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rbnb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성준(Sung-Jun Hong),이창무(Chang-Moo Lee) 한국주택학회 2020 주택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마포구를 대상으로 숙박공유업체 Airbnb의 리스트 수에 따라 인근 아파트 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2014년 12월부터 2017년 7월까지 29,140개의 Airbnb 등록자료를 바탕으로 헤도닉 가격모형을 활용하여 아파트 가격과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Airbnb의 증가는 인근지역 아파트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부산과 캘리포니아 사례처럼 소음, 쓰레기, 주차위반, 밤 늦은 시간까지 파티 등 부정적인 어메니티 요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Airbnb가 국내에 서비스된지 많은 시간이 흘렀으나 국내 아파트 가격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많은 연구들은 Airbnb의 증가가 단기임대료 또는 주택가격의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가 주를 이뤘다면 본 연구는 경제의 성장과 함께 어메니티 선호(preference)에 따른 Airbnb와 주택가격 간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number of a shared accommodation, Airbnb, list affects the price of nearby apartments in Gangnam-gu and Mapo-gu in Seoul. Based on 29,140 Airbnb registration data from December 2014 to July 2017, hedonic price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with the price of an apartment. Based on the result, increase of Airbnb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rice of apartments in the area, which seems to be caused by negative amenity elements including noise, waste, parking violation and late night party, as seen in Busan and California cases. Airbnb has been serviced in Korea for long, but no studies on the price of apartments in Korea have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whereas many foreign studies reported that the number of Airbnb increased the housing price and short-term rent, this study shows the opposite results that Airbnb affects negative impact on the price of apartment. This study also identified empirically that the preference for amenities can affect the housing price.

      • KCI등재

        Airbnb 고객들의 재구매 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감정과 Airbnb 특성 요인의 역할

        김병수 ( Kim Byoungsoo ),김대길 ( Kim Daekil ) 한국지식경영학회 2020 지식경영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Airbnb 고객들의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객들이 경험 뒤 형성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이 재구매를 결정하는 핵심요인으로 고려하였다. Airbnb 특성 요인으로는 진정한 경험, 숙소 시설, 가격 공정성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재구매 의사 결정에서 주관적 규범과 트렌드 추구 경향의 역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제안한 연구 모형은 306명의 Airbnb 사용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Airbnb에 대한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모두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irbnb의 특성 요인들이 재구매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규범과 트렌드 추구 경향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Airbnb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고객 경험 관리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key factors influencing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Airbnb.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formed after customer's first-hand experience are identified as vital antecedents in determining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posits authentic experience, amenities, and price fairness as the key characteristics of Airbnb. It clarifies the role of subjective norms and trend-seeking tendency in repurchase decision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analyzed for 306 customers with experience in using Airbnb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clarified the role of Airbnb's characteristic components on repurchase decisions. Finally, subjective norms and trend-seeking tendency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for customer experience and marketing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of Airbnb.

      • KCI등재

        숙박 공유 플랫폼에서 고객들의 재방문 의도의 선행 요인에 대한 연구: 상대적 매력, 브랜드 동일화, 즐거움의 역할

        김선주,김병수,Kim, Seon Ju,Kim, Byoungso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코로나 펜데믹 확산으로 여행 산업이 침체를 겪고 있으나, Airbnb의 경우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rbnb의 특성이 고객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가치, Airbnb에 대한 신뢰, 주관적 규범을 재방문 의도 형성의 핵심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상대적 매력, 브랜드 동일화,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와 Airbnb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갑 점유율의 조절 효과도 살펴보았다. 제안한 연구 모형은 Airbnb를 2번 이상 사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상대적 매력, 브랜드 동일화, 즐거움이 지각된 가치와 Airbnb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각된 가치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Airbnb에 대한 신뢰와 주관적 규범은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지갑 점유율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irbnb는 고객들의 재방문 의도 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여, 마케팅 및 운영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travel and lodging industries have been suffering from the spread of COVID-19. But Airbnb recovered its profits with a differentiated strateg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Airbnb and examined their effects on customer's revisit intention in the Airbnb context. Perceived value, trust about Airbnb, and social norms were considered as the key factors of revisit intention. In addition, the effects of relative attractiveness, brand identification, and enjoyment on perceived value and trust about Airbnb were examined.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tested based on 285 consumers who had Airbnb experience more than twic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relative attractiveness, brand identification, and enjoy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and trust.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However, trust about Airbnb and social norm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visit intention. Moreover, ths analysis results foun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hare of walle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irbnb would establish effective marketing and operation strategies by understanding the formation mechanism of consumer's revisit intention toward Airbnb.

