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스포츠 종목별 이미지 속성에 따른 포지셔닝 전략

        전익기 ( Ik Ki Jeon ),양걸 ( Yang Girl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9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해양스포츠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속성들에 의해 소비자에게 어떤 해양스포츠의 종목이 동질적으로 인식되고 있는지를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해양스포츠 종목간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해양스포츠가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이미지를 정확하게 소구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서 해양스포츠 종목별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조사대상은 새로운 소비집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대학생 집단 중 연구자의 편의에 따라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K대학과 S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300명을 선정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6부를 제외한 294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해양 스포츠의 종목은 비교적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해양 스포츠를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해양 스포츠의 종목은 윈드서핑, 스킨스쿠버, 해양레프팅, 수상스키, 바나나보트, 요트이다. 또한 해양 스포츠에 대한 이미지 속성은 각종 리서치 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케팅 스코어링의 변수를 사용하였고 변인의 신뢰도 계수는 α=.932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응답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유사성 거리에 기초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포지셔닝 맵을 도출하였다. 분석방법은 MDS의 방법 중 PROXCAL분석기법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003으로 나타나 본 자료는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 연구자가 선정한 6개의 해양스포츠종목은 일정한 유사성 거리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계수를 통한 속성벡터에 의한 속성선을 통해 수상스키는 강하고 젊은 이미지, 스킨스쿠버는 대중적이고 인기있는 이미지, 해양레프팅은 친근하고 가족적인 이미지, 바나나보트는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이미지, 요트는 고급스럽고 여유로운 이미지, 윈드서핑은 멋있고 세련된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해양 스포츠의 종목별 이미지 속성에 따라 새롭게 변화하는 해양 스포츠 소비자의 욕구에 대응하는 차별적 마케팅 시장의 세분화 전략을 수립하고 목표고객의 선정과 평가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the consumers evaluate marine sports by the properties that constitute their image and which items are recognized identically through identifying their position among marine sports by their image propertie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This attempt will help with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of companies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s and differentiation by identifying if the marine sports are equipped with their own differentiated image to the consumers. The survey samples were selected with convenience sampling among college students K univ. and S univ in Gyeong-gi, who are gaining much attention as a new consumer group. Total 300 students were surveyed and among them, 294 surveys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is study. The survey tool used was a questionnaire, and the marine sports were selected after discussion with experts to find the water sports, wind surfing, scuba skin, marine rafting, water-skiing, banana boat, the yacht who have relatively high awareness from the consumers. The Image Properties for marine sports, various research organizations commonly used in the marketing and use a variable of scoring shown to be α = .932.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imilarity distance recognized by the repliers, and the positioning map was drawn for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method of analysis, PROXCAL analysis technique was used among the methods in MDS. Using the value of the property vector found in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water-skiing is strong and young images, skin-scuba is popular and public images, marine rafting is family and friendly images, banana boat is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images, yacht is elegant and comfortable images, wind surfing is beautiful and stylish images. Therefore, the marine sports in this research, the new changes to the property of the great image that corresponds to the needs of consumers and discriminatory marine sports marketing strategy and target market segmentation of the customer`s selection and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딥러닝을 통한 이미지의 인식론 - 창발성의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김성호 한국영상학회 2019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7 No.4

