김대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elderly poverty based on a comprehensive and universal perspective, suggesting some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poverty rate of the elderly. The comprehensive and universal approach to the poverty of the aged that this study attempts can gi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poverty beyond the contribution of the existing literature, with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individual, family, labor, and income factors as the causes of old-age poverty from the comprehensive and universal perspective on the causes of poverty of the elderly.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s to input variants of variables into the equation for the causes of elderly poverty by using panel data from the 8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This study employs decision tree analysis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poverty of the elderly using CHAID. The decision tree analysis shows that the most vital variable affecting elderly poverty is making income. For the poor elderly without earned income, public pensions, educational careers, and residential areas influence elderly poverty, but for the poor elderly with earned income, wage earners and gender are variables that affect poverty. This study suggests som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overty rate of the aged. The government should create a better working environment such as senior re-employment for old people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improve public pension or social security for workers with unfavorable conditions for public security of old age, and give companies that create employment of the aged diverse incentives.

      • KCI등재

        은퇴이후 주관적 경제적 빈곤 발생기간의 영향 요인

        신복기,이성진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factors influencing on the length of time when economic poverty occurs after retirement, risk probability of chronological economic poverty occurrence, and difference of the length of time and risk probability by group. Questionnaire is used to collect data and survey target is the elderly over 61 years old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 Namdo. The Life table method and Cox-Proportional hazards model of survival analysis are us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me of the elderly experienced economic poverty during his/her 50s. Second, most of economic poverty of the elderly occurred within 1 year of his/her retirement. Third, groups of the elderly such as old woman,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elderly who has academic background below the middle-school and separation by death old person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economic poverty even before 61 year-old, 58 year-old in average. Forth, factors Influencing on the Length of Time when the Subjective and economic poverty occurs to the elderly after retirement are job opportunity after 61-year-old, the burden of supporting his/her family members, national pension, his/her job before 61 year-old such as professionals, manager, government officials, and office clerk. Based on these results, this article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a preferential action for the elderly to whom economic poverty occurred early after retirement, to take an action based on the length of time when economic poverty occurs to the elderly, to connect a policy for the elderly with employment policy for middle-aged people, to provide a job opportunity to the elderly, to reform national pension, and to reinforce social welfare practice for prevention of poverty. 본 연구는 은퇴이후 경제적 빈곤이 발생하기까지의 기간, 은퇴이후 연도별 경제적 빈곤발생의 위험확률과 그것의 노인 집단별 차이, 은퇴이후 경제적 빈곤 발생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탐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에 의한 경험적 연구로서, 조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시지역에 거주하는 61세 이상이며, 분석방법은 생존분석법의 생명표법분석과 콕스 확률 위험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우리 노인 세대들은 이미 50대부터 경제적 빈곤을 경험하기 시작하였으며, 대체로 은퇴와 더불어 1년 내에경제적 빈곤이 발생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 노인집단들 중 여자노인, 독거노인, 중졸이하 노인, 배우자 사별노인 등이 시간적으로 더 빨리 경제적 빈곤에 직면하는데, 그 평균 나이는58세였다. 은퇴 후 경제적 빈곤 발생의 기간에는 경제적 변수인 61세 이후 직업여부, 경제적부양부담여부, 61세 이전의 전문직․경영관리직․공무원․사무직 여부, 국민연금 수급여부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적 빈곤 발생이 빠른 집단에 대한 우선적 대응, 경제적 빈곤 발생의 시기를 고려한 대응, 중장년 지원정책과노인 빈곤 정책 간 연계 필요성, 노후 소득 마련 기회 제공, 국민연금 제도 변화, 빈곤 예방사회복지적 실천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인가구의 빈곤 실태와 소득이전 효과에 관한 연구: 빈곤율, 빈곤갭, 소득이전을 중심으로

        진재문 ( Jae Moon Jjn ),김수영 ( Soo Young Kim ),문경주 ( Kyung Joo Mo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 1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절대빈곤, 상대빈곤의 빈곤율과 빈곤갭의 규모를 밝히고, 공적소득이전과 사적소득이전이 노인가구의 절대빈곤율, 상대빈곤율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고, 특히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빈곤갭에 대한 소득이전의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가구의 절대빈곤율은 비노인가구의 5배가 넘었고 상대빈곤율 역시 약 4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중산층 비율은 비노인가구의 약 60% 정도에 불과하여 전반적으로 비노인가구에 비하여 노인가구의 빈곤이 매우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다. 소득이전의 효과를 보면 공적이전의 빈곤율 및 빈곤갭의 감소 효과는 미미한 반면, 사적소득이전은 빈곤율을 약 13.5%p 감소시키고, 빈곤갭은 약 2/3 가까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가구의 빈곤에 대한 경감은 사회보장에 의한 공적소득이전 보다는 사적소득이전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노후 경제적 안정을 위해 공적연금 같은 사회보장을 강화하는 것과 함께, 사적소득이전체계를 견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동체의 형성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absolute poverty rate, the relative poverty rate, and the poverty gap of elderly-headed households in Korea. And this study analysed the reduction-effects of the public income transfer and the private income transfer on the poverty rate and the poverty gap. Analysing was based on the 13th wave of the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bsolute poverty rate of elderly-headed households got to fivefold compared to non-elderly-headed households, and got to about fourfold in the relative poverty rate. The rate of middle class in elderly-headed households attained only 60% compared to the one of non-elderly-headed households. Second, on poverty rate and the poverty gap, the reduction-effect of the private income transfer was much stronger than the public income transfer. Absolute poverty rate has decreased about 13.5%, and the poverty gap has decreased by two-thirds through the private income transfer to elderly-headed households. We think that Korean society has to make more solidaristic and filial community and that Korean government has to reinforce social security system for the elderly. When those happen, income transfers can be worked more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