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 연구 (1892~1950)

        김지하 ( Kim Jiha ) 동양미술사학회 2019 동양미술사학 Vol.9 No.-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은 보스턴미술관의 운영 및 소장품 수집과 관련된 컬렉터들과 큐레이터에 의해 변화를 겪어왔다. 보스턴미술관의 동양미술품 소장 및 연구는 일본과 중국이란 큰 축을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그 중 한국미술은 부수적인 부분으로 다뤄졌다. 본 논문은 동양컬렉션의 조성 과정 및 소장과 연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두 명의 큐레이터와 컬렉터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의 형성과 특징에 대해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보스턴미술관에 한국 미술품이 처음 소장된 1892년에서 1910년 사이 에드워드 실베스터모스(Edward Sylvester Morse, 1838~1925)의 한국 도자 컬렉션이 가장 주요하다. 일본도자기와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표본으로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시기의 다양한 한국도자기가 수집되었으며 특히 신라, 가야의 토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시기, 종류의 구분없이 하나의 캐비넷에 전시된 한국도자기는 민족학, 인류학과 유사한 맥락에서 연구되었다. 이어지는 1910년대와 1920년대에는 기존 동양미술 컬렉션에 부족한 일본 조각과 중국 미술품들을 보강하는 과정에서 회화, 공예 등 다양한 매체의 한국미술품이 함께 소장되었다. 그 중 특별 기금을 통해 수집된 고려청자는기형, 색감, 문양, 유약 등의 특징을 파악하는 등 청자 자체로서 전시, 연구되는 양상을 띠었다. 연구를 통해 과거부터 중국, 일본인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우수함과 고분 출토 도자기가 갖는 진품성이 고려청자를 한국미술의 대표격으로 자리잡게 하였다. 한편 고려청자는 중국 고대 역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동양미술의 보고로 발전한 일본미술까지의 시대적 변화를 담은 보스턴미술관 동양미술 전시에 한 부분으로 자리하였다. 전시구성과 함께 보스턴미술관의 동양미술 소장, 연구에 반영된 오카쿠라 카쿠조(岡倉天心, 1868~1913)의 영향은 동양미술 연구자와 컬렉터들로 이어졌다. 다음으로 도미타 코지로(富田幸次郎, 1890~1976)가 동양미술부를 이끌어 나가던 1930년 이후, 일본 미술상과의 관계 속에서 고려시대 금속공예품이 주로 소장, 연구되었다. 동서양을 오가며 주요 컬렉터 및 기관과의 관계를 형성해 온 야마나카 회사(Yamanaka Company)를 통해 수집된 금속공예품은 코지로에 의해 일본 연구자들의 발굴,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연구되며 한반도 내 일본 식민정책의 성과를 함께 담아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한국미술 컬렉션에 가장 큰 기여한 찰스 베인 호이트(Charles Bain Hoyt, 1889~1949)의 한국 컬렉션은 고려청자, 금속공예에 편중되어 전체 한국미술 컬렉션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조선시대 도자기가 청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수집되었으며 다양한 기형, 기법을 반영하고 있어 개인의 취향도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MFA), opened in 1876, have a extensive history and collections. The museum’s collection of Asian art especially is one of the finest in the United States and over 100,000 works are included about 1,045 Korean art works and related materials. In this dissertation aims to consider how the Korean art collection had been acquired and studied during the period from 1892 through 1950. Morse’s collection of Korean ceramics is the most important between 1892 and 1910. Various types of Korean ceram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modern times were collected as a sample to show their relationship with Japanese ceramics, especially pottery from Silla and Gaya. The collection displayed in one cabinet, regardless of tim and type, were studied in a similar context to ethnology and anthropology. Korean art was collect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scarce Chinese and Japanese art from the Oriental art department. A variety of Korean artworks have been collected while reinforcing scarce Chinese and Japanese art from the Department of Chinese and Japanese Art. Among the collection, Goryeo celadon collected through a special fund and displayed in exhibition from ancient China to modern Japanese art. Through the research, the outstanding quality and authenticity of Goryeo celadon, which was highly appreciated by the Chinese and Japanese people, made Goryeo celadon as a representative of Korean art. Goryeo celadon has become a part of the Eastern art exhibition, which has developed from ancient China art to modern Japan art. Okakura Kakuzo’s influence on the exhibition and research of Eastern art at the Boston Museum of Art continued with later researchers. After 1930, metal crafts of Goryeo Dynasty were mostly housed and studied by Tomita Kojiro who led the Department of Eastern Art. He used Japanese researchers' achievements in studying metal crafts of Goryeo Dynasty and reflected the outcome of Japan’s colonial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Hoyt's Korean art collection, which is the biggest contributor to the collection of Korean art, is concentrated on Goryeo celadon and metal crafts, and has a similar composition to the entire collection of Korean art. Hoyt’s Korean collection, the largest portion of the Korean art collection, is concentrated on Goryeo celadon and metal crafts like entire collection of Korean art in MFA. On the other hand, the pottery of Joseon Dynasty were possessed in the similar amount Goryeo celadon. Also, the ceramics with various shapes and techniques were reflected tastes of the collector.

