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遜庵(손암) 申晟圭(신성규)의 『論語講義(논어강의)』 연구

        최석기 ( Seok Ki Choi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7 No.-

        이 글은 遜庵 申晟圭의 『論語講義』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의의를 고찰한 것으로, 요지는 아래와 같다. 손암의 『논어강의』는 그가 평생의 정력을 바쳐 이룩한 학문적 성과라 할 수 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특징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자의 『논어집주』를 저본으로 하여 『근사록』의 체제를 본떠 17개 주제에 맞추어 체제를 개편하였다. 이는 『논어』를 해체하여 재구성한 것으로 종전에 볼 수 없는 매우 독특한 경우이다. 둘째, 1章을 分章하여 내용 중심으로 재배치하기도 하였다. 이는 종래의 『논어』를 내용 중심으로 일부 개정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셋째, 주자의 『논어집주』를 위주로 하면서도 필요한 경우 대전본 소주 및 陸九淵·歸有光 등의 설을 취하고 있다. 이는 『논어집주』의 설만을 추종하지 않고 폭넓게 다양한 설을 수용한 것이다. 넷째, 전대의 설 가운데 본지를 밝힌 설 위주로 취사선택하고 있다. 이는 『논어집주』의 설 가운데서 다시 선택한 것이라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다섯째, 자신의 견해를 按說로 附記하여 본지를 더 심도 있게 해석하였다. 이는 종래의 설을 바탕으로 새롭게 의리를 발명해 놓았다는 데 의미가 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특징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문의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명확하게 해석하고 있다. 이는 종래 해석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본지를더 명확히 해석하거나 심도 있게 해석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둘째, 독자적으로 의리를 발명한 것이 다수 있다. 그 가운데는 자득을 통해 본지를 해석한 것, 문맥을 중시하여 본지를 해석한 것, 언외의 본지를 탐구한 것 등이 있다. 이는 전인이 밝히지 못한 의리나 본지를 새롭게 발명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셋째, 『논 어집주』와 다른 해석을 한 것이 다수 있다. 그 가운데는 程子·朱子의 설과 다른 해석, 諸家說과 다른 해석, 『논어집주』 이외의 설을 제시한 것 등이 있다. 이는 손암의 『논어강의』 해석이 『논어집주』의 설만을 추종하지 않고 異見을 제시하거나 異說을 수용한 것으로, 해석의 폭이 넓고 다양해졌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러한 『논어강의』의 해석의 특징은 경학사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종래의 『논어』를 해체하여 『근사록』의 체제를 본떠 재구성한 유일한 작품이다. 우리나라 『논어』 해석사에서 종래의 『논어』를 해체하여 재구성한 것이 없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는 旅軒 張顯光(1554-1637)의 論語圖에 各章을 내용 중심으로 분류해 도표로 그려놓은 것이 유일한데, 손암은 내용 중심으로 도표화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아예 『근사록』의 체제를 본떠 새롭게 재구성하였다. 이는 우리 나라에서만 유일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논어』해석사에서도 전에 없던 해석이다. 둘째, 주자의 『논어집주』를 근간으로 하여 본지에 적합한 설을 취사선택하였다. 이는 집주의 諸說 중에서 다시 가려 뽑아 본지를 명확히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셋째, 주자의 『논어집주』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설을 취하고 있다. 이는 주자의 설만을 절대존신하던 학풍 속에서 보다 폭넓은 시각으로 해석하고자 한 사유를 보여주는 것이다. 넷째, 심층적으로 본지를 해석하거나 독자적으로 의리를 발명하여 『논어』 해석의 지평을 크게 확장하였다. 이는 『논어』 해석이 근대에도 얼마든지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는 시야를 열어놓은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Lectures on Analects of Confucius by Sonam Shin Seong-gyu through its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Lectures on Analects of Confucius was Sonam’s academic achievement to which his lifelong enthusiasm was devoted. The study examined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in terms of system and content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as for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in terms of form, first, it was based on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by Zhu Xi, modeled itself on Geunsarok, and reorganized the system according to 17 topics. It deconstructed and reorganized Analects of Confucius, thus presenting a very unique, unprecedented case. Second, it divided Chapter 1 and placed it at the center of content,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artially revised Analects of Confucius with a focus on content. Third, it employed Daejeonbon Soju and theories of Yuk Gu-yeon and Gui Yu-gwang when necessary while it was mainly based on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by Zhu Xi, which indicates that he accepted various theories broadly instead of following only those of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Fourth, he mainly chose and employed the old theories whose main purports were revealed,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he made a choice again among the theories of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Finally, he added his own opinions and thus interpreted the main purports with more depth,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he invented a new Uiri based on the old theories. As for i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in terms of content, first, it interpreted the meanings of the body in a more profound and clearer fashion,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supplemented the lacking aspects of the old interpretations and provided clearer or more profound interpretations of main purports. Second, it presents many independent inventions of Uiri, which include the ones that interpreted the main purports through self-complacency, interpreted the main purports with an emphasis on the context, or explored the unexpressed main purport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nted new Uiri or main purports that the previous scholars could not shed light on. Finally, it offers many different interpretations from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which includes different interpretations from the theories of Jeongja and Zhu Xi or Jegaseol and theories other than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It is significant in that Sonam proposed different opinions and accepted different theories in his Lectures on Analects of Confucius instead of merely following the theories of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thus becoming wider and more diverse in interpretations. Those interpretative characteristics of Lectures on Analects of Confucius hold the following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s studies: first, it is the only work that deconstructed the old Analects of Confucius and reorganized it based on the system of Geunsarok. Not only is it unique to Korea, but it also presents unprecedented interpretations in the interpretative history of Analects of Confucius. Second, it chose and employed the theories fit for the main purports based on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by Zhu Xi, which reveals his intention to understand the main purports clearly by selecting among the many theories of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again. Third, it employed various theories, not restricted to Collec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by Zhu Xi, which explains why he tried to do interpretations from a broader perspective in the middle of the academic tradition of absolute trust only in the theories of Zhu Xi. Finally, it interpreted the main purports in-depth or invented Uiri independently, thus expanding the horizon of interpretations of Analects of Confucius considerably, which opens a new way of thinking that Analects of Confucius can be re-interpreted from a new perspective as much as one wants even in modern times.

