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와 예술의 해석 한국의 문화코드와 문화콘텐츠

        김평수 ( Pyung Soo Kim ) 한국해석학회 2011 해석학연구 Vol.27 No.-

        Culture code refers to distinct perception of any subjects-matters, goods, food, relations-cultivated by the culture with which they are affiliated. Owing to culture code which is spontaneously formed in cultural customs rather than deliberately structured it is also named “cultural unconscious”. If any culture of a certain period of time delivers unequivocal trend, it could be regarded as ``culture code.`` Culture code elaborately demonstrates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terrains of a certain period. Furthermore, culture code is constructed under historical timeline as well as connected to synchronic space. This thesis aims to analyze Korean cultural contents with Korean culture codes, which is extracted from the observ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society and Korean population`s cultural traits. Cross tabulation analysis method, comparing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subject Koreans and foreigners, was chosen to study Korean culture codes. And culture codes were also extracted from both observations of the documents of its nationals and expatriates having been exposed to Korean culture. With these culture codes Korean films released from 1990 to 2009 was studied. It was observed that each year three the most successful Korean films hold the following culture codes, such as sexuality, family value, and taboo. This analysis renders Korean population have fiery penchant for films bearing the culture codes in connection with epic chronicle, politics and economy as well as the trendy codes. It might be virtually impossible to analyze innate culture codes from a stranger`s point of view. Nevertheless, thanks to the most culture contents include culture codes of its society, culture codes would play a critical role in understanding cultural contents. If the dynamics of how its culture codes are associated with its cultural contents is properly understood, it can be regarded as a critical tool to take a glimpse of social consumption structure in the society. In addition, this analysis somewhat provides some cues how planers and producers of cultural contents direct their works.

      • KCI등재

        아랍문화코드 연구를 통한 아라비안 디자인 기본 자료 조사연구; 아랍문화 기반의 디자인프로세스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이경아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research to help ourdesign to enter Middle East market. Middle East regionhas low dependence on manufacturing industry than anyother overseas area. Therefore, they need design industryrelatively little. However, our design industry can beconsidered to enter the market perceiving it as service andknowledge centered industry rather than as manufacturingcentered industry. For this, roles of design should beconsidered again from cultural perspectives. Culture is theroot of a society and it has characteristics to be reducedto new concept of culture reflecting the contemporarysociety. It is the same characteristic as meaning of designfrom contextual dimens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is purposed to study Arabicculture code and develop design process conceptual modelfor Middle East region. Additionally, it is also purposedto help our design to enter Middle East market bydeveloping Arabic culture based design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cept of Arabic culture was understood. Second,Arabic culture codes were defined and researched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ased on the study onArabic culture. Third, discussions on Arabian design weremade based on Arabic culture code. Fourth, basic studyon culture and cultural code was made. Finally, Arabicculture codes were discussed qualitatively andquantitatively based on the study on Arabic culture andArabian design concept model was developed from it. This study researched a concept model for Arabian designbased on discussions on Arabic cultural code and proposeddesign proce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proposed considerations for our design when it enteredMiddle East market as cultural cod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디자인의 중동아시아 지역 진출을 돕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중동아시아 지역은 다른 해외지역들 보다 제조업 분야의 의존도가 낮다. 그래서 상대적으로디자인 산업의 필요성이 미비한 상황이다. 하지만 디자인을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와 지식 중심의 산업으로 인식하고 중동아시아 지역으로의 진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의 역할을 문화적인 측면에서 다시 한 번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문화는 한 사회의 뿌리이자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해 새로운 개념의 문화로 환원되는 성질을 가졌다. 이는 맥락적인 차원에서 디자인의 의의와도 같은 성질은 지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랍문화코드를 연구하고 중동아시아지역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연구 개발하는데 목적이있다. 덧붙여 본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디자인의 중동아시아 지역 진출을 돕고자 하는데 함축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랍문화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아랍문화 연구를 바탕으로 정성적, 정량적인 측면에서의 아랍문화코드를 분석하고 이를 정의하고 연구하였다. 셋째, 아랍문화코드를 바탕으로아라비안 디자인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넷째, 문화에 대한 기초연구 및 문화코드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랍문화코드를 정성과 정량적인 측면에서 논의하고 이를 아라비안디자인을 위한 개념으로 발전 시켰다. 본 연구는 아랍문화코드를 바탕으로 아라비안 디자인을 위한개념 모델을 연구하였다. 또한 개념모델을 기반으로 아라비안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동아시아 지역으로 진출 시 우리나라 디자인 혹은 디자이너가 고려해야 할 사항을 문화코드와 디자인프로세스모델로 제안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도의 문화코드와 글로컬문화콘텐츠

