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의 판단력 '도야'에 관한 고찰

        손승남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ssibilities of ‘Bildung' of the Judgement by making clear values, problems and limits of the new-media. The new-media age, in which the internet plays an essential role, has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multimedia and virtual reality. On the one hand the internet's multimedia environment could achieve so called ‘information revolution'. On the other hand it brought out some fundamental sects of media-educational problems with regard to the internet. The rapid increase of information, the accelerated degeneration of the ‘real' experience, difficulties of shaping the subjectivity between real life and virtual life were important problems arising today in a media-educational perspectiv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both the media competence in the pragmatic point of view and the ‘Bildung' of reflective judgement in the media-philosophical context w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in the future education. Especially regarding of strengthening the inner potential of the subject in the rapidly changed modern society the great emphasis was put on cognitive capability of judgement for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the information and the knowledge, and reflective judgement for reinforcing the individual's critical, ethical and esthetical abilities. 본 연구는 뉴미디어 사회의 근본적 교육문제를 인간 주체의 내적 역량의 강화에 두고, ‘뉴미디어의 변증법’이라는 기획 하에 뉴미디어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진단한 후 ‘판단력’ 도야의 가능성과 방법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디어의 다양한 결합으로 탄생한 뉴미디어 시대는 하이퍼미디어, 멀티미디어, 가상공간을 그 특성으로 한다. 뉴미디어는 교육부문에서도 정보화세계화라는 기치하에 정보혁명을 가져왔으나 신기술의 오용과 남용으로 인한 폐해와 위험성에 휩싸이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정보활용능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면서 동시에 뉴미디어 사용자의 주체적 역량을 강화하는 문제는 미래교육의 핵심적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와 지식을 구별할 수 있는 인지적 판단능력, 현실세계는 물론 사이버세계 내에서 행위의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는 ‘반성적 판단력’의 관점에서 뉴미디어 시대의 상황에 절실한 판단력 ‘도야’의 문제를 고찰하고 있다.

      • KCI등재

        교육적 인간상으로서'신지식인'의 가능성과 한계

        손승남 교육철학회 2001 교육철학연구 Vol.25 No.-

        Das Ziel der vorfiegenden Arbeit ist es, ein neues Konzept von Gebildeten $quot;Homo-Knowledgian$quot; kritisch zu analysieren and daraus paedagogische Moegfichkeiten and Grenzen herauszuarbeiten. Obwohl dies Konzept paedagogisch zu bearbeiten gilt, ist die Untersuchung daueber bisher vernachlaessigt w orden. In pragmatischer Hinsicht hat das Konzept einige Vorteile. Es macht deutlcih, loss das Ziel der Schulbildung auf die Harmonie zwischen Wissen and Handeln hingerichtet werden Boll. Denn Schulen haben bislang wissende Koepfe zu viel, aber wirkliche Handelende relativ wenig erzogen. Gemaess theses Konzeptes kann nun jeder, der auf seinem Gebiet etwas produziert, Gebildeten werden, die sick vorher nur auf eine gute Bildungskarriere, z. B. Uni-Absolventen beschraenkt haben. Es hat sick gezeigt, loss das Konzept $quot;Homo-Knowledgian$quot; im Grunde auf der Betriebswirtschaft basiert and ohne kritische Wuerdigung in die Oeffentfichkeit and auch in die Bildungsverwaltung eingefuert worden ist. Daraus entstehen trotz seiner positiven Moegfichkeiten einige Probleme. Erstens, es ist bedenklich, ob ein betriebswirtschaftliches Konzept ohne kritische Bearbeitung in die Paedagogik hineinzuziehen ist. Zweitens, dies Konzept schaetzt wirtschaftliche Werte des Wissenden hock als Kirtik- and Solidaritaetsfaehigkeiten der Gebildeten. Drittens, es wird langsam ein Schlagwort der pofitischen Reformbewegung der Regierung, wobei das Bildungsministerium eine wichtige Rolle spielt. Aus der kritischen Untersuchung hat sick herausgestellt, loss der Gebildete in der Zukunft mindestens drei Faehigkeiten haben Boll: Selbstbestimmung-, Mitbestimmung-, and Solidaritaetsfaehigkeit. Erst auf dieser Basis ist ueber ein neues Menschenbild von Gebildeten, z. B. kritische Experten and zugleich der pragmatische Wissende zu diskutieren.

      • 해석학, 경험주의,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독일 교육철학의 성격

        손승남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8 科學과 敎育 Vol.6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verse perspectives of the German philosophy of education based on Hermeneutics, Empiricism and Critical theory. This study shows that these main streams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Germany have competitively developed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empirical study and ideology criticism as methodology of modern educational research. "Methodic Pluralism" has become the predominate characteristic of the German philosophy of education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postmodernism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verse aspects of the German philosophy of education such as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should be introduced in our educational research, which still clings to positivism and empiricism.

