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불교>지에 나타난 불교유학생의 문학 활동

        김종진(Kim Jong Jin) 한국불교연구원 2015 불교연구 Vol.42 No.-

        본고는 1920년대 불교잡지에 형성된 文學場의 주체에 대한 탐구의 일환으로, <불교>지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투고활동을 한 신진 유학생 그룹의 문학 활동 양상을 고찰하였다. 유학생 가운데 학술적으로나 시사적인 분야에서 활발한 투고로 불교지의 기획에 동참하면서 문학행위를 한 인물로는 3.1운동 후 중국으로 망명성 유학을 떠난 白性郁(1897-1981), 일본유학생인 金泰洽(1899∼1989)과 李英宰(1900-1927)가 대표적이다. 백성욱의 「평수잡조(萍水雜俎)」(제15-30호, 1925.9-1926.12)의 시와 산문은 시대의 아픔을 반영하면서도 미의 본질을 추구하는, 철학적 깊이가 있는 글쓰기를 보여주고 있다. 이영재의 「도석기(渡錫記)」(제23~27호, 1926.5-1926.9)는 동 시대 지어진 여행기 가운데서도 해양실크로드를 따라 스리랑카에 도달한 최초의 여행기로 평가할 수 있다. 김태흡의 시는 현실적 어려움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유학생들의 현실을 반영하면서 종교적 심성으로 자신을 정화하는 종교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국내 전도 강연의 과정에서 「남북선순강인상기(南北鮮巡講印象記)」(제17-18호, 1925.11-12), 「삼방약수포전도행(三防藥水浦傳道行)」(제64-65호, 1929.10-11) 등을 지었으며, 호남의 유명 사찰을 답사하여 「남유구도예찬(南遊求道禮讚)」(제63-65호, 1929.9-11)을 게재함으로써, 불교소식란에 전해지지 않는 수도 도량의 생생한 내면을 현장감 있게 소개하였다. 이들은 박한영, 권상로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투고활동을 하는 등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들 신세대 유학생들은 아마도 정신적인 지주로서 박한영을, <불교>지의 실무적인 편집인으로서 권상로와 밀접한 교류를 나눈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종적 네트워크와 동일 세대 간의 횡적 네트워크 하에서 이들은 기사를 작성하고, 여행기를 투고하고, 창작 시를 투고한 것이다. 결국 1920년대 근대 불교 문학장은 1910년 이래 박한영이 중심이 되어 구축한 불교지성-국학인프라가 배경이 되고, 권상로와 그의 대승사ㆍ김용사 인맥(최취허, 안진호)이 중심 주체가 되며, 이들 두 세대의 영향 하에 후속 유학생 그룹이 전위에 서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consider the literature activities of new generation of internation students who actively submit articles in 『Bulgyo』 magazine to figure out the main agent of literature field in Buddhist magazine in 1920's. Among the internation students who actively submit academic papers or suggestive essays to participate 『Bulgyo』 magazine's scheme, we can represent Baek, Sung Wook(1897-1981) who was exiled and studied in China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Kim, Tae Heub(1899-1989) and Lee, Young Jae(1900-1927) who were studied in Japan. The poetry and prose in Pyeong Soo Jab Jo, written by Baek, Sung Wook, shows the essence of beauty with sorrow of the ages and the philosopical thought as well. Compared with contemparary travel journals, Lee, Young Jae's travel essay was the first travel essay reached Sri Lanka through the Ocean Silk Road. In case of Kim, Tae Heub, his poetry shows the struggle life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ose days and purified himself with religion, and he wrote explore journal through the domestic mission work lecture. Also he introduce fresh experience of practice ascerticism for the famous temples in Honam district by article in the Buddhist magazine. Those three international students are also students of Park, Han Young, they keep in touch each other through letter, and having deep relation with Kwon, Sang Ro as well. I believe they may treat Park, Han Young as the anchor and Kwon, Sang Ro as the operational person in charge of editor in Buddhist magazine. They submit their articles, travel journals, poem under those relationship. If we look through this relation, the background of the modern Buddhist literature field will be the network between Buddhist scholar and Korean classical scholar established by the Park, Han Young in 1910's, and the base of development of literature field in Buddhist magazine will be the Kwon, Sang Ro and his network of Dae Seung-Sa and Kim Young-Sa. The succeding generation which is rised by the international students will revolve around the generation of Park, Han Young and Kwon, Sang Ro.

