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재 관리체계의 한계와 개선방안 - 유형문화재 현장 관리 조직 설치를 중심으로 -

        류호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4 No.-

        1990년대에 문화재 답사가 대중화된 후 2000년대 이후 문화재 활용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문화재가 갖는 사회적・문화적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그것을 확산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서 가치가 손상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화재나 자연재해 등으로 훼손되기도 하고, 사람에 의한 훼손도 늘어나고 있다. 문화재 도난과 도굴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계속해서 일어나는 것은 현장 관리 조직을 갖추지 못한 채 행정에만 의존하는 등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확립하지 못한 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국립공원이나 산림, 국토 등 문화재와 비슷하게 현장을 관리해야 하는 분야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현장 관리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문화재도 이제는 (가칭)문화재관리공단과 같은 조직을 설립하여 현장 관리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문화재 관리는 행정으로만 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므로, 현장 관리 조직을 확보하여 중앙행정기관(문화재청)과 지방자치단체, 현장 관리 조직 간 체계를 확립하고 각 주체의 역할과 권한 및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적 체계가 갖추어질 때 문화재 관리의 수준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문화재 관리체계가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유사 분야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Exploring the cultural heritage was popularized in the 1990s, and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olicy is being promoted in earnest in 2000s. It means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cultural heritage is newly recognized, and can be described as an effort to spread it. On the other hand, the damage to the cultural heritage is ongoing, because we do not properly manage it. Damaged by fire or natural disaster sometimes, and even damage caused by people is increasing. Stealing cultural property and illegal excavating it has not been eradicated. Underlying causes of these problems are that we only rely on government administration without having a site management organization. In the fields that need on-site management such as national parks management or forestry management, they have long been operating field organizations. We sh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sit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by establishing field organization such as Cultiral Heritage Management Corporation. We must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field organization, and clarify each subject's roles,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fter this structural system equipped,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can be enhanced to a new level.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issue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and investigated several similar cases such as National Park Management and forestry management. Finally, I tried to find efficient ways to improve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프랑스의 문화경영(cultural management) 시스템 연구: 한국형 문화경영 시스템을 위한 문화기호학적 접근

        전형연 ( Hyeong Yeon Jeon ) 한국기호학회 2012 기호학연구 Vol.32 No.-

        This study is primarily a series of semiotic analyses of the French cultural management systems employed in three stages of French cultural politic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4 main actors of the French cultural management systems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 among four elements groups as artists, public, deciders and mediators. The investigation includes conducting semiotic content analyses of aforementioned the evolution of French culture systems, as an attempt to find out the cultural management strategies to achieve differentiation and more reasonable perceptions on these three cultural systems. Building upon the finding drawn from this exploratory study, the present research proposes to discuss the more adaptative ways of strategic differentiation of the roles associated with these actors` action and mission from the view of cultural management communications. This study also deliberates about the viable directions for designing Korean cultural management systems for "Korean waves" as "K-pop" through which Korean cultures are delivered in a thoughtful and effective manner. In the results, this study tried to find that Korean deciders and producers should be looking for ways to promote their unique identity and character with public in the cultural management systems improvement and active cultural communication strategies. Therefore, we argue that these exploratory analyses can be expected to have two primary implications: the conceptualization of relationship of 4 actors groups in the Korean cultural management systems and the creation of cultural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Korean waves and Korean culture industries.

      • KCI등재

        K-pop의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전형연(Jeon, Hyeong-Yeon),송기란(Song, Kee-Ran)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6

