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교육과 논어교육의 지평 융합

        백승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2

        Fusion of Liberal Education and the Analects of Confucius Paek, Seung Su(Gacho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should be deepened and broadened. This paper seeks to harmonize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general education, which have led the education in the East and West for the past twentyfive centuries as primitive forms of education. Through such fusion of horizons, the author seeks a new paradigm in general education with ‘Analects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as Analects education.’ Here, Analects education means a re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for general education. Such fusion of horizons will address the goal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pedagogy. First, for the goal of education, free and virtuous man is one who autonomously aspires to virtuous character and seeks truth. Second, and intrinsic objective is to fuse the horizon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raining for sage. Third, in terms of pedagogy where much is already shared, the methodology of ‘bakhak–shimmun– shinsa–myeongbyeon-dokhaeng’ is used to fuse the two educational traditions. The fusion of Analects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allows us to reaffirm the unique identity of general education. It is a way of restoring the value of general education as seeking truth and cultivating character. This paper thus seeks to consolidate the value of general education while expanding its scope so as to proffer a fresh challenge to general education in Korea which is a troubled discipline. < 자유교육과 논어교육의 지평 융합백승수(가천대학교) 교양교육은 깊어지고 넓어져야 한다. 이 논문은 교육의 원형으로 25세기 동안 동서 교육을 이 끌어 온 자유교육과 논어교육의 지평을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융합한다. 지평 융합을 통해 ‘자유 교육적 논어교육’, ‘논어교육적 자유교육’을 추구하는 교양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에 기여하 고자 한다. 논어교육은 『논어』에 대한 교양교육적 재해석을 의미한다. 이 지평 융합은 교육목표, 교육내용 그리고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탐색한다. 첫째, 교육목표 및 인재상의 측면에서 자유인과 군자는 인격을 도야하고 진리를 탐구하는 자 율적 인재로 지평을 융합한다. 둘째, 교육의 내재적 목적으로 리버럴아츠와 위기지학의 지평을 융 합한다. 셋째, 상당부분 지평을 공유하고 있는 교육방법적 측면에서는 박학-심문-신사-명변독행의 방법으로 두 교육의 지평을 융합한다. 논어교육과 자유교육의 지평융합은 교양교육의 고유한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확장하는 길이 다. 진리 탐구와 인격 함양을 추구하는 교양교육의 본래적 의미를 회복하는 길이다. 교양교육의 내포를 옹글게 하고 외연을 확장하면서 빈사상태에 처해있는 한국 교양교육에 주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 KCI등재

        제4차 대학 혁명과 교양교육의 미래

        백승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3

        이 글은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대학의 역사를 성찰하면서 대학의 존재 이유를 밝히고, 교양교육의 미래를 통찰하면서 대학의 존재 가치를 재확인하려 한다. 대학은 역사의 산물이다. 대학은 스스로를 발명하고 혁신해왔다. 오늘날 대학은 4번째 혁명적 변화의 과정에 있다. 1차 대학혁명은 자유교육을 대학교육으로 제도화하였다. 2차 대학혁명은 ‘교양과 학문의 일치’를 추구했다. 3차 대학혁명은 배분이수모델을 확산 시켰다. 4차 대학혁명은 플랫폼 대학, 융합 대학, 혁신 대학, 기업가 대학으로 전개되고 있다. 4차 대학혁명 시대에 교양교육은 존망의 기로에 접어들었다. 교양교육의 미래를 열어가는 길은 두가지다. 하나는 ‘개량의 길’이고, 다른 하나는 ‘개혁의 길’이다. 개량의 길은 지금의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부분적 개선에 주력하는 것이다. 개혁의 길은 교양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고 새로운 교양교육을 창출하는 것이다. 대학은 교양교육을 직시하면서 성찰과 통찰을 제도화해야 한다. 존재의 변화는 스스로 해야 의미가 있다. 개량의 길을 극복하고 개혁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교양교육의 주체를 새롭게 재정립하고, 내용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면서, 방법적 혁신을 일상화하는 것이다. 대학의 존재 가치는 인간이 존재하는 이유이다. 교양교육은 인간을 형성한다. This article looks into the history of university to clarify the reason of existence of university and penetrates into the future of 1iberal arts education to reaffirm the value of existence of university. University is a production of history. It has been invented and innovated itself. Today, it is right in the process of its fourth revolutionary change. The first university revolution put the liberal education into university system. The second was to long for integration of humanity and learning. The third spread out the distribution requirement model. The fourth is to advance to platform university, convergence university, innovation university and entrepreneur university. In the time of the fourth university revolution, 1iberal arts education is standing on the path of life or death. One is the way of improvement, and the other is the way of reform. It will go to improvement by extinction maintaining its current system with a focus only on partial improvement while it will go to reform by independence restoring its essence with creation of a new 1iberal arts education. Universities should institutionalize reflection and insight while facing liberal arts education. Change is meaningful only when it is made by its subject. General education should overcome the way for improvement and go for reform. It should redefine its main body, make sure of its identity of contents and routinize its methodical innovation. The existence value of a university is on the existence reason of human. That is, 1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on formation of human.