      • 프롤레타리아 미술운동(美術運動)에 있어서 운술대중화(芸術大衆化) 논쟁(論爭)

        키다에미코 ( Kida Emico ) 동양미술사학회 2013 동양미술사학 Vol.2 No.-

        알려진 바와 같이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에서 말하는 예술이란 미술이나 음악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주로 문학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은 문학이 중심이 된 운동으로, 다른 분야의 예술활동은 부수적인 존재로 인식 되었다. 운동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 것도 문인들이었다. 프롤레타리아 미술운동에 대해서 문학과 문인들이 미친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정도로 컸다고 볼 수 있음에도 기존 연구에서는 문학과 미술 간의 관계에 관한 고찰이 부족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에서 문학과 미술이 어떤 관계였는가를 이른바 예술대중화논쟁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예술대중화논쟁이란, 프로레타리아 문화운동에서 문학은 대중들에게 직접 작용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의 주장에 대해서 쿠라하라 코레히토(藏原惟人)가 운동의 대상을 예술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지식인층과 계몽이 필요하는 대중의 두 계층으로 나누어서 활동해야 한다고 반론하는 데에 시작된 논쟁이다. 예술대중화논쟁은 멀리 조선에도 전파되는 등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일본 국내에서는 문학논쟁에 그치지 않고 미술논쟁으로도 발전해 나갔다. 1928년 2월에 발표된 나카노 시게하루의 글 회화에 관한 긴급한 하나의 문제 (繪畵に關する緊急なる壹問題) 는 이른바미술분야의 예술대중화론이며 이 논쟁에서는 쿠라하라보다오카모토 토키(岡本唐貴)가 중심적인 논객이었다. 여기서 나키노가 주장한 것은 회화는 선동(煽動)을 위해 쓰여져야 하고 노동자들 속으로 깊이 들어가서 노동자의 모습을 화폭에 담아야 한다는 것이었으며, 그에 대해 오카모토는 화면에 무엇이 그려져 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작품에 어떤 정신성이 내포되어 있는가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카모토는 프롤레타리아 미술운동에서도 미술의 자율성이 확보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지만 그것은 아이러니하게도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이 부정해온 부르주아적인 사고방식이기도 하였다. 예술대중화논쟁이 쿠라하라 측의 승리로 끝나면서 미술분야에 있어서도 오카모토의 주장이 힘을 가지게 되고, 원래 낫프(NAPF)에서 활동해온 화가들이 모색 중이었던 마르크스주의 미술이론을 몰아냈고 프랑스 중심의 미술이론에 좌익사상을 접목함으로서 새로운 방법론을 등장시켰다. 이로써 서양중심적인 미술개념을 극복하자는 프롤레타리아 미술운동의 맹아적인 시도가 말살되었을 뿐더러 이론 면에서도 모순이 내포된 채 활동이 진행되었다. 또한, 오카모토의 승리로 대정기(大正期) 신흥미술운동의 핵심단체였던 조형(造型)이 새로운 활동장소를 찾아서 프롤레타리아 진영에 합류했는데 그 길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 학계의 미술사 연구를 중심으로-