        K-pop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신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K-pop의 열풍은 해당 가수와 기획사뿐만 아니라, 국가 및 기업이미지까지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황에서 K-pop과 관련된 연구들은 K-pop과 소비자의 관계, K-pop 경험을 통한 국가 및 기업 이미지와의 관계 등 문화경영의 각 주체 사이의 일방향적인 관계를 마케팅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왔다. 그러나 지금은 오히려 K-pop을 중심으로 문화경영의 각 주체들 사이의 전체적인 협력관계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한류문화의 지속적인 발전과 문화브랜드로서의 정착을 위한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을 구조를 수용하면서 아티스트, 공중, 결정권자, 매개자 등의 4대 주체에게 필요한 문화경영 항목을 도출하고 유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장 가능성이 무한한 K-pop 소비시장인 중국 시장의 젊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서술적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 결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각 주체 중 아티스트 차원에서는 가수 개인의 역량과 음악콘텐츠가 가지는 경쟁력, 대중문화 속성상 타 장르와의 결합을 통한 재생산성 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퍼스널 브랜드 관리, 음악적 역량 관리, 가수와 기획사 관계, 타 문화장르와의 관계 항목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공중 차원에서는 K-pop을 소비하는 공중에 대한 소비자분석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데이터화하는 작업이 중요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중의 유형화 관리, 문화적 취향 관리, 선호 문화장르 관리, 주요 활용 매체관리 등의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국가, 기업 및 연예매니지먼트 기획사 등 결정권자 차원에서의 주요 특성 항목으로는 기획사 매니지먼트 관리, 기업 브랜드 관리, 국가브랜드 관리 등이 주요 항목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개개의 기관 차원에서 보다 각 기관이 서로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적 통합관리가 중요함을 역설해주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K-pop 등의 문화를 전달해 주는 매개자 차원에서는 미디어 매개자 관리, 콘텐츠 매개자 관리, 주변인 매개자 관리 같은 주요한 특성 항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의 4대 주체 사이의 협력관계 구조의 핵심을 파악하고 이의 도식화를 시도하여 향후 한국형 문화경영 협력 시스템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Currently, K-pop is sweeping over the world with the New Hanwave (New Korean Wave), and K-pop fever is not only positively influencing the singers and their entertainment agency, but also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s well. With this phenomena, K-pop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dealing with uni-directional relationship among four element groups in marketing perspective, for example, studying relationship between K-pop and consumers, and correlations between K-pop and the government and corporate images. However, at this point, it is imperative to have cultural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that can facilita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Hanwave culture and cultural brand settlement by understanding the comprehensiv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four element groups through K-pop.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generate and classify cultural management items that are necessary to four element groups -artists, public, deciders, and mediators-, while accepting the ‘cultural management system’ from the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using narrative questionnaire, the current study surveyed young consumers in China where extensibility of K-pop consumption is infinitive. The consequen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study. Before everything els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among the element groups in 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competence of the individual, the competitiveness of music contents, and the reproductivity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genr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ems were generated pertaining to management of personal brand, management of musical compet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inger and the agency, and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al genre. In terms of public,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stently gather data and keep up with consumer analysis related to publics who consumes K-pop. Based on these results, items were generated for public typology management, cultural tastes management, preferred cultural genre management, and major applicatory media management. Moreov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items in deciders -nation, corporation, and entertainment agency- included managing agency management, management of corporations brand management, nation brand management, and strategic integration management. These major items emphasized how strategic integration management that maximizes the synergy between each organization is important compared to each organization itself. Lastly, in terms of mediators that deliver K-pop culture, major items such as media mediator management, contents mediator management, and peer mediators management were gener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ent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and schematize the core relationship structure among the four element groups in cultural management system.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studies that will research on Korean cultur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

