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剛經』신앙과 백제 帝釋寺

        소현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23 百濟硏究 Vol.77 No.-

        Based on the records of Gwanseeum eungheomgi(觀世音應驗記) that the Diamond Sutra (Vajracchedika - prajna - paramita Sutra) was enshrined in the wooden pagoda of Jeseoksa(帝釋寺) Temple built by King Mu(武) of Baekje in Iksan(益山), this paper examined the influx of Chinese "the Diamond Sutra faith" into Baekje i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Jeseoksa Temple. The Diamond Sutra belongs to the Prajna-paramita - sutra, and was first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in China in the early 5th century. By the Liang(梁) Dynasty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belief that life could be extended by reciting the Diamond Sutra spread among monks. By the end of the 6th century, the Diamond Sutra faith had spread among the people, and by the time of the Tang Dynasty, it had become more prevalent, and books that recorded the miracles of the Diamond Sutra were compiled. The range of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citation and copying of the Diamond Sutra has also been expanded, covering all ranges of life and death. Sui and Tang emperors actively used this belief in the Diamond Sutra in their governance. At the end of the 6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when Jeseoksa Temple was founded, the Diamond Sutra faith was widely popular in China. The Diamond Sutra faith in China seems to have been introduced into Baekje around the end of the 6th century. It would have been Baekje's Samnon(三論) faction(East Asian Mādhyamaka) scholars who returned to Baekje after learning East Asian Mādhyamaka, which valued the Prajuāpāramitā Sutra, in China. I presume that the representative figure is Hyegyun(慧均), who was the author of the Daeseung saron hyeonui gi(大乘四論玄義記) and the position of Seungjeong(僧正) of Baekje during the reign of King Mu, and he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undation of Jeseoksa Temple and the enshrinement of the Diamond Sutra. On the other hand, since Jeseoksa Temple was a royal temple, King Mu's will must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the enshrinement of the Diamond Sutra. In other words, King Mu, who expected the political role of the Diamond Sutra faith following the case of the Sui Dynasty, would have finally approved the enshrinement of the Diamond Sutra in Jeseoksa Temple. 본 논문은 백제 무왕이 익산에 건립한 제석사 목탑에『金剛經』을 납입했다는『觀世音應驗記』의 기록을 실마리로, 6세기 후반 중국『金剛經』신앙의 백제 유입과 제석사의 성격 등을 고찰하였다. 『금강경』은 반야계 경전으로, 5세기 초 처음 한역되었다. 5세기 말 ~ 6세기 전기에 이르면,『금강경』을 수지・독송하면 수명을 연장한다는‘『금강경』신앙’이 남조의 승단을 중심으로 유포되었다.『금강경』신앙은 6세기 말에 이르러 민간으로 널리 확산되었으며, 당대에 이르러 관련 영험기가 찬술될 정도로 매우 성행했다.『금강경』독송과 抄寫의 공덕도 범위가 확장되어, 지옥 등 冥界 및 현실 諸難으로부터의 구제 등 생사의 모든 영역에 걸쳐 있었다. 수당대의 황권은 이와 같은『금강경』신앙을 통치에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6세기 말 ~ 7세기 초 제석사가 창건되던 즈음은 중국에서『금강경』신앙이 널리 유행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중국의『금강경』신앙은 6세기 말경 백제로 유입되었으며, 이를 주도했던 것은 반야경을 중시하는 三論學을 배우고 중국으로부터 귀국한 백제 삼론학 승려였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그 대표적 인물이『大乘四論玄義記』의 撰者이자 무왕대 僧正이던 慧均이며, 그가 제석사 창건 및『金剛經』의 납입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제석사는 왕실사찰이었으므로『金剛經』의 납입에는 무왕의 의지도 강하게 개입했다고 봐야 한다. 對隋交流를 통해 무왕은 隋 文帝가 통치에『금강경』을 이용했던 사례를 숙지하고,『금강경』신앙의 정치적 역할을 기대하며 제석사에 『금강경』을 납입하였을 것이다.

