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방유동방식 신속 DNA 교잡 분석법의 개발

        정동석,최의열 한국미생물학회 2003 미생물학회지 Vol.39 No.2

        In molecular biolog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asy and rapid method to identify a specific DNA sequence. Though Southern and Northern blot techniques have been used widely for the analysis of gene structure and function, those methods are inconvenient in the points that we need to control incubation temperature, time, and other parameters to get the final result. In this study, we report a new method for the rapid analysis of specific DNA sequence with the modification of an immunochromatographic method. The lateral flow DNA analysis strip is composed of a sample pad, a nitrocellulose membrane for the separation and propagation of analytes, and an absorption pad for the generation of capillary action. Capture DNA was immobilized on the membrane by UV cross-linking and target DNA was labeled with Cy-5 for signaling. The samples containing target DNA were applied onto the sample pad, incubated for 15 min for separation, and scanned with a GSI fluorescence scanner. Though the hybridization reaction occurs in a short time without any washing steps, there appears to be little cross hybridization between the different sequences. The result showed a possibility that the new method can be used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specific DNA sequence among the samples.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염기 서열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분석법은 필수적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Southern및 Northern blotting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온도 등과 같은 외부 조건을 엄격하게 조절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측방유동방식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라피법을 응용하여 새로운 간편용 DNA분석법을 개발하였다. 이 측방유동형 DNA 분석 스트립은 시료가 적용되는 샘플패드, 이동하여 분리되고 교잡반응이 일어나는 전개용 막, 그리고 시료가 계속하여 이동하기 위한 흡수패드로 구성되어 있다. 모델 시스템으로 HIV와 HCV에 대한 포획 및 표적 DNA를 합성하고 스트립을 제조하였다. 시료를 샘플패드에 적하한 후 교잡반응체의 생성여부와 상대적인 양은 GSI형광 스캐너로 분석하였다. 교잡반응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세척과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비특이적인 교차 반응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기존의 DNA 교잡방법과 비교하여 볼 때 이 새로운 방법으로 DNA/DNA 교잡 실험을 보다 더 쉽고, 간편하고, 그리고 빠르게 할 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DNA신원확인정보의 실효적 보호에 관한 연구: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장을 중심으로

        김강한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아주법학 Vol.13 No.3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biometrics is information that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bodies of individuals and unlike other personal information, it cannot be changed while the individual is alive and it can be used not only to identify an individual, but also information on blood relationships of the individual. Therefore, it must be protected at levels of protecting sensitive information. However, many disputes have been raised on Korea’s DNA Act even before its enactment because by excessively collecting and process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are biometrics of individual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rime investigation agencies and to prevent crimes, it could violate the basic constitutional rights of individual human rights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recently made the ruling that in relation to Article of the DNA Act that it was a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s it did not guarantee the procedural rights of the claimant was significant. DNA identity information is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an individual, and therefore, the subject of the information should be able to exercise his or her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is the right to control how much information to whom his or her information would be shared with. Howeve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be limited by laws in the cases needed to guarantee national safety, maintain order, or for public welfare pursuant to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This means that regardless of the intent of the subject of information,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lawfully by the authorities for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for criminal investigations or crime prevention. Related to this, a provision was also provided to allow investigative agencies to collect, use, store, etc.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criminal investigation and crime prevention in the DNA Act. However, the current DNA Act excessively violates the freedom to one’s own bod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etc. due to several issues such as the massive scope of applicable crimes, lack of regulations to guarantee the procedural rights of subjects, and unlimited storage of information, etc. Accordingly, revisions should be made for the DNA Act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son for ruling of being unconstitutional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various potential violations of the Constitution that are being suggested. In detail, some areas for reform would be to minimize the crimes for collecting the information, adding conditions for risk of recurring crimes, deleting regulations on consent to collection, guarantee of right to state opinions, providing a clear basis for non-compliance procedures, indication of storage period, guarantee of rights to claim for deletion, etc. 생체정보로서의 DNA신원확인정보는 개인의 신체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정보이고, 다른 일반 개인정보와 달리 개인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변경이 불가능하며, 이를 통해 개인을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혈족관계에 관한 정보까지도 파악할 수 있어, 민감정보의 보호수준으로 보호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DNA법은 제정되기 이전부터 많은 논란이 있어 왔는데, 그 이유는 수사기관이 범죄의 효율성 및 범죄예방이라는 목적을 위해 개인의 생체정보인 DNA신원확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 및 처리함으로써 개인의 인격권,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의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것이었다. 최근 헌법재판소는 DNA법 제8조와 관련하여 청구인들의 절차적 권리를 보장하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위헌결정을 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DNA신원확인정보는 개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정보’에 해당하기 때문에, 정보주체는 본인의 DNA신원확인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처리될 것인지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권리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서 제한될 수 있고, 이는 정보주체의 의사와 상관없이 DNA신원확인정보가 범죄수사 또는 범죄예방 등 공익목적을 위해 정당하게 공권력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DNA법에서는 범죄수사와 범죄예방을 위하여 수사기관이 DNA신원확인정보를 수집, 이용, 보관 등을 할 수 있도록 근거조항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DNA법은 대상범죄의 광범위성, 대상자의 절차적 권리 보장에 관한 규정 부재, 정보의 무기한적 보관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대상자들의 신체의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을 과도하게 침해하고 있다. 이에 따라, DNA법은 향후에 DNA신원확인정보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의 취지와 현재 제기되고 있는 여러 가지 위헌소지가 있는 조항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개정사항으로는 채취 대상범죄의 축소와 재범 위험성 요건 추가, 채취 동의 관련 규정 삭제, 의견진술권 보장 및 불복절차에 관한 명시적 근거 마련, 보관기간 명시 및 삭제청구권 보장 등이 있다.