        세계유산과 연계한 문화재 보존관리체계의 대안적 구축방안 -보존관리구역 구성체계와 공간적 범위 설정문제를 중심으로-

        이경찬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3

        본 연구는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과정에서 문화유산 보존관리체계의 골격을 형성하는 보존관리구역 구성체계와 공간적 범위 설정문제를 중심으로 제기되었던 다양한 쟁점사항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문화유산 보존관리체계의 대안적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한국에서의 문화재에 대한 보존관리체계는 『문화재보호법』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문화재구역, 문화재보호구역,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을 근간으로 운용된다. 반면에 『세계유산 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에서는 유산구역, 완충구역 그리고 주변 환경 등을 근간으로 유산 보존관리체계가 운용되고 있다. 세계유산 보존관리체계와 관련하여 국내 『문화재보호법』은 매우 합리적이며 선진적인 문화재 보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구역 세분화와 연계하여 문화재구역과 보호구역,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에 대한 명확하고 합리적인 성격을 부여하는 한편, 단편적인 규제 중심의 관리체계가 아닌 문화재구역과 보호구역, 역사문화환경을 일체화한 종합적, 계획적 시각에 입각한 운영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lternative conservation & management system of cultural properties focusing on the conservation & management zone configuration system and spatial range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For the study, various issues discussed in conservation & management planning for world heritage listing of Baekje Historic Areas were used as examples. In Korea, Protection Law of Cultural Properties(PLCP) provides the conservation & management system based on Designated Cultural Assets Area(DCAA),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rea(CPPA) and Historical &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HCECA). In th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provides the conservation & management system based on property zone(PZ), buffer zone(BZ) and broader setting. With regard to the World Heritage Conserv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PZ, BZ and the broader setting, the PLCP's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have very advanced and rational systems. However, in order to utilize these advantage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zone and to secure the operational flexibility through the area segmentation and build comprehensive vision-base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 KCI등재후보

        조직문화에 따른 관리통제시스템의 유형과 조직성과간의 관계

        박현일,강호영,이원기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4 No.4

        Regarding approaches to management control systems, advanced research has focused on individual control tools rather than the types of them from the systemic perspective. In order to maximiz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however, it will be needed to approach them from the systemic perspective, that is, what connects them organically instead of focusing on individual processes separately.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 based on organization culture, the situational variable, and analyzes how organizational performances differ by the types of th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types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 are not classified characteristically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Moreover, the results found by classifying the types with the individual control tools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 are also the same. This can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the practice that manufacturing firms of which size is over a certain level constantly imitate and apply the management control tools of the other companies which they consider to be helpful for attaining their own goals. But regardless of the similarity of management control systems getting higher, organizational performances grow higher only when each of the control tools shows higher appropriateness. Above findings provide an implication that when designing a management control system, it is needed to focus on the appropriateness of each individual management control tool and approach it with a systemic perspective in order to achieve their organizational goals more effectively 선행연구들은 관리통제시스템의 접근방법에서 시스템적인 관점에서의 유형별 접근이 아닌 개별 통제도구들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프로세스 각각에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시스템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황변수인 조직문화를 기준으로 관리통제시스템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조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조직문화에 따라서 관리통제시스템의 유형이 특징적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리통제시스템의 개별 통제도구들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한 결과들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에 속한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들이 목표달성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는 타 기업들의 관리통제도구들을 끊임없이 모방하고, 적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관리통제시스템의 유사성이 높아졌다 하더라도 각각의 통제도구들이 높은 적합성을 가질 때 기업들의 조직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관리통제시스템을 설계할 때 각 관리통제 도구들의 적합성에 초점을 두고 하나의 시스템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경영자 리더십, 조직문화, 성과관리시스템 수립정도간의 관계분석

        박기석(Gi-Seok Park),배병한(Byung-Han Ba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6

        본 연구는 경영자 리더십유형과 조직문화, 성과관리시스템 수립정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지원문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문화와 관료문화가 성과관리시스템의 수립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지원문화성격과 관료문화성격이 높을수록 성과관리시스템의 수립정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거래적 리더십이 성과관리시스템의 수립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자 리더십유형이 강할수록 높은 정도의 성과관리시스템이 수립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과관리시스템의 수립정도에 따른 경영성과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개별적인 리더십유형, 조직문화가 우수하다고 판단하기 보다는 각각의 조직 형태와 환경, 구성원의 특성에 맞는 조직문화와 리더십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경영자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바탕위에서 성과관리시스템이 수립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가 경영자 리더십과 조직문화, 성과관리시스템 수립정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함에 있어 그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통합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의 적용과 변수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Types,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o, achieve the this purpose I investigated whether Organizational Culture is significant effected by Leadership Types and whethe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s significant effected by Leadership Types and Corporate Cultur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eadership Types are effect partially presented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firms who have the higher Leadership Types are partially higher than lower Leadership Types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is effect partially presented o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nd, Leadership Types are effect partially presented on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inall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was effected on firm"s performances and firms who have the highe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re higher than lowe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n the firm"s performances.

