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S대 교과기반 평가(CEA) 사례를 중심으로

        강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turn of the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in which both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nnovation have accelerated. Changes in the era and social needs have led to inevitable shifts i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educa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 signal that shows that the function and role of education also need to be changed. Despite the criticism that it is being developed as a sort of trendy, educational discourse without sufficient reflec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large part due to its substantive character. As a result, the methodology of how to implement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ecomes importa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the attempt to set the learner's competency development as the core value of education, design and operate the curriculum, evaluate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set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To be sure, there is no curriculum that does not require some improvement or modification. Improvement is based on evaluation. This is why we need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any given curriculum. Competency-based assessments in course units serve as a mechanism for continually improving the curriculum. This is why we have course embedded assessments of competenci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e for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This paper is a kind of case study, which will take into account lecture design,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improvement plan (CQI) for the evaluatio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introduce conceptual models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a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long with the competency-based courses improvement process based on the ADDIE model. Next, evaluation and improvement cases of competency-based courses are introduced. The case study consists of analyzing and designing the operation of the course,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deriving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lecture.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면서 등장한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지식이나 정보의전수에서 기존 지식이나 정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으로 변화될 필요가있음을 보여주는 시그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위한 조건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측면에서 교과기반 평가, 즉 CEA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량 형성을 교육의 핵심가치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하고, 설정된 역량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여 교육의질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교과목 단위에서 관련 핵심 역량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취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의운영과 개선에 반영하는데 있다.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도 무시할 수는 없으나 역량기반 교육은실체적 성격을 띠며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역량 기반 교육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갈것인가 하는 방법론이 중요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기반 평가를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보고,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CEA 모델을 참고하여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수업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초한 교과목 학습목표 중심의 평가, 즉 CEA에 기초한역량기반 교양교육 운영 사례(practice)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운영에 기초한 개선의 사례로서 미국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교과목 기반 역량평가 소개, 서울소재S대학에서 2017년 2학기부터 시도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운영 및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역량 기반교양 교과목 수업설계, 평가방법, 개선안 도출방안에 대한 소개, CEA 적용 교과목 담당 교수의 인식조사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마다 상황이 다르므로 대학에 맞는 역량 기반 교양 교과목설계 및 운영 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육의실행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 KCI등재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백승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3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is a mainstream at university these days. This paper hopes to expose as fully as possible some of the problems implemented by most universities in their pursuit of providing a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This paper also hopes to course correct the direction that core competency-based liberals arts education is taking.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adopted by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rogram for colleges. Following the ACE Project, the Ministry of Education now promotes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a policy index upon the diagnosis of a college’s fundamental competency. But competency-based education derived from external goals has created some problems, including the use of certain slogans, catch phrases, match-ups, formalism, an ideology for blind quantitative measurement, etc. In order to improve cor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it should first be internally justified; a 21st-century educational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by reflecting a core competency model; educa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on which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re integrated, should be universalized, and finally; changes in the very being of a person should be pursued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and mastery of the humanities.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should not be just another form of distortion that harms the ident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disturbs its normalization.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이 대세다. 이 글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문제점을 최대한 노출하면서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를 도출하고 나아가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핵심역량은 정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에 의해서 도입되었다. 교육부는 ACE 사업에 이어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역량기반교육을 정책지표로 유도하고 있다. 외재적 목적에 의한 역량교육은 캐치프레이즈식, 짜맞추기식, 형식주의, 측정주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을 내재적으로 정당화하고, 핵심역량 모델의 진화를 반영한 21세기 교육 프레임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인성, 지성, 역량이 균형있게 융합된 교육 체험 및 학습 경험을 보편화하고, 학생 개개인의 문리의 터득과 내공에 근거하는 존재의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핵심역량이 교양교육의 정체성을 훼손하고 정상화를 훼방 놓는 또 다른 왜곡이 되어서는 안 된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교육’의 의미와 적용 타당성에 대한 고찰