        김진순 ( Kim Jinsoon ) 동양미술사학회 2019 동양미술사학 Vol.9 No.-

        고구려 벽화고분은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지속적인 발굴 조사와 학술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역사, 고고, 복식, 문화사, 미술사 등의 방면에서 적지 않은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고구려 고분벽화가 처음 발견된 1907년부터 1980년대까지 벽화고분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일제강점기 발굴을 처음 시작한 일본과 벽화고분이 위치한 북한과 중국에 의해 주도됐다. 한국 학계는 정치 이념과 지리적 문제로 인해 원천자료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했고, 척박한 연구 환경으로 인해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가 활성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일본을 통해 북한과 중국의 벽화관련 출판물들이 다량 유입되면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들이 서서히 갖춰지기 시작했다. 특히 1990년대 초반 중국이 문호를 개방하고 2000년대 초에 남북 간의 화해무드로 인해 학술교류가 활성화되면서 벽화에 대한 실견과 원천자료에 대한 접근이 한 층 수월해졌으며 미술사 연구를 위한 토대도 전보다 탄탄해져 갔다. 1990년대 이전까지 미술사 분야의 연구는 벽화고분이 갖는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학계의 주목을 받기 어려웠으나, 이후 전문 연구자들이 배출되고 미술사의 양식론에 입각한 거시적, 미시적 관점의 다양한 논문들이 생산되었다. 게다가 회화이외에 공예나 불교조각를 전공하는 미술사학자들도 고구려 벽화 연구에 동참하여 전공 연구자가 아니면 다룰 수 없는 세부적인 주제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고구려 고분벽화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는데 기여했다. 100여년에 걸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는 그동안 다양한 주제에서 적지 않은 성과물들을 생산해냈지만 전공인력의 부족과 벽화 원천자료의 불완전한 공개 같은 문제들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무엇보다도 아직까지 많은 고분의 벽화 자료가 제대로 정리, 발표되지 않아 벽화연구의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남북교류를 통한 원천자료의 정리와 출판이 시급하며 벽화를 전공하는 미술사 방면 연구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배출되어 다양한 방면에 걸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양식론에 입각한 연구결과물들이 보다 많이 쌓여 고구려 벽화고분의 편년을 해결하는 데 유용한 기준안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Many books and papers on Koguryo mural paintings have been published for more than 100 years in each academic field, including history, archeology, costumes, cultural history and art history etc through archaeological survey and academic researches. From 1907, when the tomb murals of the Koguryo tomb were first discovered, to the 1980s, the excavations and researches on tomb mural paintings were led by Japan which began to excavate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n North Korea and China, both of which possessed mural paintings. Due to political ideology and geographical problems,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was unable to access the source data and publications on the tomb murals of Koguryeo. Therefore the research of Koguryo mural painting had been not activated due to the harsh research environment like that. However, by the middle of the 1980s, a large amount of mural-related publications from North Korea and China had been introduced through Japan, and basic data for research began to be gradually introduced. In particular, as China opened its doors in the early 1990s, academic exchanges became active, and the reconciliation moods of the two Koreas in the early 2000s made access to sources of murals become easier. As a result the foundation for research in art history became more solid. Until the 1990s, research on the field of art history was difficult to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due to various constraints of mural tombs. However, after that, a variety of papers wit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erspectives based on the style of art history were produced. In addition, art historians majoring in crafts and Buddhist sculptures contribu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Goguryeo tomb murals in more various ways by analyzing the details. Over 100 years of research on tomb murals in Koguryo have produced a number of noteworthy achievements, but the problems such as lack of major researchers and incomplete disclosure of mural paintings remain unresolved. It is urgent to organize and publish the source data through inter-Korean exchange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art history who major in murals are actively discharged and active research is needed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a standard that can be used to solve the chronology of Kokuryo mural tombs by accumulating more researches based on the Iconography.

      • KCI등재후보

        성실한 업무수행과 신뢰 사이: 미국과 한국에서의 미술품 감정평가 양상 비교

        박효은 ( Park Hyoeun ) 동양미술사학회 2020 동양미술사학 Vol.10 No.-

        최근 한국에서 미술품 시가감정은 미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자 감정학의 일환으로 부상해 있다. 그런데 수량화시킨 미술품의 경제적 가치 분석을 시장에 기반해 제시하는 그 접근법은 진위분별과 미적이고 질적인 특징의 분석에 매진해온 감정학의 일반 개념과 큰 차이가 있다. 감정평가단체가 많고 미술품 전담 감정평가사가 전문적으로 활동하면서 관련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기관이 있는 미국의 경우는 그 업무의 전체 과정에 접근하기가 용이하다. 본고는 미국에서의 미술품 감정평가 업무수행의 전체적인 면모를 소개한 뒤 한국의 현황과 비교해 시가감정을 자산평가 분야의 일환으로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미국의 미술품 감정평가 과정은 사용자의 필요와 용도에 합당한 가치평가 유형의 결정, 평가대상의 상태와 적합한 시장에 대한 분석, 최종가치진술로서의 가치평가액 도출 등의 전체과정이 최종가액 판단을 위한 근거자료와 더불어 문서화되어 전문가적인 의견 피력의 무대가 확보되어 있다. 그 업무수행과 산출결과에 대한 신뢰의 배경에 USPAP이 있고, 윤리성을 강조한 그 규정에 입각해 작성된 감정평가서는 성실한 업무수행의 전과정을 그대로 드러낸다. 이를 고찰하면, 상황에 따라 변하기 마련인 미술품 가격 자체에만 집착하며 진위감정과 시가감정의 개념과 범주를 혼동해온 한국의 현실을 깨닫게 된다. 더불어 사용자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성실하고 정확하고 윤리적으로 합당하게 수행된 전문가의 작업이 신뢰받는 자산평가로 귀결되어지도록 시가감정의 개념과 작업방식을 재정비해 미술품 자산가치 평가방식을 확립할 필요가 있음을 느끼게 된다. 진위감정과 별도로 미술품의 자산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해줄 시가감정 영역의 정비와 방법론 계발이 요청되는 것이다. Recently, appraisal for fine and decorative arts has been emerging in South Korea as both a method to activate the art market and as a part of connoisseurship. However, this approach, which focuses on market-based economic value analysis by quantifying the value of artworks, greatly differs from the general concept of verifying authenticity and aesthetic, art historical analysis. In the United State, there exist many art appraisal associations, professional art appraiser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that facilitate the entirety of the art appraisal process. This paper will describe in detail the appraisal process of the United States, then compare this process with aspects of art appraisal in South Korea to understand appraisal as an aspect of asset valuation. The overall appraisal process in the United States combines a fair determination of value based on user need and purpose, art condition and analysis of its appropriate market, and deduced final value statements with base documentation to derive the final price of a work of art, thus setting the stage for a documented and professional expression of opinion. In the background, the Uniform Standards of Professional Appraisal Practice (USPAP) ensures due diligence and ethics of appraisals, as well as trust in appraisal reports that adhere to its standards. In contrast, South Korean recent discourses about appraisals and authentications tend to focus solely on the circumstantial prices of artwork, causing them to become highly volatile. Thus, in order to address consumer needs, South Korea’s concept and methodology of appraisal must be revised, and art valuation standards established, such that diligent, accurate, and ethical appraisal by experts and trust in the appraisal process can come to fruition. Consequentially, this paper calls for revision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South Korea’s fine and decorative art appraisal process separate from that of ensuring art authenticity.