      • 국가 및 시·도 무형문화재 제도 운영의 성과와 과제-지정 제도 및 지정 현황을 중심으로-

        이재필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5

        Under a changing policy environment, with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applications for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pplications, changes to the national and city/do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systems due to the enactment of the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ct」, and the voices of concern that point out the uselessness of the national and city/dodesignation systems, this paper looks to review and seek ways to improve the current national and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s.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motion Act」 in 1962, there have been 140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569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rom 17 city/dolocalities that have been designated. The designation of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greatly increased after the local self-governing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early 1990s. Of the seven field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ditional performance·art, and traditionalskill fields takes up the lion’s share, with 69% (97 items) at the national level, and 71% (406 items)at the city/do level. However, traditional skills remain one of the least transmitted items, sincethere are only a few transmitters compared to the its high proportion. A single national intangiblecultural heritage are being designated as multiple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tending itbeyond its region. With weakening regionalities and increasing symbolism, there are items beingtransmitted in regional units that hold regional characteristics, mainly for group items. At national and city/do levels, a system of transmitting is being established, with the centralcarrier branching out to transmit education assistants, then to recipients. The transmissionsystem is pyramid shaped, with the recipients at the lowest level being the most numerous, andthe pyramid becoming narrower as it goes up to the transmitter. The city/do intangible culturalheritage also has the same shape.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and city/do levels are more organic than exclusive in that theitems and transmitters can move from one to another to create more opportunities to transmit.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re is active movement between city/do transmitters (carriers,transmission education assistants) of national transmitters (transmission education assistant,recipient) indicates that fosteri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nsmitters will improve thetransmission of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re are some inadequacies in the system that require urgent attention. First,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standards that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uniquelyfit the localities must be established. With this, the government must also move away from theexisting cubicle-styl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s, and seek a way to operate the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on a grander scale, that included designation standards andpass down systems that encompass city/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are now faced with changing aspect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ompletediscontinuation of transmissions, and ‘post-management’ after designation is key. Thegovernment’s response is to enac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and establish the NationalIntangible Heritage Center. In the future, it should focus on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with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To this end, the localities’s organization and financialconditions must be improved, while the government must be willing to work on policies, includingrevising related regulations. 이 글은 빈번해지고 있는 시·도무형문화재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신청, 「무형문화재법」 제정에 따른 국가와 시·도의 지정 체계 변화, 국가와 시·도 지정 체계의 무용론 제기 등 정책의 상황 변화에 대하여 국가와 시·도 무형문화재 제도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지금까지 국가무형문화재 140건, 17개 지자체 시·도무형문화재 569건이 지정되었다. 시·도무형문화재는 1990년대 초 지방자치제의 시행에 따라 지정 건수가 대폭 확대되었다. 무형문화재 7개 범주 중에서 전통적 공연·예술, 전통기술 분야가 국가무형문화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69%(97건), 시·도무형문화재는 71%(406건)로 압도적으로 많다. 다만, 전통기술 분야는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매우 적은 전승자가 활동하고 있어 전승이 가장 취약한 분야에 머물고 있다. 하나의 국가 종목이여러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됨에 따라 지역을 넘는 확장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렇게 지역성이 약해지고 상징성만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단체종목 중심으로 지역적 특성을 간직한 채 지역단위에서 전승하고 있다. 국가와 시·도는 보유자를 중심으로 전수교육조교, 이수자로 이어지는 전승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기층의 이수자 수가 많고 보유자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피라미드형 전승 구조이며, 시·도무형문화재 역시 같은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가와 시·도는 배타적 영역이라기보다는 종목 및 전승자 간 이동을 통해 전승의 기회가 확대되는 유기적 관계에 가깝다. 특히 국가 전승자(전수교육조교, 이수자)의 시·도 전승자(보유자, 전수교육조교) 간 이동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볼 때,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양성이 곧 시·도무형문화재 전승 활성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미비한 부분에 대한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 우선 대부분의 지자체가 사용하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기준 대신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지자체 고유의 무형문화재 지정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정부 역시 기존 칸막이형 보존관리 방식에 탈피하여, 시·도무형문화재를 포함하여 지정 기준 및 전승 체계등을 담은 거시적인 무형문화재 제도 운영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지금 무형문화재의 변화와 전승 단절의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지정 이후의 ‘사후관리’에 주목해야 한다. 정부는 「무형문화재법」 제정과 국립무형유산원 설립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앞으로는지자체, 민간과의 협력과 소통에 주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 확충, 재정 여건 개선 등 지자체의 역량 강화는 물론 정부 차원의 관련 규정 개정 등 적극적인 정책 의지가 필요하다.