        김윤희,박치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1 국제지역연구 Vol.14 No.4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ies have moved closer to the centre of the economic action in many countries and across much of the world. For this reason, the concern with the development of glocal cultural contents has also been growing. According to Goldman Sock's BRICs report, Indian economy will be the engine of global economy with China. In addition, India will be a new blue chip country for large consumer market of cultual contents. The most important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glocal cultural contents is a systematic and in-depth analysis of other culture. India is a complex and multicultural country compared with Korea which is a nation-state. Therefore,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understanding about India appropriately and suggestion for a strategy to enter cultural industry in India. A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oncerned, we will take a close look at 9 Indian culture code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groups: 1)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des 2) economic codes 3) cultural contents codes. Firstly,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des are i) consistent democracy and saving common people, ii) authoritarianism which appears an innate respect for authority of India, iii) Collective-individualism which represents collectivist and individualistic tendency, iv) life-religion, v) carpe diem. Secondly, economic culture codes are vi) 1.2billion Indian people's God which represents money and vii) practical purchase which stands for a reasonable choice of buying products. Lastly, viii) Masala movie and ix) happy ending that is the most popular theme of Masala movies ar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content codes. In conclusion, 3 interesting cases <Daejanggum>, <The Host>, <D-War> will be examined in detail.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above, we suggest oversea expansion strategy based on these case studies. Eventually, what is important is to understand what Indian society is, how Indian society works and what contents Indian prefers. 전 세계적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글로컬문화콘텐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골드만삭스의 BRICs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중국과 더불어 미래 글로벌 경제의 성장 동력이자, 문화콘텐츠 소비시장의 새로운 블루칩으로 주목 받고 있다. 글로컬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각 나라의 문화를 체계적·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인도의 경우 단일문화권인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복합·다문화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 중국, 일본을 대표하는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하지 않아 문화적 거리감도 큰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도 진출을 목적으로 한 한국기업들을 위해 글로컬문화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인도의 문화코드를 이해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인도는 정치와 사회 그리고 문화 분야에서 대략 다음과 같이 9가지 문화코드가 발견된다. 먼저 정치와 사회 문화코드로는 다음 5가지가 있다: i) 지속적 민주주의와 서민구제, ii) 권력지향적 권위주의, iii)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성향을 동시에 지닌 집단적 개인주의, iv) 생활종교의 정착, v) 미래보다 현재에 충실한 ‘카르페 디엠’. 그리고 경제 문화코드는 vi) 12억 인구가 모시는 또 다른 신인 돈, vii) 과소비를 지양하는 실용적 구매라는 2가지 코드로 요약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인도인이 선호하는 문화콘텐츠 코드로는 viii) 인도의 국민문화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 맛살라 무비를 들 수 있다. ix) 그리고 이 맛살라 무비의 공통된 주제인 해피엔딩을 꼽을 수 있다. 결론에서는 <대장금>, <괴물>, <디워>를 앞서 제시한 9가지 인도의 문화코드에 적용하여 어떤 점이 부합하고 또 어떤 점이 부합하지 않는지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인도를 상대로 한 비즈니스는 결코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일차적으로 인도라는 나라가 문화적으로 다양성을 기초로 이루어진 국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인도의 현존하는 문화적 거리를 좁히는 것이 우리나라의 문화콘텐츠산업이 인도에 진출하는데 있어 가장 큰 과제라 할 수 있으며, 현지화 과정에 있어서는 인도인이 선호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매튜 본 <백조의 호수>의 문화코드 연구 :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안나용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6 No.-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로서 문화 그 자체가 국가경쟁력을 의미하고 주도하는 시대이다. 