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조혜영 ( Hye Young Jo ),황인주 ( In Joo Hwa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을 현장에서 적용할 때 나타나는 담당교사들의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그리고 교사들이 제안하는 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5세 누리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어린이집교사 5명, 유치원 교사 5명으로 선정하였다. 5세 누리과정에 대한 담당교사들의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을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과 다양한 자료수집 등을 통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들의 긍정적 경험으로는 유아교육활동의 발상전환을 위한 5세 누리과정 지침서, 유아교육 확장활동의 다양성, 유아교육활동의 유용성, 유아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로 나타났다.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들의 어려움으로는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기대에서 오는 절망감과 낮은 질의 형식적 교육으로서 5세 누리과정 교사연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들이 제안하는 개선방안으로는 양질의 지속적인 교사교육과 연수의 필요성, 지속적인 홍보와 소통의 장의 필요성, 공평한 재정적 지원과 융통적인 일과운영의 필요성,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현장에서 유용한 실천방안의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5세 누리과정으로 활동하고 있는 교사들이 당면한 문제를 이해하고 5세 누리과정이 보다 실질적이고 현장에서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ositive experiences and problems teachers working with the 5th September 2011 mandated Nuri curriculum (Korea`s common curriculum) for 5-year-old children have encountered in its implementation thus far and to air their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Study participants were 5 child care home teachers and 5 kindergarten teachers. Data was obtain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the 10 teachers According to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y have experienced affirmative changes in their conception and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s extension into other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as. On the other hand, teachers` high hopes for the Nuri curriculum have not been satisfied and the pro forma teacher education they received was disappointing.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at superior continuous education, public relations,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a place for communication, impartial financial support, flexible daily management, various program developments, and a useful action plan for actual practice should be prepared to reform the curriculum. These suggestions from teachers in the field can serve as preliminary data orienting the directions for reform of the Nuri curriculum.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손수연 ( Soo Yeon Shon ),이기숙 ( Ki Soo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수준을 살펴보아 5세 누리과정의 시행과 정착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5세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총 828명으로 유치원 교사 437명과 어린이집 교사 391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5세 누리과정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행 및 지원에 대한 인식보다 관심 및 적절성에 대한 인식을 더 높게 하고 있었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정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국공립 유치원과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인 경우, 학급이 단일연령으로 구성된 경우 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5세 누리과정을 익숙하게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법, 내용, 자료, 이론적 근거 및 성격, 목표, 평가의 순으로 실행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어린이집인 교사인 경우, 국공립 유치원과 국공립 어린이집 및 직장/법인 어린이집인 교사인 경우, 단일 연령 학급 교사인 경우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5세 누리과정 인식정도가 높은 교사의 실행수준이 높았다. 관심 및 적절성 인식정도보다 실행 및 지원 인식정도에 따른 5세 누리과정 실행 수준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orea`s Common Curriculum for age 5, the Nuri Curriculum, mandated by President Lee in 2011, began implementation in 2012. Of necessity, the Nuri is in a phase in which pre-and in-service training need to be worked out regarding implementation, support, monitoring as well as in-depth comprehension of goals and conten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factors involved in assisting teachers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its goals, content and strategies. To do this, we need to know how teachers perceive the Nuri curriculum and the level of their use of it at this time. We designed our research to look fo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which would influence a teacher`s perceptions and use as well. The subjects are 828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hich have adopted Nuri curriculum in Seoul. Data on teacher perceptions and their level of use of Nuri were obtained from a survey using mail, email, or fax from July to October in 2012. For analysis of the data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onewayANOVA,andScheffeposttestwereused as needed for individual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Teachers perceived Nuri curriculum for age 5 positively, and their perception was higher in attention and adequacy than in implementation and support. The degree of their percep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eachers with the highest regard for Nuri curriculum had more teaching experience and level of education, worked at public kindergartens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aught same-age classes. 2) Results show that teachers were implementing Nuri curriculum skillfully. Their level of use from highest to lowest were in method, educational content, materials, theoretical supports, characteristics, aims and evaluation. The levels were different from other variables except class management types. The levels were higher if teachers had longer teaching experience and a higher education level, worked at daycare centers, public kindergartens, public daycare centers, and workplace or corporate daycare centers, and same-age classes. The levels were different from domain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teaching experience, level of education, institute type, establishment type, class management type, and same/mixed age classes. 3) Teachers who had highly perceived the curriculum showed a higher performance level. Especially, if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for attention and adequacy was high, there were differences in aims and theoretical support and characteristics among the subordinate domains of the level. If teachers had highly perceived implementation and support, they performed differently in the domains of materials and aims. Moreover, results reveal a great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perception in the level of use of the Nuri curriculum. The degree of perceiving implementation and support, as compared to the degree of perceiving attention and adequacy was vastly different. The level of use for Nuri curriculum was different from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degree of perceiving the curriculum. Especially, results reveal a large difference in teachers` perceiving implementation and support, which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upport for implementing Nuri curriculum. Therefore, support plans which tak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into consideration are needed. Recommendations based on this research: First of all, arrange support syste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request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o implement age-specific Nuri curricula starting from 2013. Second, supplement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perception for Nuri curriculum because the results show differences in program evaluation and level of us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 of Nuri curriculum for age 5. Third, for the most complete and positive implementation of this Nuri curriculum, parent education and well-thought out public relations are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parents` perceptions for complete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전혜미,서영숙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12 아동중심실천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 이해, 각 영역별 실행의 어려움 및 장애 요인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서 5세 누리과정 실행의 현 상 태를 진단하고 보완할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 정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5세 누리과 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정도는 5세 누리과정의 5개 영역구성, 목적, 목표와 같은 기본 구성에 대해 서 높게 나타났으나 각 영역별 내용 범주, 실내․외 환경구성, 평가의 기본방향, 각 영역별 유아 지도 시 유의점과 같은 5세 누리과정의 각 세부 내용 범주와 평가 부분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정도는 비교 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이 5세 누리과정의 영역을 실행함에 있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은 자연탐구>의사소통>예술경험=사회관계>신체운동․건강 순으로 조사되었다. 5세 누리과정의 영역별 실행시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배경변인별 차이의 조사 결과는 경력, 담당 학급 연령, 누리과정 연수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5세 누리과정의 실행에서 느끼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자원인사(보조교 사, 교육과정 전문가 등) 부족을 들었고, 교사와 원아수의 법정비율 과다, 혼합 연령반의 교육내용 재구 성의 어려움, 평가인증과 같은 다른 정책과의 병행 어려움 등이 중요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개선 및 발전방안으로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 연수가 충분히 제공되 어야 할 것, 특히 교사들이 실행의 어려움을 느끼는 자연탐구나 의사소통 영역의 적용에 관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이 많아져야 할 것, 그리고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동일한 수준의 근무조건 을 갖춰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2013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전래동요 지도내용 고찰