      • KCI등재

        조계종(曹溪宗) 표준(標準) 김강경(金剛經)에 대한 교감(校勘)(Ⅱ)

        조현춘 ( Hyun Chun Cho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1

        대한민국의 최대 불교 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 표준 금강경을 저본으로 교감(Ⅰ)에서 1∼5장을 교감하였습니다. 본 논문(교감Ⅱ)에서는 6∼10장을 교감하였습니다. 연구자가 아는 범위 내에서, 전 세계 연구자들이 모두 오래된 금강경을 단지 번역하거나 복원하는 데에 모든 노력을 하였을 뿐, 여러본을 가지고 완전한 금강경으로 복원하는 노력은 하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낙간이 심한 금강경들이 그대로 유통되고 있었습니다. 화엄경과 화이트헤드 연구회의 도움으로 낙간부분을 보완한 비교적 완전한 금강경을 제시합니다. 본 논문에서는 조계종 표준 금강경 6∼10장을 교감하여, 한국인의 정서에 잘 맞는 가사체로 제시합니다. I corrected chapter 1∼5 of Jogye order Diamond Sutra in my previous paper (Renewed Diamond Sutra(Ⅰ). In this paper, I corrected chapter 6∼10 of Jogye order Diamond Sutra. As well as I know, all scholars translated the Diamond Sutra that he had and did not make any effort to find a perfect Diamond Sutra. As result, all of the Diamond Sutra has many severe problems. On the support of "Huayen Sutra and Whitehead Study Group", I propose renewed more perfect Diamond Sutra. In this paper, I propose the special form of 4-4-4-4 letter Diamond Sutra.

      • KCI등재

        13세기 전반기 간행한 '금강경' 사례들과 사상적 의미

        채상식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石堂論叢 Vol.0 No.61

        The Diamond Sutra had been considered as a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Seon(禪) thoughts, mostly due to Hyeneng(慧能). It was brough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earlier than the introduction of the Seon thoughts. After that, there were two ways to deal with the Diamond Sutra : an intellectual approach annotating on it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thoughts and a religious approach cognizing it as an object of devotion. Whereas there had been almost no cases where the Diamond Sutra were published in earlier Goryeo Dynasty, the ‘Diamond Sutra-Doryang(금강경도량)’ as a religious activity was conducted on several occasions at a national level. Then, the Seon Buddhism of Sung(宋) that was divided into a denomination and developed affected the Goryeo society, which led to that some of bureaucrats and literati of Goryeo Dynasty were absorbed in the Seon thoughts, taking the Diamond-Sutra as an object of faith. The Dimond Sutra became important in the earlier 13th century to the extant that the Diamond Sutra was published four times. This was related with supererogation faith(공덕신앙) that Suseonsa(修禪社) used recitation of the Diamond Sutra as an important instrument. Hyesim(惠諶) who succeeded Jinul(知訥)'s thought emphasized not only recitation but also miraculous and spiritual elements, thereby pursuing the task making the Diamond Sutra religious. It can be said that the vulgar herd also embraced the Diamond Sutra as an object of devotion. Producing adverse effect, however, it caused the decline of educational and ideological approaches on the Diamond Sutra. 『금강경』은 선사상을 이해하는 매개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선종 6조인 혜능의 영향이 컸다. 그러나 선사상이 전래되기 이전인 삼국시기에 이미 『금강경』은 전래되었다. 신라와 백제에 『금강경』이 전래된 이후 『금강경』에 대해서는 주석을 붙이는 사상적인 접근과 신앙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두 방향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다가 고려전기에는 『금강경』을 간행한 예는 별로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금강경도량’이라는 국가적인 차원의 대규모 신앙행사가 여러 차례 행해졌다. 그러다가 고려중기에는 분파․발전한 宋의 선종이 고려에 영향을 미치자, 관료층․문인층 가운데 일부는 선사상에 심취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최씨집정기와 대몽항전기인 13세기 전반기에는 『금강경』 간행의 사례가 네 번이나 있을 정도로 『금강경』을 중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는 바로 전 시기에 유행한 『금강경』에 대한 신앙이 그 기반이 되었으며, 아울러 이는 불교개혁을 표방한 修禪社가 방편으로 『금강경』 독송을 강조한 공덕신앙과 관련된다. 더욱이 지눌을 계승한 혜심은 독송뿐 아니라 더 나아가 영험과 신비적인 요소까지도 강조함으로써 『금강경』의 신앙화를 추구하였다. 이후 이런 경향이 계기가 되어 이전의 『금강경』과 관련된 불사에는 찾기 힘들었던 서민대중들도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금강경』에 대한 교학적․사상적인 접근은 퇴조할 수밖에 없는 역기능도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 KCI등재