      • 退溪『論語』解釋의 經學的 特徵과 그 繼承樣相

        이영호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논어』는 유가의 비조인 공자의 언설이 기록되어 있는 경전이기에 동아시아 각국의 수많은 경학자들이 주석을 내곤 하였다. 이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논어』 주석서는 朱子의 『論語集注』인데, 주자는 이 책에서 경전해석학의 중요 방법인 義理와 훈고를 반영해내었다. 그런데 주자 이후 중국의 주자학파는, 양명학과의 사상 투쟁 과정에서 그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노력했기 때문에 자연히 주자의 경전해석방법 중 의리에만 치중하고 훈고는 소홀히 하였으며, 이러한 학문적 태도는 그들의 『논어』 해석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한편 조선의 退溪는 『論語釋義』를 저술하면서 주자의 『논어』 주석을 준거로 삼았다. 때문에 그는 『논어』를 해석할 때 기본적으로 주자학적 의리에 충실하였지만, 때로는 經典의 本旨를 찾고자 노력했으며, 또한 경문의 자구를 조선어로 풀이하는 훈고에도 매진하였다. 퇴계 이후 영남 퇴계학파와 근기 퇴계학파는 주자와 퇴계의 영항 아래 각기 다른 경학적 특징들을 내포하는 『논어』 주석서들을 집필하였다. 영남 퇴계학파의 李德弘은 『論語質疑』를 통해 스승의 『논어』설을 준수하는 방향에서 『논어』를 해석했으며, 柳長源은 『論語纂註增補』에서 중국 주자학파의 『논어』설을 집성하였고, 柳健休는 『東儒論語集解評』에서 조선 주자학파의 『논어』설을 집대성하였는데 그 공통적 특징으로 주자학적 의리에 대한 정치한 분석을 들 수 있다. 한편 근기 퇴계학파의 종장인 李翼은 『論語疾書』에서, 주자의 의리정신을 높이 평가하였지만, 주자학적 의리와는 다른 새로운 의리-예컨대 현실과 이익의 중시-를 그의 『논어』해석에 투영시켰다. 또한 동아시아 『논어』 주석사에서 특기할 만한 『논어』주석서인 『論語古今註』를 남긴 丁若鏞도, 훈고만을 고집하는 한학을 배척하고 의리를 중시하는 주자학을 존숭하였다. 그러나 그 역시 이기심성론이 중심에 놓여있는 주자의 『논어집주』와는 달리, 『논어고금주』에서 경세치용을 지향하는 해석체계를 수립하였다. 주자가 『논어집주』에서 이룩한 훈고와 의리의 종합이라는 경학적 성과는 중국주자학파에서는 계승이 되지 않고, 조선의 퇴계에 와서야 계승이 되었다. 이후 퇴계학파는 의리를 중시하였다는 점에서는 중국의 주자학파와 별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영남 퇴계학파의 경우는 주자학적 의리를 정치하게 파고들었고, 근기 퇴계학파의 경우는 조선후기 역사적 상황에 부합하는 새로운 의리를 그들의 『논어』 주석에 투영시켜 놓았다는 점을 차이점 내지 특색으로 들 수 있다. Many scholars in East Asian countries have written numerous annotat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since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the scripture that wrote down the remarks of Confucius who is a founder of Confucianism. Among all those annotations, the most influential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the <NoneoJipJu> written by Chu Hsi. Chu Hsi reflected the scholia and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which are important methods for the studies of scripture interpretation. The Chu Hsi school in China after Chu Hsi, however, had tried to establish its identity during the philosophical dispute with the Wang Yangming school. The philosophical dispute with the Wang Yangming school made the Chu Hsi school to focus on not scholia but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The Chu Hsi school's attitude towards trend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had been reflected o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Meanwhile, ToeGye in Choson used the Chu Hsi's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hen he wrote <NoneoSukEui>. He was basically loyal to the way of focusing on the contents in the context. But sometimes he tried to make an effort to find 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cripture. He also made an effort to scholia that translated the sentences of the scripture in Choson language After ToeGye, YoungNam ToeGye school and KeunKi ToeGye school had written several annotat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included differ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under the influence of Chu Hsi and ToeGye. Lee, DukHong in YoungNam ToeGye school interpre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accordance of his master's theory in his book, <NoneoJilEui>. In his book, <NoneoChanJuJeongBo>, Yoo, JangWon compiled the theorie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f Chinese Chu Hsi school. Yoo, KeonHyu collected the theorie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f Korean Chu Hsi school in his book, <DongYuNoneoJipHaePyung>.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were based on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Meanwhile, the master of KeunKi ToeGye school. Lee, Ik had a different view of the trend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from that of Chu Hsi although he highly evaluated Chu Hsi's spirit for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He developed a new way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 for instance, putting on the importance of reality and profit - in his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Chong, Yagyong who wrote <NoneoKoKeumJu>, that was a special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history of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East Asian countries, excluded exegetical studies and showed his respect to the studies of Chu Hsi classics. Having Difference from Chu Hsi's <NoneoJipJu> that focused on less practical issues, he, however, built on the interpretational system that pointed to practical usage of running the state in his <NoneoKoKeumJu>. Chu Hsi's scholaristic outcome that combined scholia and the way of focusing on the contents in the context had been succeeded not in Chinese Chu Hsi school but in Choson Chu Hsi school. The ToeGye school made little difference with the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putting on the importance on the way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s. YoungNam ToeGye school, however, was different from the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studying the way of focusing on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s in detail. KeunKi ToeGye school was different from Chinese Chu Hsi school in terms of developing new theory of seeing the way of finding out the contents in the contexts of the scriptures. That new theory corresponded to the historical situation in the late era of Choson dynasty.