        이 연구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통한 이미지의 존재론과 창발성’이라는 본인의 선행 연구를 잇는다. 이전 연구에서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통해 생산한 이미지’와 ‘예술 작품의 이미지’를 ‘이미지 생산 주 체’의 문제와 ‘생산된 이미지의 존재론’의 관점에서 비교, 연구했다. 전자가 현재까지는 예술이 아니지만, 예술이 될 가능성을, 양자가 공유하는 ‘예측 블가능성’을 키워드로 삼아, 이미지 존재론의 관점에서 제시 했다. ‘예측 불가능성’이 ‘인식론적 창발성’의 주요 특징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미지 존재론에 관한 선행 연구를 인식론의 관점으로 확장하는 창발성의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기 위해 다음처럼 논문 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2장에서는 ‘인식론의 이미지 인식’을 인식 주체인 인간과 대상인 이미지 사이에 상호 작용하는 입장으로 전개된 것으로 고찰한다. 3장에서는 ‘인지과학의 이미지 인식’을 ‘이미지 인지’ 의 차원에서 실행함으로써 인간 지능에 기능해 온 것으로 살펴본다. 4장에서는 ‘딥러닝의 이미지 인식’을 인공지능이 비지도학습이라는 자가 감독 학습을 실행함으로써 이미지의 외피적 판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이미지가 내포한 의미론까지 파악하는 것으로 살펴본다. 마지막 6장에서는 ‘딥러닝을 통한 시각예 술의 이미지 인식’을 딥러닝을 실험하는 3인(팀)의 미술가들(하름 판 덴 도르펠, 레이체 아라, 포렌식 아 키텍처)이 발표한 실제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살펴본다. 본 연구는 최근 인공지능이 생산하는 이미지에 대한 미적 경험과 의미 나아가 예술적 해석의 관계를 탐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connects with my previous research, 'Image Ontology and Emergence Properties through AI and Big Data'. In that work, I compared an 'image produc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ith an 'image of visual artwork' from the viewpoint of 'subject of image production' and the 'ontology of the produced image'. Although the former is not considered art thus far, the possibility of it becoming art is presented from the viewpoint of image ontology using the keyword 'unpredictability', which exists on both sides. 'Unpredictability' is a key feature of 'epistemic emergence'.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to study the visual communication of Emergent Properties that extend earlier work on image ontology to the perspective of epistemology. Specifically, in Chapter 2 we consider that the 'image recognition of epistemology' has developed into a position of interaction between humans as subjects of recognition and images as objects of recognition. In Chapter 3, we examine how the 'image recognition of cognitive science' has functioned in human intelligence through the concept of 'image cognition'. In Chapter 4, 'image recognition in early machine learning' is examined by considering images that are grasped by supervised learning. In Chapter 5, we examine 'image recognition of deep learning' as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s self-supervised learning through unsupervised learning to understand the semantics implied by an image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external classifications of images. In the last chapter, chapter 6,"Realization of Visual Art through Deep Learning," an actual work of three artists (team members) who are experimenting with deep running (Ham vanden Dorpel, Rachel Ara, and Forensic Architecture), is analyze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lor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aning and artistic interpretation.

      • KCI등재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통한 이미지의 존재론과 창발성

        김성호 한국영상학회 2018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6 No.4

        본 연구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통한 이미지의 존재론과 창발성‘에 대해서 연구한다. 2장에서는 ‘빅데이터와 이미지 존재론’에서는 ‘일상의 이미지와 인공지능의 미술 모방의 이미지’를 통해서 ‘이미지의 존재론’을 살펴보고,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리좀적 네트워킹과 복수성’의 관점에서 ‘빅데이터의 존재론’을 비교, 연구한다. 3장, ‘딥러닝 연산에 의한 이미지 존재론’에서는 ‘딥러닝을 통한 다양성/가변성’ 연구와 더불어 ‘창의성과 창발성’ 연구를 통해서 ‘딥러닝 연산에 의한 이미지 존재론’을 비교, 연구한다. 최근의 인공지능의 딥러닝이 추론을 통해서 ‘최선’ 혹은 ‘즉각적 보상’이 아닌 ‘차선’ 혹은 ‘장기적 의미의 보상’을 도모하는 이유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다양성/가변성’의 개념과 더불어 미술의 창의성의 개념을 연동하여 살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독창성-창의성-창발성으로 전개되는 미술 작품 혹은 예술적 이미지에 담긴 ‘창의성’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오늘날 ‘보편적 창의성’, ‘재편되는 창의성’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는 상황을 설명한다. 특히 딥러닝이 만드는 이미지들과 최근 구글의 딥드림이 만든 실제 이미지들에서 어떻게 창발성이 구현되는지를 분석한다. 덧붙여 빅데이터를 재료로 삼고 예측과 예측 불가능성 사이에서 창발성을 실천하고 있는 현대 미술가 손여울의 기술공학적 작품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이미지의 존재론과 창발성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image ontology and emergent propertie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 Chapter 2, 'big data and image ontology' and 'image ontology' are examined through the 'image of everyday images and art imit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rom the 'viewpoint of a cloud computing system'. We compare and study the 'ontology of big data'. In Chapter 3, 'image ontology by ‘deep learning operation' and a 'study of diversity / variability through ’deep learning' is studied and 'image ontology by ‘deep learning operations' is studied through 'creativity and emergent properties' research. Recent deep learn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explores the reasons for 'lane' or 'long-term compensation' rather than 'best' or 'immediate compensation' through inference.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of 'diversity/vari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f big data and the concept of the creativity of art. In the last chapter, we examine the history of 'creativity' in an artwork or artistic image that develops into 'originality - creativity - emergent properties', and explains the situation that is understood as 'universal creativity' and 'reorganized creativity' today. In particular, we analyze how images are created by 'deep learning' and how realism is realized in actual images created by Google's 'deep dream'. In addition, we study specifically the ontology and inventiveness of images through a case study of technological engineering works by the contemporary artist Son Yeo-Ul, who uses big data as a material and expresses the emergence between prediction and unpredictability.