      • KCI등재

        수주 변영로의 초기 문학에 나타난 방랑과 이상적 공동체론

        최호영 ( Choi Ho-you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3

        이 글의 목적은 수주 변영로의 초기 문학에 나타나는 방랑의 모티프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그에 따라 탐색하고자 하는 이상적 공동체의 상(像)과 의의를 해명하는데 있다. 변영로의 초기 시들을 검토해보면 일관적으로 상실한 ‘님’에 대한 지향성을 ‘방랑’과 ‘꿈’의 반복성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님’=‘조선’이 그에게 ‘생명’의 근원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여기서 나아가 그는 ‘조선’을 ‘생명’의 근원인 ‘정신’에 위치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탐색하기 위해 상징주의나 신비주의를 수용하기도 하였다. 이를 토대로 그는 ‘개성’을 도입하여 개인의 주체성과 조선적 특이성이 세계적 보편성으로 확장될수 있는 공동체를 구상하고자 했다. 192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변영로는 방랑을 기행의 방식으로 구체화하고 있으며 당대 문단에서 대표적인 전통적 양식으로 거론되었던 시조를 차용하여 이상적 공동체를 모색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그가 특히 민족사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백두산을 기행하고 이를 시조에 담아내려 한 것은 단순히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 그가 구상해오던 이상적 공동체의 원형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그와 영향관계에 놓인 단재 신채호와 위당 정인보의 역사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변영로의 초기 문학을 민족주의의 이념에 환원하려는 관행에서 벗어나 거기에 얽혀있는 풍부한 의미망들을 읽어냄으로써 1920년대 초기 문학의 ‘공동체’에 대한 논의가 더욱 생산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pecifically examine the mode of wandering consistently represented in Suju Byeon, Young-ro’s early poems and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and form of ideal community. Byeon, Young-ro’s early poems revealed the intentionality of the subject called ‘Nim’ by expressing repeatability of ‘dream’ and ‘wandering’, thereby showing that it was the origin of ‘life’ to him. Based on this, he came up with the idea of community where Joseons particularity and individual independence could be expanded into a global universalit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ndividuality’. In the mid-1920s Byeon, Young-ro specified wandering into the method of travel and explored ideal community by borrowing sijo(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discussed as a classical form in the contemporary literary world. This point can be verified with the historical book written by Danjae Shin, Chae-ho and Widang Jeong, In-bo.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the mode of wandering in his early poems as the device to investigate community, which can be an alternative of the reality of Joseon period, and to explore the origin of ‘life’ rather than as returning to the ideology of nationalism.

      • KCI등재

        변영로 시 연구 - ‘관념’과 ‘감각’을 중심으로

        오세인 ( Oh Se-i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3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at characteristics of Byeon, Young-ro’s poetry are not only in ‘idea’(Nim) and but also in ‘sense.’ He revealed his historical perception by ardently seeking for ‘Nim’ and aesthetic perception by bestowing sensual concreteness to ‘phenomenon.’ Therefore, when the aspect of sensual embodiment of ‘phenomenon’ is empathized, Byeon, Young-ro’s poetry c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at of 1920s. Chapter 2 examined poems that embodied ‘idea.’ Absent ‘Nym’ is depicted as the object impossible to perceive through sense and it has become an absolute being. This absoluteness makes the subject’s will to seek for ‘Nim’ very strong. Chapter 3 analyzed poems that portrayed ‘phenomenon.’ By describing ‘phenomenon’ in detail, the subject revealed the features of it and the subject’s psychological status. The embodiment of the subject’s sense on seasonal changes and the moment when internal and external world of the subject are responding to each other through sense shows the way in which the subject reach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and the inner world of himself. Byeon, Young-ro assigned historical legitimacy to his pursuit of ‘Nim’ by premising that absent ‘Nim’ exists in ‘idea.’ And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carry out his aesthetic practice as a poet by perceiving and describing the specific phenomenon with ‘sense.’