      • KCI등재

        fsQCA를 활용한 Airbnb 고객의 서비스 실패 귀인에 대한 연구 : 미국 고객 데이터를 대상으로

        김수연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4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6 No.1

        Airbnb에서 서비스 실패가 일어났을 때, 효과적인 서비스 회복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전달 과정에 참여하는 각 주체들에게(Airbnb, 호스트, 고객) 고객이 어떻게 실패 귀인을 하는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실패 귀인을 누구에게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기대되는 서비스 회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효과적인 서비스 회복 전략에만 집중해 왔다. 즉, 왜 그러한 전략들이 효과적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유 서비스, 서비스 실패/회복 관련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서비스 실패 및 고객 특성에 해당하는 3가지 원인 조건 (①서비스 실패 심각도, ②성별, ③연령)과 서비스 실패 귀인에 해당하는 3가지 결과 조건 (①Airbnb에 대한 실패 귀인, ②호스트에 대한 실패 귀인, ③고객 자신에 대한 실패 귀인)을 정의하였다. Airbnb를 사용해 본 미국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fsQCA를 수행한 결과,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Airbnb는 서비스 실패 심각도가 높을 때, 서비스 회복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하며, 둘째, 호스트는 서비스 실패 심각도와 관계없이 서비스 회복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Airbnb와 호스트 모두, 남성 고객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Airbnb에서 실패가 일어났을 때, 각 주체에 대한 고객의 귀인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서비스 회복 전략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To provide effective service recovery in the event of a service failure at Airbnb, each actor involved in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Airbnb, hosts, and customers) needs to understand how customers attribute failure. This is because how and to whom a failure is attributed can affect the expected service recovery. Nevertheless,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effective service recovery strategies, i.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why these strategies are effective.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shared services and service failure/recovery, this study defines three causal conditions for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1) service failure severity, (2) gender, and (3) age, and three outcome conditions for service failure attribution (1) failure attribution to Airbnb, (2) failure attribution to the host, and (3) failure attribution to the customer himself. Using data collected from Americans who have used Airbnb, we conducted a fsQCA and fou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irbnb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service recovery when the severity of the failure is high; second, host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service recovery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the failure; and finally, both Airbnb and hosts should pay attention to male custom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they provide an understanding of customer attributions to each actor in the event of a failure at Airbnb, which can help to inform effective service recovery strategies.

      • KCI등재후보

        Can Airbnb Continue to Grow after Facing Today’s Challenges?

        최경규(Gyoung-Gyu Choi)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2 경영과 사례연구 Vol.44 No.2

        에어비앤비는 공유 경제 분야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업 중 하나이다. 이 논문은 Airbnb의 강점을 경쟁사의 강점과 비교하고 직면하는 문제에 대응하여 Airbnb가 계속 성장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논의한다. 공유경제에 대한 이론을 소개하고 에어비앤비의 비즈니스 모델과 경영을 검토함으로써 실제로 활용되는 공유 경제 비즈니스를 심층적으로 이해한다. 다음은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기회와 위협을 분석하고, 에어비앤비와 에어비앤비의 경쟁자에 대한 SWOT 분석을 하고 비교함으로써 경쟁자 분석을 한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당면한 과제을 파악하고 Airbnb의 조직과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유연한 위기 관리 및 다각화 전략에 대해 면밀히 검토한다. Airbnb가 팬데믹으로 인해 발생한 수익감소와 성장 잠재력을 보완하고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한다. Airbnb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companies in the sharing economy sector. This paper discusses whether Airbnb can continue to expand amid the COVID-19 pandemic crisis by comparing Airbnb's strengths against the strengths of competitors and the challenges it encounters from environmental dynamics. First, we discuss the sharing economy. The business model and the operations of Airbnb are examined as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haring economy business in practice. Next, we analyze opportunities and threat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irbnb are also examined and compared to those of Airbnb's competitors. Furthermore, the challenges it faces due to the COVID-19 crisis are scrutinized. Based on Airbnb’s core competencies, customer-oriented diversification with flexibility in crisis management can be the strategies Airbnb needs to utilize to cope with the crisis to compensate for declining revenues and the growth potential.