      • 전륜성왕 아쇼카왕과 불교설화미술

        유근자 ( Yoo Geun-ja ) 동양미술사학회 2019 동양미술사학 Vol.9 No.-

        이 논문은 전륜성왕 아쇼카와 관련된 에피소드 가운데 불탑 건립과 흙을 보시한 설화 미술이 고대 인도 미술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인도 최초의 통일국가인 마우리아 제국의 아쇼카왕은 불교를 세계적인 종교로 전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중인도에 머물러 있던 불교를 스리랑카를 비롯한 남인도와 북인도, 또는 로마에까지 전파한 것이다. 전륜성왕으로 일컬어지는 아소카왕은 불교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예배대상인 불상 및 불탑과 관련이 깊다. 고대 인도의 대표적인 불교미술은 석가여래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인데 塔門과 欄楯에는 주로 석가여래의 일대기와 전생담이 새겨져 있다. 이와 함께 아쇼카왕의 성지순례, 8만4천탑 건립에 관한 설화, 전생에 석가여래에게 흙을 보시한 에피소드가 표현되어 있어 주목된다. 고대 인도 미술에서 석가여래와 아쇼카왕에 관한 설화미술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쇼카왕과 관련된 불교미술 가운데 첫째, 석가여래의 사리를 봉안한 근본8탑 가운데 용왕이 지키고 있다는 Ramagrama 탑의 에피소드와 관련된 미술에 대해서, 둘째 ‘阿育王施土’로 알려진 아쇼카왕의 前生과 관련된 설화 미술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이야기들은 佛滅 후 100년 후에 아쇼카왕이 등장해 8만4천기의 탑을 세운다는 석가여래의 예언과 관련이 있어서 주목된다. King Asoka of Maurya Empire, India’s first unified stat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Buddhism to a worldwide religion. He spread Buddhism, which had stayed in central India, to Sri Lanka, to South and North India, or even to Rome. Ashoka, who is referred to as Chakravatin Ashoka, is deeply connected with the most important objects of worship in Buddhist beliefs, the Buddha statues and Buddhist Stupas. The representative Buddhist art of ancient India is the Stupa that enshrines the Buddha's sarira. The Toranas (塔門; freestanding gate in front of the stupa) and the Vedika (欄楯; protective fence that surrounds a stupa) of ancient Indian Stupa are mainly engraved with the biography and past life stories of the Shakyamuni Buddha,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episodes of King Ashoka’s Buddhist pilgrimage to the Holy Lan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84,000 stupas are often expressed. We can see that the narrative arts of Shakyamuni Buddha and King Ashoka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of early Indian arts. In this study, Buddhist narrative arts related to King Ashoka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following episodes:First, “King Ashoka and Stupa Ramagrama” relating about Ramagrama stupa, one of eight original stupas remains only intact and containing relics of Shakyamuni Buddha. Second, “Offering of a Handful of Dust” relating a former life of King Ashoka. It is noteworthy that these stories are related to the Shakyamuni Buddha’s prophecy that King Ashoka will appear 100 years after the death of Buddha and will build 84,000 stupas.