      • KCI등재

        변영로 시에 나타난 ‘거리(街)’와 ‘길’의 표상 대비 연구

        오세인(Oh, Se-In)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39

        변영로 시의 주체는 미적 실천과 역사적 실천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거리’와 ‘길’, ‘도시’와 ‘시골’, ‘근대’와 ‘전근대’의 공존과 대립을 끊임없이 인식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변영로의 시에서 ‘거리’와 ‘길’의 표상이 나타나는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한국 근대시에서 ‘거리’와 ‘길’의 표상이 각각 도시(공간)와 시골(장소)의 표상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2장에서 ‘거리’는 시적 주체가 도시의 풍경을 감각하고 체험하며 자신의 정서를 표출하는 공간이다. ‘거리’에서의 경험을 통해 표현된 ‘외로움’이나 ‘쓸쓸함’ 같은 시적 주체의 정서적 반응에는 도시성과 근대성에 대한 시적 주체의 문제적 인식이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3장에서는 ‘길’은 물리적 이동 경로이자 시적 주체가 지향하는 대상에게로 다가가는 상상적 지향의 경로이다. 시적 주체의 상상적 지향은 ‘길’의 끝에 자리한 ‘장소’에서 고귀한 ‘님’을 만난다는 시적 구조를 통해 분명하게 나타난다. 4장에서는 ‘거리’를 낯설고 쓸쓸한 ‘도회(都會)’의 공간 표상으로, ‘길’을 그립고 따뜻한 ‘시골’(고향)의 ‘장소성’을 공유하는 표상으로 사용하는 시들을 다루었다. 도시의 ‘거리’에서 시적 주체는 잃어버린 장소인 자연, 시골(고향)과 그것이 주는 따뜻함과 편안함을 그리워한다. 근원적 장소를 상실한 채 그리워할 수밖에 없는 근대 도시 주체의 숙명에 대한 인식은 변영로가 근대성과 도시성의 핵심을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Poetic subject of Byeon, Young-ro’s poems perceives the coexistence and opposition between ‘street’ and ‘road’, ‘urban area’ and ‘rural area’, ‘modern’ and ‘premodern’ while performing the dual task of aesthetic and historic practice. By looking into the aspects of ‘street’ and ‘road’ representation in his poem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process in which ‘street’ and ‘road’ are being divided and each represent ‘urban space’ and ‘rural place’. In chapter 2, ‘street’ is the space where the poetic subject senses and experiences the cityscapes and express his or her emotions through them. ‘Loneliness’ as an emotional reaction of the subject on the ‘street’ indirectly reveals his or her negative perception on urbanity and modernity’. In chapter 3, ‘road’ is the route of both physical movement and imaginary orientation toward the object or place. An imaginary orientation of the subject clearly appears through the structure of poems; at the end of the ‘road’, there is a ‘place’ and the subject meets a noble person(nim). Chapter 4 deals with poems which use ‘street’ as the representation of unfamiliar and lonely urban space and ‘road’ as that of sharing ‘placeness’ of rural area(hometown). On the ‘street’ of the city, the subject longs for rural area(hometown) and its warmness and comfort. The fact that Byeon, Young-ro perceived the fate of modern urban subject; eternally misses the place s(he) has lost proves that he understood the essence of modernity and urbanity.