        13세기 전반기 간행한 『금강경』 사례들과 사상적 의미

        채상식 ( Sang Sik Cha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금강경』은 선사상을 이해하는 매개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선종 6조인 혜능의 영향이 컸다. 그러나 선사상이 전래되기 이전인 삼국시기에 이미 『금강경』은 전래되었다. 신라와 백제에 『금강경』이 전래된 이후 『금강경』에 대해서는 주석을 붙이는 사상적인 접근과 신앙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두 방향에서 전개되었다. 그러다가 고려전기에는 『금강경』을 간행한 예는 별로 보이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금강경도량’이라는 국가적인 차원의 대규모 신앙행사가 여러 차례 행해졌다. 그러다가 고려중기에는 분파·발전한 宋의 선종이 고려에 영향을 미치자, 관료층·문인층 가운데 일부는 선사상에 심취하면서 이와 병행하여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기도 하였다. 최씨집정기와 대몽항전기인 13세기 전반기에는 『금강경』 간행의 사례가 네 번이나 있을 정도로 『금강경』을 중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는 바로 전 시기에 유행한 『금강경』에 대한 신앙이 그 기반이 되었으며, 아울러 이는 불교개혁을 표방한 修禪社가 방편으로 『금강경』 독송을 강조한 공덕신앙과 관련된다. 더욱이 지눌을 계승한 혜심은 독송뿐 아니라 더 나아가 영험과 신비적인 요소까지도 강조함으로써 『금강경』의 신앙화를 추구하였다. 이후 이런 경향이 계기가 되어 이전의 『금강경』과 관련된 불사에는 찾기 힘들었던 서민대중들도 『금강경』을 신앙대상으로 삼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금강경』에 대한 교학적·사상적인 접근은 퇴조할 수밖에 없는 역기능도 있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The Diamond Sutra had been considered as a medium for understanding the Seon(禪) thoughts, mostly due to Hyeneng(慧能). It was brough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earlier than the introduction of the Seon thoughts. After that, there were two ways to deal with the Diamond Sutra: an intellectual approach annotating on it in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thoughts and a religious approach cognizing it as an object of devotion. Whereas there had been almost no cases where the Diamond Sutra were published in earlier Goryeo Dynasty, the ‘ Diamond Sutra-Doryang(금강경도량)’ as a religious activity was conducted on several occasions at a national level. Then, the Seon Buddhism of Sung(宋) that was divided into a denomination and developed affected the Goryeo society, which led to that some of bureaucrats and literati of Goryeo Dynasty were absorbed in the Seon thoughts, taking the Diamond-Sutra as an object of faith. The Dimond Sutra became important in the earlier 13th century to the extant that the Diamond Sutra was published four times. This was related with supererogation faith(공덕신앙) that Suseonsa (修禪社) used recitation of the Diamond Sutra as an important instrument. Hyesim(惠諶) who succeeded Jinul(知訥)``s thought emphasized not only recitation but also miraculous and spiritual elements, thereby pursuing the task making the Diamond Sutra religious. It can be said that the vulgar herd also embraced the Diamond Sutraas an object of devotion. Producing adverse effect, however, it caused the decline of educational and ideological approaches on the Diamond Sutra.

      • KCI등재

        조계종(曹溪宗) 금강경(金剛經)에 대한 교감(校勘)(3)

        조현춘 ( Hyunchun Cho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5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1 No.3