      • KCI등재

        아시아 5개국 재외 한인 미술의 정체성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산을 넘어≫전 사례를 중심으로-

        박본수 ( Park¸ Bon-soo ) 동양미술사학회 2022 동양미술사학 Vol.14 No.-

        재외(在外) 한인(韓人) 즉, ‘코리안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는 한민족(韓民族)의 혈통을 이어받은 사람들이 모국을 떠나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한민족 ‘이산(離散)’을 의미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미술의 가장 핵심적 개념은 ‘타의(他意)에 의한 이주’라고 할 수 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작가들의 작품을 그들이 지닌 민족적 정체성 측면에서 분류하고 분석해보면 ‘①기억(記憶), 이산의 역사 ②근원(根源), 뿌리와 정체성 ③정착(定着), 또 하나의 고향 ④연결(連結), 이산과 분단을 넘어’라는 네 개의 키워드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기억(記憶), 이산(離散)의 역사’는 아시아의 재외 한인 이산의 역사에 대한 집단적이고도 개인적인 기억과 서사를 다룬 작품들로 나타난다. 자발적이 아닌 타의(他意)에 의한 이주, 원치 않고 준비되지 않은 이산(離散)의 아프고 고통스러운 기억(記憶)이 코리안 디아스포라 미술의 첫 번째 정수(精髓)이다. 두 번째, ‘근원(根源), 뿌리와 정체성’은 해외 한인 동포들이 겪고 있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재외한인 동포는 민족적으로는 한민족에 속하지만 국가적으로는 다른 나라의 국적을 갖고 있다. 재일동포의 경우에는 일본으로의 귀화를 종용 당하거나 한국 국적을 취득하기도 하지만, 이도저도 아닌 ‘조선적’이라는 무국적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이들도 있다. 혈통에 따른 국적과 거주지에 따른 국적의 불일치라는 이중적 상황과 현지에서 소수자로서 살면서 당하는 차별과 부조리함은 슬프고 서러운 상황일 수밖에 없다. 한반도를 떠나 이주를 시작한 증조부모나 조부모의 모습에서부터 부모와 가족을 그린 그림들, 자신의 자화상, 그리고 백두산과 제주도 같은 혈통적 조국 산하의 풍경, 탈춤이나 돌잡이, 제사와 같은 풍물과 전통적 관습 등을 그린 여러 동포 작가의 작품에서는 한민족으로서의 혈통적·문화적 정체성을 느끼게 된다. 세 번째, ‘정착(定着), 또 하나의 고향’은 아시아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작가들이 조국을 떠나 언어와 문화가 다른 세상에 정착하고 적응하면서 만나게 되는 시각적 대상을 그린 작품들을 보여준다. 또 다른 고향인 현지의 자연 풍경과 도시의 모습, 인물과 풍속, 역사와 종교 등은 그들 작품의 주제가 된다. 혈통적 조국이 아닌 거주국의 국민으로서 갖게 되는 국가·국토·현재에 대한 애정이 여러 작가의 작품에서 간취된다. 모든 예술은 풍토성을 띠는 것이 당연하므로 거주국의 관습과 문화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거주국 미술계의 역사와 현대미술의 상황을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반영한다. 네 번째, ‘연결(連結), 이산과 분단을 넘어’는 동포 작가들이 한민족으로서의 민족의식과 한반도의 문화적·정치적 현상에 대한 관심을 투영하여 그려낸 작품들이다. 세계에서 몇 안되는 민족 분단 국가인 한반도에 사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재외 한인 작가들에게도 남과 북의 대치 상황은 관심사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남한과 북한이 마주하는 대화의 자리가 자주 열려, 분단을 극복하고 항구적인 평화체제가 확립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은 그림들이 꽤 많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작가의 미술이 이산과 분단을 뛰어넘고 한민족을 위한 축복과 번영의 매개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The “Korean diaspora” refers to the “dispersion“ of the Korean people or people of Korean descent throughout the world after leaving their homeland. The exhibition consists of the four sections featuring subtitles comprised of these keywords : Memory―History of Dispersion, Origin―Roots and Identity, Settlement―Another Home, and Connection―Beyond Dispersion and Division. First, Memory―History of Dispersion features works that address both collective and individual memories and narratives pertaining to Korean dispersion to other Asian countries and its corresponding history. The first essence of Korean diaspora art is the immigration of Koreans, not by their own spontaneous accord but against their own will, and the affliction of unwanted, unprepared dispersion. Second, Origin―Roots and Identity concerns the identity of overseas Korean compatriot artists. Most Korean compatriots are full Korean but some have different nationalities. Korean people in Japan are often coaxed into becoming naturalized Japanese whereas some have acquired their Korean nationality and others simply remain in a stateless state. They cannot help but be in a plentiful yet sorrowful situation while living under contradictory circumstances in which their nationality afforded to them by their bloodline is incongruous with their nationality given to them by their place of residence, undergoing discrimination and absurdity as part of an ethnic minority. We can get a sense of the artist’s bloodline and cultural identity as a member of the Korean race in the works of many compatriot artists that feature great-great-grandparents, great-grandparents,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their own self-portraits; and works featuring their homeland’s natural scenery in Baekdu Mountain and Jeju Island as well as traditional customs and objects such as mask dances, ancestral rites, and doljabi (a tradition carried out on a baby’s first birthday in which the baby is placed in front of various objects and encouraged to grab one or two). Third, Settlement―Another Home displays works in which Korean compatriot artists living in Asian nations portray the visual objects they encounter while adapting themselves to the world with languages and cul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ir motherland. The subject matter of their work comes from natural scenery, urban scenes, figures, and customs as well as the history and religion of the nations where they reside. Their affection for the territory and culture of these places can be sensed in many of their works. Just as every genre of art is naturally marked by an endemic property, their works have been inevitably influenced by the mores and cultures of the countries they inhabit. In addition, their art can be said to directly and indirectly reflect the history and situation of the art scenes in said countries. Fourth, Connection―Beyond Dispersion and Division features works in which overseas Korean compatriot artists reflect their national consciousness and concerns using cultural and political phenomena in the Korean Peninsula. Just like us who live in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one of their concerns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As a result, quite a number of paintings feature their wish for the two nations to overcome division and establish a system of permanent peace through talks held by both sides. Korean diaspora artists who have gone through dispersion against their will and lived as minorities have produced works fraught with ordeals and afflictions as well as artistic spirits and abundant narratives while overcoming such difficulties. I expect that their art will play a role as a vehicle for Korean people’s blessing and prosperity and do away with dispersion and division.

