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인관계 역경 경험 대학생들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에 대한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의 효능 및 조절변인으로서의 개입 전 우울증상

        조승연,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2

        본 연구는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여러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들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 이러한 효 과가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인관계 역경을 경험했다고 보고한 대 학생들 중에서 30명은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을, 그리고 29명은 일상적 글쓰기 개입을 제공받았다. 분석 결과,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 조건의 참가자들은 일상적 글쓰기 개입 조건의 참가자들에 비해 역경 후 분노 수준이 종결 2주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역경 후 배신감의 경우 개입 전에는 두 가지 조건 간에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개입 후에는 일상적 글쓰기 개입조건에 비해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조건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서들의 수준에서는 두 조건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 음으로, 종결 2주후에 역경 후 공포와 역경 후 죄책감 수준 각각에 대한 일상적 글쓰기 대비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미치는 효과는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컸고, 그 외에 다른 종류의 역경 후 부정적 정 서들에 대한 개입의 효과는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이러 한 결과들은 자비로운 글쓰기 개입이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의 역경 후 분노와 배신감 수준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며, 대인관계 역경 경험자들 중에서 개입 전 우울증상 수준이 높은 사람들에게서 역경 후 공포와 역 경 후 죄책감을 낮추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for several kinds of post-adversity negative emotions and evaluated the role of pre-intervention depressive symptoms as a moderator in the treatment effec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who reported a history of interpersonal adversities, 30 were provided with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and 29 with daily writing intervention. Compared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condition, those in condi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ost-adversity anger at 2-week follow-up assessment. For post-adversity betray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and the daily writing intervention before intervention, but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terven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kinds of post-adversity negative emotions were not found between the two conditions. At the follow-up,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was superior to the daily writing intervention in the levels of both post-adversity fear and post-adversity guilt among those with high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but did not among those with low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assionate writing intervention is an efficacious treatment for post-adversity anger and betrayal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adversities, and that the intervention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post-adversity fear and post-adversity guilt among those who both experienced interpersonal adversities and reported higher pre-intervention depression symptoms.

      • KCI등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가 지체장애 중·고등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우규연,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it affected their writing ability to apply writ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to middle/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iculty in writing. For purpose, conducted diary-writing intervention to which process-based writing instruction was applied using smart devices with students attending a special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nd their diaries were collected to measure their writing ability(length, content), and whether they continued it or not was measured 3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diary-writ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the length of their writing was increased in all of the three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diary-writ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scores of their writing contents were increased in all of the three students. Third, the students’ enhanced writing ability was kept even after the diary-writing intervention using smart devices ended.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가 지체장애 중․고등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지체장애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과정중심 쓰기지도 방법을 적용한 일기쓰기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실험설계방법을 사용하여 쓰기 능력(글의 길이, 글의 내용)의 변화와 유지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일기쓰기 중재를 적용한 결과 세 명의 지체장애 중․고등학생 모두 글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글의 내용 점수도 세 명 모두 향상되었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스마트기기의 특성을 활용하여 지체장애학생의 소근육 운동기능을 보완하고 과정중심의 쓰기 지도를 통해 쓰기 내용적 측면을 교수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학생 글에 대한 반응 연구 동향 및 전망

        김경화 ( Kyoung Hwa Kim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3

        본 연구에서는 쓰기 수업에서 보편적으로 행해지는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하면서, 연구 영역과 연구주제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글에 대한 반응 연구가 어떠한 주제와 어떠한 방향으로 논의될 수 있을지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물 검토에 앞서 먼저 학생 글에 대한 반응으로 많이 사용되는 ‘첨삭’, ‘피드백’, 그리고 ‘논평’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용어를 중심으로 사용된 학생 글에 대한 반응의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어떠한 연구 영역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쓰기 교육에서 학생 글에 대한 반응을 연구한 연구물들의 주제와 목적 등을 토대로 교사의 교수·학습 측면, 학습자의 측면, 그리고 아직은 연구물들이 많지는 않아도 앞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는 연구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학생 글에 대한 반응 연구가 한시적이거나 협소한 영역의 논의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가 거듭될수록 설계가 치밀해지고, 오늘날의 쓰기 이론과 부합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연구 초기에는 유의미한 효과나 상관을 확인하기 어려웠던 반응의 유형이나 내용, 혹은 교사의 태도 등도 연구 설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들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학생의 글에 대한 반응은 쓰기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는 분야이며, 이에 대한 관심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교사와 연구자의 신념과 연구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어도, 연구가 위축되기 보다는 오히려치밀하고 유의미한 연구로 발전하여 왔다.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중요한 것은 담당 교사의 노력과 실천이면서, 동시에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교사의 실천 의지와 실천 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의 조성이 함께하지 않으면, 교사가 갖고 있는 학생 글에 대한 교사의 반응과 관련된 신념과 실제 쓰기 수업 사이의 괴리를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앞으로는 학생 글에 대한 반응에 대한 연구를 교육의 다양한 입장에서 다각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반응의 내용과 유형만이 아니라, 반응에 관여되는 주체들을 고려하고, 학생의 쓰기와 반응이 이루어지는 맥락을 고려하는 연구가 앞으로 더욱 활발히 논의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on teacher`s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n writing class and how the scope and subject of prior studies have been developed. Also,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rospect of future research subjects and directions of teacher`s response to student writing. The first thing is to compare the meanings of ``correction``, ``feedback`` and ``comment`` frequently used as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n classroom, that each meanings are confused in writing class. Secondly, this study is to check what subjects are dealt with in the studies of teacher`s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n writing class.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eacher`s instruction, student aspect and the other aspects needed further studies. The result of the review shows the studies of teacher`s response to the student writing is not temporary and narrow. As the experimental designs were elaborated, the results of studie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response types and content and teacher attitude. This study is suggested that the response of the writing is an important the subject of study ? research topic, and further studies in writing are needed. In this true a few of the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response on the writing consistently. At the early research was weak the study plan or theoretical frame. But the study has go on, the response of writing has many products of the good research. Also, combined with continuous stud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n effort and practice of teachers and gives them to good teaching environment. If not, it could cause the gap between teacher`s knowledge of how to teach writing and actual classroom. For the future, we have to study the research of teacher`s response to student wring in various perspectives using different ways; the content of response and types, things related with response and context of students writing and teacher`s response.