        대한민국 최대 불교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 한문·한글 금강경을 저본으로 교감(Ⅰ)에서는 1∼5장을 교감하였고, 교감(Ⅱ)에서는 6∼10장을 교감하였으며, 본논문(교감 Ⅲ)에서는 11∼15장을 교감하였다. 다른 연구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금강경’을 번역하거나 복원하는 노력을 많이 하였다. 그러나 여러 본을 가지고 ‘완본 금강경’으로 복원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은 것 같다. 결과적으로 낙간이 심한 금강경들이 ‘원본으로서’ 유통되고 있었다. 가장 애용되고 있는 구마라집 한문역 금강경조차도 낙간이 심하다. 그래서 화엄경과 화이트헤드 연구회의 도움으로 낙간부분을 보완한 ‘비교적 완전하게 복원한 금강경’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계종 금강경 11∼15장을 교감하여, 한글세대를 위하여 현대 한글로 번역하고, 다시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가사체로 다듬어서 제시한다.즉 작업은 삼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낙간부분을 보완하는 작업이었다. 천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는 10편의 금강경을 근거로 조계종 한문 금강경에 500글자 정도를 보완하였다. 문장투는 조계종 한문 금강경 즉 구마라집 한문역 금강경을 최대한 존중하였다. 즉 낙간 부분을 보완하면서도 구마라집식 한문으로 번역하려고 노력하였다. 2단계는 한글 번역인데 내요은 산스끄리뜨 말을 존중하였으며, 산스끄리뜨어는 심한 수동형에 명사중심적이며, 영어는 약한 수동형에 조동사중심적이며, 한글은 심한 능동형에 동사중심이라는 것을 고려하여,논리적 분석을 통해 현대어로 번역하였다. 3단계는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가사체 즉 4자-4자-4자-4자씩 한 줄에 16자씩 배치하는 형식으로 다듬었다. In the Renewed Diamond Sutra(Ⅰ), Chapter 1∼5 of the Kumarajiva``s version(Jogye-order version) were corrected. In the Renewed Diamond Sutra(Ⅱ), Chapter 6∼10 were corrected, and in this paper, Chapter 11∼15.The Diamond Sutra was translated into English and into Korean by many scholars, but little effort was offered to complete the Diamond Sutra. As a result,almost all of the Diamond Sutra, even the Kumarajiva``s version, have many severe problems and/or dropout.On the support of "Huayen Sutra and Whitehead Study Group", I propose more perfect Diamond Sutra and the 4-4-4-4 Korean-alphabet version. the work is composed of 3 stages. the first stage is achieving a complete version. The second stage is translating into modern language, as you know, the sanskrite is severely passive style and noun-centered, the English is mildly passive and auxiliary verb-centered, and the Korean is severely active and verb-centered. The last stage is to accommodate into 4-4-4-4 Korean-alphabet version.

      • KCI등재

        명대(明代) 『출상금강반야바라밀경(出相金剛般若波羅蜜經)』의 계통과 판화 도상 연구

        김자현 불교미술사학회 2022 불교미술사학 Vol.34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genealogy and time of compilation of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from the Ming period, and examines its illustrations through comparison with illustrated sutras from earlier periods. This sutra includes annotations as illustrations in the main text. Considering the rare annotations it shares with the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Diamond Sutra(金剛經集解), this sutra was likely compiled in Southern Song China.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was first published by private publishers in Beijing during the Xuande era, and four copies from the Ming period survive. This sutra includes 76 engravings that were modelled after those in the Yuan-period Diamond Sutra but were printed in a new format with new sketches. The engravings at the beginning and end, which do not exist in the Yuan sutra provide information about early Ming Buddhist engravings. The engravings in the main text succeeded the tradition while adding new motifs and backgrounds. They feature the styles of the Zhe school(浙派) that were popular at the court. This is probably because court painters participated in private publishing of Buddhist sutras that were thriving in Beijing, producing collections of unique engravings with the quality of court engravings, as examplified by the Illustrated Diamond Sutra. 이 글에서는 명대 『출상금강경(出相金剛經)』의 경문 계통과 경전의 성립 시기를 고찰하고, 판화의 도상 분석과 선행 판본과의 비교를 통해 도상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 판본은 다양한 주석자들의 주석이 도해(圖解)되어 본문 속에 삽입되어 있는 매우 독특한 구성의 경전이며, 주석 중 여타의 경전들에서는 찾을 수 없는 부분들이 『금강경집해(金剛經集解)』와 공유되기 때문에 이 또한 『금강경집해』가 간행된 13세기 무렵 남송(南宋)에서 편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대의 『출상금강경』은 총 4종이 현전하며, 선덕연간 북경의 민간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다. 이 경전은 총 76점의 판화가 삽입된 방대한 구성의 도집(圖集)으로, 원대(元代)에 간행된 『금강경』판화를 저본(底本)으로 판식을 변형하고 새롭게 밑그림을 그렸다. 다만 이 판본의 권수와 권말에 삽입된 판화들은 원대본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이 판화들의 화풍, 연원, 변천에 대한 고찰은 명 초기 불교 판화의 성립 과정을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준다. 또한 이 경전에 삽입된 판화들은 선행본의 도상을 계승하면서도 다양한 모티브와 배경이 더해지며 재구성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밑그림을 그린 화가들의 화풍이 적용되어 공통적으로 당시 궁정에서 유행하던 절파(浙派)화풍의 요소들이 확인된다. 이는 명 초기 북경을 중심으로 불전 간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상황에서 궁정에서 활동한 화가들이 다시 민간으로 돌아와 습득했던 기술들을 활용하여 불전의 간행을 지속했던 시대 상황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출상금강경』과 같이 민간에서 출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궁정 판본들의 품질에 버금가는 독자적 도상의 도집류 판화들이 만들어진 것이다.