      • KCI등재

        關於≪論語·爲政≫篇第四章的考證及其辨義

        姜聲調 ( Kang Seongjo ) 중국어문연구회 2023 中國語文論叢 Vol.- No.114

        This paper was try to historical inquiry and re-elucidation on The Chapter 4 of Wei Zhe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I set an aim in my life at 15 years old, that was try to study and be aware of way as a man in the end realize it). For this I analyzed grammatical structure logic and interpretation of scholars. Furthermore I think the most important things was to compare The Chapter 4 of Wei Zheng with The Chapter 1 of On Learni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On the original text, Confucius set an aim: he was 15 years old entered the college as a student and try to parallel with learn and practice by way of cultivating ones body and mind, morality finally realized ultimate value and morality of man. Confucius, at the age of 30, not only try to study and practice also side by side learning with thinking cultivated body with mind. Even thought have a enough time and energy then study prose and poetry and moderated proprieties. After that he could be independantley get acquainted with the others. That means he could be a man who accomplished something and activated in society. Confucius, at the age of 40, developed i’ts character mmuch more than before by continuous learning and have a large experiences then ripen his character. He also realized the truth in human society and change of universe. After that He did not have a doubt on man and things in the world. Confucius, at the age of 50, steadily developed his character try to inquiry on nature world, grasped the principle of create and change. and also become to realized the way those human have to go in the society and change of things in the world. After that, he could realized the change, principle of the universe and nature. Confucius, at the age of 60, made his learning and character much more deepened higher level, get to a man of refined. He stood aloof for oneself. After that he boldly could accept the the others opinion and relative view point. Confucius, at the age of 70, arrived at a man of virtue who everything has been done in accordance with his will and has been done in the society without going against the rule. So to speak, A man of virtue in the Chapter 1 of On Learni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indicate the a man of moral integrity. We can acknowledged that Confucius could realized the truth through the learning by inquiring the Chapter 4 of Wei Zhe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Such a moral model effect upon junior scholars for long time. Thus everyone could be a man of virtue or contribute to the society by such a learning. Using a gradual advance method in rhetoric of the Chapter 4 of Wei Zhe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will be deepened the significant meaning in the chapter 4 of Wei Zhe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Furthermore we compared chapter 1 of Learning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chapter 4, we can find latter is longer than former and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two chapters equally not only disclose the tenet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lso it would be a brief introduction report on his life that may be meaning of whole sentence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 KCI등재

        송당(松堂) 조준(趙浚)의 한시에 나타난 『논어(論語)』 수용과 그 의미

        황명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4 한국문학연구 Vol.- No.75

        본고는 송당(松堂) 조준(趙浚, 1346~1405)의 한시에 나타난 『논어(論語)』 수용과 그것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자 마련된 것이다. 송당이 『논어』 수용 한시를 창작할 수 있었던 데에는 여말선초 당시의 학문적 풍토 및 시대적 상황이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논어』는 왕실뿐만 아니라 유가 지식인의 필독서였으며, 주로 치국서(治國書) 및 수신서(修身書)로서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또한 공자․주자가 살았던 시기와 여말선초는 ‘국가 존망의 위기 상황’과 ‘도학 전수의 위기의식’이라는 측면에서 유사성을 보였다. 이러한 점들은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가 창작되는 데 직간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송당의 한시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논어』 수용은 대부분 출처의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는 송당이 출처에 대한 고민을 심각하게 해야만 했던 시대를 살다 간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이때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가 『논어』가 지닌 양면적 기능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즉, 출사에 대한 의지가 나타난 작품은 치국서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퇴처에 대한 소망을 드러낸 작품은 수신서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가 지닌 의미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가 가능하다. 1)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는 혼란기 지식인의 내적 갈등을 드러냄과 동시에, 실제 행적에 대한 명분을 제시하고 있다. 2) 송당의 『논어』 수용 한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작가의 내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appeared in Song-dang Jo-Jun (1346~1405)'s Sino-Korean Poetry. It seems that the academic climate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t the Yeomal-Suncho (麗末鮮初) had a great influence on Song- dang's ability to create Chinese poetry that accep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At that time, the Analects of Confucius were a must-read for not only the royal family but also Confucian intellectuals, and mainly functioned as a political book and a book for self-discipline. In addition, the period in which Confucius and Zhu-Xi lived and Yeomal-Suncho (麗末鮮初) showed similarities in terms of ‘a crisis of national survival’ and ‘a sense of crisis in the transmission of moral philosophy.’ These factors became the direct and indirect background for the creation of Song-dang's Sino-Korean Poetry that accepted Analects of Confucius. Most of the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is prominent in Song-dang's Sino-Korean Poetry,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views. This is because the Song-dang lived in a time when it had to seriously think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is case, the political view of the Song- dang's acceptanc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noteworthy in that it highlights the ambivalent func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other words, works that show a will to enter public office emphasize their role as a book of governance, while works that reveal a desire for retirement emphasize their role as a book of retreat. Through these points, the meaning of Song-dang's Sino-Korean Poetry that accep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can be broadly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1) Song-dang's Sino-Korean poetry that accep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reveals the internal conflict of intellectuals during the period of turmoil,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justification for their actual actions. 2) Song-dang's Sino-Korean poetry that accepted the Analects of Confucius reflects the author's internal changes over time.