      • KCI등재

        보존 대상 문화재의 범위 확장과 등록문화재 제도 개선

        류호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1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산물로 보존하고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을 문화 재라고 한다. 가치가 있는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문화재 지정․등록 제도를 도 입해서 운영해왔다. 법적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을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다. 그런데 문화재 관리와 보호를 적극화하면서 대상 문화재의 범위를 점차 넓히고 있다. 근현대 시기에 형성된 것들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현재의 문화재 지정․등록 제도는 적어도 50년 이상 된 것들로 그 대상을 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한계 를 보완하기 위해 예비문화재 제도 도입을 검토해왔고, 서울특별시 등에서는 미래 유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예비문화재 제도나 미래유산 제도는 그것을 문화재로 지정하거나 등록하는 것이 아니어서 강제력을 가질 수 없다. 사실상 목 록화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실효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근현대 문화재까지 포괄하도록 등록문화재 제도를 확대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선결 조건이 있는데, 이로 인해 재산권을 침해 하지 않게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재원이 문화재보호기금이다. 이러한 제도 보완을 통해 보존 대상 문화재의 범위를 넓히고 관리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t is said that cultural heritages are worth preserving and utilizing as products that have been inherited from the past. In order to protect valuable cultural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and operated. Such systems are intended to clarify what needs to be legally protected. Modern or contemporary heritages are typical examples of this. However,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is limited to those that are at least 50 years old. By actively managing and protecting cultural properties, it is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of the target cultural properties. Although it has attempted to protect the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times, the current design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of cultural heritages is limited to those that are at least 50 years old.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the government has considered introducing a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everal local governments are operating a future heritage system. However, the preliminary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future heritage system do not designate or register it as cultural property. It is a system that expects the owners of cultural assets to preserve and manage autonomously,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y cannot take compulsory measures necessary to protect cultural assets. In fact, it can be called cataloging,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effectiveness.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shall be expanded to cover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s. There is a prerequisite for this, which prevents infringement of private property right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Fund may be utilized here. These system supplements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관리통제시스템에 의한 동기부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현일,강호영,이원기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6

