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토교육 연구에서의 동향 분석

        조인성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3 글로벌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96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에서 행해진 영토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영토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영토교육’을 핵심 주제로 다룬 선행 연구들을 검색하고, 최종 137편의 논문이 분석할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연구물을 국토교육, 글로벌 영토교육, 글로컬 영토교육, 독도교육 등 네 가지의 연구 유형별로 범주화하고, 이에 따른 영토교육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였다. 끝으로, 향후 영토교육 연구를 위한 학술적 방향과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영토교육에 대한 연구의 초점을 독도교육에서 다른 연구 유형인 국토교육, 글로벌 영토교육, 글로컬 영토교육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토교육에서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거나 다른 나라와 비교하는 수준에 머물러 학습자를 소외시키기보다는 교육현장이나 수업의 주요 주체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다. 셋째, 영토교육 관련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을 반영하고 점검하는 후속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글로컬 영토교육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territory education conducted in South Korea from 1996 to 2022. In this study, the collected research work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ur research types of national land educati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glocal territory education and Dokdo Island education, and then trends in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were explored.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cademic directions and tasks for future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focus of studies on territory education from Dokdo Island education to the other research types of national land educati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and glocal territory education. Second, in terri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ttempt studies revolving around 'learners,' major subjects in education field or classes, rather than remaining at the level of the analysis of curricula and textbooks or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and thus alienating lear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that reflect and inspec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studies related to territory education. Fourth, given the low percentage of studies on global territory education, it is judged that these studies will have to be vitalized.

      • KCI등재

        영토교육 비판과 동아시아 평화를 지향하는 대안적 지리교육의 방향성 모색

        박배균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This paper, with a critical engagement with recently emerging discourses on territory education emphasizing the need to educate the issues of territorial identities and sovereignty to students, urges that a total re-formulation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expanding territory education ― is needed in order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efforts to resolve the current territorial conflicts, and develop more peacefu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In particular, it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territory education perspective ― due to its nationalist orientation and its theoretical reliance on the organic conception of territory a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 is more likely to aggravate the territorial conflicts in East Asia. With growing concerns on the nationalist territory education, there have been recent efforts to develop alternative perspectives on territory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notion of civic nationalism, education for critical literacy, and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citizenship. This paper, however, highlights that these efforts are still limited in overcoming the logics of territorial exclusiveness and thus not fully useful in developing a peaceful East Asia, as long as they are made under the name of territory education, and suggests to get rid of the frame of territory education. With this problem orientation, I argue that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completely re-formulate the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wasting our time and energy for territorial education ― if we want to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make a genuine contribution to the East Asian peace. More specifically, I suggest that 1) the developers of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make more aggressive efforts to incorporate the relational conception of place into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2) research and education on ‘East Asian Geography’ need to be much mor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the ‘territorial trap’ and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herent in the existing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which has been organized on the basis of two pillars of ‘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이 글에서 필자는 최근 영토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부각되고 있는 영토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영토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동아시아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강화하기보다는 지리교육의 내용을 전면적으로재구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주장한다. 특히 기존의 영토교육론은 민족/국가주의적 성향, 유기체적 국토개념과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내부자적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배재와 포섭의 속성과 영토적 배타성을 강화하여 영토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긴장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문제제기 했다. 최근 이러한 민족/국가주의적 영토교육론을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시민적 애국주의, 비판문식성 교육, 초국가적 시민양성등에 초점을 두는 영토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논의들이 제기되기도 하지만,필자는 이러한 논의들 역시 영토교육의 틀 속에 갇혀 있는 한 민족/국가주의와영토적 배타성의 논리에서 자유롭기 힘들다고 지적하면서, 영토교육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에 진정으로 도움을 주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넘어서 지리교육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필자는 1)관계론적 장소개념을 지리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고, 2) 국가의 틀을 넘어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동아시아 지리’에대한 연구와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영토교육의 개념화와 영토교육모형에 대한 접근