        조남민(Cho, Nam Min),손달임(Shon, Dal Lim),황미경(Hwang, Mi Kye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가의 교육정책으로서 역량기반교육은 타당성을 갖는지, 둘째, 역량기반교육 이 대학의 교양교육에 적용 가능한지, 셋째,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교양교육을 담당한 구성원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논하는 데 있다. 우선, ‘역량’의 정의는 조직에 속한 개인의 구체적인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에서 기원했으 며, 이와 같이 조직의 전략적 측면에서 고려된 ‘역량’은 OECD의 ‘DeSeCo Project’, EU의 ‘Key Competences’ 합의, 미국의 P21 위원회의 21세기 핵심역량 제안 등에서 인간의 ‘성공적인 삶’에 필수적인 요소로 그 개념이 확장되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이 목표로 하는 ‘경제성장’, 혹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이 갖추어야 할 능력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리고 핵심역량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국 정부는 공교육에 있어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편 작업을 시행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초⋅중⋅고등 학교 및 대학 교육도 투입(input)과 산출(output), 즉 수치화된 교육적 효과나 취업 등의 결과를 목표로 하게 되었다. 둘째, 이러한 사실은 국내외 대학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적용한 사례들을 통해 뒷받침된다. 외국의 경우 핵심역량 기반 교육이 순수 학문이나 교양⋅예술 분야가 아닌 실용적⋅전문적 분야에 선택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이를 실시하더라도 대학에 상당한 자율성을 부여하 고 있었고 운영에 필요한 지원을 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한국과는 사정이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 결과 본 조사의 응답자들은 각 대학이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교과목에 대한 핵심역량을 매핑할 때 교수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못했기 때문에 교수-학습 과정이나 성취도 평가 과정에 적용하기 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역량기반교육이 현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는 바가 있고, 전공 영역이나 도구적⋅실용적⋅전문적 특성을 갖는 특정 교과에 적용하는 것은 효과를 기대할 만하지만, 인문사회 영역을 포함한 교양 영역 전체에 일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역량기반교육이 특정 분야에 한하여 효과적일 수 있으나 인문⋅사회⋅예술 등을 포함한 교양교육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 방안이 될 수는 없으며, 더 나아가 공교육과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의 교육정책으로서 타당하지 않다는 사실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음을 이론적 측면, 사례 분석, 인식 조사 등의 근거 제시를 통해 밝혔다. This study will discuss three topics. First, whether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a national educational policy has validity, second, i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pplicable to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hird, how members in charge of liberal arts education perceive competency-based education. First,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definition of competency originated from evaluating the specific job performance ability of individuals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In this way, the concept of “competency” considered in the strategic aspect of the organization has expanded to be essential to a person’s “success in life” according to the OECD s “DeCo Project,” the EU s “Key Components” agreement, and the US P21 Committee s proposal for the 21st century. Based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public education, and accordingly aimed at the input and output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that is, it quantified educational effects and employment rates. Second, this fact was supported through exampl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s 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selectively applied to practical and professional fields rather than pure learning and liberal arts. Even if it i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t is given considerable autonomy within universities and plays a role in providing necessary suppor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amples found in Korea. Thir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university instructors. As a result of the survey, respondents of this survey recognized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competency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r achievement evaluation process because each university did not sufficiently collect opinions from instructors when setting core competencies and mapping core competencies for their subjects. In addi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current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specific subjects with instrumental, practical, and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expecting too much for it to be applied to the entire liberal arts area.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can be effective only in certain fields, but it cannot be an educational method encompassing liberal arts education, including the humanities, society, and the art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that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not appropriate as a government’s policy for public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theoretical approach, case studies, and perception surveys.