      • KCI등재

        『시문학』과 시조

        유성호(Yoo, Sung-Ho) 한국시조학회 2021 時調學論叢 Vol.54 No.-

        한국문학사에서 순수서정의 맥을 이었고 언어예술로서의 정점을 보여준 『시문학』은 자유시와 대극에 있는 시조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창간호 후기에서 박용철은 서정시뿐만 아니라 시조에도 눈을 돌릴 것을 약속하였다. 그는 창간호에 자신의 시조를 실었고, 2호에는 변영로의 수일한 연시조 「고운 산길」을 받아 실었다. 변영로는 박용철 외에 『시문학』에 의미 있는 시조 작품을 실은 유일한 주인공이 되었다. 박용철은 3호에도 자신의 창작 시조를 의욕적으로 실음으로써 시조에 대한 자의식을 일관되게 보여주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인보가 『시문학』에 가담한 것은 근대시조의 개척을 위해 중요한 계기가 되었을 것인데, 정작 정인보는 『시문학』에 번역 작품만을 남겼다. 우리는 『시문학』의 핵심인 박용철이 시조에 대한 자의식과 실천을 보였다는 것, 변영로의 시조를 받아 『시문학』에 실었다는 것, 『시문학』이 종간되면서 이러한 기획이 중단된 경로에 주목하게 된다. 만약 박용철의 원래 구상처럼 『시문학』이 지속되었더라면 변영로, 정인보 등과 함께 박용철은 『시문학』의 한 축을 한국 정형시에 내주었을지도 모른다. The literary magazine Simunhak, which carried on the legacy of pure lyricism and reached its peak as language art, displayed special interest in Sijo, the opposite of free verse. In the epilogue of the first issue, Park, Yong-cheol promised that the magazine would take interest not only in lyric poem but also in Sijo, and published his own Sijo works in the first issue and stanzaic Sijo “Lovely Mountain Path (Goun Samgil)” by Byun Young-ro in the second. Byun was the first to publish meaningful Sijo works in Simunhak. Park continuously showed his self-consciousness on Sijo by publishing his own works in the third issue as well. In this context, the participation of Jeong, In-bo in Simunhak served as an important momentum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Sijo. However, Jeong only left translated works of Sijo in Simunhak. Therefore, the focus should be on the fact that Park, Yong-cheol, the key figure in Simunhak, showed his self-consciousness on Sijo and carried it out, and that he published Byun, Young-ro’s works of Sijo in the magazine and this project was discontinued with the cessation of the publication of Simunhak. If Simunhak was published continuously as per the original plan of Park, Yong-cheol, he might have given one axis of the magazine to Korean formal verse with Byun, Young-ro and Jeong, In-bo.

      • KCI등재후보

        <재일문학>과 김희로 사건

        임상민(林相珉) 한국일본문화학회 2016 日本文化學報 Vol.0 No.69

        Focusing on「The Wall of Eyes」by Kim, Hak Young published in 1969, this paper analyzed the self-structuring process of the second-generation Korean Japanese. Especially, through the analysis o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incident by Kim, Hee-Ro who held hostage to cry for abolishing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Japanese in February, 1968, the Korea-Japan politics focusing on the self-structuring was considered. The novel above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by preceding researches, to be successful in structuring "the middleman-like" main agent based on dual basis in Korea and Japan, and Kim, Hak Young"s historical perception. Viewing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news article of the time about the incident by Kim, Hee Ro, however, it took a basis of self-structuring as "a man-in-the-middle" by choosing only Japanese" opinions as an assailant in the dichotomous structure between victim and assailant. Originally, "a man-in-the-middle" means the position that can relativize Korea and Japan through the dual basis. View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North Korea Repatriation Project inserted in the ending scene of the novel, however, it does not pay attention to Korea-Japan politics of the time about the event. Thus, focusing on「The Wall of Eyes」evaluated as a transitional novel related to Kim, Hak Young"s historical perception, this paper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on Korea-Japan mutual negotiations, concerning the standardized forming process of self-structuring and historical perception.

      • KCI등재

        한국 근·현대 불교개혁론의 전개와 유형

        이병욱(Lee Byung Wook)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한국종교 Vol.37 No.-