이러한 시기에 현대 관객의 취향에 맞는 문화상품을 만들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예술가들의 중요한 임무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대와 문화의 관계 속에서 창조된 기존의 문화상품으로부터 당대의 특이한 문화코드를 파악해내는 일이 중요하다. <백조의 호수(Swan Lake)>는 19세기에 초연된 이래로 한 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사랑과 구원'이라는 인류의 보편적 문화코드를 바탕으로 각 시대의 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문화코드를 재탄생시키고 있다. 20세기의 문화를 반영하는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는 19세기의 고전 발레 <백조의 호수>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현대적 문화코드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의 문화코드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남자 백조'라는 양성성(androgyny)의 인물유형, 1960년대 영국 대중문화를 반영하는 다양한 문화기호들과 그들의 사회문화적 함의인 신화(myth)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금기시된 사랑의 코드,' '풍자 코드,' '탈 고정관념의 코드,' '사실주의적 코드,' '성(sexuality) 코드,' '현실과 이상에 관한 보편적 코드' 등 여섯 가지의 문화코드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이 여섯 가지의 문화코드는 매튜 본 <백조의 호수>의 심층에서 스토리, 구조, 개별적 기호의 설정 등에 관여하면서 작품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19세기의 <백조의 호수>에서 보여주는 단순한 왕자의 사랑과 구원에 관한 이야기와는 차별화된 문화코드로 볼 수 있으며, 양성적 존재로서 한 인간이 성(性)과 계급, 그리고 종(種)을 초월한 자유로운 사랑의 이상을 추구하고 죽음을 통한 비현실의 세계에서 이상을 실현한다는 의미를 부여하는 문화코드로서 매튜 본 <백조의 호수>는 20세기의 무용문화에 새로운 문화적 의미를 제공한 문화콘텐츠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발견된 문화코드는 현대의 관객이 선호하는 핵심적인 문화코드로서 새로운 무용 문화콘텐츠 개발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기호학적 관점에서 무용작품을 분석한 논문으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분석 기준을 제시하고 무용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culture, and it is the age when the culture itself implies and takes the nation's competitiveness initiative. It is the important duty for the artists to create the economic value of arts by producing the cultural products that fit to the tastes of modern audience, and for the purpose of creation, it is important for them to seize the unique cultural codes from the contemporary and existing cultural products cre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culture. The <Swan Lake> has been giving rebirth to the cultural code that reflects the cultural specialty of each age on the basis of universal cultural code of mankind, the so-called "Love and Rescue," for more than a century since the first performance in the 19th century.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re exists a modern cultural code in the Matthew Bourne's <Swan Lake> that reflects the culture of 20th century, which is not seen in the <Swan Lake> that shows the classical cultural code of the 19th century. And so, in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study the cultural codes of the Matthew Bourne's <Swan Lak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ype of character containing the androgyny of "Male Swan," the various cultural codes reflecting the popular culture of England in 1960s and the myth that contains their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 were figured out, and the six types of cultural codes, such as "Code of prohibited love,” “Code of satire,” “Code to break away from fixed ideas," "Code of realism," "Code of sexuality," and "Universal codes for reality and ideal,"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six types of cultural codes prescribe the identity of the work, engaging in the story, structure and establishment of individual codes at the depth of the Matthew bourn's <Swan Lake>. This shall be identified as a differentiated cultural code from the simple story of love and rescue of a prince presented in the <Swan Lake> of 19th century, and the Matthew Bourne's <Swan Lake> may be called the cultural contents that provide the dance culture of 20th century with a new cultural significance, setting up an cultural code in which a human of androgynous existence seeks the ideal love that transcend the sex, class and species and realizes the ideal in the unrealistic world through death. Therefore, the cultural code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as the base of the development of new dance culture contents, playing the role of the core cultural code that the modern spectators lik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presentation of more systematic and objective analysis standard and providing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interpretation for the dance works as it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dance works from the view point of cultural semiotics.