      • KCI등재

        자폐성장애 학생의 쓰기중재 연구 동향

        정은혜 ( Eun Hye Jeong ),곽승철 ( Seung Chul Kwak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자폐성장애 학생의 쓰기중재와 관련된 실험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자폐성장애 학생의 쓰기 중재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외 학술지 20편이었으며, 연구대상, 중재환경, 중재방법, 중재영역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 대상자 수는 1명, 선정기준이 제시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환경은 일반학급 이외의 조용한 학교시설이나 특수학급을 이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영역은 글씨쓰기, 철자, 문장구성, 작문으로 구분하여 중재방법과 결과를 기술하였으며, 중재방법은 자기조절전략개발(SRSD)과 비디오모델링, 컴퓨터 공학, 이야기문법 등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irection and implication for studies on writing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by analyzing trial studies on writing intervention for those students conducted domestically and abroad from 1994 to 2013. The selected articles for analysis were 20 domestic and abroad,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intervention setting, intervention method and domain of intervention for writing inter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and the size were elementary student, single sample, and most studies presented selection criteria. Second, the domain of intervention were describes intervention method and results divided on spelling, writing, sentence construction and composition. Intervention methods were self regulatory strategy development(SRSD), video modeling, computer engineerings and story grammar. The study tren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지체장애의 쓰기중재에 대한 국외연구 동향분석

        구현진 ( Ku Hyun Ji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국외에서 이루어진 지체장애의 쓰기중재와 관련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체장애 학생의 쓰기 중재에 대한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외 학술지 논문 총 11편이었으며, 연구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연구 결과, 중재영역, 중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은 뇌성마비 초등학교 남학생이 가장 많았고 연구 방법은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연구 내용은 철자 중심의 연구가 많았고 연구 결과는 지체장애의 쓰기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재영역은 읽기 + 철자, 철자중심의 논문이 각각 3편씩, 글씨쓰기, 작문의 논문이 각각 2편씩, 읽기+ 작문의 논문이 1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방법은 컴퓨터보조교수(CAI) 3편, 음운인식,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기타, 기타 중재방법이 각각 2편씩, 이야기책읽기+ 기타, CAI+ AAC가 각각 1편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irection and implication for studies on writing intervention for physical disabilities by analyzing trial studies on writing intervention for those students conducted abroad from 2000 to 2013.The selected articles for analysis were 11 abroad,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design, content, intervention method and domain of intervention for writing inter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the most men of elementary students, and designs were the most experimental research. The contents were the most research of spelling, and results have a positive effect on writing for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the domain of intervention were describes intervention method and results divided on handwriting, spelling, sentence construction, reading and spelling, composition and reading and composition. The study of reading and spelling is 3. Spelling study is 3. Handwriting and composition study is each of 2 and so on. Intervention methods were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phonological awarenes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and so on. CAI, phonological awareness, AAC and other, other intervention study is each of 2. The study tren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Explicit Observation of EFL Writing Process

        최영주 ( Young Ju Choi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영문학21 Vol.24 No.1

        It has been discussed that process writing approach is more effective than product approach in teaching L1 and L2 writings. Discussion on writing processes in an L1 setting and an ESL setting dates back to late 1970s and early 1980s, respectively.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out researches on writing process in an EFL setting. To fill the gap, this paper examines what are the writing processes of EFL students in Korean classroom setting. Korean EFL students uses the product model instead of the process model for their composition. They think writing process should be linear rather than being recursive and hierarchical. Only after finishing the first draft, they try to revise it, mainly focusing on spelling and grammatical errors. Students do not seem to spend enough time in a prewriting stage. No subjects report that they discuss on their topics with others before they start to write. Based on the observation, it also discusses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e findings. Teachers need to intervene all the writing stages to help students discover meanings they want to create. Students` awareness of their writing processes is also an important part for better writing. Thus, teacher has to help them to understand what skilled writers do while composing.

