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이얼로그플로우를 활용한 대화형 AI 챗봇 제작 및 초등 영어 수업에의 적용

        한다은(Da Eu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코로나 19와 같은 불가피한 상황은 학사 운영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에 따라 비대면 수업 운영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이에 학교 수업에서의 AI 챗봇의 활용은 비대면으로 언제 어디서든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 공백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영어 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다이얼로그플로우를 이용한 대화형 AI 챗봇을 제작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제작된 AI 챗봇을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챗봇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반응과 인식을 바탕으로 그 활용 가능성 및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장 수업 진도에 맞게 단원을 설정한 뒤 다이얼로그플로우를 활용하여 AI 챗봇을 제작하였고, 이를 초등영어교육 현장에 적용하였다. 제작된 챗봇 활용의 가능성 및 한계점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인식과 반응을 분석하기 위한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다이얼로그플로우를 활용하여 계정 만들기, Intent 만들기, Entity 만들기, Integration으로 Web Demo 만들기, Web Demo 실행하기의 단계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이얼로그 연습에 등장하는 표현을 활용하여 대화문을 작성해 AI 챗봇을 제작하였다. 다이얼로그플로우의 History 기능과 활동지 결과물, 그리고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영어교육 현장에서 제작된 AI 챗봇의 활용 가능성과 한계점을 제시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AI 챗봇에 대해 높은 관심과 흥미를 갖고 있고, 이것이 영어에 대한 학습 동기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챗봇의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반복되는 챗봇과의 대화는 영어 표현의 정확성을 유도하는 등 학습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점 역시 눈여겨 볼만 하다. 반면, 제작된 AI 챗봇이 갖는 한계점 역시 간과할 수 없다. 챗봇과 대화 중 초등 학습자의 표현을 잘 인식하지 못해 답답했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제작된 챗봇이 교과서에 소개되어 있는 질문이나 답변만을 수용하여 학습이 한정적이라고 느껴 흥미를 별로 못 느낀 학생들도 종종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사용자와 챗봇의 충분한 상호작용이 가능한 대화형 영어 학습용 챗봇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작된 챗봇처럼 초등영어 교과서를 활용하여 다이얼로그 연습용 챗봇으로 직접 개발을 할 수 있다면 학교 현장 뿐 아니라 초등영어 학습자가 가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을 진행하는 것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게 영어 수업 현장에서 AI 챗봇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더욱 스마트하고 효과적인 영어 학습용 챗봇이 개발되어 영어 교수·학습에 큰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Inevitable circumstances such as COVID-19 have brought about a major change i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and accordingly, discussion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how to operate non-face-to-face classes. In such a situation, the use of AI chatbots in school classes is expected to show new possibilities of minimizing the learning gap regardless of the situation anytime, anywhere without face-to-face.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tents of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 method of developing a conversational AI chatbot using dialog flow was introduced. In addition, by applying the manufactured AI chatbot to the classroom, it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ts use based on the responses and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interaction with the chatbot. Methods To this end, after setting up the uni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field class, an AI chatbot was created using the dialogflow, and this was applied to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ield. In order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using the developed chatbot, a post-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responses of 117 students in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ults Using the dialogflow to create an account, create an intent, create an entity, create a web demo with integration, and run a web demo, an AI chatbot was created by writing a dialogue using expressions that appear in dialog exercises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History function of the dialogflow, the results of the activity sheet, and the survey result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AI chatbot developed in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field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showed high interest and interest in AI chatbots, and the positive impact of chatbots was confirmed in that it was connected with learning motivation for English.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repeated conversations with the chatbot induce learning effects such as inducing the accuracy of English expressions.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of the manufactured AI chatbot cannot be overlooked.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it was frustrating because they could not recognize the express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nversation with the chatbot. Also, there were often students who felt that learning was limited because the developed chatbot only accepted questions and answers introduced in textbooks, so they did not show much interes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English learning chatbot capable of sufficient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chatbot. In addition, if you can directly develop a chatbot for dialogue practice using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like the chatbot developed in this study, it will be helpful not only in the school field but also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at home. As AI chatbots are actively used in English classrooms in line with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cted that smarter and more effective English learning chatbots will be developed to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인공지능 챗봇에 대한 이용자의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인식에 관한 연구