      • KCI등재

        프랑스법에서의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논의의 전개

        박수곤(Park, Soo-Gon),김태희(Kim, Tai-Hee) 한국비교사법학회 2016 比較私法 Vol.23 No.2

        프랑스법에서는 마국식의 퍼블라시티권과 관련하여 이를 소위 ‘이미지권’ 내지 ‘이미지에 대한 권리’라는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그리고 ‘이마지권’ (droit à 1’1뼈ge) 을 “자신의 외관이 표현되는 것을 통제할 수 있는 권리”로 개념 정의한다. 이 때 개인의 이마지를 허락 없이 유용하는 것은 그 개인의 사생활의 내밀성과 존엄성을 해치는 행위가 될 수 있다고 보아 오늘날 프랑스 법원은 표현의 지유 또는 정보제공의 자유가 얀정된다고 하더라도, 타얀의 동의를 얻지 않고 이루어지는 이미지의 순수한 상엽적 이용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이 경우 이마지의 활용이 이마지로 대표되는 그 사람에게만 유보될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과 함께 이미지의 활용에 의해 재산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 이 제기된다. 한편, 오늘날에는 이마지의 무단활용에 관한 논의가 권리주체의 정신적 이익 침해에 대한 측면을 념어, 재산적 이익에 대한 침해를 발생시킨 경우로 확장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랑스법에서는 ‘이미지권’ 또는 ‘이미지에 대한 권리’를 인격권의 하부개념으로서 지위부여 하고 있다. 즉, 이마지권은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권리가 아니라 사생활의 평온이나 인간의 존엄 성에 대한 침해의 다ÒJ한 유형 중 하나를 지칭하기 위해 구상된 개념으로 이해될 뿐이리는 것이다. 다만‘ 이마지권에 대한 침해로 얀하여 권리주체의 재산적 이익에도 영향을 마치는 결과가 발생함에 따라 얀격적 표지로서 이마지에 대한 권리의 법적 성질과 이마지에 대한 권리의 재산권적 성질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게 되였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이마지의 재산권적 활용가능성 및 무단활용시의 피해구제와 관련한 프랑스법에서의 해결방안을 학설과 판례의 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프랑스법에서의 이미지에 대한 권리와 그에 대한 보호방안을 전반적으로 조망하였다. 결론적으로는 프랑스법에서도 이미지권이라논 독자적인 권리개념은 얀정되고 있지 않음을 말 수 있으며, 인격 권의 보호라는 틀에서 이미지권의 개념을 인정하는 정도에 불과하다고 이해할 수 있다. 다만, 프랑스 법원은 이마지에 대한 권리의 보호에 있어서 그 법적 근거로는 프랑스민볍 저1]9조를 들고 있으며, 이마지에 대한 재산권적인 요소를 인정하는 경향과 함께 사람을 표상하는 이미지에도 재산권적얀 요소가 ‘부착’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주의할 점은 이러한 사정이 이마지의 공표와 관련하여 그에 대한 재산권의 인정을 의마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마국식 퍼블라시티권이 얀격권으로서 프라이버시권에서 분화되어 독자적인 권리로 얀정받는 과정을 거쳐 온 것과 같이 현재의 프랑스법상 이마지에 대한 권리가 얀격권에서 분화되는 과정에 있는 것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 다만 실무상 처l 결되는 ‘이마지 활용계 약’의 기법을 통해 이미지에 대한 권리를 다루는 데에 무리가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아 프랑스법상의 논의는 얀격권의 확장이라는 틀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French Law, an American styled publicity rights is being discussed in correlation to ‘image rights’ α ‘rights on image’, And ‘image rights (droit à 1’image) is defined as “a right to control how one’s appearance is expressed" A misappropriate one’s image without permission can be an act that harm one’s privacy and dignity, hence, today, French court deem one’s image is not permitted to cαnmercial usage without consent from its subject, a1though freedom of expression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is recogmzed. Thus, there are questions about what are the explanation on an image being reserved solely for its subjects on its usage and how property can be profited from its usage. On the other hand, today's discussion on unauthorized use of image is reaching beyond infringement of its subjecfs spiritual benefit to property benefit. In relation, French Law placed ‘image rights’ or ‘rights on image’ under personal rights in its hierarchy. Which means, image rights, not as independent rights, is understood as a concept devised to refer to one of many infringement categories on one’s pnvacy and dignity. However, as an infringement affects one's property benefit as a result, it constitute persona1 rights, a discussion on legal and property aspects of rights on image followed. This paper focus on attitude of theory and precedent to analyze a solution in French Law relate to remedy against unauthorized use of image and possible uge as property rights. The ana1ysis highlighted overa11 on rights on image in French Law and plan to protect its rights. In conc1usion it can be understo as image rights is no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rights, but rather recognized as a mere concept under the name of protecting personal rights. Provided that French court files artic1e 9 in civil law as the legal basis in terms of protecting rights on image, which means, it inc1ines to recognize property rights aspect on image and property rights element adhered on image representing a person, Nevertheless, publication of image does not recognize his/her property rights on its image, Its is not certain that rights on image in French Law is in process of dividing itself from personal rights as it did in an American styled publicity rights as its own personal rights, where publicity rights was separated from privacy rights to be recognized as independently recognized rights, On condition that working-level ‘lmage usage contract' technique is reasonable at dealing with rights on image, therefore, it is sufficient to understand that discussion regarding, French Law on rights on image is in matter of expansion of personality rights.