        서화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3 국악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ing contents of children’s folk songs in Nuri curriculum in order to suggest appropriate directions when teachers plan and practice them. To achieve the purpose, firstly the contents in Age 3 to 5 Nuri Curriculum reference book were analyzed. Secondly, teaching principles of teaching activities related to children’s folk songs in Age 3 to 5 Nuri Curriculum Teacher’s book were explored. Thirdly, the activities related to children’s folk songs were selected in Age 3 to 5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then teaching contents, methods, and elements of Nuri Curriculum of them were analyzed. The children’s folk songs related to contents were represented in the Communication section, Social Relation sec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section. Children’s folk songs are including play culture as well as song culture of children from the earliest times. To meet the origins of children’s folk songs such as spontaneity, practicability, improvisation, and modification, teachers need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for children to arouse their sensitivity and create new songs and play culture.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에게 2013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전래동요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교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발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와 교사용 지침서, 연령별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전래동요 지도내용을 고찰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3~5세 연령별누리과정 해설서의 전래동요 관련 내용을 고찰하였고,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되어 있는 전래동요 관련 교육내용의 교육원리를 탐색하였으며, 셋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전래동요 관련 활동들을 선정하여 활동내용, 활동방법, 누리과정 관련요소등을 탐구하였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에 제시된 전래동요 관련 내용은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영역 등에서 제시되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에 제시된 전래동요와 관련된 지도지침과 유의점 및 연령별 활동을 살펴보면,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재미있고 쉬운’, ‘우리말의 반복적 운율’, ‘아름다운 우리말 경험’, ‘부모나 할머니 등 세대 간의 연결’ 등에 대한 지도 지침이 제시되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령별 활동 예시가 부적절하게 제시되었고, 사회관계 영역에서는 ‘전통놀이와 문화에 친숙함을 가질 수 있도록 풍부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이 강조되어 있지만 이는 전통문화에 담겨있는 정신의 구현 보다는 단순히 옛 것을 유아들에게 다양하게 제시하면되는 것으로 이해 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예술경험 영역의 ‘음악적 요소 탐색하기’, ‘음악으로표현하기’ 등에서는 그 접근에 있어서 아이들이 자신의 노래를 만들어 부르는 가창의 주체로서의창작이 아니라 노래를 다양한 방법으로 바꿔 부르도록 하는 내용만이 강조되어 있다. 더불어 ‘전통예술 감상하기’에는 전통예술을 감상함에 있어서 ‘역동적 체험’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예시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전래동요 관련 활동은 총20가지로 연령별로 3세 8가지, 4세 3가지, 5세 9가지였다.

