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예측변인 연구 -교사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주옥,이주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예측 변인들을 찾아내고자 함에 있으며, 이에 관련한 변인들로 교사의 특성--1)교사의 경력; 2)학력; 3)교사 자격증의 종류; 그리고, 4)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신념--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에 종사하는 7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총 40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에 5점 평정척도로 답을 하도록 구성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교사들은 또한 교사의 경력과 학력, 보유한 자격증 종류를 질문지에 명시하도록 요청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인들로는 교사의 학력과 자격증 등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경력과 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신념은 유의하지 않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determine what teacher characteristics predict teacher use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71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ing in Seoul and Kyounggido were surveyed via questionnaire in 2002. The characteristics listed on the questionnaire are: number of years taught, educational degrees, teacher licenses and beliefs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The questionnaire is an adaptation of statements from the Early Childhood Rating Scale and the Primary Teacher Questionnaire. The adapted questionnaire consists of 40 statements to which respondents applied the 5-Likert Scale. A multiple-regres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significant predictors of teachers' use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Results reveal that teacher licenses and teacher educational degre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The number of years in teaching and belief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however, did not appear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teacher use of develo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 KCI등재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신념 및 교수실제

        김정원(Kim Jung Won),성선화(Sung Seon Hwa) 한국육아지원학회 2006 육아지원연구 Vol.1 No.2

        현재 우리사회에서는 학문적 성취와 기술훈련에 관한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유아 및 아동의 어린이다운 삶이 심각할 정도로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현황에 비추어볼 때 유아 및 아동이 어린이다운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써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관한 새로운 관심이 제기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 및 아동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관한 신념 및 교수 실제가 어떠한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공사립유치원의 만 4, 5세 반 교사 141명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 170명 등 모두 311명이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했으며 빈도와 백분율,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관한 신념 및 교수 실제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교사는 초등학교 1학년 교사보다 교육과정목표, 평가, 교수전략, 동기화, 언어발달과 문해활동 등과 관련하여 보다 발달적으로 적합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교수전략,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지도, 언어발달과 문해활동, 인지발달 등과 관련해서도 보다 발달적으로 적합한 교수 실제를 수행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라 유아교육 및 초등교육, 그리고 교사교육 관련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1 kindergarten teachers and 170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beliefs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 lot more than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 teachers and taught a lot more appropriately regard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their classrooms. Discus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explore the ways to improv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also decrease the differences of their beliefs and practices about DAP. Second, it is needed to provide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lower beliefs and practices level of DAP than kindergarten teachers. Third, it is needed to provide appropriate pre-service programs about DAP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well as prospective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A Review of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 Beliefs and Practice

        권귀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6 No.1

        Since beliefs play a critical role in defining tasks, selecting strategies, and taking actions, the research on teacher beliefs and practice has brought many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Reviewing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 beliefs and practice, which has been mainly published in the U. S. within the past two decades or so, this article aims to explicate the general flow and issues in the limited body of literature. It covers four strands of research; (1)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garding constructivism and/or child-centered approaches, (2) research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3)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related perspectives and practices, and (4) predictable/ influential factors of beliefs and practices. Then, the article outlines some concerns that have emerged from the review.

      • 인정된 유아교육기관에 등록한 유아 부모의「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인식

        강숙현,김진화,박화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인정평가에서 인정된 유아교육기관에 등록한 유아의 부모들이 갖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이해 수준과 그 차이를 파악하고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정된 유아교육기관에 등록한 유아 부모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이해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공동체적 학습환경의 창조,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촉진하는 교수, 적절한 교육과정 구성, 유아발달과 학습에 대한 평가, 부모와의 상호 호혜적인 관계 형성 등의 5개 영역으로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개념화하여 각각에 대한 이해수준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A Survey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R」 (Wise, 1993)는 DAP 개정판(1997)의 내용을 기초로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5개 주요 영역의 내용을 개념화하여 5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에 대해서는 '4=매우 그렇다, 3=그렇다, 2=그렇지 않다, 1=전혀 그렇지 않다'의 4점 평정척도로 구성되었다. 총 24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해 각 항목의 내용이 적절한 내용인지 아닌지에 대한 부모의 이해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 인정평가제 개발을 위해 실행한 모의 인정평가과정에 참여해(5개 지역 5개 유치원) 질적 수준이 인정된 프로그램인 "ㅂ유치원"에 등록한 3-6세 유아의 부모(N=200)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율은 62%(N=124)이다. 연구 결과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구성하는 요소로 제안된 5개 영역 중 "부모와의 상호 호혜적인 관계 형성"영역의 평균 평정척도 점수가 3.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촉진하는 교수"(N=3.30), "적절한 교육과정의 구성"(N=3.13), "공동체적 학습환경의 창조"(N=3.12)에 이어 "유아발달과 학습에 대한 평가"영역이 2.52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과 부모들간의 상호 호혜적인 관계형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일상적인 의사소통과정에서 상호 신뢰감의 형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발달과 학습에 대한 지식과 좋은 양육을 위한 정보를 얻기를 원하고 있으며 가족 안에서의 성장을 강조하는 것이다.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제안된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기준과 증진을 위한 노력은 교사만이 대상이 아니며 부모와 함께 공유해야 할 지식이고 방향이므로 모든 부모들이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위한 연결로써 최상의 실제가 무엇인지를 바르게 이해, 인식, 추구하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This research examined parental understanding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a accredited kindergarten. The 124 parents surveyed had children enrolled in accredited kindergarten in Seoul. Five key area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were examined through a rivesed DAP Survey created by Wise(1993). The revised survey grouped the 24 statements into following five dimensions: Establishing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families; Creating a caring community of learners; Teaching to enhance learning and development; Constructing appropriate curriculum; and Assessing children's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Likert Scale scoring resulted in a mean between 1.00 - 4.00 for each statements. Scores also were averaged for each of five key dimensions. Results indicated the highest level of understanding in the dimension related to establishing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families. The dimension with the lowest level of understanding related to assessment children's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highest mean score of individual statement was 3.58 related to 'daily communication is necessary to build trust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eacher and parents'. The lowest mean score of 2.19 was related to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letter or numerical grades are an adquate reflection of a child's ongoing learning'. The findings will be used to plan and develop parent program to increase understanding in these dimensions. For further research continued exploration on the topic of parent difference or comparison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centers.