        김담율,김종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4

        최근 다양한 분야의 산업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탑재된 대화형 로봇인 AI 챗봇(Chatbot)을 소비자 상담 분야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시장 환경에서 혁신 기술의 도입 성패는 소비자의 수용성과 저항성에 달려있으므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AI 챗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바탕으로 AI 챗봇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으며, 혁신저항모델(IRM)을 활용하여 AI 챗봇 사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혁신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양가적 반응을 고려하여 AI 챗봇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AI 챗봇 사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UTAUT의 핵심 변수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력은 AI 챗봇 사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촉진조건의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IRM으로부터 도출한 요인인 혁신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와 AI 챗봇으로 인해 변화되어가는 소비자 상담 방식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은 AI 챗봇 사용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정적 정서가 AI 챗봇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도 조절되지 않았다. 반면에 변화거부감이 AI 챗봇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노력기대로 인해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비자의 AI 챗봇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차원인 시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혁신 기술의 확산과 수용자의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AI 챗봇을 활용한 고객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경영진들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사의 AI 챗봇 시스템이 소비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경영 전략을 구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소비자 정책 관련 실무자들은 최근 사회적으로 많은 논의가 되는 디지털 약자의 시장 소외현상과 관련하여 AI 챗봇 상담 시스템의 확산에서 비롯되는 소비자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ndustrial companies across various fields have actively embraced and utilized AI Chatbot, which is conversational robot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to provide consumer consultation services. However, the success of integrating this innovative technology depends on consumer acceptance and resist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AI Chatbot. Drawing upon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this research examined factors positively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AI Chatbot. Additionally, based o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IRM), we identified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AI Chatbot.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factors positively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AI Chatbot could moderate the impact of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is intent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re variables of UTAUT-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significantly impact the intention to use AI Chatbot. However, the influence of facilitating condition was not confirmed. Second, factors derived from IRM-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adopting innovative technology and psychological resistance to the changing consumer consultation methods due to AI Chatbot- were confirmed to negative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AI Chatbot. Third, while the impact of negative emotions remains unmoderated by any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effort expectancy can moderat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resistance. This multifaceted explor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intention to use AI Chatbot is expected to expand research fields related to the diffusion of innovative technology and user resistance. Moreover, providers of customer consultation services using AI Chatbot can devise effective business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earch to successfully integrate their AI Chatbot systems. Particularly, policymakers in consumer can develop specific measures to address consumer issues arising from the proliferation of AI Chatbot, especially concerning the social exclusion of digitally disadvantaged individuals.

      • KCI등재

        데이터 증강이 외국어 영어 학습용 AI 챗봇의 작동 정확성과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낙훈 ( Kim Rakhun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22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2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ata augmentation on the accuracy of AI chatbot responses for L2 English learning and learners’ satisfaction. Data augmentation is a computational method that can help increase the response accuracy of AI chatbot to enhance the user satisfaction. However, research on L2 learning has not been focused on evaluating the influence of data augmentation on the AI chatbot response accuracy and learner satisfaction. To clarify this influence, 36 Korean high-school English L2 learner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used two hands-on AI chatbots, with and without data augmentation, for English L2 learning. The accuracy of the AI chatbot responses was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using the AI chatbot wa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esponses of the data-augmented AI chatbot were more accurate than those of the chatbot without data augmentation. Additionally, learners who used the data-augmented AI chatbot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AI chatbot-based learning experience.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data augmentation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I chatbots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AI 챗봇 광고에 대한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구: AI 챗봇의 유형, 프로필 이미지, 광고 메시지 초점을 중심으로

        최정현,김지호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5 No.4

        최근 여러 산업 분야에서 챗봇이라고 불리는 대화형 에이전트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이 탑재된 AI 챗봇은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르렀다. 이에 AI 챗봇의 이용자 정보 수집과 활용은 광고 맥락에도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AI 챗봇이 이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시하는 맥락에서, AI 챗봇의 유형(과업지향 vs. 사회지향), 프로필 이미지(로봇 vs. 인간 여성 vs. 인간 남성), 광고 메시지 초점(향상 메시지 vs. 예방 메시지)이 어떻게 이용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 × 3 × 2 집단 간 설계에서 29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참가자는 AI 챗봇과의 대화 및 광고 자극을 본 후, AI 챗봇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경험된 즐거움, 프라이버시 우려, 이용 의도, 광고 및 제품 태도에 대해 응답하였다. 그 결과, AI 챗봇의 유형이 지각된 유용성, 경험된 즐거움, 프라이버시 우려를 매개하여 이용 의도, 광고 태도, 제품 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광고 메시지 초점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AI 챗봇의 광고 활용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Recently, chatbots have been used in various industrie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I chatbots can identify customer needs and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herefore,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y AI chatbots may be applied to a personalized ad. In the context of a personalized ad by an AI chatbot,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AI chatbot type (task-oriented vs. social), the AI chatbot profile image (robot vs. human female vs. human male), and the message focus of the ad (promotion vs. prevention) on users’ responses. In a 2×3×2 between-subjects design, we conducted a survey of 298 undergraduate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experienced pleasure, and privacy concerns mediate the effects of AI chatbot types on usage intenti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attitude toward the product.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d message focus were confirmed.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use of AI chatbots in advertising.