      • KCI등재

        유치원 수학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연구

        박교식,김지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두 교육과정을 연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5세 누리과정과 이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지도 내용, 그리고 현행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의 지도 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의 여섯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형 영역의‘공간적 관계’나 확률과 통계 영역의 ‘자료 수집’과 같이, 5세 누리과정에서 완성되고 있는 내용을 1학년 교육과정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5세 누리과정과 1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지는 않지만, 2~6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는 경우, 어느 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위계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K-지도서≫가 5세 누리과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5세 누리과정 관련 요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수학 지도 내용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아수학교육 전문가와 초등수학교육 전문가 사이의 협업 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onnections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books according to it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to find the implications that can help to link the two curricula in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fiv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which were completed in that curriculum like ‘spatial relation’in geometric figure domain and ‘data collection’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to the contents of the 1st grade curriculum. Second, in the case of the contents no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bu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hierarchy based on one of the curricula.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K-teacher’s manual book≫ obey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or not.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lated elem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Fifth, it is necessary to handle the mathematics contents explicitly and systematically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STEAM 요소 분석

        송윤나(Yun Na Song),박희숙(hee suk Park)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활동의 STEAM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STEAM 현황을 알고, 이에 적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2012)가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에서 제시된 총 696개의 활동으로, STEAM 활동을 알아보고 STEAM 요소(내용요소 및 지향요소)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누리과정에 제시된 STEAM 활동이 과학(S), 기술·공학(T/E), 수학(M)과 같은 이공계 영역간의 융·통합 형태보다는 예술(A)과 이공계 영역간의 융·통합 형태로 주로 나타났으며 5세 누리과정의 STEAM 활동은 결합되는 내용요소간의 수가 많을수록 적게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의 본 활동이 STEAM 내용요소간의 융·통합 형태인 STEAM 활동으로 제시되기 보다는 단순히 분과적인 형태로 주로 나타났으며 누리과정에서 STEAM 내용요소 가운데 예술(A) 영역이 고르게 제시되기 보다는, 언어예술과 미술예술 활동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5세 누리과정 중 STEAM 지향요소에서 창의적 설계의 분석결과 ‘지식의 산출과정’은 ‘작품·제품의 산출과정’과 비교했을 때 ‘지식의 산출과정’에 편중되어 나타나고 있었으며 5세 누리과정 중 STEAM 지향요소에서 감성적 체험의 분석결과 조작적 경험, 브레인스토밍, 토의활동, 바깥활동의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 STEAM factor of activity proposed by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book for ages of 5 years old. This study establish research programs as follows: First, what is activity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Second, what is element factor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Third, what is aim factor of STEAM of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This study investigate STEAM activity for 696 activities of 〈activity method〉 proposed by 11th book of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 book] for ages of 5 years old and analyze how STEAM factor such as content and aim factor work. We divide research problems as depending on research problem and comput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EAM activity proposed by Nuri curriculum appears as the combination of art(A), science(S) and technology/engineering(T/E) rather than that of only science and tedmology/engineering. Second, the more the number of combinatorial content factor is, the less STEAM activity appears. Compared to M*A type which appear most frequently, S*T/E A*M type which is combined all STEAM factor appears 27 times less. Third, content factor appear simply as a separate form rather than as a combination form in Nuri curriculum for ages of 5 years old. Fourth, art(A) element of content factor is not fairly presented. Art(A) element of physical and musical factor tend to appear less than that of linguistic and fine artistic factor. Fifth, when Greative Design of STEAM aimed factor is considered, compared to the result as a work and a product, there is a tendency to appear as that of a knowledge. Sixth, the order of frequency of appearance is as follows: practical experience, brainstorming, discussion activity, and outdoors activity.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도와 실행경험