      • KCI등재후보

        Airbab에서 숙소 인기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

        강민형(Minhyung Kang)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2023 産經論集 Vol.43 No.2

        본 연구는 Airbnb에서 숙소 인기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자인 호스트의 속성과 서비스 핵심 시설에 해당하는 숙소의 속성, 그리고 기존 고객들의 숙소 이용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나타내는 리뷰 내용 관련된 데이터를 Airbnb관련 공개 데이터 사이트인 Inside Airbnb에서 확보하였다. 연구가설 수립을 위해서는 서비스품질모형(SERVQUAL)의 다섯 가지 하위 차원 및 지각된 가치, 리뷰 감성 등을 변수화하여 숙소의 인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숙소의 인기도는 실제 결과물인 신규 리뷰개수를 통해서 측정하였는데, 빈도 변수이면서 치우친 분포를 보여 포아송 회귀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품질모형의 다섯 가지 세부 차원은 모두 Airbnb 숙소의 인기도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였으며, Airbnb 상황에서 중요한 지각된 가치도 유의한 긍정적 영향력을 보였다. 하지만 리뷰 내용에 담긴 긍정, 부정의 반응은 기대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연구 결과는 새로운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종속변수의 제시, 종단적 연구방법의 적용 등 학술적 기여점을 가지고 있으며, 실무적 차원에서도 Airbnb 숙소의 인기도를 높이기 위한 호스트 및 Airbnb 플랫폼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opularity of listings on Airbnb. For this purpose, data on the attributes of hosts (who are service providers), the attributes of listings (which are the core facilities of the Airbnb service), and the content of reviews (which represent the existing customers' perceptions of their experience) were obtained from Inside Airbnb, a non-for-profit data site related to Airbnb. To develop the research hypotheses, the effects of the five sub-dimensions of the SERVQUAL model, perceived value, and review sentiment on the popularity of a listing were examined. The popularity of a listing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new reviews, and since it is a count variable and has a skewed distribution, it was analyzed through Poisson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l five dimensions of the service quality mode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opularity of Airbnb listings, and perceived value, which is important in the Airbnb context,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However, the positive and negative sentiments in reviews did not yield the expected results. Our findings have academic contributions in the form of a new theoretical framework, a new dependent variable, and the application of a longitudinal research method. Additionally, they also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irbnb listings.

      • KCI등재

        다면적 온라인 상호작용성과 인지된 위험이 소비자 태도와 행동의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 공유경제 기반 사업, Airbnb를 대상으로 -

        양수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0

        Sharing economy business utilizing ICT is rapidly surging throughout related industries. Airbnb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uccessful examples using sharing economy in the traveling and hospitality industry. The current research assumed that consumers may evaluate online interactivity as the three dimensions of two-way communication, active control, and synchronicity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s. Therefore, it investigated how consumers perceptions on online interactivity and security of the Airbnb’s website affect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Airbnb. The hypotheses about relationships bewteen suggested variables were tested using the statistic package of AMOS 22.0 based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s a result, two-way communication and active control found to be significant and positive explanatory variables of attitude toward Airbnb. The perceived security on Airbnb's website turned out to be affected by users’ evaluation about governmental regulations and the Airbnb’s policies, showed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 Plus, additional group comparison based on perceived security toward the Airbnb's website were analyzed. As the level of perceived risk toward Airbnb is higher, the positive effects of active control and security tended to be bigger. Therefore, w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functions not only drawing consumers active participation such as controlling and communicating, but also a relevant level of security policy when designing the sharing economy web site. 본 연구는 최근 ICT와의 결합으로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 공유경제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유경제의 대표적 성공사례인 Airbnb의 웹사이트의 상호작용성을 쌍방향 소통, 능동적 통제, 동시성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이러한 다면적 소비자의 상호작용성 평가와 함께 사이트에 대해 인지된 보안성이 Airbnb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은 AMOS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으로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쌍방향 소통과 능동적 통제, 그리고 Airbnb에 대한 인지된 보안성이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형성된 태도는 게스트와 호스트로써 Airbnb를 사용할 의도로 이어졌다. 한편, 변수 간의 관계들이 Airbnb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인지되는 위험 수준에 의해서 조절되는지 집단 비교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공유경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더 높은 위험을 느낄수록, 국가와 Airbnb가 제안하는 보안 정책에 대한 평가가 Airbnb의 보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공고해졌다. 또한, Airbnb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데 있어 상호 작용성 중 능동적 통제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저자는 공유경제 서비스 제안 시, 소비자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 수 있으면서도 개인 정보 보안 정책이 철저한 서비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 TRAVELING LIKE A LOCAL: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CUSTOMER ENGAGEMEN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AIRBNB USERS