      • KCI등재

        한국어 교육용 AI 챗봇 개발을 위한 챗봇 빌더 활용 방안

        박정아,이향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3 No.-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ies advance, chatbots equipped with AI functionalities for different purpos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In response to this trend, educational institutions also strive to use AI chatbots in classroom setting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developing AI chatbo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and it proposes a plan to develop AI chatbots for Korean education using chatbot builders. To begin with, up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use of educational chatbots for foreign languages, the author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hatbots. Then four exemplary chatbot builders that allow teachers without previous knowledge of coding to build chatbots were selected. The authors demonstrated in use cases how teachers can use the builders to create Korean educational chatbots, and used these measures to present their utilization plans. By suggesting different ways for teachers to easily manipulate the educational chatbots for use in class, the authors endeavored to expedite future research on chatbo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ultimately lay a foundation for further investigations on AI chatbots optimized for Korean education. AI와 관련 기술들이 급속하게 발전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챗봇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필수적이며, 반드시 교실 수업과 병행되어 사용되어야 하는 기술이라고 보고,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챗봇 빌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용 챗봇 개발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외국어 교육용 챗봇에 관한 연구들을 통하여 그 특성과 의의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코딩 지식이 없는 교사라고 해도 챗봇을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대표적인 챗봇 빌더 네 가지의 기능과 장점을 제시하고 이를 사용한 한국어 교육용 챗봇 개발의 실례와 그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챗봇 빌더들마다 제공하고 있는 기능과 특성들이 달라 교사가 개발하고자 하는 학습 내용, 학습자 수준, 학습 목적 등에 맞춰 적절한 기능이 탑재된 챗봇 빌더를 선택하고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챗봇은 학습자들에게 풍부한 한국어 연습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저장된 챗봇과 학습자 간의 대화 데이터는 추후 교사가 학습 내용 구성하거나 개인별 피드백을 해주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사가 한국어 교육용 챗봇을 쉽게 제작하여 수업에 활용해 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챗봇과 관련한 연구를 촉진하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어 교육에 최적화된 챗봇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거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지역화 학습을 위한 AI 챗봇 개발 및 적용 가능성 모색

        조윤진,한동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4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d applying AI chatbot for social studies localization learning. Using AI chatbots in social studies localization learning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teacher's expertise in the region. Second, it enables customized localization learning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Third, in terms of learning materials, it enables easy use and distribution as localized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developed an AI chatbot using an open–source chatbot platform that is easy to use in localization learning. It was conducted as action research to promote the growth of teachers by repeating and applying it to localization learning. The subject of the action research is Class A of the 3rd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in Songpa-gu. The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the first action research, students used chatbots to find the region’s prominent places and relate them to their experiences in their lives. Students considered the central place to be a place containing their experiences rather than a public place. In the second action research, students came to understand the place name ‘Wirye’ in connection with the region’s history through conversations with chatbots. They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cultural heritages in our region. In the 3rd action research, students used chatbots to create and present festival posters related to significant places and cultural heritages in the region. Through such action research, teachers could smoothly conduct localization learning by reflecting students' feedback on chatbots. Students were able to increase their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region. First, to develop and apply chatbots for better localization learning in the future, the AI thinking capabilities of teachers must first be enhanced. Second, teacher training and budget support for the use of the platform are needed, and in the long run, an educational AI platform for teachers as developers should be prepared. Third, teachers should be able to fully share and grasp students' experiences in their lives and reflect them in the development of AI chatbots. 본 연구는 사회과 지역화 학습을 위한 AI 챗봇 개발 및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회과지역화 학습에서 AI 챗봇을 활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첫째, 교사의 해당 지역에 대한 전문성을 보완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 측면에서의 맞춤형 지역화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셋째, 학습자료 측면에서 지역화 학습자료로서 손쉬운 활용과 보급이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지역화 학습에서 활용하기 용이한 오픈 소스 챗봇 플랫폼을 활용하여 AI 챗봇을 개발하였고, 이를 지역화 학습에반복, 적용을 통해 교사의 성장을 도모하는 실행연구로 진행되었다. 실행연구 대상은 송파구 관내 S초등학교 3학년 A반이며, 실행연구는 총 3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실행연구에서 학생들은 챗봇을 활용하여 고장의 주요 장소를 알아보고 자신의 삶 속에서의 경험과 이를 연관 지었다. 학생들은 공공장소보다는 자신들의 경험이 담긴 곳을 주요 장소로 생각하였다. 2차 실행연구에서 학생들은 ‘위례’라는지명에 대해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고장의 역사와 연관 지어 이해하게 되었고, 우리 고장에 다양한 문화유산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3차 실행연구에서 학생들은 챗봇을 활용하여 고장의 주요장소와 문화유산을 연계하여 축제 포스터를 만들고 발표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실행연구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피드백을 챗봇에 반영하여 지역화 학습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은 지역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었다. 앞으로 더 나은 지역화 학습을 위한 챗봇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의 AI 사고 역량을 신장해야 한다. 둘째, 플랫폼 활용에 관한교사 연수 및 예산 지원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개발자로서의 교사를 위한 교육용 AI 플랫폼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생들의 삶 속에서의 경험을 충분히 공유하고 파악한 뒤 이를 AI 챗봇 개발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챗봇과 생성형 AI 활용 영어교육