        김영희 ( Young Hee Kim ),김수향 ( Soo Hya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경험을 알아보고 국가가 시행하는 공교육의 출발인 누리과정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위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담당하는 울산광역시 공·사립 유치원 교사 486명을 대상으로 2013년 6월 20일부터 7월 31일까지 설문조사(리커트 5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는 대체로 높았고, 적절성 여부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행경험에서는 유치원교사들은 누리과정을 대체로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행을 위한 현 지원정도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행에서 장애요인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행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각 하위항목으로 살펴볼 때 유치원 교사들은 누리과정의 교수 학습자료, 교수법,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동료교사들과 협력 방안과 관련하여 관심도가 높았다. 교사들은 누리과정을 유아의 수준, 활동내용, 활동수준, 교사용 지도서의 용이성 등으로 볼 때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실행 및 지원수준에서는 누리과정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누리과정 관련 교사연수는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실행의 장애요인은 교사를 위한 현직 연수나 워크샵 부족을 들었고, 지원요구에서는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교재교구지원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력과 경력이 많을수록, 사립 보다는 공립유치원 교사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는 높았고, 실행경험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각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을 반영한 지원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indergarten teachers’stage of concerns and experience in implementing and to identify helpful implications for enforcement and settlement of Nuricurriculum for 3-5 age. The subject of current study were 486 teachers who work at kindergartens which adopted Nuri curriculum for age 3-5 in Ulsan. The revised questionnaire(Likert’s 5-point scale) was distributed from June 20. 2013 to July 31. 2013.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stage of concerns was generally high, the relevance was positive. About experience in implementing, kindergarten teachers carried out Nuri curriculum in general. they recognized that the support was dissatisfaction, the obstructive factor was low, and the requent of support was necessary.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terested in teaching materials, instructional method., the impacts of children and cooperative measures of Nuri curriculum. They perceived that the level of infant, the contents and level of activity, and the friendliness of teacher’s guide was adequate. They perceived that the importance of implementation and the requirement of support was important, but the training in Nuri curriculum was not enough. Teachers attribute the difficulty of implement to insufficiency of training and workshop, and they perceived that the support of teaching material and tools were needed to be taken first prior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variables of teacher’s perceptions by teachers’ background. That is, the teachers’ stage of concerns recognition about Nuri curriculum for age 3-5 was high and the experience in implementing was positive in case of higher education, more work experience, and national and public preschool.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 support program reflecting the teacher’s characteristic for right settlement of Nuri curriculum for age 3-5.

