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생활환경 및 신체활동량과 형태발육, 기초체력과의 관계

        전선혜(Jun Sun Hye),신아람(Shin A Ram) 한국발육발달학회 2016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 between infant"s biotope factor &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growth & basic physical strength. With the subject of this study, male & female infants (7 years old class) of 5 years old in full attending 9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in 2016, the outcome of collecting & analyzing questionnaire of infant & parents, measurement of height/body weight and the data with method of measuring & assessing basic physical strength is as follows. First, verifying the difference in physical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basic physical strength depending on the biotope factor of infants of 5 years old,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in height & body weight depending on gender, sleeping hours, regularity of breakfast and double income of parents. However, balance is higher if sleeping hours are longer and parents have double income, flexibility is higher if sleeping hours are longer and breakfast is regular. Further, agility is higher if sleeping hours are shorter and breakfast is irregular. Muscle endurance is higher in the case of female infant and longer sleeping hours. Power is higher in the case of male infant, longer sleeping hours and regular breakfast. Second, verifying the difference in physical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basic physical strength depending on physical activity of infant of 5 years old, height is higher if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is more and body weight is higher if infants play outside kindergarten less. The group with physical activity below 2 hours shows higher balance and the group which plays outside kindergarten below 2 hours shows higher flexibility. Flexibility is higher if infants spend more time for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Agility is higher if infants spend less time for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and muscle endurance is higher if they spend more time for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Power is higher if group playing outside kindergarten below 2 hours spends more time for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Third, physical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basic physical strength depending on the surroundings and the physical activity. Especially gender, regular breakfast and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have huge effects.

      • KCI등재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기초 체력에 미치는 효과

        권은주(Kwon Eun-Joo),고영희(Ko Yo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3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통해서 유아들의 기초 체력향상에 유의적인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하고 어떠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특정 기초체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구시에 위치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만 5세 유아 30명을 실험집단으로, 참여하지 않은 30명 유아들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을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행 전과 수행 후로 나누어 교육효과가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근력과 근지구력, 평형성의 향상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 process of the changes in early childhood basic strength through physical activities which can be performed by early childhood training institutes to nurture early childhood of a sound mind and a sound body. The research surveys basic physical strength among 30 early childhood at the age of 5 from D Kindergart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training program and 30 early childhood at the age of 5 from L Kindergarten who had not participated in it. The results is as the following; Those early childhood who had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s higher ① instantaneous reactionary force; ② flexibleness; ③ nimbleness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 But, The result of the study don't have effects on increase of ① the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stamina; ② sense of equilibriu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able from the analysis, it appears that the early childhood physical training program proves to have an influence on an increase in the early childhood basic physical strength. Needless to say, I think that further research and inquiry would be required for more reliabl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신체구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오해미,조홍관,송신영,최규전,고옥선,양은숙,정성희 한독심리운동학회 2015 심리운동연구 Vol.1 No.1