      • SCIESCOPUSKCI등재

        Inhibition of DNA-dependent Protein Kinase by Blocking Interaction between Ku Complex and Catalytic Subunit of DNA-dependent Protein Kinase

        Kim, Chung-Hui,Cuong, Dang-Van,Kim, Jong-Su,Kim, Na-Ri,Kim, Eui-Yong,Han, Jin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2003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7 No.1

        Recent studies indicated that cancer cells become resistant to ionizing radiation (IR) and chemotherapy drugs by enhanced DNA repair of the les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killing of cancer cells and reduce drug resistance by inhibiting DNA repair pathways that tumor cells rely on to escape chemotherapy. There are a number of key human DNA repair pathways which depend on multimeric polypeptide activities. For example, Ku heterodimer regulatory DNA binding subunits (Ku70/Ku80) on binding to double strand DNA breaks (DSBs) are able to interact with 470-kDa DNA-dependent protein kinase catalytic subunit (DNA-PKcs), and are essential for DNA-dependent protein kinase (DNA-PK) activity. It has been known that DNA-PK is an important factor for DNA repair and also is a sensor-transmitting damage signal to downstream targets, leading to cell cycles arrest. Our ultimate goal is to develop a treatment of breast tumors by targeting proteins involved in damage-signaling pathway and/or DNA repair. This would greatly facilitate tumor cell cytotoxic activity and programmed cell death through DNA damaging drug treatment. Therefore, we designed a domain of Ku80 mutants that binds to Ku70 but not DNA end binding activity and used the peptide in co-therapy strategy to see whether the targeted inhibition of DNA-PK activity sensitized breast cancer cells to irradiation or chemotherapy drug. We observed that the synthesized peptide (HNI-38) prevented DNA-PKcs from binding to Ku70/Ku80, thus resulting in inactivation of DNA-PK activity. Consequently, the peptide treated cells exhibited poor to no DNA repair, and became highly sensitive to IR or chemotherapy drugs, and the growth of breast cancer cells was inhibited. Additionally,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also support the physiological role of resistance of cancer cells to IR or chemotherapy.