        서태열 ( Tae Yeol Se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영토교육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토대로 종래의 영토교육에 대한 접근방식을 반성적으로 성찰하여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접근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토가 국가의 존립과 국가영역, 집단이나 사회의 생활, 개인의 삶과 실존이라는 개인적 차원, 사회적 차원, 국가적 차원에서의 의미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영역성과 정체성의 관점에서 영토교육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영토교육에 대해 3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하면서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접근 모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영토 및 영토와 관련된 사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증진시키는`영토에 대한 교육`과, `영토로부터의 교육`은 영토 속에서의 영토에 대한 체험을 중심으로 영토(국토)환경에 대한 접촉을 통하여 국토에 대한 자각(영역자각), 국토에 대한 경외감, 국토에 대한 새로운 깊은 인식과 애착의 형성, 자아의 성숙, 영토와 관련된 자아정체성을 비롯하여 지역정체성, 국가정체성을 형성시키는`영토로부터의 교육`과, 영토(국토) 및 영토(국토)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에 영토(국토)이용에 대한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이를 개인적인 차원이나 집단적인 차원에서 실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영토를 위한 교육`을 통합하는 모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approach model for territory education through examining reflectively hitherto approaches based on the conceptualizing territory education. For this, the meaning of territory was examined in terms of personal, social and national dimension such as subsistence of nation, social life and individual existence. And through criticizing hitherto territory education in terms of three aspects, the desirable approach model was suggested as follows. It is the integrated model of `education about territory` which enhances knowledge and deepens understanding about facts and events related to the territory, and `education from territory` which builds up regional and national identity based on cognition and experience in territory through attachment, respect, devotion and affection, and `education for territory` which enhances practicing ability based on recognition about problems concerning territory. This integrated territory education would be better in the line of communicative form, not of blind chauvinism.

      • KCI등재

        영토교육 비판과 동아시아 평화를 지향하는 대안적 지리교육의 방향성 모색

        박배균(Park, Bae-Gyo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이 글에서 필자는 최근 영토분쟁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부각되고 있는 영토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영토분쟁의 상황을 극복하고 동아시아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강화하기보다는 지리교육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주장한다. 특히 기존의 영토교육론은 민족/국가주의적 성향, 유기체적 국토개념과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내부자적 장소성을 바탕으로 한 배재와 포섭의 속성과 영토적 배타성을 강화하여 영토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긴장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시킬 가능성이 더 크다고 문제제기 했다. 최근 이러한 민족/국가주의적 영토교육론을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시민적 애국주의, 비판문식성 교육, 초국가적 시민양성 등에 초점을 두는 영토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논의들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필자는 이러한 논의들 역시 영토교육의 틀 속에 갇혀 있는 한 민족/국가주의와 영토적 배타성의 논리에서 자유롭기 힘들다고 지적하면서, 영토교육의 틀을 완전히 벗어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에 진정으로 도움을 주는 교육을 위해서는 영토교육을 넘어서 지리교육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필자는 1) 관계론적 장소개념을 지리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고, 2) 국가의 틀을 넘어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동아시아 지리’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with a critical engagement with recently emerging discourses on territory education emphasizing the need to educate the issues of territorial identities and sovereignty to students, urges that a total re-formulation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expanding territory education ― is needed in order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efforts to resolve the current territorial conflicts, and develop more peaceful relations, among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In particular, it points out that the existing territory education perspective ― due to its nationalist orientation and its theoretical reliance on the organic conception of territory a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place ― is more likely to aggravate the territorial conflicts in East Asia. With growing concerns on the nationalist territory education, there have been recent efforts to develop alternative perspectives on territory education by emphasizing the notion of civic nationalism, education for critical literacy, and development of transnational citizenship. This paper, however, highlights that these efforts are still limited in overcoming the logics of territorial exclusiveness and thus not fully useful in developing a peaceful East Asia, as long as they are made under the name of territory education, and suggests to get rid of the frame of territory education. With this problem orientation, I argue that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completely re-formulate the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 instead of wasting our time and energy for territorial education ― if we want to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that can make a genuine contribution to the East Asian peace. More specifically, I suggest that 1) the developers of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make more aggressive efforts to incorporate the relational conception of place into the contents of geography education, and 2) research and education on ‘East Asian Geography’ need to be much more strengthened in order to overcome the ‘territorial trap’ and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herent in the existing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which has been organized on the basis of two pillars of ‘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