      • KCI등재

        불교미술 전시의 대중화 방안 연구-영월 창령사 터 나한상 전시를 중심으로-

        최선주 동양미술사학회 2023 동양미술사학 Vol.16 No.-

        This paper compiled information on the Buddhist hart exhibitions hosted by national museums and Buddhist museums, analyzed the “Five Hundred Arhats of Changnyeongsa Temple Site Exhibition” as a successful case of popularizing Buddhist art, and presented methods of popularizing Buddhist art exhibitions based on the analysi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able to hold more in-depth Buddhist art exhibitions after the space for special exhibitions was secured, and the capacity of curators was enhanced in the 1990s. An operating system for special exhibitions was established soon after the museum relocated and reopened in Yongsan in 2005, which led to the hosting of Buddhist art exhibitions that showcased the curatorial research capacity and international status of the National Museum. More recently, exhibitions that broke away from existing formats garnered the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Buddhist art exhibitions in Buddhist museums are mainly hosted by the Seongbo Museums in temples and the Central Buddhist Museum. The exhibitions emphasize the religious status, the accomplishments of revered monks, as well as the history and traditions of the temples. The “Five Hundred Arhats of Changnyeongsa Temple Site Exhibition” recreated the arhat statues with profound religious significance as installation works, allowing the viewers to immerse themselves in Buddhist art and enter spiritual contemplation. Various programs related to the exhibition, as well as the promotional campaign via social network services, contributed to the exhibition’s popularit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methods to popularize Buddhist art exhibition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Arhats Exhibition. First, the exhibition themes should be expanded. Second, more changes should be attempted in the programming of the exhibitions. Third, new digital media should be used. Fourth, art brochures should be diversified. Fifth,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the exhibitions should be developed and managed. Sixth, various exhibitions-related events should be planned. Seventh, characte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 nature of Buddhist art content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이 글에서는 국립박물관과 불교박물관들이 개최한 불교미술 전시현황을 정리하고, 대중화에 성공했던 전시 사례로서 ‘창령사 터 나한상 전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불교미술 전시의 대중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불교미술 전시는 1990년대 기획전시의 공간이 확보되고 큐레이터들의 역량이 성장한 이후 학술적으로 깊이 있는 불교미술 전시를 개최할 수 있었다. 2005년 용산 이전ㆍ개관을 기점으로 특별전시 운영시스템을 구축하여 국립박물관의 학예 연구 역량과 국제적인 위상을 드러내는 불교미술 전시들이 개최되었으며 최근에는 기존 전시 형식을 탈피하는 기획을 통해 일반인들의 관심을 모았다. 한편, 불교박물관의 불교미술 전시는 사찰의 성보박물관과 불교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교적 위상과 고승 대덕의 업적, 그리고 사찰의 역사와 전통을 강조하고 있다. ‘창령사 터 나한상 전시’는 심오한 종교적 의미를 지닌 나한상을 설치 작품으로 재탄생시켜 관람객이 불교미술에 빠져들고 사색에 잠길 수 있게 하였다. 다양한 전시연계 프로그램의 운영과 SNS를 통한 홍보 역시 전시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나한상 전시 분석을 바탕으로 불교미술 전시의 대중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전시 주제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시연출의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 셋째, 새로운 디지털 매체를 활용해야 한다. 넷째, 도록을 다양화해야 한다. 다섯째,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전시행사를 기획해야 한다. 일곱째, 불교미술의 콘텐츠가 지닌 개성과 역사성을 반영한 ‘캐릭터’를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 정토 판화의 세계-고판화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선학 동양미술사학회 2023 동양미술사학 Vol.16 No.-