      • KCI등재

        독일 형사소송법상 DNA 검사 -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과의 비교 -

        허황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0 비교형사법연구 Vol.22 No.1

        Beim Aufsatz als einer rechtsvergleichenden Studie handelt es sich hauptsächlich um die DNA-Analyse im deutschen Strafprozessgesetz. Deutschland hat auch schon früh viel Interesse an Ermittlungsmethode mit DNA-Analyse-Technologien gehabt und hat sich unermüdlich bemüht, eine rechtliche Grundlage dafür zu schaffen. In Deutschland sind die strafrechtlichen Vorschriften für die DNA-Analyse im Strafprozessgesetz enthalten und wurden nicht auf einmal eingeführt, sondern sequenziell. Deutschland betrachtet DNA-Untersuchungen grundsätzlich als eine Art von Ermittlungsmaßnahme, und im Gegensatz zu anderen körperlichen Untersuchungen gibt es spezielle Vorschriften für molekulargenetische Untersuchungen, die getrennt von den Probenvorschriften auf dem Prüfstand sind, weil DNA-Untersuchungen eine tiefgreifende Verletzung der Grundrechte darstellen würden. Darüber hinaus werden Vorschriften für die Reihenuntersuchung und die Verwerfbarkeit von Informationen über Beinahetreffer im Rahmen der DNA-Reihenuntersuchung festgelegt. Im Vergleich zum koreanischen DNA-Gesetz gibt es auch Ähnlichkeiten mit den deutschen DNA-Gesetzen, aber es gibt mehr Unterschiede. Aus der Sicht des deutschen Gesetzes scheint das koreanische DNA-Gesetz übermäßig darauf ausgerichtet zu sein, die Datenbank der DNA-Informationen aufzubauen. Dies führt einerseits zu einer übermäßigen Verletzung des individuellen Rechts auf die informationelle Selbstbestimmung und andererseits zu einer Einschätzung, dass die molekulargenetische Technologien in bestimmten Bereichen nicht aktiv genutzt werden. Insbesondere mangelt es dem koreanischen Gesetz an Berücksichtigung der DNA-Untersuchung für das laufende Strafverfahren, da das geltende DNA-Gesetz den nicht inhaftierten Beschuldigten und seine Familie von der molekulargenetischen Untersuchung ausnimmt und die Eilbefugnis der Staatsanwaltschaft und Ermittlungspersonen nicht anerkennt. 본 논문은 비교법연구로서 독일 형사소송법상 DNA 검사를 그 주된 내용으로 한다. 독일도 DNA 분석기술을 활용한 범죄수사에 일찍부터 많은 관심을 가져왔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독일의 경우 DNA 분석에 관한 형사법적 규정들은 형사소송법에 담겨져 있고, 한꺼번에 신설된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독일은 DNA 검사를 기본적으로 범죄수사의 한 유형으로 보고 있으며 기타의 신체검사와는 달리 DNA 검사가 가지는 기본권 침해의 중대성으로 인해 검사대상의 채취규정과는 별도의 분자유전자 검사를 위한 규정을 두고 있다. 나아가 DNA 집단검사와 집단검사에서 부분일치자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규정도 마련해놓고 있다. 한국의 디엔에이법과 비교해 볼 때 독일 DNA법은 유사점들도 있지만, 차이점들이 더 많이 발견된다. 독일법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한국 디엔에이법은 과도하게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데이터베이스구축으로 치중되었다고 보인다. 이는 한편으로 개인의 정보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과도한 침해로 이어지고, 다른 한편 일정 영역에서는 오히려 범죄수사기법에 분자유전자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현행 디엔에이법은 구속되지 않은 피의자와 일정 범위에서의 피의자의 친족을 감식대상에서 제외하고 있고 영장주의에 대한 예외로서 긴급권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현재 진행 중인 형사절차를 위한 DNA 검사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 KCI등재