      • KCI등재

        국토교육 시범학교 운영 성과 및 과제

        이종용,안종천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이루어져왔던 국토교육과 관련하여 1년간의 시범학교 운영을 통해 국토교육의 추진성과를 알아보고 향후 국토교육의 발전적인 추진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국토관련 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정부에서 운영 중인 ‘우리국토바로알기 사업’프로그램의 운영과정과 그 일환으로 운영되는 국토교육 시범학교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국토교육에 따른 학생들의 의식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국토바로알기 여건 조성, 창의적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 교재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 그리고 국토사랑의 날, 국토순례와 같은 체험학습 등의 운영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국토교육을 통해 국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국토사랑의식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의 국토사랑의식이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앞으로 국토교육과 관련한 교과서의 개발, 다양한 국토관련 정보의 제공과 학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one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way for improving the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To find out the progressive way, existing problems of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was examined closely. Then we looked a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oject, run by government, called ?To know rightly about our national terri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model school.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analyse the change of students? consciousness about the national territory after attending the education program.According to the research, many educational operation was done, for example, fostering the environment to know rightly about our home land, lessons based on various teaching material, and field studying like national territorial loving day, territorial pilgrimage. Through the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students had exact understanding of their home country and more cultivated awareness of the national home land with love.A number of things are needed to mention to extend citizen?s awareness of their home country with love. These are following ; developing the text books on national territorial education, providing the diversified information about our home country, and also providing the atmosphere for learning.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의 영토 교육 현황과 문제점

        강승호(Kang, Seung-ho)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본 연구는 역사교육에서의 영토교육이 지나치게 독도 관련 연구에 치우쳐 있어 한국의 영토 변천 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역사교육에서의 영토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역사과 교육과정에서는 1990년대 중반까지 영토 관련 내용이 매우 드물어 체계적인 영토교육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등 역사왜곡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1997년에 마련된 제7차 교육과정부터 역사교육에서도 영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09년에 개정된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과정에서는 독도와 간도 문제가 하나의 독립된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었다. 역사과 교육과정에 영토 관련 내용이 늘어남에 따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영토 관련 서술도 증가하였다. 2011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초기 우리 민족의 활동 무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영토의 변천과정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서술되었다. 검정제로 발행된 교과서이지만 전근대 시기의 영토 관련 내용은 분석 대상으로 삼은 3종의 교과서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근현대 시기의 경우에는 독도와 간도 문제가 강조되면서 교과서마다 서술 분량과 내용, 수준에 큰 차이를 보인다. 역사교육에서의 올바른 영토교육을 위해서는 영토 관련 내용의 범위와 수준 등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has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ilting heavily to Dokdo-related studies,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cannot properly reflect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territory. First of all, one could hardly expect a systematic territory-related education with the curriculum in History, which constitutes the basis of history class, as territory-related details were very rare up to the mid-1990s. However, as increasing so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distortion of history including the Northeast Project of China and the Japanese claim to Dokdo, the importance of the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began to be emphasized, starting wit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established in 1997. In the 2009 amendment of the high-school curriculum in Korean History, the issues of Dokdo and Gando were presented as independent criteria of achievement. As the curriculum in History got more and more content on territory, the territory-related description increas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in Korean History. The high-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2011 curriculum included a relatively organized descrip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from the earlier domain for the Korean nation to the present. Published with official certification, the three textbooks selected for the analysis are more or less the same with respect to their description of the territory in the pre-modern periods. Different textbooks show much difference in length of description, content, and level, however, as the issues of Dokdo and Gando receive emphasis, coming in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To ensure correct territory-related education in history class, a systematic discussion of the scope and level of the territory-related descriptions should be necessary.

      • KCI등재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와 "동아시아사" 교과서를 통해 본 영토교육의 현황과 과제