        Woodblock printing, which began in China, was initially character-oriented as a way to convey the Buddha's words, but emerged as a powerful means of missionary work as prints were combined with illustrations in the letters. The illustrations in the book were collected in a single print and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Buddhist painting, and they expressed the world of paradise in a mandala form, inducing Buddhists to do good away from evil and wish to be born in the world of heaven. Jeongto-related collections in Korea, China, Japan, Tibet, and Vietnam, which are owned by the Korean Antiquities Museum, can be classified into woodblocks, traditional woodblocks, Buddhist paintings, and folk prints. Amitabha Sutra, which developed the appearance of Jeongto(Pure Land) in the form of illustrations in books, Gwanmuryangsu gyeong(Sutra of the Meditation on the Buddha of Immeasurable Life), and Muryangsu gyeong(Sutra of Immeasurable Life) were reprinted and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and in Japan, Jeongto Sambu Sutra(Three principal texts of the pure land tradition) was developed in its own form as a Mandara-style Buddhist painting. In Japan, where Jeongto Buddhism was developed, various Jeongto Buddhist prints were distributed as a tool for worship and edification as an etoki to explain doctrines through paintings, and in China, it has been used in various forms of jijeon(paper money) and talisman used in rituals to preach ancestors. Through this, we need to find a way to use ancient prints as a new means of Buddhist missionary work, and furthermore, we need to realize that collecting and utilizing ancient prints from East Asian countries can be a major mean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depth. Furthermore, for the study of Buddhist painting, it is necessary to open a new horizon for Buddhist society compan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hand-drawn Buddhist paintings in East Asia with those taken with prints. 중국에서 시작된 목판 인쇄술은 부처님 말씀을 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처음에는 글자 위주였으나, 글자 속에 삽화로 판화가 결합되면서 강력한 포교의 수단으로 등장하였다. 책속의 삽화를 한 장의 판화에 모아 불화 형태로 제작되어 보급되기도 하였으며, 삽화 형태를 벗어나 한 장의 만다라 형태로 극락의 세계를 표현하여, 불자들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지옥에 떨어지지 않기 위해 악을 멀리하여 선을 행하여, 고해의 바다인 사바세계를 벗어나 극락세계에 태어나길 염원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도 하였다. 한국 고판화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 티벳, 베트남 등의 ‘정토’ 관련 소장품은 목판(木板)과 전적(典籍)과 불화판화(佛畵版畵), 민속판화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나라에서는 책속의 삽화와 불화, 명절이나 조상을 천도하는 제사 등에 사용된 지전(紙錢)이나 부적 등으로 다양하게 발전되어 사용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 시작된 정토의 모습을 책 속의 삽화 형태로 발전시킨 정토삼부경인 아미타경(阿彌陀經)이나,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무량수경(無量壽經) 등이 한국, 일본 등에서 복각復刻되어 발간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정토삼부경이 만다라 형식의 불화 판화로 독자적인 형태로도 발전되었음도 알 수 있다. 정토 불교가 발전되었던 일본에서는 그림으로 교리를 설명하는 에토키(etoki)로 다양한 정토 불화 판화가 보급되어 예배와 교화의 도구로서 사용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조상을 천도하는 의식에 사용된 지전이나 부적의 형태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음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불교 포교의 새로운 수단으로 고판화를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동아시아인들의 생사관(生死觀)을 고판화를 통해 더욱 쉽게 이해 할 수 있어 동양 문화를 더욱 심층적으로 연구 발전시키는 데 동아시아 각국의 고판화의 수집과 활용이 주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서는 불교 회화의 연구를 위해 동아시아의 손으로 그린 불화와 판화로 찍은 불화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불교회회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비반복적 본색과 예술적 필치 -1970년대 북한의 조선화 형식론-