        심창용 ( Sim Chang-yong ),황필아 ( Hwang Pil-ah ),남보라 ( Nam Bora ) 한국ESP학회 2023 ESP REVIEW Vol.5 No.2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generative AI, the development of AI digital textbooks is progressing rapidly in the context of the EdTech industry. AI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2022 National Curriculum, adopt a cloud-based approach and presuppose the use of generative AI, leading to significant changes in English education. The emergence of generative chatbots, in particular, gives the impression that research on AI chatbot-assisted English education is not keeping up with the times. However, upon closer examination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rule-based chatbots, AI chatbots, and generative chatbots, it becomes apparent that there must be a division of labor in applying them to English education. Rule-based chatbots can be used in areas where high accuracy is required, AI chatbots can be used where meaningful practices are employed, and generative chatbots can be used for communicative practices. Furthermore, generative AI shows high potential for creating and transforming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learners’ levels, as well as for the direct assessment of speaking and writing. By differentiating between the roles of AI digital textbooks and teachers, a more effective English education can be performed, and this can be applied to diverse ESP education areas, offering a customized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

        초등 사회과 마이크로러닝을 위한 챗봇의 현장 수업 적용 및 검증

        황홍섭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map AI chatbot developed in the first year as a continuous task, to the field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in the second year, and to verify the results. As a result of qualitative verification applied to the field class of the map AI chatbot, the existing map learning had many major concepts and sub-elements, so it was difficult to learn systematically in the form of segmented content. However, in the micro-learning era, the map AI chatbot was developed, designed, and implemented enabling the answering of questions with connected micro-content that summarizes the core, and selects the elements of segmented map learning well. Learners can learn customized learning through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centered learning,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imely, and learning-oriented learning through intelligent map AI chatbot. The map AI chatbot could play a role as an effective assistant teacher and assistant textbook for self-directed personalized learning. In particular, the map AI chatbot is powerful knowledge that allows learners to construct practical knowledge through practical problem solving in life, through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aps, as well as familiarity with map usage and a connected understanding between map learning elements role as a supplier. In particular, the understanding of AI emphasiz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increased through the map AI chatbot, and through map learning,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egion more deeply. The quantitative verification results applied to the field classes of the map AI chatbot show significant result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t could be seen that the role was sufficiently performed as an edutech that comprises knowledge. 본 연구는 연속과제로 1차년도에 개발한 지도 AI 챗봇을 2차년도에 초등 사회과 현장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지도 AI 챗봇의 현장수업에 적용한 질적 검증결과, 기존 지도학습은 주요개념과하위요소들이 많아서 분절적 콘텐츠 형태로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운 점이 많았다. 그러나 지도 AI 챗봇은마이크로러닝 시대에 분절적 지도학습 요소를 잘 정선하고, 핵심을 요약한 연결된 마이크로콘텐츠로 즉문즉답이 가능하도록 개발, 설계하여 구현하게 함으로써 분절적 지도학습에서 연결적 지도학습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지도 AI 챗봇은 학습자들이 지도에 대한 개념적 이해뿐만 아니라 지도사용에 친숙함과 더불어지도학습 요소 간의 연결된 이해를 통해 삶의 실제적 문제해결을 통한 실제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게 하는 강력한 지식(Powerful knowledge)의 공급자로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학습자들은 지능형 지도 AI 챗봇을 통하여 학습자가 궁금해하거나 해결하고 싶어하는 것을 시공간에 구애없이, 적시에 형식이나 학습의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참여와 배움 중심의 학습을 통해 자기 주도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었다. 지도AI 챗봇은 자기주도적 맞춤 학습을 위한 좋은 보조교사와 보조교과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들은 지도 AI 챗봇과의 질의, 응답을 통한 대화과정에서 창의적인 질문과 챗봇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를 통해AI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지도학습을 통해 지역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지도 AI 챗봇의 현장수업에 적용한 양적 검증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간에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지도 AI 챗봇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챗봇을 활용하면서 자기조절의 기회가 많아져, 강력한 지식을 구성하게 하는 에듀테크로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UX 라이팅(Writing)을 위한 A/B 테스트 보조 도구로서의 생성형 AI 챗봇 활용 가능성 탐색 및 챗봇 간 결과 비교: ChatGPT와 BARD를 중심으로