        Jungho Suh,Soyoung An,Thomas Eck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8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8 No.07

        Numer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influence of Airbnb on the tourism and hospitality industry. However, relativel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customer engagement. Considering its crucial role of boost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Harrigan, Evers, Miles, & Daly, 2017; So, King, Sparks, & Wang, 2016), there is a great need for research into Airbnb in terms of customer engag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stomer engagemen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mong Airbnb users. This study recruited a total of 374 US Airbnb users through Amazon Mechanical Turk (MTurk), which has been increasingly adopted to collect samples in tourism and hospitality studies. Data analysi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ustomer engagement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Airbnb users. The results show that customer engagement plays a crucial role in Airbnb user experien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by applying a customer engagement scale previously developed by So et al. (2016)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engagement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Airbnb. In addition to this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included as a mediator to better grasp the importance of customer engagement and the role of satisfaction among U.S. Airbnb users. This research also extends the current literature of Airbnb by examining, through an empirical approach, how customer engagement with Airbnb impacts its users’ behavioral intentions.

      • KCI우수등재

        게스트의 에어비앤비 지속적 사용의도 형성을 위한 플랫폼과 호스트에 대한 신뢰 및 애착 전이의 영향 연구

        엄태휘,구철모,정남호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6

        As the accommodation sharing industry grows, the role of guests and hosts participating in transactions with the Airbnb platform is also increasing. However, researches about the guests’ perception of Airbnb and the impact of host interaction with guest is lacking. Using the trust-transfer theory and attachment theor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teraction of host with guest make impact on the intention of guest's continuous use of Airbnb. We conducted a survey with 228 guests who have used Airbnb.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t was found that guest interaction with host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Airbnb and trust in the host. Trust in Airbnb and trust in the host had a positive effect on Airbnb attachment and host attachment, respectively. Finally, Airbnb attachment and host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ance intention. Also, it was found that trust in Airbnb can be transferred to trust in the host, and host attachment was found to stimulate Airbnb attachment. This study identifies the trust and attachment formed by the interaction with guest, and the continuance intention. Theoretically, our study contributes to expand trust-transfer and attachment theory by applying the home-sharing economy. Practically, practitioners of platform businesses and accommodation sharing industry participants can refer to our empirical results. 공유숙박업이 성장하면서 에어비앤비 플랫폼과 더불어 거래에 참여하는 게스트와 호스트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게스트로서 에어비앤비 서비스를 경험한 사람들이 호스트로서 다시 에어비앤비에 참여하기도 하면서 호스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에어비앤비 연구에서는 상품의 성격 혹은 게스트의 성격 등에 초점을 맞춰 게스트의 행동을 연구했다. 그러나 게스트가 호스트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호스트 및 에어비앤비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는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신뢰 전이 이론과 애착 이론을 중심으로 호스트와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게스트로 하여금 에어비앤비 지속적 사용의도를 가지게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에어비앤비 사용 경험이 있는 게스트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구조모형방정식 모델을 설계하여 가설을 검증했다. 분석 결과, 호스트와의 상호작용은 에어비앤비 신뢰와 호스트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에어비앤비 신뢰와 호스트 신뢰는 각각 에어비앤비 애착과 호스트 애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어비앤비 애착과 호스트에 대한 애착은 에어비앤비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에어비앤비에 대한 신뢰는 호스트에 대한 신뢰로 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호스트 애착은 에어비앤비 애착을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호스트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되는 신뢰와 애착 및 지속적 사용의도를 파악한다. 학술적으로는 신뢰전이 이론과 애착이론을 공유숙박업에 적용함으로써 이론적 확장에 기여했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실무적으로는 플랫폼 사업자 및 공유숙박업에 참여하는 호스트와 회사에게 게스트와의 상호작용이 가져올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 KCI등재