      • KCI등재

        한류드라마의 특성이 MICE 목적지 이미지 속성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자동,김영선,김봉석 한국무역전시학회 2023 무역전시연구 Vol.18 No.1

        Popular culture such as TV dramas, movies, and music in Korea is in the spotlight even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beyond Asia and the Middle East. The Korean Wave, which is so enthusiastic around the world, is raising the value of Korea's national brand and bringing about positive economic effects. Cognitive image is an evaluation of the functional elements of tourism itself, and all stimuli from the object mean the knowledge, beliefs, attitudes, etc. of the individual, and emotional tourism image refers to subjective thoughts, feelings, and attachment. In addition, tourism images are divided into cognitive images that mean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that an individual has, and emotional images that focus on individual emotions that speak subjective thoughts, feelings, and attachments. This study attempts a different approach from other MICE-related studies so far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dramas a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ttributes of MICE destination images. The MICE industry has entered a new phase through various changes, and research on MICE and destin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 practical perspective.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general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watching Korean Wave dramas onlin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08 effective samples among questionnaires collected online in April and May 2021. As a result of analyzing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SPSS and Smart PLS 3.0 statistical programs, the characteristics of Hallyu dramas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subject characteristics,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actor characteristics, and MICE visit image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two factor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dramas, subject characteristics,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actor characteristics all affect cognitive properti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ubject characteristics and actor characteristics influenced emoti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attributes, which are attributes of MICE visit im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sit intent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exhibition participants provide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s to grasp the psychology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ave dramas, and accordingly, understanding the MICE visit the image of college students will have a certain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visit. This study attempts a different approach from other MICE-related studies so far to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dramas a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attributes of MICE destination images. The MICE industry has entered a new phase through various changes, and research on MICE and destin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 practical perspective 한국의 TV 드라마, 영화, 음악 등 대중문화는 아시아와 중동을 넘어 미국과 유럽에서까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렇게 전 세계를 열광시키고 있는 한류는 한국의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긍정적인 경제 효과를 가져 오고 있다. 인지적 이미지는 관광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적 요소에 대한 평가이며, 대상으로부터의 모든 자극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신념, 태도 등을 의미하고, 정서적 관광 이미지는 주관적 생각이나 느낌, 애착도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감성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관광 이미지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신념, 태도 등을 의미하는 인지적 이미지와 주관적 생각이나 느낌, 애착도를 말하는 개인의 감성을 중심으로 하는 정서적 이미지로 구분하고 있다(민혜성, 2017). 본 연구는 그동안 진행된 MICE 관련 타 연구와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여 드라마의 특성과 MICE 목적지 이미지 인지적, 정서적 속성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MICE 산업은 다양한 변화를 통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고, MICE와 목적지에 대한 연구는 실무적 관점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중국에서 거주 중이고 한류 드라마를 본 경험이 있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1년 4월과 5월에 온라인으로 수집된 설문지 중 유효 표본 208부를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와 Smart PLS 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한류드라마의 특성 중 주제 특성의 드라마 이야기, 제작 특성의 드라마 세련된 영상, 배우 특성의 배우 연기력, 총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MICE 목적지 이미지 속성은 인지적 속성, 정서적 속성 2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가설검증 결과 한류드라마의 특성 중 주제 특성, 제작 특성, 배우 특성모두 인지적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제 특성, 배우 특성은 정서적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 특성은 정서적 속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ICE 목적지 이미지 속성인 인지적 속성, 정서적 속성 모두는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전시회 참가업체들은 한류드라마의 특성을 통해서 대학생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대학생의 MICE 목적지 이미지를 파악하게 되면 한국 방문의도에 대한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분석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진행된 MICE 관련 타 연구와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여 드라마의 특성과 MICE 목적지 이미지 인지적, 정서적 속성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MICE 산업은 다양한 변화를 통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고, MICE와 목적지에 대한 연구는 실무적 관점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KCI등재