        이 논문은 한국근현대에 제기된 불교개혁론을 두 단계로 나누어서 접근하고 그 유형을 구분한 것이다. 불교개혁론의 1단계에는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등이 포함된다. 1단계에 속하는 불교개혁론은 아직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되지 못한 것이다. 예를 들면, 권상로의 「조선불교개혁론」에는 추상적 개념분석에 공을 들이는 부분이 있고,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에도 추상적 내용이 섞여 있고 또한 대안제시에서도 문제점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에는 이상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데에 치중하였고 아직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불교개혁론의 2단계에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 백학명의 불교개혁에 관한 견해,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 등이 포함된다. 2단계의 불교개혁론은 1단계의 불교개혁론과 비교해 볼 때, 구체적 대안으로 발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은 3가지 내용으로 구분된다. 첫째,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를 설치하자는 것이고, 둘째 대중 불교의 추구이며, 셋째 선수행의 지도 원리와 불교교학의 교육방법을 정비하는 것이다. 백용성의 대각교운동은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의 내용과 문제의식에서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을 한 가지로 보고, 그들은 ‘당시의 불교계를 개혁하자’고 주장하였다. 백학명의 불교개혁적 견해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비교해 볼 때, 첫째 주장 곧 31본산을 통괄하는 기구를 설치하자는 것은 없지만, 둘째와 셋째 주장에서는 내용과 문제의식에서 상당히 일치한다. 이 점에서 백학명의 불교개혁적 견해는 온전한 불교개혁론이 아니고 ‘부분적인 불교개혁의 주장’이라고 분류한다. 손규상의 진각종 창종은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과 비교해볼 때, 대중불교를 추구한 점에서는 서로 일치한다. 차이점은 손규상이 새로운 종파를 세우고, 거기에 걸맞는 수행론을 제시한 점에 있다. 이 점에서 손규상의 진각종창종은 ‘새로운 종파를 창종하자는 주장’으로 분류한다. This article classified the patterns of the Buddhist reformation in Korea by approaching by two steps. The first step includes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Han Yong-Un’ "Joseon(Korea) Buddhist theism", and Lee Young-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 The first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was not yet developed as to offer the concrete alternatives for then current Buddhism. Kwon Sang-Ro’ "Joseon Buddhist reformer" was focused on analysis of abstract concepts of Buddhism, Han Yong-Un’ "Joseon Buddhist theism" also had limitations to present alternative solutions. Lee Young-Jae"s “Joseon Buddhism hyeoksinron” was also attached into the ideal blueprints, which was insufficient for concrete answers. The second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includes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Baek Hak-Myeong’s view of reform of buddhism, and Son Gyu-Sang’ view on Buddhism reform. The second step of the Buddhism reformation showed the detailed alternatives for Joseon Buddhism.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insisted the following three theme; to establish a organization for the 31 head temples, to pursue the public Buddhism and to organize guiding principles of zen practice and teaching methods of Buddhism’s doctrine. Baek Yong-Seong’ Daegakgyo movement coincides with Han Yong-Un’ “Joseon Buddhist reform”. Baek Hak-Myeong’s opinion was similar with Han Yong-Un for pubic Buddhism and the training of the Buddhism’s doctrine. In this regard, Baek Hak-Myeong’s opinions are classified as a partial Buddhism reformation. Son Gyu-Sang’ opinions consists with Han Yong-Un’ inrespect of persuing the pubic Buddhism. But Son Gyu-Sang’ Jingakjong with a new discipline theory could be regraded as to insist “new sector” for Buddhism reformation.

      • KCI등재

        <옥루몽> 황소저의 성격 변화 -악인형 인물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과 관련하여-