        For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was aimed at 14 students who were aged 8~13 attending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the D region and had been assessed as being level 2~3 intellectual disability. These were divided into 7 research subjec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7 research subjects in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12 weeks, and a badminton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that was made up of a warm-up exercise (10 minutes), main exercise (40 minutes), and a warm-down exercise (10 minutes). Then,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f any change in variables for the results of body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Regarding data processing, the verification of any difference in the mean between measuring periods for each group and between groups by measurement period used repeated measures ANOVA,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by each item was set at the 0.05 level.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concerning body compos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fat amount and body fat percentage by reciprocal action between periods and between groups. Also, regarding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fat amount. Second, in relation to basic physical streng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and agility by reciprocal action between periods and between groups. Concerning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and agility with all of them increasing.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performing a badminton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aimed 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both in terms of physical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지역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8∼13세의 지적장애학생 14명으로 장애등급은 2∼3급이었다. 대상자는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7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처치는 12주간 주2회로 진행 되었으며, 1회 60분 동안 준비운동(10분), 본운동(40분), 정리운동(10분)으로 나누어서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신체구성과 기초체력 결과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집단 별 측정시기 간, 측정시기별 집단 간 평균차이 검증은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은 주요한 연구결과들이다. 첫째, 신체구성에서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은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에 의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 전·후 실험군은 체지방률, 제지방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기초체력에서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순발력은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에의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 전·후 실험군은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평형성, 순발력모두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신체구성 및 기초체력에 모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태권도 수련이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천성용(Sung Yong Chun),최영옥(Young Wook Choi),박동수(Dong Soo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규칙적인 태권도 수련이 일반 대학생들에 있어서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J지역 S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 대상으로 평소 운동 경험이 없는 대학생(대조군 10명)과 지속적으로 태권도 수련을 하고 있는 대학생(실험군 10명), 총 20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통계는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ASW Statistic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별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검증은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조성에서 제지방량이 태권도 수련집단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5), 기초체력 검사에서는 유연성, 서전트 점프, 전신반응과 윗몸일으키기에서 태권도 수련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등속성 신전근력 검사에서는 각속도 180°/sec(p<.05), 굴곡근력 검사에서는 각속도 60°/sec (p<.05)와 각속도 180°/sec(p<.01)에서 태권도 수련 집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등속성 신전/굴곡 최대근력비에서는 각속도 60°/sec 왼발에서만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이 연구 결과 지속적인 태권도 수련은 근육량의 증가와 기초체력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며, 하지 근육의 안정성과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릎 굴곡근의 발달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impact of Taekwondo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To proceed this study, one comparison group for not exercising usually and the other experiment group for training Taekwondo continuously were employed from ``S`` university in ``J`` area. To see the group difference, mean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hen t-test was executed by using PASW Statistics 18.0 program. Al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p<.05).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ining group significantly showed higher score(p<.05) at overall fat amount. At the test of basic physical strength, the Taekwondo training group also scored more at flexibility, sergeant jump, whole body reaction, and sit-up(p<.01). The Taekwondo training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at angular velocity 180°/sec(p<.05) condition of isokinetic extension muscle strength test and also at angular velocity 60°/sec(p<.05) and 180°/sec(p<.01) condition of bend muscle strength. At the test of isokinetic extension/bend maximum muscle strength, only the conditon of angular velocity60°/sec left foo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p<.05). Therefore, the research results proved that continuous Taekwondo training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muscle mass and to improve basic physical strength capicity. Furthermore, the training group`s knee flexural muscle could develop more in stabilizing lower limb muscle and in improving exercise capacity.

      • KCI등재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의 하지 근기능에 대한 비교연구

        오아람,정재영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5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ientifically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basic physical strength, anaerobic power, muscle power, and muscle thickness for each level of athletes in Taekwondo sparring. Method: Taekwondo high school players officially registered with the Korea Olympic Committee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excellent and non-excellent groups, and scientific comparison and analysis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ic physical strength variables, anaerobic power variables, isokinetic muscle function variables, and ultrasound muscle thickness were performed. to SPSS Win.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Ver 27.0. Result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 of basic physical strength. Second, in the anaerobic power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power and the maximum power in part. Third, in the isokinetic variab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sor variable. Fourth, in the ultrasound muscle thickness, the rectus femoris musc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excellent athletes were higher.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athletes in high school Taekwondo Gyorugi by level,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by factors in anaerobic power,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muscle thicknes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provided as a scientific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to training tailored to each level of athletes in the event. 목적: 본 연구는 태권도 겨루기 종목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수준별 기초체력과 무산소성 파워, 근 파워, 근 두께의 집단간 차이를 과학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대한체육회 정식 등록된 태권도 고교선수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우수, 비우수 집단으로 분류하였고, 기초체력 변인, 무산소성파워 변인, 등속성 근기능 변인, 초음파 근 두께를 과학적 비교 및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Win. Ver 27.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test 검정을 진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기초체력의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무산소성 파워 변인에서는 부분적으로 평균파워, 최대파워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등속성 근기능 변인에서는 신근 변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음파 근육 두께에서는넙다리곧은근이 유의한 차이로 우수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교 태권도 겨루기 종목의 선수들을 수준별로 비교 및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 무산소성 파워와 등속성 근기능과 근육 두께에서 요인별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겨루기 종목 선수들의 수준별 맞춤형 훈련이 적용될 수 있는 과학적 기초자료로 제공될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줄넘기 운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경철(Kim Kyung-Chul),정세호(Jung Se-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줄넘기 운동이 유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유아들의 기초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만 5세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줄넘기 운동을 8주간 도입단계, 탐색단계, 습득단계, 심화단계, 응용단계 등 총 5단계로 구분하여 32회 실시한 결과 유아의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폐지구력, 평형성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jumping rope on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In an effort to improve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numerous five-year-old preschoolers were selected. They were then given an eight-week jump-roping workout for a total of 32 sessions with the exercise stages divided into five stages: the introductory stage, explorative stage, learning stage, in-depth stage and applied stage. As a result, children improved their muscular endurance, instantaneous reactionary ability, agility, and flexibility, while no effects were produced with regard to their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ability of parallelism.