      • KCI등재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 비교

        유현주 ( Hyeon Ju Yu ),김소향 ( So Hyang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을 비교 분석하여 연계성 있는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 중 놀이가 나타난 504개 활동과 2009개정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 활동중 놀이가 나타난 185개 활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두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놀이 활동을 생활주제, 누리과정 내용영역 및 초등학교 1학년 교과, Frost & Klein(1979)의 인지적 놀이, Howes & Matheson(1992)의 사회적 놀이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제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5세 누리과정 504개(100%),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 116개(62.7%)로 나타났고, 5세 누리과정은 ‘생활도구’ 주제가 60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통기관’은 36개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 ‘가을과 겨울’이 16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가 11개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둘째, 5세 누리과정에서 내용영역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사회관계 영역이,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서 교과에 따른 놀이 활동 빈도는 즐거운 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놀이는 5세 누리과정에서는 기능놀이가,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구성놀이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에서 동일하게 상징놀이가 가장 낮은 빈도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놀이 분포는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사용 지도서에서 동일하게 단순 사회놀이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structional manuals for teachers. We compared 504 play activities from the Nuri for age 5 teacher``s guide books and 185 play activities from the 2009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The play activities from the two teacher``s guide 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mes, teacher``s guide books contents, cognitive forms of play by Frost & Klein (1979), and social forms of play by Howes & Matheson (1992).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ppeared to be a large variation in the distribution of activities related to play between the two teacher``s guide books. The Nuri teacher``s guide books consisted 74.0% of play activities while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consisted 22.5% of play activities. Second, the Nuri age 5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highest number of play activities in social relations while for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play activities in construction was the most common. Third, the most common type of cognitive play in the Nuri teacher``s guide books was function play, while for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it was configuration play. Fourth, in both Nuri and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simple social play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ocial play. The Nuri for age 5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lowest number of parallel social play while the First Grade teacher``s guide books had the lowest number of cooperative social play.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누리과정이해와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비교

        김명숙(Kim, Myoung Sook),김소향(Kim, So Hya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2012년 국가수준 공통교육과정을 처음으로 시행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와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수준을 알아보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았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시행과 정착에 도움이 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교사들의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여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496명의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조사하여, SPSS 17.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F 검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의 이해는 유치원 교사가 높았다. 둘째,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교사 효능감 정도는 유치원 교사가 높았다. 셋째, 어린이집과 유치원 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정도는 유치원 교사가 높았다. 넷째, 5세 누리과정의 이해와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omprehension of curricula, teaching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of a 5-year-old class in NURI Institute, the first nursery and preschool institute to adopt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2012. This study also aims to identify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teaching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distribution of survey to 303 nursery teachers and 193 preschool teacher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between nursery teachers and preschool teachers, preschool teachers showed a higher understanding level of NURI curriculum. Second, on teaching efficiency, preschool teachers showed a higher rate. Third, on job satisfaction, preschool teachers showed a higher degree. Last, on relations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teaching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three factors proved a correlation.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 nursery and preschool teachers indicated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NURI curriculum for 5-year-olds and high teaching efficiency, but showed low degree of job satisfaction. Hence an extens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id for the betterment of teachers' labor conditions is highly recommended.

      • KCI등재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적 이해와 실행

        김윤희,황해익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four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stablished by different types of founders about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hich was the first common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implementation of it from a perspective of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teachers who respectively worked in a public kindergarten, a private kindergarten, a public daycare center and a private daycare center.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ther data during a 40-week period of time from March through December 2012, when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was carried out for the first time, and additional related data were collected. Al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make an interpret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eachers A and C understood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from ‘a hermeneutical perspective’ that focused on the objects of education. Teachers B and D, on the other hand, Interpreted the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technical rationality’ that mainly focused on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Second, Teacher A looked at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from ‘a perspective of text’ and utilized it as a main material when she mapped out teaching plans. Teachers B, C and D, however, looked at it from ‘a perspective of substance’ and utilized the Nuri curriculum manual for age 5 as a main material, rather than the curriculum itself, when they drew up teaching plans. As a consequence,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as a curriculum is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본 연구는 기관유형과 설립유형이 다른 유아교육기관 4곳의 유아교사들이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수준 공통과정인 ‘5세 누리과정’을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실행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세 누리과정’이 최초로 시행된 2012년 3월부터 12월까지 40주 동안 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유아교사 4명을 대상으로 비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자료 등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와 C교사는 교육목표에 관심을 기울이는 ‘해석학적 관점’, B와 D교사는 교육내용과 방법에 주로 관심을 가지는 ‘기술적 합리성 관점’에 근거하여 ‘5세 누리과정’을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A교사는 ‘텍스트관’에 의거해 ‘5세 누리과정’을 주(主)자료로 활용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하였고, B, C, D교사는 ‘실체관’에 의거해 ‘5세 누리과정’보다 ‘5세 누리과정 지도서’를 주(主)자료로 활용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 이해가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