      • KCI등재후보

        대학설립 초기의 교양교육 전통과 그 창조적 재생

        손승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original form of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reconstruct the present form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the tradition of general education is deeply connected with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general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misunderstood and distorted. On the basis of a historical investigation 7 liberal arts were confirmed as the core of a general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humanity(cultum humanitas) and creating a more aesthetic world. The medieval university regarded the humanities as the fundamental elements of a general education and supported a balance between practical/vocational and liberal/general aspects of the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theses for the improvement of a gene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First, general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n authentic 'anthropology' which reflects on human values and guided us toward a meaningful vision of our lives. Second, general education should cultivate an engagement with ecological issues which includes caring for the natural world and the universe. Third, general education should not be just an instrumental tool for specified education in departments and should be an independent and self-fulfilling education which deals with our total experience and which ultimately leads us to wisdom. Fourth, methodologically the abilities mentioned above can be raised through engaging with 'great books'. The old traditions may lead us on the right path in this rapidly changing world. 교양교육이 자라나는 세대로 하여금 사람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교육이라고 할 때 교육에서 이보다 더 근본적이고, 중차대한 일은 없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최근에 교양을 본격적으로 가르치는 학부대학이 생겨나고, 교양과 직접 관련된 과목들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대학 교양교육이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교양’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과목, 코스, 프로그램들이 그 정신에 걸맞게 운영되고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기초교육원에 군사학 과목을 포함시킨다거나 전공이나 교양에 속하지 않는 모든 실용교과목을 교양교육에 포함시킨다면 교양의 본질은 왜곡될 수밖에 없다. 아무리 교양교육이 대학교육의 화두라고 해도 그 이름값에 걸맞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근본적으로 점검해 볼 필요가있다. 이 글은 대학 교양교육의 뿌리를 찾아 그 원형을 다시금 되새겨 보고, 대학설립 당시 교양교육의 본질에 비추어 미래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교양교육의 원천에 해당되는 7자유교과의 검토를 통해 교양교육이 인간성의 고양(cultum humanitas)은 물론 ‘인간의 가치’를 넘어 ‘우주’와 ‘미적 세계의 창조’로까지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세대학 설립 후에도 대학은 전문인으로서 능력을 배양하기 이전에 인간으로서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본소양으로서 교양을 우선시하였다. 이처럼 대학은 성립초기부터 교양교육을 받게 한 후 전문 직업교육을 받도록 하여 전문성과 교양을 두루 겸비한 인간을 양성하려는 바람직한 전통을 지니고 있었다. 대학설립 초기의 교양교육 전통을 되새겨 보면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최우선적으로 교양교육이 진정한 ‘인간학’으로서의 위상을 확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인간학은 인간의 가치를 되돌아보고, 삶의 비전을 제시해 주며, 혼돈의 시대에 올바른 방향설정을 해 줄 수 있는 그런 학문을 말한다. 나아가 인간은 자기 존재의 범위를 넘어서 사유할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는 만큼 교양교육을 통해 대자연과 우주에 대한 관심과 책무성을 길러야 한다. 이런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교양교육은 ‘고전’에 근간을 두어야 한다. 위대한 저서를 배우는 사람은 적어도 인류가 쌓아 온 위대한 가치와 원리를 통하여 현실 사회를 슬기롭게 살아갈 수 있는 지혜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자서전의 교육학적 가치

        손승남 한국교육철학학회 2002 교육철학연구 Vol.0 No.28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zielt darauf, pädagogische Werte und Anwendungsmoeglichkeiten autobiographischer Materialien zu untersuchen. Zu diesem Zweck habe ich mich aufgrund der Auseinandersetzung mit dem Begriff der Autobiographie vorwiegend mit der Bearbeitung paedagogischer Werte der Autobiographie anhand des konkreten Fallbeispiels befasst. Es handelt sich bei dem Autobiographiebegriff um selbsterlebte Lebenserfahrungen einer Person, die paedagogisch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ildungs- und Lerngeschichte des je eigenen Individuums zu betrachten sind. Von diesem Standpunkt ausgehend werden drei paedagogische Werte der Autobiographie herausgearbeitet. Zuerst wird das Gedankengut Diltheys ueber den Lebenszusammenhang mit Blick auf die Zielsetzung der Erziehung und Bildung interpretiert. Danach sind die Autobiographie als sprachlich gestaltes Bildungsschicksal anzusehen, da sie uns einen unmittelbaren Zugang zur Genese der Person bzw. zur Bildung bietet. Bei der Rekonstruktion der Sozial- und Kulturgeschichte der Erziehung und Bildung koennen autobiographische Materialien als historische Quelle fungieren. Erwaehnenswert sind noch ihre Anwendungsmoeglichkeiten im Vorfeld der Moralerziehung durch Lebensgeschichten geschundener Menschen und Bildungsgangforschung lebender Personen mit Hilfe autobiographischer Daten, die durch das narrative Interview zu erheben sind. Es gilt festzustellen, daß es sich bei der paedagogischen Behanlung der Autobiographie um einen Wiederbelebungsversuch des Subjekts im Bildungsvorgang haldelt. Ein solches Projekt richtet sich somit auf die Kritik an aller positivistisch orientierten Erziehungswissenschaft unserer Zeit.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의 가능성 탐색