      • KCI등재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안전문화 매개작용을 중심으로 -

        백승수,장길상,박창권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7~2021년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중 40%가 협력사업장이며, 그 중 추락 · 끼임 · 부딪힘 등 기본 안전수칙 준수로 예방 가능한 사고가 전체의 62.6%(2021년 기준)이다. 따라서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안전문화 정착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조성과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로서 2021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21년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건설 · 제조 · 서비스업 7,308개소 중 제조업 협력사업장 739개소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ver. 21)를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협력사업장은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가 91개소 12.3%였으며, 산업안전보건 전담부서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94개소 13.9%로 대체로 산업안전보건체계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와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원청의 안전지원은 협력 사업장의 안전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세부적으로는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협력사업장 경영진의 리더십은 부분매개작용이 있으며, 안전소통과 교육 및 제도는 완전매개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원청사업장의 적극적인 안전지원은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이 향상되어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협력사업장은 일반적으로 원청에 비해 안전능력이 부족하므로, 원청의 안전지원을 통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한 안전문화 정착으로 소속 근로자의 불안전한행동 제어를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백승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5

        Aiming for normalizing general education and promoting the humanities and basic sciences, universities are emerging that seek to be ‘Korean liberal arts college.’ Liberal arts colleges that have developed in the US are a few selected residential colleges which pursue liberal arts education. There is no liberal arts college in Korea with its original literal meaning. Absence of liberal arts college has incurred distortion and deadlock in ecosystem of higher education. State should serve as a driver for character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universities through their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d division of role. It is necessary to seek for establishing ‘national liberal arts college’ in order to settle general education paradigm focusing on the humanities and basic sciences. Significance of liberal arts colleges is identified through cases of US’s top ranked liberal arts colleges that are educationally competitive in spite of global crisis of liberal arts education; Yale-NUS College that promotes global diffusion of liberal arts college model; 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 in Japan which is a transformed liberal arts college, etc. National liberal arts college is to build up an ideal model for Korean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national efforts to revive moribund general education and to promote the humanities and basic sciences withering into insignificance. It aim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and major coursework; doubling of synergy among the humanities and basic sciences and applied sciences and; healthy ecosystem between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Establishment of national liberal arts college would bring a turning point to promote normalization of general education; seek for vitalization of the humanities and basic sciences and; promote qualitative improvement of higher education. 교양교육의 정상화와 기초학문의 진흥을 목적으로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를 추구하는 대 학들이 출현하고 있다. 미국에서 발달한 리버럴아츠칼리지는 리버럴아츠 교육을 추구하는 소수 정예의 정주 대학(Residential College) 이다. 한국에는 본래적 의미의 리버럴아츠칼리지가 없다. 리 버럴아츠칼리지의 부재는 고등교육 생태계의 왜곡과 경색을 초래했다. 국가는 대학의 기능 분화 와 역할 분담을 통해 대학의 특성화와 다양화를 견인해야 한다. 기초학문 중심의 교양교육 패러 다임 정착을 위해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의 설립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리버럴아츠 교육의 글로벌 위기 속에서도 교육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미국 최상위권 리버 럴아츠칼리지의 사례, 리버럴아츠칼리지 모델의 글로벌 확산을 촉진하는 Yale-NUS College의 사례, 변형된 리버럴아츠칼리지인 일본의 국제교양대학의 사례 등에서 리버럴아츠칼리지의 의의 를 확인하였다.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는 한국 리버럴아츠 교육의 이상적인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빈사 상 태에 빠진 교양교육을 회생시키고, 고사 상태에 처한 기초학문을 진흥시키기 위한 국가적 노력이 다. 교양교육과 전공교육의 균형있는 발전과 기초학문과 응용학문의 시너지 배가와 국립대학과 사 립대학간의 건강한 생태계를 추구한다. 교양교육의 정상화를 견인하고 기초학문의 활성화를 도모 하면서 고등교육의 질적 향상을 촉진하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양교육의 명칭 재정립을 통한 교양교육의 재개념화