      • KCI등재

        Identifying Effective English L2 Writing Interventions: Emerging Trends and Issues in Recent Research

        채수은 한국영어교육학회 2012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67 No.4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scribe overall trends in recent English second language (L2) academic writing research and to identify effective interventions. To support drawing defensible conclusions based on the literature dealing with L2writing, only recent empirical articles dealing with academic writing for English-L2college students published in peer reviewed journals were included. Fifty five English L2 writing articles met the criteria for inclus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effective L2 writing interventions, I discriminated if the studies provided L2 writing interventions and the relevance to L2 writing development. As a result of analyses based on themes emerging in the English L2 academic writing literature, I noted effective English L2 academic writing interventions. Those interventions were teacher feedback, self-regulatory learning, peer feedback, and technology use. The use of a variety of measures and incorporation of specificity about prompts into the studies was recommended and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L2 writers was suggested to be further studied.

      • KCI등재후보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온라인 긍정개입프로그램이 여성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이설혜,이정미 한국여성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expressive writing for mothers of single-parent families. For this purpose, based on Pennebaker's writing therapy and Rashid's positive psychotherapy, a positive intervention for single-parent mothers was construct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19 divorced women rais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2,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an 8-sess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once a week.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to verify the program effect according to the pre–post–follow up test on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well-be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single-parent moth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partially in enhancing well-being.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take a self-care approach to improve well-being of single-parent mothers who experience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through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expressive writing.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online positive intervention utilizing expressive writing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difficulties in accessing group counsel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face-to-face counsel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demonstrated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읽기 및 쓰기 중재가 치매환자의 어휘산출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보선 ( Kim Bo-seon ),이미숙 ( Lee Mi-soo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치매환자의 진행적인 언어감퇴 때문에 치료 현장에서의 중재와 치매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을 연결하는 치매 언어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본 연구에서 고안된 읽기 및 쓰기 중재절차를 진행하면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그 수행력을 비교하여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읽기 및 쓰기 중재가 치매환자의 어휘산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도 및 중등도의 치매진단을 받은 환자 7명이었으며, 읽기와 쓰기 중재가 가능한 문해력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치매환자들을 대상으로 읽기 및 쓰기를 활용한 5단계로 구성된 중재가 시행되었다. 사전-사후 비교 설계를 위해 중재 전과 후에 의미유창성 검사(동물이름대기)와 K-BNT-15(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중재절차가 반복됨에 따라 읽기 및 쓰기 중재의 정반응률이 증가하여, 본 중재의 학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유창성과 K-BNT-15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하게 수행력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 및 중등도의 문해력이 있는 치매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읽기와 쓰기를 활용한 중재절차를 제시하였고, 그 효용성을 어휘산출 능력의 향상을 통해 입증하였다. 이에 본 절차를 적용하여 임상에서의 중재 자료로 읽기와 쓰기를 활용함과 동시에, 치매환자의 사회참여도 증진 및 자아상을 회복시키는 역할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Due to progressive language decline in people with dementia,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in facilities as well as in clinical settings for people with dementi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ffect of reading and writing intervention designed in this study on the performance of reading and writing protocol over time; and 2) to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 and writing intervention on the word retrieval abilities of dementia. The participants were 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and could read and write. A five-step intervention protocol was conducted for participants during 6 months. For the pretest-posttest design, a semantic verbal fluency test (animal) and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K-BNT-15)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average proportion of correct responses by months increased, indicating that this protocol had a learning effect over time.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the verbal fluency test and K-BNT-15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study presented an intervention protocol using reading and writing that is applicable to people with mild to moderate dementia, and its efficiency was verified by improved word retrieval ability. Therefore, this protocol can be applied to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dementia, who can make use of remained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nd expected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and recovery of self-image of people with dementia.

      • KCI등재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위한 쓰기중재 단일대상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 경도지적장애, 학습장애, 학습부진학생을 중심으로

        고서연 ( Ko Seo-yeon ),백영선 ( Paek Young-sun ),길한아 ( Kil Hanah ),김미령 ( Jin Meiling ),( Sakura Yusuke ),손승현 ( Son Seung-h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쓰기중재를 실시한 연구들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ANOVA를 통해 쓰기중재의 효과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들을 대상자 관련 변인인 대상자 유형, 성별, 학년, 지능지수와 중재 관련 변인인 중재유형, 중재회기, 중재시간, 쓰기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1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구보고서 및 학술지 논문을 포함하여 총 34편이었으며, 총 159개의 효과크기(Tau-U)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쓰기중재연구의 쓰기능력 향상에 대한 중재 및 유지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중재회기 및 중재시간에 따른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 및 시사점에 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writing interventions on "students with difficulty in writing" defini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and low achievement.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single-subject research about writing intervention for those students. In addition, through the meta-ANOVA, the control variables were divided into the subject-related variables(type, gender, grade, IQ) and the intervention -related variables(type, session, time, and writing target area). A total of 34 articles were analyzed from 2001 to 2017, and a total of 159 effect sizes(Tau-U)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writing intervention studies were proved,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shown in the intervention session and intervention tim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