      • KCI등재

        핵심역량기반 프랑스 유아교육과정 개혁의 시사점

        이화도(Lee, hwa-d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부터 시작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혁의 성공적 사례를 보이는 프랑스의 유아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목적,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프랑스는 2005년 법령을 통해 최근 OECD가 규정한 핵심역량개념에 근거한 기본학습능력(socle commun)이 모든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원리임을 밝힌 이후, 교육과정뿐 아니라 교육전반에 걸친 개혁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오랫동안 유아공교육체제를 이루고 있는 프랑스는 유아교육에서부터 시작되는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성공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역량개념에 근거한 프랑스 유아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개혁은 유아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역량 기반 유치원 교육과정의 논의는 평가체계뿐 아니라 교육전반에 걸친 변화를 요구한다. 셋째, 역량의 개념은 지식(competences), 능력(capacites), 태도(attitudes)측면의 총체적 개념으로 접근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혁은 유아교육의 특성과 함께 논의 실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혁이 모든 교육단계에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의 특성, 교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적용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최근 유아공교육화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하는 한국유아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France, which is successfu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arting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n to explore the purpose and meaning of competency- based curriculum based on this. France has pursued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throughout education since France announced that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y recently regulated by OECD is the basic principle of all education courses configuration on the basis of legislation in 2005. France, which has early childhood public education system from long time ago, has presented a successful model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starting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erive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French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First,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reform should begin from the stag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discussion 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needs not only the rating system but also the changes across the education. Third, the concept of competence should be approached as a holistic concept in the aspects of competences, capacites and attitudes. Fourth,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 should be discussed and ru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is an example showing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 should be applied flexibly in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ge and the subject, rather than equally to all levels of education, an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put an effort on building early childhood public education system these days.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기독교대안학교의 미래 역량교육에 관한 연구

        함영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3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4

        Competency means 'the ability to do something',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means 'the process of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mpetency'.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generally implemented in general education. However,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not yet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n particular, it has not been established academically on what competencies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provide in comm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Christian education are related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ducted by Christian universities. Research related to competency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s mainly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or the ideology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other words, there are few specific studies on what kind of competency they provide to students attending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conduct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using Delphi analysis techniques. Through this study, four goals and 20 competency elements of competency education pursu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ere found. By categorizing the goals and elements of competency education, it can be divided into relationships with God, relationships with oneself,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 world.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should provide education that pursues the universal purpose of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specificity and reflect the goals and elements of competenc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미국 역량중심 교육정책 분석과 국내 역량중심교육에 대한 시사점

        류태호 ( Taeho Yu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역량중심교육은 최근 미국 교육계에 큰 화두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내에서 역량중심교육을 활발히 적용하고 있는 뉴햄프셔, 오하이오, 일리노이, 플로리다, 미시건, 유타, 네바다, 아이다호 주 등 8개 주의 교육정책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에서 역량중심교육을 도입하는데 있어 고려할 만한 5가지 시사점을 제시했다. 첫째, 교육부에서 먼저 역량중심교육에 대해 이해하고 역량중심교육 시범학교를 선정해 정책자금을 지원하거나 학점제도 운영에 대해 일선 학교에 자율권을 제공해서 일선 학교에서 학생들을 위한 보다 나은 교육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보장을 해주는 것. 둘째, 어느 한순간 정책적 변화를 통해 갑자기 모든 학교에서 역량중심교육을 시행하도록 강제하기 보다는 시범학교를 선정해 3~5년간 시범 운영하면서 학계와 연계해 한국형 역량중심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해 나가는 것. 셋째, 하위 수준의 수업 내용에 대해 숙달하고 수업에 재미와 흥미를 갖고 상위 단계의 수업을 듣는 것이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학습경험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 넷째, 평가방식을 다각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교사와 학생들이 역량중심 평가와 학력중심 평가에 대한 부담을 2배로 지게 하지 않도록 적절히 조율하는 것. 다섯째, 역량중심교육을 채택하고 적용하기에 앞서 학생들에게 개인 맞춤형 학습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다.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one of the hot topics in the field of the US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five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US Competency-based education policies in eight states (i.e. New Hampshire, Ohio, Illinois, Florida, Michigan, Utah, Nevada, Idaho).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underst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establish a pilot program to help local schools to adapt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eir schools using the government gra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do a series of research to develop Korean model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implementing a pilot program for 3-5 years. Third,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conduct a national-wide awareness campaign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ou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establish multiple measures to determine students’ mastery of concepts or competencies. Last but not least,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confirm that local schools are ready to provide personalized learning for the individual students.