      • 『금강경』의 전래와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발견 은제도금금강경>의 서체

        손환일 ( Son Hwan-il ) 동양미술사학회 2018 동양미술사학 Vol.7 No.-

        『금강경』은 성왕 9년(531)에 양나라에서 겸익에 의해 전래된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경』은 양(梁) 소명태자(昭明太子)에 의하여 분장(分章)된 것으로, 처음에는 29장으로 분장되었다가, 그 후 32장으로 세분화된 것이다. 초기 <은제도금금강경>의 번역 오류가 <돈황본 1.2>에서는 교정되거나 추기되었다. 이는 <은제도금금강경>이 <돈황본>보다 선본으로 <돈황본>은 다른 번역본에 의하여 교정되거나 추기된 것이다. <은제도금금강경>의 서체는 북조식남조체이다. 이는 북조필법이 혼용된 남조체로 남조에서 유행한 북조(北朝)필법(筆法)이다. 즉 80%의 남조체와 특징적인 20%의 북조체가 혼용된 서체이다. 특히 이체자(異體字)의 사용에 있어서 대부분 6세기에서 7세기 초에 유행한 이체자들을 통하여 <은제도금금강경>의 기록법이 <무령왕능묘지(525)>, <왕흥사청동사리 감명문(577)> 등과 거의 같은 시기에 기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Diamond Sutra(『金剛經』) in The discovery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益山王宮里五層石塔) was introduced into Baekje in 9th year of King Seong reign(531) by Gyeomik, the bonze of Baekje, from Liang(Yang, 梁) dynasty. Diamond Sutra was divided by prince Xiao Ming(昭 明太子) of Lyang dynasty Diamond. It had been separated into 29 chapters at first, after that it was subdivided into 32 chapters later. Translation error in early version of Diamond Sutra had been rectified and other contents had been added to < Platform Sutra 1.2 >. It seems to be considered that < Diamond Sutra > were prior version of < Platform Sutra >, so < Platform Sutra > could be corrected or influenced by other translation version. Calligraphy of Diamond Sutra is the Southern calligraphy of the Northern style. It is the Northern calligraphy mixed with the Southern style; this style was popular in Southern Dynasty. 80% of Southern calligraphy style and 20% of Northern calligraphy style were mixed. According to the study of special characters(異體字, same letter but used in different shape) used from 6th to early 7th century, its calligraphy method were used in the same period of < Royal Tomb of King Muryeong(525) >, < Text on Sari(cremated remains of monks, and regarded as sacred relics) bronze case found in Wangheungsa Temple > and so on.