      • KCI등재

        아동청소년 바우처사업의 효과성 연구 : 12주 기초체력 중심으로

        박찬후(Park, Chan-Hu),이영광(Lee, Young-Kwang),김종근(Kim, Jong-Geun)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1

        본연구는 아동청소년 바우처사업의 효과성을 연구하고자 하며, 12주 기초체력을 중심으로 바우처집단과 일반집단을 비교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D광역시 S구 소재의 L스포츠바우처사업 센터에서 참여아동청소년을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15명의 학생을 추출하였고, 바우처사업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아동청소년을 별도로 15명의 학생을 추출하여 총 30명의 아동청소년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우처집단(n=15), 일반집단(n=15)을 설정한 다음 12주간 바우처프로그램 유무를 통해 각각의 바우처집단과 일반집단을 통하여 집단 간의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지구력의 경우 바우처집단(-2.751, p<.05), 일반집단(-2.750, p<.05) 모두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평형성의 경우 일반집단(-3.372, p<.01)에서만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순발력의 경우 바우처집단(-2.746, p<.05)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유연성의 경우 일반집단(-3.108, p<.01)에서만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민첩성의 경우 바우처집단(4.658, p<.001)에서만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근력의 경우 바우처집단(-2.574, p<.05), 일반집단(-4.826, p<.001) 모두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아동청소년 바우처사업의 효과성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근지구력, 순발력, 근력영역에서 바우처사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 바우처사업의 프로그램은 아동청소년의 기초체력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바우처사업 뿐만 아니라 정부 정책 대다수가 성과 위주의 양적 사업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대다수의 아동청소년들이 바우처사업에 참여할지는 모르겠으나, 성장기 아동청소년의 실질적인 체력요소에는 정책이 미치지 못하는 점을 헤아려 정책을 운영하길 고대한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child and youth voucher projects and to compare and analyze vouchers and general groups with 12-week fundamentals. To this end, 15 students were se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e Extraction Act for participating children at the L Sports voucher business center in S-gu, D-City. and 15 students were selected separately for non-participation in voucher projects, and a total of 30 children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identified through the presence of the voucher program for 12 weeks after establishing voucher groups (n=15) and general groups (n=15). Based on the above-mentioned methods and verification of the study model,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muscle endurance, the voucher group (-2.751, p<.05), General group (-2.750, p<.05) All pre-post examin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for equilibrium, general group (-3.372, p<.01) did the pre-post examination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ly, for pure stroke, the voucher group (-2.746, p<.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for flexibility, general group (-3.108, p<.01) did the pre-post examination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for agility, the voucher group (4.658,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post examinations. Sixth, for muscle strength, the voucher group (-2.574, p<.05), General group (-4.826, p<.001) All pre-post examin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bined with the above result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the voucher busines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hows that the voucher business has an effect in the areas of muscle endurance, pureness and muscle strength. In conclusion, the current voucher program is not very helpful for improving the basic fit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Not only the voucher project but also the majority of government policies encourage performance-oriented quantitative projects. While it is not clear whether the majority of children will participate in the voucher business, we look forward to running the policy considering that the policy falls short of the actual physical factors of growing children.