      • KCI등재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손승남,김인영,송하석,이재성,최예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nature of core competencies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 hot topic among universities due to the upcoming nationwide evaluation of universities in 2021 calle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Five expert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hich was designed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and conducted a group discussion. The main agendas of the group discussion were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desig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and possibilitie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This study makes clear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inherent in the competency discourse that affect university education. The emphasis on competencies in university education reflects the reality that universities are not free from state and market forces within a neoliberal market economy.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liberal education. Core competen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overall framework of university education and consist of sub-elements that represent its features. For a successful adop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liberal education, evaluation of th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liberal education, mapping of the curriculum and liberal subjects based on basic studies(Grundwissenschaft) are recommendable. There is a need for a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connects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evaluation. We propose that despite how incompatible the concepts of competency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appear to be, the more faithful we are to the spirit of liberal education, which cultivates general competence, the more synergy it will bring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and its members. 이 글의 목적은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을 앞두고 대학교육의 화두가 되고 있는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의 본질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초점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두고 교양교육 전문가 5인의 집단토론과 주제에 대한 분석, 해석, 비판, 종합을시도하였다. 토론의 중심의제로 삼았던 내용은 역량과 핵심역량 개념의 의미, 역량기반 교육의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배경과 맥락,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발,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수용가능성, 대학 교양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실현 방안 등이었다. 연구결과 우리는 역량담론이 대학교육에 줄 수 있는 한계와 가능성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되었다. 대학교육에서의 역량 강조는 분명 신자유주의적 시장 경제 내에서 대학이 국가와 시장의 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현재의 대학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심역량과 교양교육의 올바른 관계 설정을 위해 핵심역량을 교양교육에 한정지을 것이 아니라 대학교육의 전체적 틀과연관지어 설정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 때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는 범주별로 제대로 정합성을 갖추어야 한다. 비판적 관점을 넘어 우리는 사안을 실용적 관점에서도 살펴보았다. 역량기반 교육을 교양교육에수용할 경우에 각 대학은 교양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목표 설정에서부터 기초학문에 근거한 교육과정 매핑과 교양 교과목의 구성, 자유교육의 기반에서 학습성과를 진단하고 환류로 연계하는 체계적인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역량교육과 교양교육이 양립하기 힘들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는역설적으로 일반역량을 기르는 교양교육 본연의 정신에 충실할수록 대학과 대학구성원의 역량 함양에도시너지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역량기반 치의학교육의 개념과 교육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 ADEA의 역량 규정을 중심으로

        박보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1

        'Competency' has become a substantial and a global key-word for redefining and reforming the professional education, so it's very urgent to understand the concept, viewpoint, and peculiarit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So the researcher tried to review the basic discussions on the competency-based dental education based on the competency profile of ADEA. Competency-based education starts with the definition of the profession and competencies which the profession must have. In view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 general dentist must have the competency of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skills, Practice management and informatics, and patient care. In order to implement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goal, the contents, the way, the evaluation of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and reformed. Competency-based dental education has the educational meaning because it can make a person realize their professional potentiality fully and make him/her contribute to the society through the self-realization. 본 연구는 ADEA(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의 역량 규정을 중심으로 하여 역량기반 치의학교육(competency-based dental education)의 개념과 교육철학적 의미에 대한 기초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역량기반교육이란 전문직업인의 본질적 역할을 정의하고, 그 역할을 실제로 수행하기 위한 역량을 규정하고, 규정된 역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통하여 학습자를 교육하고, 역량 평가에 적합한 평가 방식을 통하여 교육의 결과를 평가하는 교육이다. 역량 있는 전문직업인의 양성을 위하여 치과대학이나 치의학전문대학원은 졸업생들이 비판적 사고, 전문직업정신, 의사소통능력, 정보의 수집과 관리능력, 진단과 치료계획, 진료의 기술과 같은 치과의사의 역량을 갖추도록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쇄신할 필요가 있다. 역량기반 치의학교육이 지닌 교육철학적 의미는 한 개인의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과 사회에 대한 기여 사이의 연결고리를 형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역량기반 교육’ 개념체제의 이해와 조건 탐색을 통한 과제 제시