        김정인 ( Jeong In Kim ) 수선사학회 2015 史林 Vol.0 No.52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eight type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as well as three types of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all commissioned and published in 2014 according to the Revised Education System of 2009. Analyzed here in particular are references to certain ‘territorial issues,’ in order to determine how the history of borders and territories are described in these textbooks, and how they are usually discussed nowadays. With such determination, I would like to raise some points that would concern the direction education of such histories should take in the future. Personally, it feels relevant to ask what kind of new challenges are being thrown at the historical education community, in a day and age when education of those subjects are being reinforced. Coming into the 21st century, historical education of territories and boundaries continued to be reinforced substantially. In both Korean History and East Asian History highschool textbooks, the amount of paragraphs and chapters dedicated to the description of such histories definitely increased. But the overall tone and nuance displayed by all these textbooks turn out to be more of the same. They do not reflect diverse perspectives from academic differences as much as they reflect state-sanctioned materials for educating territorial and boundary histories.The most primary objective of today’s territory education, which shows a long history being led by the government, and had maintained the issue surrounding Dok-do island as its centerpiece, was the preservation of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future, such objective has to be overcome. We should set a new goal that transcends all that. There should be more than one goal that could be pursued by us. The Korean realm of life should be preserved, but a new, forward-looking kind of relationship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Korean people should keep training themselves on their way to becoming true guardians of democratic values. These goals will often put us on contradictory paths, but a compromise should be out there, somewhere. Historical education of territories and boundaries should be able to serve ultimately as a tool to educate people the merit of peace. And the academic community should not shy away from throwing hard questions, and responding to them in kind.

      • KCI등재

        ‘독도교육’ 관련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최보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3 독도연구 Vol.- No.35

        ‘독도교육’ 관련 연구는 20여 년의 짧은 역사에도 역사·지리·사회 등 폭넓게 이뤄졌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를 가능한 한 집대성하여 현재까지의 성과와 그 속의 한계를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를 각각 과제를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연구 동향의 첫째로는 독도교육 관련 연구 129편을 태동기·관심기·고조기·확산기 등 네 시기로 구분하였다. 둘째로는 독도교육이 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 교과서 및 교육정책, 교육 동향, 영토교육, 독도활용교육으로 폭넓게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 외에도 일본과 중국, 북한, 미국 그리고 한·일, 한·중, 남·북 등 국가별·국가관계별 등으로 다양한 관점이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 독도교육 과제의 첫째로는 독도교육은 영토교육에 초점을 맞춰 재정비되어야 하고 영토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독도교육 연구자들의 연구교류를 위한 학술대회의 개최 및 연구기관 협의회 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영토교육은 장기적 관점에서 이뤄져야 하는 만큼 그 과제 역시 구체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한 지속가능한 전문기관의 설립을 통해 한·일간 역사 인식의 변화까지 이끌어 냄으로써 국제 평화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okdo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 wide range of fields, including history, geography, and society, despite its short history of over 20 years.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research so far and to check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ccordingly, the research trends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and the tasks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129 research papers related to Dokdo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beginning, the interest, the climax, and the sprea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okdo education was widely conducted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textbooks and educational policies, educational trends, territorial education, and Dokdo utilization education. Especially, in terms of research history, it is not insignificant that various perspectives have been presented on a country-by-country and country-relationship basis, such as Japan, China,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Korea-Japan, Korea-China, and North-South. third, Dokdo education should be reorganized with a focus on territorial education,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foster territorial education experts. fourth, it is necessary to hold academic conferences and research institutions for the exchange of research among Dokdo education researchers. As territori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tasks should also be specific. I hope that by establishing a sustainable professional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we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international peace by leading changes i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한일관계에서 영토교육의 현재적 의미: 경상북도(慶尙北道)와 시마네현(島根県)의 독도교육을 중심으로