      • KCI등재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난희,김언경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2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centered on basic motor skill on young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elf-efficacy, and to propose an effective method of operating physical activity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4-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public kindergarten in Gangwon-do. The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elf-efficacy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physical activity centered on basic motor skill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before and after free play centered outside play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basic motor skill-centered physical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sic physical strength factors such as flexibility, endurance, balance, and agility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basic motor skill-centered physical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and physical self-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centered on basic motor skill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basic physical strength and self-efficacy, implying that it is one of the meaningful teaching methods in the educational field. 본 연구는 기본운동능력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신체활동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소재의 공립 유치원에 재원 중인 4세 유아 28명이다. 실험집단은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 전후에, 통제집단은 자유놀이 중심 바깥놀이 전후에 기초체력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기초체력 요소인 유연성, 지구력, 평형성, 민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기본운동능력 중심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소인 인지적 자기효능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본운동능력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초체력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는 교수 방법의 하나로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구성과 기초체력에 관한 연구

        김준석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 a university where students wanted to measure body composition (height, weight, body fat ratio) and basic physical strength (lung capacity,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gility, and explosive muscle strength).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re as follows. Body composition (height, weight, and body fat rate) all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physical strength (lung capacity,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agility, and explosive muscle strength) (P>.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exibility measurement. The highest measured body composition and basic physical strength were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nd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owed the smallest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and were also found to be weak. In conclusion, exercise prescription programming suitable for each user's body should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composition of various elements and the basic physical strength of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신체 구성(키, 몸무게, 체지방 비율)과 기초체력(폐 용량,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폭발적인 근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학에 있었습니다. 데이터는 기술 통계량과 일원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습니다. 경기도에 소재한 A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 구성(키, 몸무게, 체지방률)이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P>.05). 기초체력(폐활량,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폭발적 근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그러나 유연성 측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가장 높게 측정된 신체 구성과 기초체력은 예체능대학 학생들이었으며, 인문사회대학 학생들이 가장 작은 체격과 체력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연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요소의 신체 구성과 연구의 기초체력을 고려하여 각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운동 처방 프로그래밍을 수행해야 한다.

      • KCI등재

        여자 청소년 사이클 선수들의 운동 기능과 피로지수의 상관관계 분석

        허안식,박재영 한국체육교육학회 2022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basic physical strength, anaerobic power, and isokinetic maximal strength, as well as the fatigue index and muscle strength ratio of adolescent cyclists, thereby establishing the basis of a training program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anaerobic fitness and preventing damage in adolescent cyclis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people who were registered with the Cycling Federation, had more than 2 years of experience and had no orthopedic injuries or physical limitations in the last 6 months. Basal physical strength was measured by grip strength, flexibility, muscular endurance, power, and VO2max. anaerobic power, the peak power, average power, and fatigue index were measured. For isokinetic strength and muscle strength ratio test, knee extension and flexion force at 60 degrees 180 degrees 300 degree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grip strength and power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anaerobic power and isokinetic maximal strength, and the fatigue index was significant with the flexor/extensor ratio at 60°/sec, 180°/sec, and 300°/sec in the lef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In particular, power and grip strength showed a high correlation at 60°/sec, anaerobic power but at 180°/sec and 300°/sec, power showed a mainly high correl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anaerobic power of adolescent cyclists, training is needed to improve the muscular strength and muscle power of the basic physical strength and to improve the muscle strength of the knee joint, and high fatigue is likely to lead to hamstring dysfunction and muscle damage It is considered that a systematic training plan is necessary to prevent damag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사이클 선수들의 기초체력과 무산소성 파워 그리고 등속성 최대근력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피로지수와 근력 비율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사이클 선수들의 무산소성 체력 향상 및 손상예방 목적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자전거연맹에 등록되어 있으며, 선수 경력이 2년 이상 그리고 최근 6개월간 정형외과적 상해와 신체적 제한이 없는 15명을 선정하였다. 측정항목에서 기초체력은 악력, 유연성, 근지구력, 순발력,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였다. 무산소성 파워 관련으로는 최대파워와 평균파워 그리고 피로지수를 측정하엿다. 등속성 최대근력 및 근력비율 검사는 60도 180도 300도의 무릎 신전력과 굴근력을 측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악력과 순발력은 무산소성 파워와 등속성 최대근력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피로지수는 굴근/신근 비율과는 60°/sec, 180°/sec, 300°/sec 모두 왼쪽 무릎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산소성 파워와 60°/sec 에서는 주로 악력이 높은 상관을 보였으나180°/sec, 300°/sec 에서는 순발력이 주로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사이클 선수들의 무산소성 파워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초체력의 근력 및 근파워를 향상시키고 슬관절의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레이닝이 필요하며, 또한 높은 피로도는 햄스트링기능저하와 근 손상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았을 때 손상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트레이닝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