        백승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1

        The appellation of general education has been a perennial issue. Abuse and misuse of varied terms have caused a host of misunderstandings and identity crises on general education. As the term general education as a translated word has been influenced by in order of Japan, Germany, and the US, it has been translated into ambiguous appellations. It has also become conceptually complex that seeks liberal education, humane education, basic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simultaneously. The current appellation of general education has problems exposed with ambiguity, vagueness, confusion, complexity, and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correct biased awareness on general education and to find a new appellation committed to principles of identity, universality, brevity, and ease of use. It is urgently needed to coin a new appellation that clearly shows purpose of education, suggests contents of education and definitely indicates subject of education. Identifying the directivity and principles of reestablishing the appellation, this study suggests ‘liberal arts education’ as a new appellation of general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is ‘general education subject to cross-sectional school system throughout basic studie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pursues new, normalized and intensified general education. Correcting the appellation of general education alone would solve a lot of problems in general education. It should be forehandedly publicized by community of general education. 교양교육의 명칭 문제는 해묵은 숙제다. 다양한 용어들이 오 ‧ 남용되면서 교양교육에 대한 수 많은 오해와 정체성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번역어로서의 교양교육은 일본, 독일, 미국의 영향을 차례로 받으면서 애매모호한 명칭으로 번역되었다. 개념적으로도 자유교육, 인문교육, 기초교육, 일반교육을 동시에 추구하는 복합적 개념이 되었다. 교양교육이라는 현재의 명칭은 애매성, 모호 성, 혼란성, 복잡성, 제한성의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교양교육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바로잡고, 정체성, 보편성, 간결성, 용의성의 원칙에 충실한 새 로운 명칭을 모색해야 할 시기이다. 교육의 목적을 명료하게 나타내고, 교육의 내용을 분명하게 제시하며, 교육의 주체를 확실하게 드러낼 수 있는 새로운 명칭이 절실하다. 명칭 재정립의 방향 과 원칙을 확인하고, 새로운 교양교육의 명칭으로 ‘문리교육’을 제안한다. 문리교육은 ‘인문학 ‧ 사 회과학 ‧ 자연과학의 기초학문분야를 가로지르는 학제 횡단적 교양교육’이다. 문리교육은 새로운 교양교육, 정상화된 교양교육, 강화된 교양교육을 지향한다. 교양교육의 명칭을 바르게 하는 것만으로도 교양교육의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교양교육 공동체의 시의적절한 공론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 교양 교과의 성격과 준거

        백승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This article explores the criteria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clarify and solidify the identity of these courses. The study aims to derive the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by examining their formation and historical development, identifying distorting factors, and establishing criteria for them. General education courses have evolved from the liberal arts traditions of ancient Greece and Rome, forming a complex multilayered structure with four intertwining layers: liberal subjects, humanities subjects, general subjects, and core subjects. Originating from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the liberal arts and shared experiences, general education courses, have possess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seeking, personality development, universality, and core orientation since their inception. To preserve and enhance the essential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it is crucial to eliminate distortions such as narrow specialization, superficial practicality, frivolous convenience, and overall irresponsibility. Overcoming persistent distortions and restoring the fundamental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requires establishing criteria. The starting point for this is acknowledging the premise that there are certain courses suitable for gener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courses demonstrate their suitability through educational, purposive, civilizational, academic, and objective criteria. These courses serve as dynamic complexes that internalize universal human values while shaping one's unique personalit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authenticity of education must strive to create genuinely characteristic general education courses. 이 글은 교양교과의 준거를 탐구하여 교양교과의 정체성을 명료화, 공고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양교과의 형성과 역사적 전개를 고찰하여 교양교과의 성격을 도출하고, 왜곡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교양교과의 준거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교양교과는 고대 그리스, 로마의 자유학예의 전통에서 비롯되어 자유교과, 인문교과, 일반교과 그리고 중핵교과가 4중 얽힘의 다중 나선적 중층구조를 형성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있다. 자유학예의 통시적 전개와 공시적 경험을 통하여 다양하게 변용되어 온 교양교과는 진리지향성, 인격지향성, 보편지향성 그리고 핵심지향성이라는 고유의 성격을 갖는다. 교양교과의 본질적 성격을 고양하고 선양하기 위해서는 교양교과를 왜곡하는 분과적 전공성, 표피적 실용성, 불합리적 편의성, 총체적 무책임성부터 혁파해야 한다. 교양교과에 대한 고질적인 왜곡을 극복하고 본질적인 성격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교양교과의 준거를 정립해야 한다. 교양교과 준거 정립의 출발점은 ‘교양교육에적합한 교과가 있다’는 전제를 인정하는 것이다. 교양교과는 교육적, 목적적, 문명적, 학술적, 대상적 준거를 통하여 그 적합성을 입증한다. 교양교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내면화하면서 자기 고유의 인격을 형성하는 역동적 복합체이다. 디지털 전환의 시대, 교육적 진정성이 교양교과다운 교양교과를 만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