        국소적 도포법을 이용한 Hair-follicle specific promoter를 가진 HPV-16 E7 DNA vaccine의 효용성

        김찬주 ( Chan Joo Kim ),김태우 ( Tae Woo Kim ),노경희 ( Kyung Hee Noh ),이근호 ( Keun Ho Lee ),이해남 ( Hae Nam Lee ),이용석 ( Yong Seok Lee ),박태철 ( Tae Chul Park ),남궁성은 ( Sung Eun Namkoong ),박종섭 ( Jong Sup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경피적 면역법 (TCI; Transcutaneous Immunization)이란, 피부 표면에 직접 백신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단백질이나, peptide백신의 경우 adjuvant와 함께 투여하여 세포 면역과 액상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이 보고되어 있다. 경피적 면역을 통한 효과적인 HPV E7 DNA vaccine 개발을 위하여, HPV-16 E7 opt+K 부분과 Hair-follicle 특이성 pK6hf-promoter를 융합한 DNA가 다양한 면역 증강제와 함께 투여되어 효과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먼저 HPV-16 E7 opt+K 부분과 Hair-follicle 특이성 pK6hf-promoter를 융합하였다. 다음단계로 C57/BL6 쥐의 피부에 pK6hf-E7 +K DNA와 면역 증강제로 cholera toxin (CT), CpG oligodeoxy nucleotide (ODN)을 사용하여 경피적 면역을 시행한 후 세포독성 T 임파구 (CTL; Cytotoxic T lymphocyte) 반응을 E7-specific IFN-gamma- secreting CD8+ T cells의 수를 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후 flow cytometric analysis하였다. 결과: 경피적 면역법으로 pK6hf-E7 opt+K DNA 만 투여한 경우와, DNA와 LipofectAMINE 2000을 투여한 군보다 pK6hf-E7 opt+K DNA, Lipofectamine2000, CT을 투여한 군이 더 높은 E7-specific CD8+ T cells의 수를 보였다. 결론: 위의 실험에서 E7 opt+K DNA를 pK6hf와 연결시킨 DNA와 CT을 adjuvant로 이용한 경피적 면역법이 항원 특이성 CTL유도를 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pK6hf promoter를 가진 HPV-16 E7 DNA 백신을 경피적 면역법에서의 가능한 방법임일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 Previous reports have shown that transcutaneous immunization (TCI) with proteins or peptides in combination with adjuvants efficiently induces specific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We compared the immune response after TCI with new construct which was derived from HPV-16 E7opt+K and pK6hf promoter instead of pCMV promoter and various adjuvant. Methods: First, we made new construct ligated with HPV-16 E7 opt+K to Hair-follicle Specific pK6hf Promoter. Second, we applied pk6hf-E7 opt+K DNA with or without Lipofectamine 2000 and a combination of cholera toxin (CT) and CpG oligodeoxynucleotide (CpG) onto cold wax-depilated and hydrated bare skin of C57 BL/6 mice. To assess the ability of CTL(cytotoxic T-lymphocyte) activity, we performed 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with flow cytometric analysis to determine the number of E7-specific IFN-gamma- secreting CD8+ T cells generated in vaccinated mice with the DNA vaccine. Results: Female C57BL/6 mice immunized by TCI methods with 30 microgram of pk6hf-E7 opt+K DNA with Lipofectamine2000 and CT efficiently generated E7-specific CD8(+) T cells compared with the group of pk6hf-E7 opt+K DNA only or DNA with Lipofectamine2000.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CI of the linkaged-E7 DNA , E7 opt+K DNA to pk6hf, and Lipofectamine2000 and CT induced an antigen-specific CTL response. This result is of potential relev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HPV-specific DNA vaccines with TCI and pK6hf promoter can be used safely.

      • KCI등재

        DNA 유전자 정보 DB구축에 관한 연구

        최종술 ( Jong Sool Choi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0 공공정책연구 Vol.27 No.2