        조혜란 ( Hae Ran Cho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2

        이 논문은 <옥루몽>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한 것이다. <옥루몽>은 기존 논의에서 그 대중성과 진지성, 놀이 및 유흥문화에 대한 서술, 인간의 욕망에 대한 관용적 태도 등으로 주목 받은바 있으며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작품이다. 그런데 본고가 조명하고자 하는 황소저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논의한 기존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황소저는 벽성선과의 처첩갈등을 일으키는 장본인으로서, 작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꽤 큰 인물이며 다른 작품에 비해 그녀가 보여주는 개과천선의 과정 역시 주목할 만하다. 소설에서 개과천선 과정의 형상화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은 인물의 변화 과정을 그리는 것으로, 인물 성격의 변화야말로 소설 작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다. 또한 고전소설에서의 개과천선 과정 서술은 개과천선 모티프가 수용되어 있는 다른 고전소설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인간의 심성이 환경과 어떤 방식으로 관계 맺기를 하는지에 대한작가의 인식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는 우선 황소저의 개과천선 과정에 대한 서술 양상을 분석하고 그의미를 살핀 후 동일 모티프가 들어 있는 다른 작품과 비교 검토하고, 또 <옥련몽>의 해당 부분 서술과 <옥루몽>의 서술을 비교 검토하여 <옥루몽> 개과천선 과정 서술의 특징에 대해서도 살폈다. <옥루몽>의 개과천선 과정에 대한 서술은 인간에 대한 작가 남영로의 이해만이 아니라 그가 이 작품에서 진정 진지한 태도로 현실에 대한 대응력을 모색하면서 형상화한 부분이 어딘가에 대해서도 다시 질문하게 한다. 기존 논의에서 많이 언급되었던 양창곡의 정치 담론이나 혹은 유흥 문화의 수용 등은 그 서술이 자세하고 구체적이기는 하나 당대 조선현실에서 실현 가능한 소설적 대안 혹은 해결이라고 간주하기는 어렵다. 이에 비해 개인의 변화를 그리는 개과천선 과정은 실현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진정성에 기반한 진지함을 가늠해 볼 여지가 있다. 본고는 기존논의에서 집중해서 다루지 않았던 황소저의 개과천선 과정을 살펴보고 그를 토대로 <옥루몽>이 제기하는 문제의식에 대한 재고의 자료로 삼고자 한다. This study resulted from the interest how villain characters` moral transformation is described in Ok-Ru-Mong. This work has attracted lots of attention for its popularity, seriousness, its description on entertainment culture, and its favorable accounts on human desires. So previous studies have usually focussed on these aspects. But the narration on the process of lady whang`s moral change for the better has relatively rarely studied. Lady Whang who as a concubine causes the conflicts with legal wife plays many parts in the action and her change for the better through repentance is notably described in this work. The fact that the writer elaborates the process of a villain character`s moral change shows his interest in characters` development, which is significant in the writing a novel. If we compare this novel`s narration of a villain character`s moral development with those of other classical novels, we may draw a good source to notic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mong write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mind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ly attempted to analyse the narration of lady Whang`s moral change and interpret its meaning. Secondly, this study compared it with other works which have similar motifs, especially, with Ok-Ryun-Mong.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of the narration on a villain character`s moral change of this work not only helps us to see the writer, Nam Young-Ro`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but also encourages us to think about other parts of this work which might reflect the writer`s serious efforts to confront his times. Although such parts as the political discourse of Yang Chang-Gok or the acceptance of entertainment culture of those times which have much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are narrated in details, it is hard to say those parts are suggested as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problematic reality of late Chosun dynasty. Instead the moral change of villain characters like lady Whang might apply to the real world of those times. On this ground we can discuss the writer`s serious and sincere interest in his ti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s attempt to analyse lady Whang`s moral change will be found its invitation to reconsider the seriousness and sincerity of Ok-Ru-Mong.

      • KCI등재

        필사본 『雲川先祖遺墨』의 발굴과 書誌的 分析

        전재동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80 No.-

        이 논문은 대구에 거주하는 개인이 소장한 필사본 遺墨帖을 소개하고 서지적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첩(이하 『유묵』)은 2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후기의 학자 金涌(1557-1620)과 관련된 簡札 10통, 分財記 1통, 疏 1통, 漢詩 18수, 祭文 3편, 편액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김용이 직접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간찰 10통, 분재기 1통, 疏 1편, 한시 4수 등 총 16건이다. 나머지 자료는 김용의 후손들이 작성한 한시와 제문 등이다. 본문에서는 이들 중 주요 자료를 대상으로 원문을 탈초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유묵』에 수록된 자료 중 1595년에 黌齋諸人에게 보낸 간찰, 金澤龍에게 보낸 漢詩, 아들 金是柱에게 보낸 漢詩, 아들 金是楗을 추모하며 지은 제문, 朴守謙에게 보낸 한시 등은 『雲川集』에 수록되어 있어 두 자료를 대조,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유묵』에 수록된 자료는 『雲川集』의 내용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유묵』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유묵』에 수록된 자료 중 2책에 수록된 車天輅의 白雲亭八景 및 十二詠는 차천로가 시단에서 갖는 위상과 의성김씨 내앞 문중에서 백운정의 지니는 의미 등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서지학은 물론 한문학 등의 분야에서 보다 정밀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manuscript book by individuals living in Daegu and attempts a bibliographi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concubine consists of two books, one related to the late Joseon scholar Kim Yong (1557-1620) writings are included, Letter 10, Bunjaegi 1, Administrative document 1, Administrative document 18 and so on. The rest of the material is written by Kim Yong’s descendants, including poems and sentences. The data that Kim Yong himself wrote were analyzed by attaching images and removing the original. Second, the poems that Kim Yong sent to his friend Park Soo Gum, his mourning for his son’s death, and his letters to his classmates can be compared with his personal writings. As a result, the previous book has gained credibility because the contents of the two documents are consistent. Third, Chacheon-ro’s poems from the previous books are of great value in view of his popularity and position in paragraphs. Third, Chacheon-ro’s poems from the previous books are of great value in view of his popularity and position in paragraph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tatus of Bae Un-jung(白雲亭) in Ui Sung-Kim’s Family, his poetry needs much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책문(策文)으로 본 조선시대 과거사의 이면