      • 현직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신념에 관한 연구 : 목표지향성, 교사효능감 및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교사신념을 중심으로

        이경옥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2 사회과학연구 Vol.8 No.-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beliefs in goal orientation, teacher efficacy,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se teachers' belief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service teachers had high scores in teacher efficacy beliefs and low beliefs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The higher the educutional lavels of inservice teachers were, the lower the teacher's beliefs in developementally inapptopriate practive were. For preservice teachers, seniors had higher belief scores i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than juniors. The results support the importance of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 수업절차 모형 개발 연구 : SIM-DAP 모형 중심으로

        조부월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는 유아 교수·학습 방법의 대안적 탐색으로서, 유아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유아수업절차 모험 적용을 제안하고, 새로운 유아수업절차 모형을 개발하여 유아교육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자는 학교교육 현장에서 사용되어온 수업절차 모형을 검토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수업절차모형들을 도출하였고, 수업절차모형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유아수업절차모형 개발과 적용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천적 측면에서, OAP에 기초하여 OAP신념에 기초한 과학수업절차 모형(A science instruction model bas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SIM-OAP)을 개발하고, SIM-OAP을 적용한 수업 실제를 소개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유아수업절차 모형의 탐색, 개발, 적용에 관한 연구가 계속 이어지고, 다양한 유아수업절차 모형이 현장에서 수업의 질을 높이는 방안으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search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young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by adopting a teaching model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firstly it was introduced to suggest available teaching procedure models(inductive model, concept attainment model, integrative model, direct instruction model, inquiry model, jigsaw model) by studying teaching models used in classes. Secondly, it was suggested to direct study for new instruction model and it's adoption by reviewing the proceeding research. Thirdly, SIM-DAP(Science Instruction Model bas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s described by the National Associational for the Educational of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learning in science. Fourthly, it wa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instruction practice which adopts SIM-DAP.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사의 「발달적으로 적합한 교육 실제(DAP)」 신념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기술과 교실의 구성주의 사회·도덕적 분위기

        김선영,안선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0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발달적으로 적합한 교육실제(DAP) 신념과 유아교실에서의 구성주의 사회ㆍ도덕적 분위기를 조사하고, 교사의 DAP 신념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 및 구성주의 사회ㆍ도덕적 교실분위기와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위치한 14개 유치원 4, 5세 담임교사 37명과 유아 35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DAP 신념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에, 구성주의 사회ㆍ도덕적 교실분위기를 위한 수행정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경력이 많을수록 DAP 신념은 높았다. DAP 신념이 높을수록 담당 유아의 사회적 기술 점수가 높은 반면에, DAP 신념과 구성주의 사회ㆍ도덕적 교실 분위기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DAP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증진한다는 것을 지지한다. 한편, 발달적으로 적합한 신념을 가진 교사일지라도 실제 교수활동 및 구성주의적 교실분위기에는 그 신념이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regard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s outlined by NAEYC,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es concerning the constructivist sociomoral atmosphere,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tial effects of teachers’ beliefs concern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DAP) on kindergarteners’ social skills and the constructivist sociomoral atmosphere in their classrooms. The subjects consisted of thirty-seven kindergarten teachers and 352 children in their classrooms. The teacher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 assessing their beliefs regarding DAP, their children’s social skills, and their practices concerning the constructivist sociomoral atmosphere. The teachers obtained high scores on the belief instrument, while obtaining low scores on the constructivist sociomoral atmosphere instrument. The more educational experience the teachers in this study had, the more likely that they gained higher scores on the DAP belief instrument. The better the teacher had educational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ence, the higher they gained on the belief measure. The children whose teachers showed higher ratings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beliefs gained higher scores on social skills than those with teachers showing lower ratings. The constructivist sociomoral atmospher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more and les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are beneficial to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beliefs concerning DAP are not congruent with the constructivist sociomoral atmosphere.