        『흉악범 DNA채취법』의 시행으로 흉악범죄자들로부터 DNA신원확인 정보를 채취하여 신원확인 하여, 범죄인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관리하고, 범죄발생시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범인을 신속히 검거함으로서 수사효율성 제고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유전정보는 가족과도 공유하는 매우 민감한 개인정보이며, 체액이나 머리카락 등 신체의 극히 일부분을 통해서도 개인을 식별·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DNA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인간의 존엄성 침해와 국가 감시 체제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먼저 DNA 유전자 정보 DB 구축의 의미, 그리고 형사 사법적 활용에 대해서 살펴보고, 『흉악범 DNA 채취법』의 주요 내용, 즉, 채취대상 범죄. 채취시기, 관리 주체 등과 함께 외국의 사례와 비교 검토해 본다. 끝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시행으로 예상되는 논란과 발전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come into force the law for the Construction Data Base of deoxyribo nucleic acid genetic information for criminals in 2010 July 26th. Also the rule was notified beforehand. the Construction Data Base of deoxyribo nucleic acid(DNA) is as follows: The police are taking DNA samples from criminals and Data Base of DNA contains various DNA samples of criminals. If the crime occurred, DNA samples has made good use to be on the search for criminals. In this context, The pur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onstruction Data Base of DNA genetic information for criminals.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e look see the meaning of Construction Data Base of DNA and application of Criminal Justice field. The use of Data Base of DNA genetic information for criminals continue to show an upward tendency all over the world. Second, we bounce back and forth legal details about Construction Data Base of DNA genetic information for criminals. For instance, The picking object, Picking time, Management subject, Elimination time and so on. Also we investigate the instance of the foreign nation, namely UK, USA, European Union. Third, we discusses a problem point and improvement program. The problems are partly due to abuses of human rights. Also The problems are misuse, wrong use, abuse of Data Base of DNA. The improvement of Data Base of DNA is interested mainly in strict standards. The use of DNA samples must conform to strict standards of Law.

      • KCI등재

        은유로서의 DNA - 유전자 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

        한수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6

        Science explains complicated nature with a law. In this course, metaphors connect the real world with theories. For this reason, the metaphors often show nature well, and hide some aspects of it as well.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 (Watson & Crick)」 opened up an age of molecular biology by proposing copying mechanism of double helix. In this article, metaphors play a role in making semantic grounds to decipher codes of life. Model metaphors to describe double helices as specific concrete images separate DNA from vital phenomenon to free them from mysterious objects. And machine metaphors give DNA characteristics of precise and robust machine which works systematically. ‘Copying mechanism’ was the first clue to deciphering codes of life. However, through personification, the chemical molecular mass of DNA is transferred into an independent organism which works precisely. Here, an immortal image of DNA is created. The reason why gene determinism still exerts a powerful effect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influence of DNA metaphors. Seeing science with metaphors is an effort to get out of its autonomy myth. And it is a method of enjoying scientific knowledge in a balanced way without falling into the trap of a dogma. 과학지식을 균형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의 종합적 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과학 언어가 은유로 구성되어 있음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과학은 복잡한 자연을 하나의 법칙으로 설명해낸다. 이 과정에서 은유는 실재 세계와 형이상학적 이론을 이어낸다. 그래서 은유는 자연을 잘 보여주기도 하고, 어떤 부분은 가리기도 한다. 유전자 혹은 유전물질을 가리키는 DNA는 20세기 생명 과학의 키워드였다. 왓슨과 크릭은 「핵산의 분자구조(Watson & Crick, Molecular Structure of Nucleic Acids)」에서 DNA의 이중나선구조가 생명의 복제 메커니즘을 암시한다고 밝혀 분자생물학의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었다. 이 논문에서 은유는 생명이라는 암호체계를 의미 있는 언어로 전환하는 도구의 역할을 한다. 이중나선을 하나의 구체적인 이미지로 그려주는 모형은유는 전체 생명의 메커니즘에서 DNA를 분리하여 신비한 완결체로 독립시킨다. 그리고 기계은유는 체계적으로 움직이는 정밀하고 견고한 생체 기계의 특성을 DNA에 부여한다. 동시에 의인화를 통해 DNA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의 의미까지 얻게 된다. DNA 이중나선 구조의 ‘복제메커니즘’은 생명이라는 암호체계를 풀어갈 첫 번째 실마리였다. 그런데 은유를 통하여 DNA라는 화학분자 덩어리는 정밀하게 작동되는 독립적인 유기체로 전이되며 DNA의 불멸의 이미지가 탄생한다. DNA를 둘러싼 은유는 유전자가 우리 자신을 결정한다는 유전자 결정론의 실제적인 기원이 되며, 유전자에 대한 대중들의 생각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은유로서 과학을 바라보는 것은 과학 자율성의 신화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이다. 그리고 하나의 도그마에 함몰되지 않고 과학지식을 균형 있게 향유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 KCI등재