        홍지석 ( Hong¸ Ji-suk ) 동양미술사학회 2022 동양미술사학 Vol.14 No.-

        1970년대 북한 조선화 형식론의 주요 특징으로는 기법과 수법의 상위개념으로서 ‘화법’ 개념의 정립, 색채의 주관적 인식(일반성)과 객관적 지각(개별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제색(본색)’ 개념의 부상, 예술적 형상화의 높이에 올라선 ‘예술적 필치’ 개념에 대한 강조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1970년대 북한 조선화 형식론은 대립하는 것들의 중재, 또는 갈등의 봉합을 추구했다. 그들은 ‘화법’, ‘제색(본색)’, ‘예술적 필치’ 등을 내세워 선과 색, 본색과 반사색, 몰골법과 구륵법 등 대립으로 이끌어지기 쉬운 것들을 담론 체계 안에 효율적으로 통합하고자 했다. 그들은 이것이 조선화의 개조발전과 현대화의 길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이렇듯 조율과 중재, 봉합과 화해를 지향하는 개념들은 차이들, 곧 서로 다른 입장들이 경쟁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담론장의 역동성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1970년대에 구축된 조선화 형식체계는 이후 큰 변화 없이 유지되면서 조선화 창작과 수용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화법’, ‘제색’, ‘필치’ 등의 개념들은 모두 조선화를 제작하는 예술가들의 능동적 관여를 강조했지만 그 관여는 언제나 지배체제의 이념이 정해준 길을 따라야 했다. 그런 의미에서 1970년대 조선화 형식론은 궁극적으로 형식 문제를 이념 문제에 종속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됐다고 말할 수 있다.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 that we can find in the discourse of North Korean art on the form of Joseon painting in the 1970’s. The first is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ways of painting’ as a higher concept of technique and method, the second is the rise of the concept of "true color"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subjective cognition(generality) and objective perception(individuality), and the third is the emphasis on the concept of "artistic strokes" bringing artistic life to the lines. In the 1970’s, Art critics on the form of Joseon painting sought to mediate or suture the crack between conflicting things. They tried to efficiently integrate things that are likely to lead to confrontation, such as line and color, conceptual color and sensible color into the discourse system by putting forward "ways of painting," "true color," and "artistic strokes" They believed that this was the path to renovation and modernization of Joseon painting. However, these concepts aimed at mediation, suture, and reconciliation resulted in weakening the dynamics of the discourse field seeking new alternatives as differences, that is, different positions competed. The Joseon painting format system established in the 1970’s has since been maintained without significant change, exerting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creation and reception of Joseon painting. Concepts such as "ways of painting," "true color," and "artistic strokes" all emphasized the active involvement of artists who create Joseon paintings, but their involvement always had to follow the path set by the ideology of the governing system.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y on the form of Joseon painting in the 1970's ultimately proceeded in the direction of subordinating formal issues to ideological issues.

      • KCI등재

        박수근과 외국인 소장가의 조우 -냉전 문화의 한 양상-

        정무정 ( Chung¸ Moo-jeong ) 동양미술사학회 2022 동양미술사학 Vol.14 No.-

        박수근의 작품은 1950-60년대 많은 외국 소장가들의 관심의 대상이었다. 박수근의 작품이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게 된 데에는 그의 후원자를 자처한 마가렛 밀러, 미대사관 문정관의 부인 마리아 크리스틴 헨더슨(Maria-Christine Henderson, 1923~2007), 그리고 미국 무역상사 주재원의 부인 실리아 지머맨(Celia Zimmerman)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알려진다. 이 글에서는 외국인 소장가들의 작품 소장 배경을 추적해보고, 그들과 박수근을 이어준 반도화랑이라는 공간의 성격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반도화랑에서 마가렛 밀러와 실리아 지머맨 그리고 마리아 헨더슨의 주도로 이루어진 모임과 행사는 단순히 문화에 관심을 가진 동호인들의 친목 성격만 지닌 것은 아니었다. 당사자들은 인지하지 못했을 수도 있겠지만, 외견상 순수한 문화공간인 반도화랑 이면에서는 문화 냉전의 풍경이 펼쳐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공간에서 박수근의 작품이 외국인들의 눈을 사로잡았다는 것은, 그것이 외국 소장가들에게 동서의 문화적 차이를 넘어선 보편적 인간의 정서를 건드리는 미적 요소를 갖고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반도화랑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박수근의 작품에 등장하는 평범한 인물들에서 박수근 개인이나 전후 한국인의 초상 또는 한국적 전통 이상의 것을 보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런 점에서 외국인 소장가들이 박수근의 작품에서 2차대전 종전 이후 확산하여가던 문화 냉전에 처한 인류의 초상을 보지 않았을까 상상해본다. Park Soo Keun’s works were popular among international visitors to Korea during the 1950s-60s. It is well known that three American women, that is, Margaret Miller, Maria-Christine Henderson, and Celia Zimmerman, played a key role in introducing his works to an international audi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international collectors bought Park’s works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Bando Art Gallery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Asia Foundation. Bando Art Gallery was a key hub within the wide human network that the Asia Foundation had established in Korea. Maria-Christine Henderson was the wife of the Cultural Attaché of the US embassy in Korea; Celia Zimmerman was the wife of the representative of Cornell Brothers Co. which was a subsidiary of Wilbur-Ellis Company which was chaired by Brayton Wilbur Sr. who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Asia Foundation from 1954 to 1963; and Margaret Miller was the wife of a film expert at the Asia Foundation. Thus, the events organized at Bando Art Gallery by them were not simply friendly gatherings for dilettantes but the result of the Cold War ideology. The fact that Park’s works caught the eyes of foreign collectors in that gallery would seem to suggest that they triggered a universal sensitivity of human beings. Thus, I imagine that foreign collectors might have seen the ordinary people in Park’s works not merely as portraits of Koreans but as those of humans suffering from the cultural Cold War that just diffused globally after WWI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