      • KCI등재

        『論語』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양상과 가능성

        이하나(Lee, Ha-na)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6 No.-

        이 글의 목적은 『論語』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현황을 살피고, 그 대표적인 양상을 고찰하여 이후 진행될 『論語』의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가능성을 전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류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논어』는 유교문화의 요체를 담고 있는 경전이자 대표적인 한문고전 텍스트이다. 『논어』에는 ‘孔子’ 라는 인물의 삶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사건과 방대한 서사가 존재하는 것뿐 아니라, 다양한 특성을 가진 인물들이 대거 등장한다는 점에서도 문화콘텐츠 개발을 진행하기에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 공자의 어록이라고 할 수 있는『논어』는 유교문화의 정신가치를 담고 있기에 유교문화권 국가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콘텐츠화 되어야 하는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논어』의 스토리텔링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현재 콘텐츠화 된『논어』의 스토리텔링 양상을 고찰한다. 『논어』 스토리텔링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 네 가지의 콘텐츠, 영화<공자>, 만화영화<공자전>, 출판콘텐츠 『공자, 최후의 20년』, 웹툰 <죽음에 관하여> 중 20화, 「논어」를 추출하여 스토리텔링의 실제를 확인하고 각각의 매체가 가진 특성을 살펴 스토리텔링의 현황을 분석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논어』의 스토리텔링 양상을 통해 『논어』의 문화콘텐츠화 가능성을 스토리텔링과 관련하여 제언했다. 제언의 방법은 『논어』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전제, 스토리텔링의 내용적 측면, 스토리텔링의 형식적 측면, 기타 측면의 네 가지로 나눴다. 이 글은 실증적인 분석의 모습을 제시하면서도 이후에 창작될 콘텐츠의 가능성에 대한 방법론을 제언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고에서 제언한 『논어』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나아가 고전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이 현실화 된다면, 시대를 막론한 고전 수용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나아가 현대에도 여전히 생명력을 가진 고전의 문화콘텐츠가 탄생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content of narrative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o discuss the ways that mainstream trends may foretell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in narratives found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a classic for all people. It is a scripture that contains the key points of Confucian culture and is a primary classical text in the Chinese language. The Analects of Confucius meets the conditions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 as it contains a host of various characters with distinct personalities and a wide variety of events and tales that occur around the figure of Confucius. Also, the Analects of Confucius, a collection of quotations from Confucius, has sufficient value to be used as the primary narrative content in Confucian countries as it conveys the value of Confucianism.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e existing storytelling trend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before presenting narrative possibilities. Then, it takes four works based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at clearly demonstrate the use of storytelling. The movie Confucius, the animation The Tale of Confucius, the print work Confucious’ Last Twenty Years, and episode 20 of the webtoons About Death are all examined with regard to storytell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um. Moreover, the storytelling trend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discusse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ir use as source stories in narratives. The suggestion consists of four parts: the premise for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the basis of storytelling, the contents of the stories, the formal aspects of storytelling as well as other aspects. This study suggests both substantial analysis and various methodologies that might be undertaken in the future. If the narrative of the cultural content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other classics can be realized using these methodologies, it could allow for the acceptance of classics regardless of time as well as creating cultural content from the classics that are still valid in modern times.

      • KCI등재

        사상 : 『논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 비교 연구-2000년부터 2012년까지 출간된 책 제목과 서문을 중심으로

        박영진 ( Yeong Jin Bahk ),야마네카에 ( Yamane Kae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39