        소주광고 포스터에 나타난 이미지연구 -20~30대 남성소비자를 중심으로-

        마란,김희현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problems with images shown in soju advertisements. In particular, when looking at the poster of advertisements for soju among alcoholic beverages, most of them are female models to target male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 analysis of the female image shown in the soju advertisement posters and to identify problems in images through surveys of male consumers, the main consumers of soju, and to explore effective soju advertising dire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dentified ‘uniformity of advertisement image type’ and ‘The female image is unified’ which are the problems of soju advertisement image. And 48 percent of male consumers think negative about this situation. In addition, by using excessive pop sta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l and the product is less, which leads to a problem of low advertising reliability.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the ethical and moral correct development of advertising targeting male consumers as well as mainstream advertising. 본 연구는 소주광고에 나타난 이미지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주류광고 중 소주광고 포스터를 살펴보면 대부분 여성모델을 이용하여 남성소비자를 주 타깃 층으로 하고 있는 특징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주광고 포스터에 나타난 여성이미지에 대한 사례분석을 살펴보고 소주의 주소비자인 남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미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소주광고의 발전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소주광고 이미지에 대한 분석결과, 국내 소주광고 이미지의 문제점은 ‘광고이미지 유형의 획일화’와 ‘여성이미지의 상품화’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48%의 남성 소비자들이 이러한 현황에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과도한 대중스타를 이용하여, 모델과 제품의 관계성이 적고, 이로 인해 광고신뢰도가 낮다는 문제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주류광고뿐만 아니라 남성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광고의 윤리적, 도덕적인 발전방향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 KCI등재

        콘트라스트 배색 스트라이프 의복이미지의 조형성 연구

        문주영(Ju Young Moon),정수진(Su Jin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스트라이프 의복착용자의 이미지 차원과 이미지에 따른 조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트라이프 문양의 방향(수평, 수직), 폭(1.6, 4.0, 6.4, 10), 의복스타일(캐주얼, 포멀), 콘트라스트 배색(색상, 명도, 채도) 및 톤 조합을 단서로 하여 조합한 432개 자극물과 평가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피험자는 서울, 부산, 경남에 거주하는 여대생 2,7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라이프 문양의 방향, 폭, 의복스타일, 콘트라스트 배색 및 톤 조합에 따른 의복착용자의 이미지 차원을 분석한 결과 매력성, 활동성, 품위성, 현시성, 온유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라이프 의복의 조형요소는 차이가 나타났다. 매력적인 이미지는 수평문양을, 활동성 이미지는 자켓/스커트 스타일에 노랑/남색의 채도차이가 큰 콘트라스트 배색조합을, 품위 있는 이미지는 포멀 스타일을, 현시적인 이미지는 수직문양의 포멀스타일 그리고 빨강/청록 배색 및 상대적으로 채도가 높은 명도콘트라스트와 명도가 낮은 채도콘트라스트 배색조합을, 온유한 이미지는 수평문양과 채도 콘트라스트 배색조합일 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디자인 조형요소의 변화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 연출이 가능하므로 스트라이프 의복디자인 개발 또는 이미지 연출 시 각 이미지 표현에 효과적인 단서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age and the formative property of stripe clothes wearer`s. Sets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7 point semantic) were used as experimental materials. The stimuli were 432 color pictures manipulated with the combination of direction of pattern(horizontal, vertical), width of pattern(1.6, 4.0, 6.4, 10), clothing style(casual, formal), contrast coloration(hue, value, chroma) and tone combination using computer simulation. The subjects were 2,746 female undergraduates living in Seoul, Busan and Gyeongsangnam-do. Image factor of the stimulus was composed of 5 different components, attractiveness, activity, gracefulness, visibility and tenderness. The stripe clothing wearer`s image was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formative elements In each image factor category, the most effective formative elements were shown to be horizontal pattern in the attractiveness image, jacket/skirt style with Y/PB chroma contrast coloration of big difference in the activity image, formal style in the gracefulness image, vertical pattern with formal style, R/BG coloration, value contrast coloration of high chroma and chroma contrast coloration of low value in the visibility image, horizontal pattern and chroma contrast coloration in the tenderness image. Because, by the variation of formative elemen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ages for stripe clothing wearers can express the diverse image. Thus, the analysis data on the combination of formative elements can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ripe clothes design and clothing coordination.