      • KCI등재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코드 분석 연구

        이찬욱(Lee Chan Wook),이채영(Lee Chae 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문화콘텐츠 개별 작품에 대한 대중의 흥미와 관심은 단순하게 수치화된 산업계의 수익 결과만으로는 온전한 파악이 불가능하며, 그 결과에 내재된 심층적인 부분을 고려할 때에야 가능하다. 이러한 심층적인 부분은 곧 한 국가의 문화적 무의식 ― 생활습관, 행위의 규범, 판단의 기준, 느낌, 직관, 가치관 등 여러 문화적 요소들의 상호 작용 ― 이라 할 수 있는 문화코드(Culture Code)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처럼 문화콘텐츠 산업 연구는 문화코드 분석과 필연적으로 결부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한국이라는 지역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21세기는 글로벌, 글로컬 시대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만큼 문화콘텐츠 제작ㆍ유통ㆍ판매ㆍ소비의 과정이 국경을 넘어 다양한 국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세계 시장 진출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할 때에, 한국의 문화코드 분석뿐만이 아니라, 세계 각국의 문화코드를 파악하는 작업은 한국 문화콘텐츠 기획ㆍ제작ㆍ유통과 관련된 전 산업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무궁무진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 개별 문화콘텐츠 작품을 기반으로 한 문화코드 분석에 대한 논의는 있어 왔으나, 이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과 관련된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영상콘텐츠로 한정하고, 먼저 문화코드를 어떠한 방식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서사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독자적인 분석 체계를 수립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분석 방식을 한국의 영상콘텐츠, 그리고 문화 산업 교류가 활발한 미국ㆍ일본ㆍ중국의 영상콘텐츠에 대입하여 문화코드 분석 과정의 실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어 이러한 분석 방식이 적용된 문화코드 분석ㆍ추출 시스템 설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영상콘텐츠 기반 문화코드 분석ㆍ추출 시스템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문화콘텐츠 산업 전반에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문화코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에 따른 개별 영상콘텐츠 작품의 수요도를 고려하는 것은, 앞으로의 영상콘텐츠 제작과 해외 시장 진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및 실패를 최소화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public interests on individual cultural contents solely by looking at revenues or other figures provided by the industry. A deeper understanding c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underlying factors of cultural conten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se underlying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Culture Code”, which refers to an interaction of a range of behaviors, lifestyles, evaluation standards, emotions, instincts, values and other cultural elements that naturally define a nation’s culture.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is closely linked with cultural code analysis, and the focus of this field of research should not be limited to Korea. The 21st century is known as a global and “glocal” era in which production, distribution, sales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are expanding beyond national boundaries. Likewise, market penetration of cultural contents is likely to broaden even mor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is global trend, analyzing both Korean and other nations’ culture codes is critical in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ing and distributing Korean contents. Moreover, this method of analysis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ways. Although discussions regarding culture code analysis based on individual cultural contents have been common, discussions regarding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e analysis is not the case. This study focuses on i) setting video contents as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and ii) the methods by which culture codes can be analyzed. Thus, traditional narrative theories were critically examined and an independent system of analysis was developed. This method was applied to Korean video contents and tho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where cultural exchanges are actively taking place. The purpose of applying such method was to understand each country’s processes of culture code analysis. A system of analysis and extraction was developed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on which the previously mentioned method was appli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ystem need to be utilized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n addition to this process, considering the consumer demand on video contents in various areas will minimize errors and fallibilities that can occur in content production and overseas market penetration.