        김다현,남양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7 No.3

        연구배경 UX 라이팅(Writing) 분야에서 A/B 테스트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문구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A/B 테스트에서 발견되는 주요 한계점에 주목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ChatGPT와 BARD로 대표되는 생성형 AI 챗봇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챗봇 간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사용자 대상 및 생성형 AI 챗봇 대상으로 A/B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테스트에 사용할 문항을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대상별로 A/B 테스트를 진행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이후, 사용자 응답과 생성형 AI 챗봇의 답변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대상의 응답을 비교하여 생성형 AI 챗봇의 사용자 선호 예측률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ChatGPT와 BARD의 결과를 비교하여 두 챗봇 간 차이 발생 여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ChatGPT과 BARD 중 BARD의 사용자 선호 예측률이 더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예측률의 차이는 기반 모델의 학습 과정의 미세 조정(fine-tuning)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한편 두 챗봇 모두 사용자가 선호하는 이유로 작성한 내용들을 포괄하여 예측 이유로 설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생성형 AI 챗봇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문구를 어느 정도 예측하고, 그 이유를 사용자 입장에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생성형 AI 챗봇은 A/B 테스트의 보조 도구로 활용되어 UX 라이팅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Background In the field of UX writing, A/B testing is actively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vided phrases to user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tential of using generative AI chatbots, represented by ChatGPT and BARD, to address the major limitations found in A/B testing and compare the results between the two chatbots. Methods Firstly, the test items for A/B testing, targeting both users and generative AI chatbots, were created. Subsequently, A/B testing was conducted for each target group, and their responses were collected. Next, the user responses and chatbot answers were analyzed. Finally,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responses of the two targets to examine the user preference prediction rate of the chatbot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ChatGPT and BARD were compared to identify any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hatbots. Results BARD showed a higher user preference prediction rate compared to ChatGPT, suggesting that this difference might be attributed to variations in fine-tuning during the training process of their underlying model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both chatbots could explain the predicted reasons why users would favor certain phrases, including the content written by users as their preferenc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enerative AI chatbots can predict user-preferred phrases to a certain extent and adequately explain the reasons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refore, generative AI chatbots are expected to serve as valuable supplementary tools in the UX writing process, providing useful insights for A/B testing.

      • KCI등재

        교실수업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의 개발 및 활용 모형: 학습대화 설계 중심

        김혜정(Hye Jeong Kim),유성애(Sungae Yoo),김은영(Eun-young Kim)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atbot design and development model that promotes teachers’ utilization of AI chatbots during instruction. Due to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our natural languages, AI chatbots can assist students’ learning on various subject topics through the conversations that they have with students. More importantly, AI chatbots can adapt their conversations to the learning needs of students. In spite of such potential benefits of AI chatbots, use of chatbots in Korean schools is rare. To promote use of chatbots by teachers across all disciplines, it is first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general guidelines on how to plan and build a AI chatbot. The proposed model in this study provides such guidelines, from planning to creating dialogues, for building chatbots as assistive learning tools for students. The strength of this model is in its ability to tailor instructional feedback to the needs of the students, varying instructional dialogues in accordance to the students’ knowledge level. The key steps of the model include Preparation (analyses of students’ knowledge level and subject content), Learning-Conversation Design, Development, Testing, and Application. The resulting model is intended to provide a pedagogical and technical guideline for teachers AI chatbot design and development for their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