      • KCI등재후보

        유아 교육과정 구성에서 DAP의 재개념화를 위한 예비적 탐색

        황윤세,강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2

        유아교육과정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세계를 보는 인간을 보는 시각의 변화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유아교육과정에서 현재 지배적인 논의에 대한 탐구를 통해 현실을 이해하고 반성적 과정을 통해 우리가 갖는 문제의 본질과 성격을 진단하며 유아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구체적 지식의 확보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현재 유아교육에서 지배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는 많은 긍정적 측면이 있는 동시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DAP의 한계에 대한 비판은 유아교육과정 영역에서 그 기준으로 발달 적절성이 적용되어 문제의 해명에 큰 기여를 해오고 있다. 발달 적절성의 무분별한 적용은 오히려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에 혼란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를 보다 면밀히 이해하고 교육과정에서 보다 타당한 적용을 위해 반성적 입장에서 주목해야 할 문제를 검토해 본 것이다 외국에서 다양하게 논의되는 유아교육프로그램을 단순히 차입하여 적용해보는 이로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사회 · 문화적 실제를 반성하고 더 나아가 유아교육과정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The approach for childhood education has done in a point of view of phenomenology, analytics or post-modernism deviating from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of the modernism point of view that can be explained in a science, rationality, objectivity, absoluteness, and universality. The characteristic of the representative model fo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s lied on the base of the postmodernism thought that pursues a relativity or subjective understanding, on the other hand, denies an absoluteness or objectivity. The change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s developing with a various ways. Recently, the one of the most active discuss is a DAP approach, which take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Korea but also all of the world. The core concept of DAP is the development appropriate. This study re-conceptualizes DAP in an aspect of the construc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examines the development appropriate. DAP makes the kernel of a rationale as the base of re-conceptualiza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priate of DAP in an aspect of the construc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 problem of the former focuses on the definition of the terms, and the problem of the latter focuses on the goal-establishment, the choice of the content, and the problem of the teacher's role. That is, at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Age Propriety and The Individual Propriety: the two dimensions on the development appropriate", which are the core issue and term. Secondly, this study re-conceptualizes on the teacher's role as the determiner about the intention and the problem that teacher utilizes the appropriate or inappropriate practice on the criter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erefore, for establishing the re-conceptualization base of DAP,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 of DAP in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ccording to this established base,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of DAP, and then tests the re-conceptualization of DAP. The re-conceptualization does in three parts: the concept of DAP, the problem of construct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he problem of teacher's role. According to the result, this study makes a proposal on the direction of the understanding and the study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n conclusion, DAP is the one of the various factors that consist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DAP itself is not the absolute standards. The concept of the development-appropriateness, one of the DAP concept, will be developed in the enlarging and merging direction that social-cultural factors and contents can be considered. Teachers will have to increase their thinking power and analyzing power, but just concentrate on the developed knowledge.

      • KCI등재

        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미술관 교육에 대한 탐색 : 미국의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정진나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 traditional art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zed each program in terms of its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vided the implications for art museum education in Korea. Six regular programs for young children under age 8 were selected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he Philadelphia Museum of Art, and the Toledo Museum of Art. Data were collected from museums' web pages and previous studies. All programs appeared to closely connect to exhibitions in the museums, and most of them consisted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i.e., play/picture book activities, discussion, studio activ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design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early childhood program in art museums in Korea: 1) close connection to the museum's exhibits, 2) inclusion of play or picture book activities, 3) balanced experience between discussion and studio activities, 4) use of a theme that varied regularly, 5) educator's specialization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미국소재 미술관들의 교육사례를 발달적 적합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미술관의 유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필라델피아 미술관, 톨레도 미술관에서 8세 이하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여섯 개의 정기교육 프로그램들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미술관 웹페이지와 문헌 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프로그램들이 포함하고 있는 학습요소에 대한 분석결과, 모든 프로그램은 전시장과의 밀접한 연계 하에 운영되고 있었고, 대부분이 놀이/그림책 활동, 토의, 실기활동의 요소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미술관이 유아 학습자의 발달적 요구를 충족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1) 전시연계의 강화, 2) 놀이나 그림책 활동의 포함, 3) 토의와 실기활동의 균형 잡힌 구성, 4) 다양한 테마의 사용, 5) 교육담당자의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Rethinking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ing from Critical Perspectives

        김미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0 No.1

        As the grand narrativ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a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DAP)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research o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The literaturepertaining to this area is critically reviewed in this article. The article focuses on how the dichotomousand modernist notion of DAP has limited practitioners’ beliefs and thoughts of their performance inclassrooms. The review includes 1) debates on DAP from critical perspectives, 2) the ways in which thedichotomous idea of DAP has, in each category of the research, a limitary effect on shaping earlychildhood teaching identity, and 3) a discussion of issues of gender, ethnicity, and sexuality as possiblealternative teaching identities for future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Italso discusses a need to exp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identities beyond D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