        허지원(HEO, Jiwo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1

        기존의 ‘역량기반 교육’ 연구는 ‘역량’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깊은 이해를 보여주지만 ‘교육’에 대해서는 논의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역량기반 교육’을 그대로 나열하면 ‘역량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을 올바로 이해하려면 ‘역량’의 탐색과 더불어 ‘교육’의 의미도 균형 있게 탐색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량기반 교육’ 개념의 부실화 문제를 지적하고 내실화를 위한 조건 제시를 연구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고, 그 대장정의 과정을 크게 두 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는, ‘역량’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역량기반 교육’의 개념체제 분석과 그에 대한 교육관의 비판적 고찰이고, 그 결과를 논의의 기초로 삼아 두 번째 단계에서 ‘교육’을 중심에 둔 균형 있는 ‘역량기반 교육’의 본질을 탐구하여 최종적으로 ‘역량기반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고는 서막에 해당하는 첫 번째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글이다. 직업현장에서 출발한 다소 산발적인 ‘역량기반 교육’의 개념 정의 다섯 가지-지식기반사회, 행동주의 목표, 핵심역량, 커리큘럼, 직업세계의 요구-를 간결·명료하게 제시하였고, 난맥상의 교육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연구과제인 ‘역량기반 교육’에 내재된 ‘교육’의 본질 탐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Exis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studies show a relatively deep understanding of competence, but there is no trace of discussion about education. I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listed as it is, it is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mpetence . Therefore, to underst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correctly,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meaning of education in a balanced manner as well as the search for competence .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 of insolvency of this concep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made conditions for internaliz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and divided the process of the long journey into two main stages. The first phase is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conceptual framework analysi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its outcome as a basis for discussion, which aims to explore the nature of balanced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corresponding to the prelud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cisely and clearly presente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a somewhat sporadic competency-based education starting from the vocational field, and critically considered the chaotic view of education, suggesting the need to explore the essence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 탐색

        이경호 ( Kyoung Ho Lee ),안선회 ( Sun Hoi An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동시에 여전히 지식전달 위주의 근대적 교육체제가 갖고 있는 일련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competency-based education)”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교육적 과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역량의 개념과 역량 프레임 워크(frame-work), 그리고 역량기반 교육 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Cooper 등이 제안하고 있는 4차원 정책분석모형을 토대로 역량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와 정책적 방안들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기반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과제를 살펴보면, 규범적 차원에서는 학습자중심 교육, 역량중심 인간상 구현, 공공의식과 자기주도성 및 창의성 함양이며, 구조적 차원에서는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선발과정, 교육체제, 그리고 교사교육 시스템의 재구조화이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사, 교육행정가, 학습자, 그리고 학부모의 역할 변화이며,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 개선, 평가방법의 개선, 그리고 교육역량중심의 컨설팅 강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educational tasks to revitalize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the OECD redefined key competencies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in a well-functioning society, many countries have emphasized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rst, the definition and the frame-work of competency was examined. Secondly, the ways to revitalize competency-base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suggested, based on the Cooper`s four dimensions(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 and descriptive dimension) of educational policy theor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oal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should be directed to nurture the civic mindedness, personal growth initiative and creativity and emphasize on the learner & competency-centered education in the normative perspective. Secondly, the system of the current curriculum, selection, teacher-training should be changed to put emphasis on competencies in the structural perspective. Thirdly, the competency based education necessitates a shift in stakeholders` roles, namely teachers`, administrators`, learners`, and parents` roles, in the constituent perspective. Finally,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needs a change in the curriculum, evaluation, and consulting system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ies in the descriptive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