      • KCI등재

        『금강경(金剛經)』의 선리(禪理)에 대한 고찰

        신명희 ( Myung Hee S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금강경』은 우리나라 조계종의 소의경전이기도 하지만, 동아시아 선종의 소의경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때 유입되어 고려 때 보조 지눌이 초심자들에게 공부하는 경전으로 독송토록 하였다. 『금강경』은 대승초기 경전으로 반야부 경전이다. 그런데 반야부의 대표적인경전으로서 공이라는 말이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공사상이 없는 것이 아니라 無相과 無住, 無我와 卽非論理 등 실천적 측면으로 전개되어있기 때문이다. 반야부 경전이 귀착되는 곳은 하나이다. 바로 『금강경』에 드러난 無相인데, 이 법문이 最上乘 법문으로 여겨지면서 禪理의 대표적인 내용이 되었다. 無住 사상은 앞의 무상과 똑같이 실천적인 측면에서 분별이나 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無我 사상은 일체법에 있어 自我의 실체가 없는 진실을 깨달아 통달한다면 불법을 수행하는 참다운 보살이라고 언급할 만큼 무아가 강조되어 있다. 한편 『금강경』이 禪經으로서 禪者들로부터 애독되고 선을 정립하는데 활용되는 데는 독특한 표현 방식인 즉비논리 구조때문이다. 『금강경』은 무상과 무주, 즉비 논리를 각별개의 사상으로 논할 뿐이지 분별심, (고정)관념, 집착심, 아만심, 차별심, 편견, (대상을 인식하는) 경계, 사견, 自愛 등 번뇌 타파를 통해 지혜를 강조한다. The diamond Sutra is the main text of the Jogye Order in Korea though, it is also the main text of the Dhyana School in East Asia.In Korea, it was actually import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was recommended by National Seon Master, Bojo Jinul to recite as the sutra for the use of study to the beginners in the Koryo dynasty. The diamond Sutra is the sutra in the part of Prajna, a sutra in the early Mahayana. But there wasn``t the word of ‘Gong(Emptiness)’ which appeared once in the sutra, even though it was a representative sutra in part of Prajna. It isn``t that there wasn``t the ideology of Gong, but it was unfolded to the practical aspect with the ideologies, Musang(無相) and Muju(無住), Mua(無我) and Jukbinonri, ‘That is, the none-reasoning’ (卽非論理). The destination of all the sutras in the part of Prajna is the one. That is Musang(無相) shown in the dimond Sutra, this dharma was considered as the most superior in China, and then became the representative of Seon Ideology. The Muju ideology means that we do not cling to the practical aspect like Musang ahead. Muju ideology is that, if we have mercy to other people, and then we should not think of it. For the next, Mua ideology was emphasized with the mention that, if we enlighten the truth which has no real body of myself(自我) and know everything in all the laws, we can be said as the faithful Bodhisattvas who practice the Dharma law. The reason why the diamond sutra was used as a Seon Sutra beloved by Seon practitioners and to establish Seon is because of the Jukbinonri system, ‘that is, the none-reasoning.’(卽非論理), a specific expression way in this sutra. The Diamond Sutra is just arguing Musang and Muju, Jukbinonri as an individual ideology, and emphasizes wisdom through breaking down the agonies, (fixed) concept, the clinging mind, vanity, the mind to discriminate, bias, (to perceive subjects) the border, private opinion, and love etc.

      • KCI등재

        조계종 표준본, ⾦剛經에 나타난 신행체계

        신명희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faith and practice, as it ap- pears in the Diamond Sutra, has been organized and structured. The Diamond Sutra is a short scripture of the Zen sect of Buddhism (including the Jogye order). There have not been many theses written which includes Zen thought and the structure of faith and practice in the Diamond Sutra. As such, this manuscript is centered on that topic. “Diamond,” as the word has been used with respect to the Diamond sutra, means “supreme.” Just as a diamond is harder than all other materials and is thus capable of cutting through them, the prajna or wisdom of the sutra is similarly powerful, and able to cut through obsessions and reach nirvana. In this thesis, the structure of faith and practice in the Diamond Sutra is divided into four main parts. The first part concerns the bodhisattva as he converts the feeling of anguish into aspiration for Buddhahood. Here, sincere intention to attain spiritual awak- ening is important. In this way, with the intention to reach nirvana, the bodhisattva does not obsess over the liberating of others nor of giving alms. He em- bodies the practices related to non-abiding images and non-abiding mind. Furthermore, the intention to attain spiritual awakening is necessary and thus one must abide by the four boundless states of mind. Secondly, the bodhisattva must, through experience, learn of emptiness and no-self. Thirdly, the moral practices of the bodhisattva contains both awareness and merit. There is no mention of practice for the development of self, the bodhisattva practices for the benefit of all others so they may reach enlightenment. Of these bodhisattva practices, including the structure of faith, are the 6 paramitas and the five types of practices. Once these have been fulfilled the mueuibok (無爲福) should be pursued. Fourth, the bodhisattva makes the Pure Land majestic. The mind being made clear is the establishment of the Buddha-lands or the mind-only Pure Land. 이 논문은 『금강경』(鳩摩羅什 譯)에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어떻게 신행 체계가 구성되어 있고,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가를 규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금강경』이 선종(禪宗)의 소의경전이요, 우리나라 조계종의 종도들이 의지하는 경전임에도불구하고, 선사상이나 수행 · 신행과 관련된 논문이 많지 않다. 이에 본고는 『금강경』 에 나타난 신행 체계를 중심으로 논문이 작성되었다. 『금강경』의 경명(經名)인 ‘금강(⾦剛)’이란 무상(無上)을 의미한다. 금강(Diamond)이 어떤 금속성의 물건일지라도자를 수 있고,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듯이 반야(般若 = ⾦剛)는 모든 집착을끊고 피안(彼岸)에 이르는 강한 힘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논문에서 『금강경』의 신행체계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로 보살은 번뇌심 ➜ 보리심으로 전환하는데, 먼저 발심이 중요하다. 이렇게 발심해서 해탈을 추구하는데 있어 보살은 중생을제도했다거나 보시했다는 집착이 없는 무주상(無住相) · 무주심(無住⼼)이 수반되어야한다. 한편 발심(發⼼)이 매우 중요한데, 발심하는데 주사심(住四⼼)을 구족해야 한다. 두 번째로 대승의 보살은 반드시 공(空)과 무아(無我)를 체득해야 한다. 세 번째로보살의 수행덕목이 지복겸수(智福兼修)인데, 자리적(⾃利的) 수행은 말할 것도 없고, 타인이 무여열반에 들도록 보살행을 실천해야 한다. 이 보살행의 수행 · 신행 덕목이육도와 오종수행인데, 이를 실천하여 무위복(無爲福)을 추구해야 한다. 네 번째로 보살은 정토를 장엄하는데,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 불국토를 건설하는 것[唯⼼淨⼟]이다.