        본 연구는 21세기에 들어 한국과 일본에서 출간된 『논어』와 관련된 서적들을 제목과 서문을 중심으로 하여 출간수, 인구수 대비 출간수, 서적별 분류, 학술서의 분류, 일반서의 분류, 대상 독자별 분류의 순서로 조사함으로써, 두 나라 사람들의 『논어』에 대한 인식과 『논어』의 현대적 역할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논어』를 필요로 하는 시대상황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2000년 이후 『논어』와 관련된 서적들의 출간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은 한국과 일본에서 경제 불황 등의 요인으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야하는지 정신적으로 불안해하고 있는 상황에서, 『논어』가 인생의 가르침을 준다고 인식하면서 그와 관련된 서적들을 읽음으로써 새로운 삶의 방안을 찾으려는 경향에서 나타나게 된 것 같다. 특히 굳이 『논어』와 관련된 서적이어야 하는 이유는, 『논어』가 인류가 쌓아온 지적 유산 중에서도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는 고전으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기 때문인 것 같다. 또 조사 결과에서 한국과 일본에서의 차이점도 볼 수 있는데, 한국에서는 『논어』에 관한 학술서의 출간 비율이 일반서보다 약간 높은 반면, 일본에서는 일반서의 출간 비율이 학술서보다 월등히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 이유는 한국에는 다양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통하여 『논어』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도나 지식수준이 높을뿐더러 전문적인 학습자나 연구자도 많은 반면, 일본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21세기 이후에 출간된 서적들을 그 제목과 서문을 중심으로 조사하면서 나온 것이기에 제한적일 수가 있으므로, 보다 전면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조사의 시기와 대상 그리고 내용을 더 넓혀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surveyed in order of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number compared to population number, book-based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of learned books, classification of general books, and classification by target reader focusing on titles and prefaces of books related to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with entering the 21st century. Thus, the aim is to analyze recognition in people of both countries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modern role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o understand historical situation of requir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based on i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it can be known to be rapidly grown the publication number of books related to The Analects of Confucius following 2000 in common in Korea and Japan. This phenomenon seems to have come to appear in the tendency of trying to seek a plan of new life by reading books related to it with recognizing that The Analects of Confucius gives a lesson of life in a situation that people are mentally anxious about how they will need to proceed with living due to a factor of economic depression in Korea and Japan. Especially, a reason for needing to be a book related certainly to The Analects of Confucius seems to be because of giving many lessons to people who proceed with living in modern times as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a classic of having specific and realistic characteristic even out of intellectual heritage that mankind has accumulated. Also, in the survey outcome, the difference can be also seen between Korea and Japan. A point can be taken as saying that the weight of learned books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high in Korea, but that the weight of general books is high in Japan. The reason can be said to be because general people`s interest or intellectual level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high and also there are many professional learners or researchers in Korea through diverse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but that it is its opposite case in Japan. However, this outcome may be restrictive because of having been shown with surveying the books, which were published following the 21st century, focusing on its titles and prefaces. Henc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of researching by further broadening survey period, subjects, and contents in order to obtain more full-scale result.

      • KCI등재

        出土文獻《論語》經文異文的文字學的考察

        장태원,이위위 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語文學誌 Vol.0 No.60

        As more and more unearthed documents about the Analects of Confucius are discovered and published since the 20th century, which has made a big difference in the studying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se unearthed documents mainly includ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discovered in Dunhuang and Tulufan area, which is generally acknowledged written in the Tang dynasty, the one unearthed in Ding county, Hebei province, which is generally acknowledged written on the bamboo in the Han dynasty, Scattered in the bamboo slips manuscript about the Analects of Confucius excavated at Guodian and collected by Shanghai Museum that belongs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newly discovered bamboo scrap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ritten in the Han dynasty, which is unearthed in Zhenbaidong, Pingrang city, North Korea, and some scraps about Zizhang chapter unearthed in Xuanquan county. This paper is trying to contrast the different characters in these unearthed documents about the Analects of Confucius with the current version. I hope to make a comprehensive and systemic study for the future study in the different characters of unearthed documents about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order to do a better research of different characters of unearthed documents about the Analects of Confucius, firstly, this paper will introduce the research statu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its unearthed documents in detail. Secondly, I want to deeply studying the different characters and try to classify it into five categories aimed at comprehensively studying the different characters in these unearthed documents about the Analects of Confucius.