      • KCI등재

        자국 식품 문화코드를 내포한 수입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Huang Fei,양석준(Yang Suk Joon)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3 No.4

        식품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국가들은 자국 식품의 수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정부 또한 최근 한류를 통한 K-FOOD의 확산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한류의 영향이 미치는 지역 외의 한국 식품의 수출은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식품을 수출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수출 대상 국가의 식품 문화(food culture)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각 국가들의 식품에 대한 문화를 실제 활용하능한 전략 수준에서 연구한 결과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장 큰 수출 대상국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중국 소비자들의 식품에 대한 문화코드를 찾아보고 이러한 식품문화코드가 소비자들에게 작용하는 과정을 밝혀내며, 이를 통하여 식품문화코드의 적절한 활용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문헌 고찰을 통하여 중국인의 식품문화코드로 건강성, 유대감 형성, 식품 체험의 3가지 문화코드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코드와 외국식품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공분산구조모형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북경과 상해지역 거주 소비자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에 부실하게 응답한 24명을 제외한 282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성은 지각된 문화정체성과 태도를 통하여 외국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대감 형성은 지각된 문화정체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태도를 매개로 외국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식품 체험은 지각된 문화정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바로 태도를 매개로 외국식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식품에 대한 문화코드를 식별할 수 있음을 확인한 점, 둘째 중국의 식품 문화코드를 밝혀내었다는 점, 마지막으로 식품 문화코드와 식품에 대한 구매의도간의 매개 변수를 확인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실무자들에게 중국의 문화코드를 이해하여 보다 효율적인 식품 마케팅 전략을 구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As the food globalization progressed, many countries have interest in the export their own food to other countries. Korean government also has interest in spreading out K-food on the world. Despite of the food export effort of Korean government and Korean food companies, we can watch the slow growth of food export performance. Scholars point out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help food export is understanding the food culture of target country to export, but it is hard to find the studies on food culture code. In this study we find out the food culture code of China and also figure out how to use Chinese consumer’s culture code for export Korean food to Chinese market. Referring to previous researches, we identify Chinese food culture code – healthiness, connectedness formation and food experience. As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set the model that the factors of healthiness, connectedness formation and food experience influenced on the consumer s buying intension in mediation of th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and consumer’s attitude toward food. The hypothesis verification for the research model was carried out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consumers of Shanghai and Beijing. 306 survey data was gathered and we exclude 24 poor response survey data. Finally, we analyze 282 survey data for the prove research model.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appeared that the healthiness and connectedness formation affected positive (+) influence on th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And it is found that the food experience does not influence on th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And it was appeared that the healthiness and food experience affected positive (+)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it is found that the connectedness formation does not influence on the attitud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affect positive (+)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attitude do positive (+) influence on the buying intention of imported food. But it is found that the perceived cultural identity does not influence on the buying intention of imported food.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uld b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culture code to global marketing. Second, identifying food culture codes of Chinese consumer is the meaningful results of this study. Third finding out the mediator between the food culture code and buying intention also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very helpful to the food marketers who have interest in the export of food to China.

      • KCI등재

        아랍 문화코드 내 이슬람주의

        서정민(Seo Jeong min) 한국이슬람학회 2016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26 No.3

        Arab dramas have represented dominant popular cultural phenonenon among the Arab public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However, a thorough research on what culture codes dominate the drama serials has not attracted a great attention. Thus,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Arab dramas in order to understand what the main culture codes are represented in major drama products. This research was based on qualitative culture code approach in the analysis of collected dramas. This is because it may enable us to understand what constitutes main culture codes in the Arab public culture and visual contents. Through this analysis, Islamic or Islamism culture codes in major Arab dramas can be more scientifically measured.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are 13 Arabic dramas announced in ‘Ramadan 2015 Series List’ of www.elcinema.com.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contents of the collected drama serials on the framework of major 3 Islamic or Islamism culture codes: justice, fatalism, and communalism. Through these qualitative analysis, this study would extract to what degree these Islamic culture codes are reflected on the sample dramas.