        DNA Data Storage in Perl

        Ui Jin Lee,황슬기,김균언,김문일 한국생물공학회 2020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5 No.4

        Here we report a simple and flexible method for DNA data storage based on Perl script. For this approach, the text data of the preamble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consisting of 2,046 words was encoded into the corresponding 8,148 base pairs of DNA using Perl-based encoding with a hash table. The encoded DNA sequences were then artificially synthesized for storage. The information DNA consisted of a total of 22 chemically synthesized DNA fragments with 400 nucleotides each, which were inserted into a cloning vector to multiply the plasmid DNA. The nucleotide integrity of the data-carrying DNA sequences were ensured under the accelerated aging conditions. Also, an erroneous nucleotide in the information DNA sequences was successfully corrected using the overlap extension PCR method. The stored DNA was read by sequencing, and the resulting DNA sequence information was successfully decoded to convert the DNA records back to the original document. Our results indicate that textual data can be stored in DNA using a simple, easy, and flexible Perl by running a script from the command line.

      • KCI등재

        DNA 코딩과 진화연산을 이용한 함수의 최적점 탐색방법

        백동화(Dong-Hwa Peak),강환일(Hwan Il Kang),김갑일(Kab Il Kim),한승수(Seung-Soo Ha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1 No.6

        DNA computing은 Adleman의 실험 이후에 많은 여러 가지의 최적화 문제에 적용되어 왔다. DNA computing의 장점은 스트링의 길이가 가변적이고 4가지 염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에서 전역 최적점을 찾는데 기존의 다른 방법보다는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진 스트링의 개체 집단 위에서 모의진화를 일으켜 효율적으로 최적 해를 탐색하는 GA(Genetic Algorithms)와, 생체 분자인 DNA를 계산의 도구 및 정보 저장도구로 사용하며, A(Adenine), C(Cytosine), G(Guanine), T(Thymine)등의 4가지 염기를 사용하는 DNA 코딩 방법을 이용하여 multi-modal 함수의 전역 최적점을 탐색하는 문제에서의 각각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Selection, crossover, mutation 등의 GA연산자를 DNA 코딩에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최적의 해를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찾아낸 최적해의 값을 평가하였다. DNA computing has been applied to the problem of getting an optimal solution since Adleman's experiment. DNA computing uses strings with various length and four-type bases that makes more useful for finding a global optimal solutions of the complex multi-modal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DNA coding method for finding optimal solution of the multi-modal function and compares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with the genetic algorithms (GA). GA searches effectively an optimal solution via the artificial evolution of individual group of binary string and DNA coding method uses DNA molecules and four-type bases denoted by the A(Ademine), C(Cytosine), G(Guanine) and T(Thymine). The selection, crossover, mutation operators are applied to both DNA coding algorithm and genetic algorithms and the comparison has been performed. The results show that the DNA based algorithm performs better than GA.

      • KCI등재

        발표논문 :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용현 ( Yong Huyn Kim ),황영구 ( Young Gu Hwang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3