      • KCI등재

        공자학에서 장자학으로 철학적 사유의 계승과 발전 -『논어』의 공자와『장자』의 공자 비교 -

        강봉수 ( Kang Bong-so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장자』에서 서사를 이끌어가는 인물로 공자가 자주 등장한다. 여기서 공자는 비판과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도를 묻는 구도자로 등장하기도 하며, 장자학의 대변인처럼 출연하기도 한다. 이에 대한 그동안의 이해는 대체로 비판과 조롱의 대상이 되는 공자는 『논어』의 공자이고, 나머지는 장자 혹은 그의 후학이 공자에 가탁(假託)하여 장자학의 사상을 피력한 것이라고 여겨왔다. 이러한 관점은 『논어』의 공자가 당위적 사유와 진리만을 주장했던 사상가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논어』의 공자가 처음부터 당위적 사유뿐만 아니라 유위적사유와 무위적 사유까지 폭넓은 사유를 전개했던 사상가로 여긴다. 장자학의 관점에서 공자의 당위적 사유와 유위적 사유는 비판과 조롱의 대상이지만, 무위적 사유에 대해서는 장자학이 계승하고 발전시켰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장자』에서 공자의 역할이 무엇이든 『논어』의 공자와『장자』의 공자 간에는 사상적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공자는 무위적 사유를 전개했지만 그것을 도덕과 정치현실에서 실현해 보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오로지 당위적 사유와 진리를 구현하는 데에만 고군분투하였다. 이것이 장자학의 불만이었다. 그래서 장자학은 공자의 무위적 사유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며 역사현실에서 실현할 수 있는 길을 개척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자기 사상을 정당화하고 권위를 확보하기 위해 당시대에 존경받는 인물이었던 공자에게 가탁하였던 것이라 주장한다. 이러한 점은 『논어』의 공자와『장자』의 공자 간의 사상적 차별성이라 보았다. Confucius often appears as a person leading narrative in "Zhangjia". Here, Confucius is a subject of criticism and mockery, a researcher who inquires about the truth, and sometimes he appears as a spokesman for Zhangjia. In the meantime, Confucius, who is generally criticized and ridiculed, has been regarded as Confucius of the "Analects", and the rest is the Confession of Zhangjia as Confucius and expressed his ideas. This view is that Confucius in the "Analects" is seen as a thinker who insisted on only the righteousness(Dangwei, 當爲的) reason and truth. This paper considers the Confucius of the "Analects" as a thinker who has broadly developed not only the righteousness(Dangwei, 當 爲的) reason but also the utility(Youwei, 유위적) reason and the inactivity(Wuwei, 無爲的) reason. From the viewpoint of Zhangjia, Confucius's righteousness thinking and utility thinking are objects of criticism and mockery, but argue that Zhangjia inherited and developed the inactivity reason. From this point of view, whatever the role of Confucius in "Zhangjia", the Confucius of the "Analects" and the Confucius of the "Zhangjia" seemed to have an ideological relevance. However, Confucius developed a inactivity thought, but did not strive to realize it in moral and political reality, but only struggled to realize the righteousness reason and truth. This was Zhangjia's complaint. So Zhangjia tried to pave the way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Confucius's inactivity thought and realization in historical reality. In order to justify this self-thought and secure authority, he claims to have been entrusted to Confucius, who was a person respected at that time. This point was seen as the ideological differentiation between Confucius of "Analects" and Confucius of "Zhangjia".

      • KCI등재

        퇴계(退溪)의『논어석의(論語釋義)』에 대한 일고(一考) : 『論語』에 대한 해석 방식을 중심으로