        박창건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4

        This study illuminates the current meaning of territorial education in the Korea-Japan relations. The focus of the debate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territor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Especially the cases of Dokdo education between Gyeongsangbuk-do and Shimane prefecture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and it also is to grasp the situation accurately. Dokdo education of Gyeongsangbuk-do, gone through time and space, is systematic, sustained and focused on raising awareness. While Dokdo education of Shimane prefecture, focused on life history, is aggressive and meticulous, and it is going on in one's own country through a mid-to long-term territory return strategy. If territorial issues associated with Dokdo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is conducted in a national-centered context, the gap between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will widen and be very difficult to narrow the gap. Moreover, these fall into a serious dilemma whether it is desirable to do Dokdo education in one's own country in transition from current state sanctions that emphasize exclusive and exclusive sovereignty in Northeast Asia to horizontal and multi-level in community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provides th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by working on the theory of territory education based on the correct historical perception of Northeast Asia and the universality of regional community citizenship. Doing so, the existing territorial education adopted an exclusive national approach in Dokdo issues will b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regional community timely democracy at the level of Northeast Asia, this paper is trying to seek a solution about a desirable Dokdo education 본 연구는 한일관계에서 영토교육이 어떠한 현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조명하는 것이다. 논쟁의 초점은 한국과 일본의 영토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특히 경상북도와 시마네 현의 독도교육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그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경상북도의 독도교육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의식고취에 중점을 두고, 시공간을 초월해서 진행되고 있는 반면, 시네마현의 독도교육은 공격적이고 치밀하며, 생활사에 초점을 맞추고, 중-장기 적인 영토 반환전략 등을 통해 자국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일 양국이 영유권 문제와 연관된 독도교육을 자국 중심의 관점에서 실시하다 보면, 양국 국민의 인식 차이는 더욱 벌어져 그 격차를 좁혀 나가기 매우 힘들 것이다. 이는 동북아시아 국가 간의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주권을 강조하는 현재의 국가 체제가 수평적이고 다층적인 지역공동체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국 중심의 독도교육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원론적인 고민에 빠지게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의 올바른 역사적 인식과 지역공동체적 시민의식이 갖는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영토교육의 이론화 작업을 통해 독도교육의 방향성 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독도문제에서 배타적 민족주의 접근 방식을 채택했던 기존의 영토교육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동북아지역 차원의 지역공동체적 시민주의 관점에서 미래 지향적인 한일관계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독도교육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 KCI등재

        한,일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내용 분석

        이하나(Ha Na Lee),조철기(Chul Ki C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중등 지리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영토교육 내용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한 것으로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토교육 내용은 자국의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내부에서 외부로 바라보는 시각을 중시한다면, 일본의 경우 세계에서 일본을 바라보는 시각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영토교육 내용으로 영역 모식도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등학교 『사회』에 처음으로 등장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 중학교 『사회-지리적 분야』 에서도 이미 제시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경우 교육과정의 계속성과 계열성을 확보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일찍부터 영역의 의미를 정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영역 가운데 영해에 대한 학습을 특히 강조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영해를 표시한 지도를 제시하고 있다면, 일본의 경우 배타적 경제수역을 제시한 지도를 대부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일본이 영해의 수준을 넘어 이보다 훨씬 더 넓은 면적인 배타적 경제수역까지 확대하여 영역의 의미를 재정립하고자 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4극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4극의 위치와 경위도를 확인하는 선에서 그친다면, 일본은 4극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와 사진을 제시하면서 4극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나아가 4극의 중요성을 호안공사와 연결시켜 일본이 그들의 영역(특히 배타적 경제수역)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강조하고 있다. 다섯째, 영역에 대한 학습 후 영토문제를 다루고 있다. 실효적인 지배를 하고 있는 독도에 대한 우리 나라의 입장보다 실효적인 지배를 하고 있지 않은 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의 입장이 더욱 단호하면서도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지리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영토교육의 내용은 형식적인 틀에서는 매우 유사하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영토교육은 영토문제가 발생했을 때 임시방편으로 실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속에서 계열성과 계속성을 확보하여 적극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될 때, 영토교육은 영토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와 더불어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영토의식교육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erritorial education described in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The following is the result that show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geography textbooks when it comes to territorial education. Korea and Japan have a contrasting territorial background. However, both countries start their territorial education by learning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ir country.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focus on what people in the world think of Japan, but in case of Korea, the geography textbooks focus on how Koreans look at the world. In short, the territorial education in Japan try to emphasize Japan from the view point of the world. The next common ground is that the two countries provide territorial models in their geography textbooks in order to increase understanding. However, the Japanese students are provided with these territory models much earlier than Korean students and these models help them visualize and solidify their concept of territory. And, the two countries both put great importance on teaching territorial sea. In Japan, they try to include EEZ(Exclusive Economic Zone) in their territory. Considering these facts, it can be concluded that Japan is enlarging their concept of national territory as maritime territory. Lastly, after learning of territory the two countries both treat on territorial problems. But Korea treats passively territorial problem as such Dokdo, but Japan treats actively their territorial problems. Like that, the contents of territorial education described in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re similar in terms of selection, but differ in quality in terms of organization. Therefore, future territorial education in Korea will be actively and successively done through succession and sequence of geography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