      • KCI등재

        백성욱 박사의 금강경 수행공동체 연구

        김희종 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민족사상 Vol.15 No.3

        This paper discusses the achievements of Baek Sung-wook, who took a special step in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history in Korea, and also the Diamond Sutra Reciting Community in Sosa Area where to Practice Your Mind, which he taught in his later years. Although his research had partially been introduced previously, this paper focuses on revealing the whole story with multiple data having been recently discovered. Whereas the Seonbuljang of Geumgang Mountain, the first and only Buddhist communities in modern times, Baek Sung-wook taught the public through the teaching of  the Avatamska Sutra, Sosa Area at more mature stage taught the public through the teaching of the Diamond Sutra. The completion of the way to cultivate the Mind through Diamond Sutra is estimated to be around 1962 in aligned with the period when Sosa Community was established.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amond Sutra Reciting Community at Sosa Area in terms of Buddha, Dharma(his teachings) and Sangha(the community of monks and lay Buddhists). Particularly interest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munities is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s at Sosa is different from that of Mt. Geumgang. This difference can be deduced from Sosa's voluntary atmosphere, unlike Mt. Geumgan's disciplined atmosphere of setting and following the strict rules and guidelines. The practitioners at Sosa were reborn as new Buddhist as they went through fundamental changes for a short period of time. As a result of their finding enlightenment, the practitioners lived their entire lives with admiration and teaching of their teacher in their hearts; thus, Diamond Sutra Reciting Community at Sosa Area where to practice your mind can be as a model for a true Buddhist community, which in turn can be considered very meaningful. 이 논문은 한국 근현대 불교사에서 특별한 행보를 걸은 백성욱 박사의 행적 중에서, 말년에 후학들에게 가르침을 편 소사도량 금강경 수행 공동체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그동안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수행자들의 개별적인 수행담으로 소개되었지만, 최근 많은 자료들이 발굴되어 전모를 밝혀보고자 시도해 본다. 백성욱 박사는 근대불교에서 최초이고 유일한 수행공동체인 금강산 선불장에서는 화엄경 가르침을 펼쳤고, 원숙한 경지에 이르렀던 소사도량에서는 금강경 가르침을 통한 바치는 법으로 대중들을 지도하였다. 바치는 법이 완성된 시기는 소사도량이 개설된 1962년 전후로 추정된다. 소사도량 금강경 수행공동체의 특징을 불(佛) 법(法) 승(僧)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우리 곁에 살아있는 부처님의 모습으로 남성 여성 차별 없이 가르침을 주었는데, 규칙과 지침을 세우고 철저히 지키려했던 금강산 선불장과는 달리, 소사도량에서는 정해진 계율 없이 모든 것이 저절로 자발적인 수행 분위기의 영향으로 수행자들의 외모가 금강산에서와는 다르게 제각각인 것이 흥미롭다. 이곳을 거친 수행자들은 짧은 기간 동안 근본적인 변화를 겪어 새 불자로 거듭 태어났기에, 평생을 스승에 대한 흠모와 가르침으로 살게 된 행적은, 진정한 불교수행공동체의 모델로 받아들일 수 있기에 매우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