      • A fast image-stitching algorithm for characterization of cracks in large-scale structures

        Linlin Wang,Billie F. Spencer Jr,Junjie Li,Pan Hu 국제구조공학회 2021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An International Jou Vol.27 No.4

        Visual inspection of concrete cracks has been widely used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 Capturing highresolution images is an effective method to visualize a complete crack, but it is difficult to show a whole crack from a single high-resolution image. One feasible method is using image stitching technique to stitch several images into a complete crack map. However, the current image stitching method is a computationally intensive process. Numerous images are required to cover large-scale structures with sufficient resolution, this can be computationally prohibitive. To address this problem, an improved image stitching method for crack damage evaluation is proposed, which can quickly stitch the crack images without affecting the quality of the stitching or the resulting images. Rather than first stitching the images together and then determining the crack maps, we propose to first develop the crack maps for the individual images and then stitch them together.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number of redundant matching points between the original images by combining their characteristics during image stitching, so it can reduce the calculation time without affecting the quality. Also, the results will not be influenced by the image stitching seam, which can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algorithm.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are provided in this article to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calculation time without affecting the quality of image stitching and have better robustness than the current method in use.

      • KCI등재후보

        옷차림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특성 연구 : 성인여성의 외출복을 중심으로 Focused on Adult Women's Town Wear

        이은령,이경희 한국의류산업학회 2004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properties affecting in evaluated image by adult women's town wear in un-limited circumstance. The stimulus, adult women's town wear, were collected from shopping mall, department stores and churches and evaluated by 20's 150 people. Through the estimations, the 76 pictures of `good image' and 65 pictures of `had image',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classification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Good Image' is classified 6 groups which are like active casual, feminine casual, adult casual, modern, sporty casual, and elegance. 2) 'Bad Image' is classified 5 groups which are like easy casual, active casual, soft casual, modern casual, and feminine casual. 3) Central code of adult women's town wear from 'Good Image' are simple, bright, and harmony and 'Bad Image' are complicate, heavy, and inharmony. The coordination, how to wear,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image of women's town wear with other properties. Also, body shape appeared by important variable in evaluation.

      • 국가이미지가 관광지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창남(Lee, Chang Nam),오영환(Oh, Yong Hwan),김현주(Kim Hyun Joo) 국제관광산업학회 2012 국제관광산업연구 Vol.5 No.1

        The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assumption that the country image may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tourists shows some deviations. The finding indicated that cognitive and emotional image such as country image showed a substantial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such parameters as Korea visit frequency, companions, data sources. But the duration of stay showed no manageable statistical difference, which indicated no influence upon country image. Second, the assumption that perceived country image may affect tourist place selection attributes such as transportation, accommodation, Food & Beverage, shopping, accessibility proved to be true. Third, the assumption that tourists features of chinese tourist may differ in terms of tourist place selection attributes resulted in the finding that shows the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such attributes as Korea visit frequency, companions, data sources. Through the research, we proved that Korea tourist place selection attributes targeting at Chinese Tourists showed difference in the selection for the tourist place in accordance with tourist characteristics. The paper utilizes the factors elicited from preceding research, which therefore requires further study on other indicators to verify Chinese tourist characteristics. The samples surveyed targeted at Chinese visiting Korea. Further study, however, shall narrow down targeted samples with the focus on specific purpose of tour in the future, which can lead to a study on digging into tourist motivational features and tourist place selection Attribut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the tr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