        최근에 살인·아동성폭력 등이 잇따라 일어나면서 재범의 위험성이 높은 흉악범들의 DNA를 채취하여 데이터베이스(DB)화함으로써 범죄예방 및 범인 검거에 활용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DNA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 2010년 4월 15일자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학계 및 시민사회단체 등에서는 대상범죄가 지나치게 넓다는 점, 수사단계인 구속피의자에 대해 DNA 감식시료 채취를 허용하는 것은 헌법상 무죄추정원칙에 반할 수 있다는 점, 정보의 무단유출과 오·남용될 수 있다는 점, 헌법상 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DNA 신원확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기에 앞서 이 법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법률의 명칭에 대한 문제이다.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은 범죄자를 대상으로 DNA 신원확인정보를 채취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향후 수사와 재판에 이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DNA를 통해 친자확인, 질병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너무 포괄적이다. 따라서 이 법률의 목적에 맞게 법률명을 「범죄자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DNA 신원확인정보를 위한 사무관장에 대한 문제이다. DNA 신원확인정보를 이원화하여 관리하는 것은 견제와 균형의 원리를 통해 오류를 줄임으로서 데이터베이스의 신뢰를 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DNA 신원확인정보의 관리과정에서 오·남용 등의 문제, 예산의 중복투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경찰과 검찰의 이원적 관리보다는 수사기관으로부터 완전 독립된 제3의 기관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적용 대상범죄와 적용 대상자에 대한 문제이다. DNA 신원확인정보의 대상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위헌성 시비를 줄이는 방법은 대상범죄를 법률로 정하고, 채취대상자 또한 DNA감식시료채취가 사회방위를 목적으로 하는 보안처분의 성격을 가진다고 본다면 다른 보안처분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법원의 판결로서 DNA감식시료의 채취 대상자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넷째, DNA 감식시료채취영장에 대한 문제이다. 채취대상자의 동의를 받은 경우에 영장없이 유전자감식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대한 인권침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영장주의를 전면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섯째, DNA 감식시료의 폐기 및 삭제에 대한 문제이다. DNA 신원확인정보를 삭제 및 폐기는 개인의 DNA정보가 유출되거나 범죄의 조작가능성 등이 있기 때문에 DNA정보관리자의 폐기 여부에 대한 감독 및 폐기절차 등은 대통령령이 아닌 명확하게 법률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섯째, DNA신원확인정보 데이터베이스관리위원회에 대한 문제이다. 위원들은 이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민간위원 참여 수가 과반수 이상이 되도록 법적으로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일곱째, 당사자 통지에 대한 문제이다. DNA 감식시료의 채취, 수록, 폐기, 삭제 등에 대해 당사자에게 관련된 사항을 통지하는 방법과 절차 등은 법률상 명문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 등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으로 위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cently with the murder and child sexual violence increasing, as of April 15, 2010, Law about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which specifies that DNA of the brutal criminals with a high second conviction rate should be taken, data-based and used for preventing crimes and arresting criminal-is being enforced. However, academic authorities and civic groups argue that the relevant crimes are too wide and collecting the accused`s DNA sample is against the Constitution`s Presumption of Innocence. Also, they indicate that the information would leak without permission, the information would be abused and it would infringe the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ly, I am going to examine the problems and suggest the solution in this survey in advance of the enforcement. The first is about the title of the law. Law about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imed to collect criminals` DNA and make a database to use it for investigation and trials. but it is too wide in that we can use DNA for a paternity test and identifying disease and so on. Thus, to ft the purpose of the law it is desirable that the law should be renamed as Law about The Use and management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problem is about management official responsible for the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information is divided and managed in two, we can reduce the errors through checks and balances and make the information reliable. But 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information, several problems-such as the abuse of the information and the double investment of the budget-can occur. Accordingly The third institution separated from investigative agency should be established rather than the dual management of the police and the prosecution. The third is about the applicable crime and applicable criminals. In selecting those affected by the law, we should reduce the conflict about unconstitutionality. To do so, we should specify the applicable crime and criminals by law. If DNA information collecting is to protect the society, in consideration of the fairness, the applicable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court ruling. The fourth is about writ permitting DNA information collecting. If DNA information collecting is permitted without writ in the case of admission, it results in serious human right abus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writ policy. The fifth problem is about discarding and deleting the information.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leak and manipulating the information, when it comes to discarding and deleting the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by law not by a presidential decree. The sixth problem is about Database management commission responsible for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mmission should be composed of experts in this field, and especially civic commissioners should hold a majority by law. The seventh is about the notice to the person directly concerned. It is desirable that the things concerned-such as collecting DNA information, recording it and deleting it-should be noticed by law. Also, the method and procedure about the notice should be defined by law. Detailed method and procedure should be defined by a presidential decr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