        김진철,정시열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39 No.-

        본 연구에서는 退溪 李滉(1501~1570)이 한글과 漢文을 혼용하여 四書三經에 대해 해석한 釋義類 저술 중에서, 『논어석의』에 나타난 『논어』에 대한 퇴계의 해석학적 특징을 전면적으로 분석했다. 퇴계의 경학 사상은 그의 文集 곳곳에 散見되는데, 이 중에서도 經學에 대한 그의 전면적이고 구체적인 견해를 담고 있는 것은 바로 四書와 三經에 대한 釋義類일 것이다. 이 釋義類는 퇴계의 경학 사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자료이다. 여기에는 四書와 三經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했던 퇴계 평생의 노력이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퇴계의 『논어석의』를 대상으로 하여 퇴계의 『논어』 해석이 성리학적 사상 체계의 전형을 담고 있는 朱子註 및 小註 등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고, 아울러 중국의 역대 『논어』 해석서들과의 비교를 통해 『논어』에 대한 퇴계의 독특한 시각을 밝혀보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퇴계의 경서 해석 방법상의 다양한 특징을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검토해 보았다. 이처럼 퇴계가 『논어』에 대해 釋義한 내용들을 여러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짧고 간단한 몇 마디의 해석 속에 朱子註 및 小註에 대한 깊은 이해와 경서 해석의 다양한 방법과 관점 등 퇴계의 깊은 학식이 온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서 해석의 측면에 국한해서 본다면, 퇴계는 傳統小學과 古文獻學의 지식을 잘 운용한 학자였다. 그리고 그는 朱子와 같은 특정 학자의 해석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實事求是的으로 經書를 해석한 考證學者였다. This study analyzed hermeneutic characteristics of Toegye`s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mong Seokwhiryu writings that Toegye Lee Hwang (1501-1570) interpreted about Saseosamgyeong mixing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oegye` thoughts of Chinese classics are often shown in a collection of his works, and particularly, ``Seokwhiryu`` about Saseo and Samgyeong contains his overall and specific ideas. ``Seokwhiryu`` is direct data to grasp Toegye`s thoughts of Chinese classics systematicall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oegye devoted his lifetime to understand Saseo and Samgyeong exactly. This study focused on looking into how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different from Jujaju(朱子註) and Soju(小註) with the model of Neo-Confucian thought system by targeting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for the analysis and found out Toegye`s unique perspectives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Analects of Confucius』 interpretations in Chinese history. In addition, the study divid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oegye`s interpretation methods into several types and reviewed them. As Toegye divided interpreted contents about 『the Analects of Confucius』 into many types to analyze, the interpretation of a short and simple word has found Toegye`s deep academic knowledge such as deep understanding of Jujaju(朱子註) and Soju(小註) and various methods and viewpoints of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In term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Toegye was a scholar who used knowledge of traditional Sohak and traditional philology well. Besides, he was a Confucianist who wasn`t bound by specific scholars` interpretation such as Juja and studied the Confucian classics objectively from various perspectives.