        EU 에어비앤비 정보사회서비스 분류의 의미와 약관법 적용 시 시사점

        신정은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44 No.1

        A judgment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ECJ) recently ruled Airbnb Ireland(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bnb) should be classified as an Information SocietyService (ISS), which guarantees benefits from the freedom movement except somespecialized areas such as tax among the EU member states by Directive 2000/31. However, the freedom may be restricted if necessary. But before the examination onsubstantive conditions such as comsumer protection for a possible restriction, the ECJheld that a French domestic regulation may not be enforceable against Airbnbbecause the French government did not notify its intention of regulation to the EUCommission and Ireland. The implications of the ECJ judgment to u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misinterpretation if someone argues that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Conditions (ARTC) may not be applied to Airbnb since it is classified as an ISSwhich may imply Airbnb is not one of the parties to accommodation servicecontracts. What we could learn from the ECJ judgment is its criterion of Airbnb’s“decisive influence” or “control” over accommodation services in its classification. Airbnb is the one who writes the terms and let their accommodation serviceproviders (hosts) choose one(s) among them and Airbnb has the rights andresponsibilities to change the terms. Thus, Airbnb is one of the parties with respectto the terms as it has control over the terms. Moreover, the terms are presented onAirbnb’s platform, not hotels’ sites. Thus the one who should be given correctivemeasures from the government is Airbnb if the terms on Airbnb platform are not consistent with the ARTC. Next, it should be noted that Airbnb has not been regulated by the Frenchdomestic law (the Hoguet law) because of procedural deficiency before a possibleconsideration of substantive conditions such as consumer protections. We can refer tothe principle of its possible restrictions on the ISS’s freedom. Therefore, it is controlover “terms” rather than over “overall accommodation services” that we shouldconsider when determining who should be regulated by the ARTC, one of consumerprotection laws in Korea. That is a way of interpreting the law suited to its purposeof consumer protection. 유럽연합(EU) 지침에 따라 온라인 중개 플랫폼이 정보사회서비스로서 분류되면 국경 간 자유로운 전자상거래의 혜택을 누리게 되어 조세 등 특별한 분야를 제외하고 EU 다른 회원국의 국내 규제법 적용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혜택은 공공정책, 소비자보호 등을 위해 제한될 수 있다. 이번EU 사법재판소(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ECJ) 에어비앤비 판결의 경우 이러한 실질적 제한 요건을 따져 보기도 전에 프랑스 정부가 정보사회서비스 사업자의 혜택을 제한하는 데 필요한 절차적 요건(통보)을 충족시키지 못해 결국 에어비앤비가 프랑스 국내 중개면허 관련 규제를 적용받지 않아도 되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번 EU 사법재판소(ECJ)의 에어비앤비 판결이 국내 약관법 적용에서 갖는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EU에서 에어비앤비가 정보사회서비스로 분류되었으니 성질상 숙박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며, 따라서 약관법을 적용할 수 없다는 주장은 EU 사법재판소(ECJ)의 판결을 잘 못 해석하는 것이다. EU 사법재판소(ECJ)가 에어비앤비를 정보사회서비스로 분류할 때 사용한 “지배적 영향력(또는 통제력)” 기준을 약관 부분에 차용해 검토해 보면, 에어비앤비는 약관을 작성하여 숙박 제공자(호스트)가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고, 약관을 수정⋅변경할 권한이 있으므로 “약관에 대한 통제력”이 있어 약관에 한해 당사자로 볼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상”에서 숙박 제공자(호스트)와 함께 숙박 이용자(게스트)에게 약관을 제안하였다면, 약관법 상 시정조치의 대상인 “사업자”는 에어비앤비로 보아야 한다. 다음으로, 프랑스 정부의 에어비앤비 규제에 관한 EU 역내 통보라는 절차상 흠결을 이유로 에어비앤비가 프랑스 국내 규제법을 적용받지 않았을 뿐이지, EU 지침 상 정보사회서비스로 분류된 플랫폼 서비스도 소비자 보호 등을위해 영업의 자유 등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EU 지침의 원리를 참고하여 에어비앤비에 대한 우리 약관법 적용 여부 판단 시 에어비앤비가 전체숙박계약의 공동 당사자인지 불분명한 경우라도, 소비자 보호, 구체적으로 약관의 일방성으로 인한 소비자피해 예방이라는 약관법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에어비앤비가 “약관”에 대해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살펴봐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