      • KCI등재후보

        A Study on Skills of Dialogue and Compromise with Iran: Focusing on Culture and Code of Behavior

        Fatemeh YOUSEFI 한국글로벌문화학회 2022 글로벌문화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이란 문화 혹은 페르시아 전통 대한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란은 중동문명의 요람 중 하나로, 중동지역 국가이지만 아랍 문화의 일부가 아니다. 이란의 문화는 강한 가족 유대와 높은 수준의 개인주의가 역설적으로 혼합되어 있다. 동시에 전통적으로 페르시아 문화는 성취와 성과에 대한 강한 지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Richard N. Frye의 ‘Greater Iran: A 20th-Century Odyssey (2005)’에서 이러한 이란 문화 수준의 역사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이란 문화에 대한 상징의 사례와 이란 사회에서 준수해야하는 에티켓 및 관습에 대한 규칙을 조사하였고, 타협과 상호이해의 원칙을 중심으로, 이슬람 가치가 유형별로 이란 사회에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란의 문화와 전통은 복잡하고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관점에서 이란에서만 이해하고 통용되는 문화의 사회적 현상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Tarof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포함하여 고유한 문화현상, 노인 존중 및 기타 독특한 에티켓 사례를 정리하였다. The study focuses on the culture of Iran or culture of Persia, which is among the most influential in the world. Iran, also known as Persia, is widely considered to be one of the cradles of civilization. The first important fact is that Iran, while a Middle Eastern country, is not part of the Arab culture. Iran’s culture is distinguished by its seemingly paradoxical mix of strong family ties and connections and a high degree of individualism. At the same time, the culture has strong orientations toward achievement and performance. Richard N. Frye, a prominent Iranologist, stresses the high level historical impact of Iranian culture in his 2005 book Greater Iran: A 20<SUP>th</SUP>-Century Odyssey: “Iran’s glory has always been its culture” This paper explores the examples of symbols about Iranian Culture and important rules for etiquette and customs tha should be observed. Researchers demonstrate how different principles and patterns of interaction are across cultures. Iranian culture and traditions are complex and have a deep history. To sum up, I have explained about culture and traditions only understand and used in Iran, such as; Ta’rof, although exact definitions for ta’rof are difficult, as are all terms that indicate cultural institutions, respecting seniors and other interesting etiquettes and information on Iran.

      • KCI등재

        문화문식력 향상을 위한 문화코드 연구

        박인선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2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to learners who live directly in Korea, such as foreign students, married migrant women, and foreign workers, and encounte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Until now, Korean culture education was often focused on a culture that seemed superficial, and the internal value culture of Korea was limited to the traditional par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rm culture code was propos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that is, literacy, and it was proposed to analyze video data such as public interest advertisements as data that contains the meanings inherent in modern cultural phenomena and depth. As an analysis tool for analyzing the cultural code of video data, we looked into the meaning generation path model of Greimas.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과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와 같은 한국에서 직접 생활하며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부딪히게 되는 학습자에게 한국문화를 더 잘 이해시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한국문화교육은 표면적으로 보이는 문화 위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내면적인 한국의 가치문화는 전통적인 부분에 국한되어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화의 이해력, 즉 문식력 향상을 위해 문화코드라는 용어를 제시하고, 현대의 문화 현상과 심층에 내재된 의미를 담고 있는 자료로 공익광고와 같은 영상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제안하였다. 영상자료의 문화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도구로 그레마스의 의미생성경로 모델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중동 · 아랍 영화콘텐츠에 나타난 정량적 문화코드

        서정민(Seo, Jeong-Min) 한국중동학회 2012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3 No.1

        Arab film industry has prosper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However, a thorough scientific research on it has not been found. Thus,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Arab and Middle Eastern films in order to understand what the main culture codes are represented in the films. Quantitative culture code approach has enabled us to conduct more objective and reliable analysis on various cultural phenomena. This is also an attempt to quantify and standardize the emotional features of any cultural phenomenon. Through this analysis, films and other cultural contents can be more scientifically measured. This study collected the most popular 20 films between 2009 and 2011 and examined the scenarios of the films on the framework of 4 categorizations: descriptive, constructive, motive and emotive. Furthermore, this research quantified the culture codes into 6-dimensional attribute codes. Through these quantitative analysis, this paper would extract how different the Arab cultural codes are from those of the W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