        朴在慶(Park, jae-kyung)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8 No.-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과거사에서 발생되었던 대표적인 파방사건 중에서 책문(策文)이 문제가 되었던 세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의 기록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을 책문의 원문(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당시 정치적 문제와 현실상황을 읽어낼 수 있었다. 첫째, 이원정ㆍ이담명 부자의 경우는 책문(策文)의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책문의 형식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문구와 그것이 빠짐으로서 채점관과의 표식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임숙영의 경우는 광해군의 비, 유씨와 그의 오빠 유희분의 정치간섭이 심하다고 느낀 임숙영의 책문으로 문제에 조응하지 않고 자신이 문제를 다시 책정하여 임금에게 간하는 논란이 될 만한 행동이었으나 직언을 하기 위한 충정에서 양해되었다. 책문이 아닌 상소의 형태였어야 한다는 광해군의 지적과 책문의 역할과 의미가 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임숙영의 파방사건으로 인해 궁류시를 지어 죽음을 당한 권필의 경우를 보아도 당시 권신과 조정대신간의 알력이 얼마나 컸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나세찬의 경우는 조선왕조실록에는 생략되어 전하는 그의 책문을 통해 권신 김안로를 풍자하는 고사를 인용한 것이 문제가 되었음을 그의 책문 전체를 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막연하게 정치적인 사건이나 임금의 비위를 건드려 문제가 되었다는 식의 과거 답안지가 실제로는 책문(策文)에 한정된 경우가 많았고 책문의 문체적 특성상 당시 조정에 대한 비판이 불가피하게 전제될 수밖에 없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특히, 책문의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이 수행된다면 당시 시대적 폐단이 무엇이었는지, 왕이 고민했던 부분은 무엇이었는지 등의 다양한 문학적 사회적 부분을 고찰해낼 수 있다는 단서를 발견하게 된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manuscript analysed three of the typical cancellation cases about Chaekmun(策文) that were issued in the past Chosun. Especially by analysing Chaekmun(策文)’s text, it was possible to read out the then political problems and situations, which were hard to understand only by the record of 『The true record of the Chosun Dynasty』. Firstly, in Lee Won-jung(李元禎), Lee Dam-meong(李聃明)’s case, it was able to notice that the missing of key phrase in Chaekmun(策文)’s form can be the sign between the examiners rather than the specific contents. Secondly, in Lim Suk-young(任叔英)’s case, he re-made his own question and expostulate with the King that Lord Gwang-hae’s wife and her brother Ryu Hee-bun’s meddle in politics were immoderate, which should have been issued but did not because it was a loyal advice to the King. It indicates Lord Gwang-hae’s comment that it should have been the form of Sangso(上疏) not Chaekmun(策文), and the role of Chaekmun(策文) was important. Also by looking at the case of Gweonpil who died because of his ‘GoongRyuSi(宮柳詩)’ about Lim Sukyoung’s cancellation affair, it was able to check how big the friction between courtiers and government officers were. Lastly, Na Sae-chan(羅世纘) was discussed by citing a satire on courtier Kim An-ro(金安老) which is skipped in 『The true record of the Chosun Dynasty』 in his Chaekmun(策文). Through this research, it revealed that the problem occurred abstractly by answer papers about political issues or offending King is actually limited to Chaekmun(策文), and it is inevitable not to criticise government on account of the characteristic of Chaekmun(策文). Particularly, obtained good results that there are clues about the then negative effects or what was the King’s worries and stuff, if we analysis Chaekmun(策文)’s text concre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