        손승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1

        In the era of globalization robots, IOT and AI give an impulsion to a paradigm shift towar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a big bang of knowledge, the amount of knowledge has increased remarkably, but its expected life span has become relatively short. The college education should give an impetus to the new revolution in order to raise a creative and global leader in a sense of consilience of human resources.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industrial convergence and integration are commonplace, significant changes are expected in vocational ability required for a college student. The need for multi-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increasing rapidly. Now is the time for pursuing reconstruction of the college education to change it into a real liberal arts education. The nature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contains ‘heaving up of haman values.’ The value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to save humanity should be more firmly observed in a situation which the dignity of human rights falls to the ground and the humanity is threatened by terrorism and war. This article examined the American liberal arts colleges and their applicabilities to the Korean college system. It was discussed that a K-LAC can provide alternatives to solve the urgent problem of the college education: the collapse of basic sciences and the lack of future academic generations. The first task for the Korean LAC is a structural reform of the college education toward an ‘open academic system.’ If the existing department structure interferes the flexible academic system, it should be transformed immediately. Suggestions on the transformation into the Korean LAC a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 should be assigned to an academic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ir department, but students do not need to belong to a certain department and should be allowed to do their study freely. Second, the core of liberal arts education lies in only ‘enhanced quality’ of such education based on the performance and recent academic trends of basic sciences.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the core curriculum as a common curriculum will be necessary. Third, colleges need to help students study what they really want to do in the campus. It means that ‘liberal learning’ should be literally implemented in the college education. 로봇, 사물인터넷, 인공지능으로 글로벌 시대에 우리는 4차 산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맞고 있다. 지식의 대폭발로 인해 지식의 총량이 엄청난 속도로 늘어났지만, 개별 지식의 유효수명은 줄어들고 있다. 대학교육은 이제 무한경쟁의 글로벌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창의 인재의 육성 그리고 전공 위주의 전통적인 지식을 넘어선 지식의 융합과 통섭을 지향하는 혁신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기술과 산업의 융복합이 다반사로 이루어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직업능력에도 획기적 변화가 예견되고 있다. 파편화되고, 칸막이로 나누어진 분과학문의 지식이 아닌 융복합적 지식과 다학문적, 학제적 연구와 지식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지금이야말로 대학교육의 리버럴아츠 교육으로의 전면적 재구조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리버럴아츠 교육의 중심에는 언제나 ‘인간적인 가치의 고양’이라는 교육의 본질이 녹아 있다. 인간의 가치가 땅에 떨어지면서 그 존엄성이 파괴되고, 테러와 전쟁으로 인간성이 날로 위협을 받고 있는 오늘날 인간성을 살리는 교양교육의 가치는 더욱 확고하게 지켜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역설적으로 20세기 이후에도 여전히 리버럴아츠 교육이념을 잘 담지하고 있는 미국 LAC 전통과 혁신 사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어 기초학문의 고사와 학문후속세대의 고갈이라는 이중적 위기를 해결하는 돌파구로서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논의하였다. 한국의 대학에서 리버럴아츠 교육을 중심축으로 하는 LAC가 뿌리내리기 위해서 전제가 되어야 할 사안은 최우선적으로 ‘학사운영의 유연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즉 기존의 학과/전공 중심의 학사운영을 과감하게 파기하는데 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LAC 전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첫째, 교수는 학문체계에 따라 설치된 학과에 소속되지만 학생은 특정 학과에 전속되지 않고 자유로이 원하는 학업을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리버럴아츠 교육의 핵심은 ‘심화 강화된 교양교육’으로 기초학문의 성과와 학문경향을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모든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수강해야 할 공통교육과정으로서 핵심교육과정을 잘 개발, 운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이 하나의 전공(major)을 하더라도 시기적 규제 없이 오직 학생의 의사에 따라 학업을 수행하도록 대학 전체적으로 기반과 분위기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 리버럴아츠 교육의 정착을 위해서는 문자 그대로 ‘리버럴 러닝(Liberal Learning)’이 대학교육 실제에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