      • KCI등재

        성호 이익의 『논어』 용사시(用事詩)에 나타난 출처의식(出處意識) 연구

        황명환 ( Hwang Myeong-hwan ) 온지학회 2024 溫知論叢 Vol.- No.78

        성호의 『논어』 용사시는 전체 성호 한시의 약 9%를 차지한다. 시작법(詩作法)의 측면에서 단일 텍스트를 용사한 시가 이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그 자체로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성호는 『논어질서』의 편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논어』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한편, 성호의 출처의식은 『논어』로부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음이 분명하다. 이는 공자가 강조한 학문이나 수양이 사회적인 영역으로까지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논어』에는 출처의 대원칙 몇 가지가 제시되어 있으며, 공자의 출사 의지와 더불어 퇴처의 중요성 역시 함께 언급되어 있다. 이에 영향을 받아, 성호는 그의 『논어』 용사시에서 출사의식과 퇴처 의식을 동시에 드러내었다. 그는 개인적·가정적인 문제로 인해 출사를 단념하게 되었지만, 출사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지는 않았다. 출사란 백성들의 삶을 편안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붕당 정치의 변질로 인해 성호는 퇴처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인지 그가 스스로의 뜻을 드러내거나 자신과 같이 퇴처의 삶을 택한 이들을 위해 쓴 시에서는, 퇴처의식이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성호의 『논어』 용사시에 나타난 출처의식은 성호가 퇴처한 상황에서도 어떠한 형태로든 현실 정치에의 참여를 희망하고 있었음을 반증한다. 실제로 그는 일상생활 속에서 마음을 갈고 닦는 것도 곧 정치 참여라 인식하였으며, 더 나아가 『논어』 용사시를 통해 중농학파로서의 인식을 확고히 드러내었다. 결국 성호의 『논어』 용사시는 성호가 자신이 처한 상황하에서 출사와 퇴처 양면을 모두 합당하게 하고자 하였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e Sino-Korean Poetry in which Seong-ho uses the Analects of Confucius account for about 9% of all Seong-ho's Sino-Korean Poetry. The fact that Sino-Korean Poetry using a single text occupies such a proportion can be said to have a special meaning in itself. Especially, Seong-ho had a special interest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can be seen through Noneo Jilseo(論語疾書). On the other hand, it is clear that Seong-ho's consciousness of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seclusion wa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Analects of Confucius. This means that the studies and discipline emphasized by Confucius were extended to the social realm. In fact, the Analects of Confucius present several general principles regarding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seclusion, and the importance of seclusion along with Confucius's will to taking up a public office is also mentioned. Influenced by this, Seong-ho simultaneously revealed his consciousness of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his consciousness of seclusion in his Sino-Korean Poetry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Although he gave up taking up a public office due to personal and family problems, he did not view the civil service itself negatively. This is because they thought of taking up a public office as a means to make the lives of the people comfortable. However, due to the deterioration of factional politics, Seong-ho had no choice but to choose the path of seclusion. Therefore, in the Sino-Korean Poetry he wrote for those who expressed his will or chose to live a life of seclusion like him, the sense of seclusion is remarkable. The awareness of taking up a public office and seclusion expressed in Sino-Korean Poetry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proves that Seong-ho hoped to participate in real politics in some form even when he was in seclusion. In fact, he recognized that sharpening one's mind in daily life was also part of political participation.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n farming was clearly revealed through Sino-Korean Poetry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Seong-ho's Sino-Korean Poetry us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Seong-ho tried to make both aspects of public life and seclusion reasonable under the circumstances he was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