        Previous studies only considered situation variables, including external surroundings, organizational strategy,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basis of contingency theory when designing an effective MCS(management control system). However, if MCS's immediate objective is motivating the employees to accomplish the organization's goal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organization's vision and strategy, the actual influence of MCS on the motivation should be confirmed in the designing stage of MCS, and the influence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situational variables. If MCS works properly through the design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align the actions of the employees toward the desired direction, and it heightens the possibility of accomplishing the organization's goal. As mentioned abov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if management control system is able to give motivation to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which is considered as a behavioral response. Furthermore, we also conducted a research to find out whether motivating the members can affect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Variables such as action control, result control, compensation system, and personnel control suggested by Widener(2004) are modified and used on MSC in this study. Dominant organizational culture suggested in Henri's study (2006a) is used as situational variable. Motivation is divided into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includes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e assumed that the companies that established and have been utilizing various MCS components maintain certain scale. Therefore, we selected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the sales exceeding USD 50 million and the number of employees exceeding 100 as a sample group. The study results of analysi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summarized as follows. Organizational culture set as situational variable in this study represent certain degree of flexibility value orientation; however, the analysis result came out differently that all MCS components have positiv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culture. This explains that various MCS components are used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that pursue flexibility value. Among action control, result control and compensation system that are expected to be related with extrinsic motivation, all except behavioral control are proved to be related to extrinsic motivation. We learned that MCS has an influence on extrinsic motivation when employees are given with goals to accomplish and rewarded with an appropriate compensation. Positiv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s also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personnel control. It suggests that granting capability and confidence to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s a very good way to provide intrinsic motivation. And, we found that both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generated by management control system has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non-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organization can achieve improvement in financial performance by improving non-financial performance. Since motivation formed by the influence of MCS is clos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motivation which is a behavioral response should be considered with a great importance when designing MCS. 리통제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행동이 실제로 조직이 추구하는 방향으로 유발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관리통제시스템의 설계에서 상황변수와의 적합성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관리통제시스템이 조직구성원의 행동적 반응인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동기부여가 조직성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결고리의 검증을 통해 관리통제시스템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거쳐 성과를 창출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분석결과를 보면, 본 논문에서 상황변수로 고려한 조직문화는 유연성가치 지향정도를 나타내는데 가설설정과 달리 모든 관리통제시스템의 구성요소에 유의한 정(+)의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연성가치를 지향하는 조직문화 환경에서 다양한 관리통제시스템이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관리통제시스템과 동기부여의 관계를 보면 외재적 동기부여와 관련성을 예상한 행동통제, 성과통제, 보상시스템 중 행동통제를 제외한 모든 관리통제시스템에서 외재적 동기부여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에서 구성원들에게 달성해야 할 목표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보상을 하는 경우에는 외재적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재적 동기부여와 인적통제의 관계에서도 유의한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조직구성원에게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역량감을 부여하는 것이 내적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라는 것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관리통제시스템을 통해 부여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비재무적 성과와 유의한 정(+)의 인과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재무적 성과의 개선을 통해 재무적 성과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관리통제시스템을 통해 부여된 동기가 조직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관리통제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행동적 반응인 동기부여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경영시스템에 대한 서구 문화주의 관점 연구

        강영걸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1

        일본경영시스템의 원류에 대해서는 문화주의적 관점과 수렴적 관점의 두 개의 관점이 존재한다. 이 논문은 일본문화가 어떻게 일본경영시스템에 어떻게 녹아들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문화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일본경영시스템의 출현에 영향을 미친 일본문화의 특징이라는 것이 사실은 일본문화의 특징이 아니라 동아시아 문화의 공통적인 특징이라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일본문화의 특징을 좀더 명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문화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은 먼저 했어야 한다. 일본의 어떻게 한국이나 중국보다 먼저 산업화를 이룩할 수 있었는가? 한국, 일본, 중국은 한자문화권에 속하고, 유교, 불교, 도교 같은 비슷한 종교를 믿고, 서로 비슷한 언어권에 속하고 있다. 일본문화의 특징은 ``우치``와 ``오타쿠``라는 이분법, 환경에 대한 적응성, 문장 문화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일본경영시스템의 특징은 서구인들이 일본적이라고 부르는 것보다 위의 세 가지 특징과 연결되어 있다. There are two approaches in interpreting the rise of the Japanese management system. One is the culturalist approach and the other is the convergence approach. This paper discusses how Japanese culture has been interwoven with the Japanese management system and argues that, since the culturalist have misunderstood the real nature of Japanese culture, som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attributable to the rise of the Japanese management system are, in most cases, the features that East Asian cultures share in common. In order to grasp the clear picture of Japanese culture, the culturalist should rather have raised such a question: "why could Japanese have been industrialized ahead of Korea and China, which had been using the same Chinese characters, having similar religion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speaking similar branches of languages?" As the uniqueness of Japanese culture could be found in their dichotomous perception of "uchi" and "otaku", its adaptability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an emblem culture, the Japanese management system may be associated with those three distinctive aspects of Japanese culture rather than those features which the westerners regarded as "Japa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