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일탈태도에 미치는 영향

        임현정,유영재 한국경찰학회 2020 한국경찰학회보 Vol.22 No.4

        The police is a profession that requires high morality. Also, it is a criminal justice institution that protects the people based on fairness and reliability. However, despite the effort of police organization’s attempts and changes for integrity, the crime rate of police officer is increasing every year. Also, the reliability of public on police is decreasing every yea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leads to police deviance behavior using job stress to help the policy of police deviance control system. In this study, attitude on bribery and acceptable attitude on illegal behavior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s and job stress as independent variables by reviewing the relevant precedent studies. Also,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survey of 300 police officers located in two police station in Seou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olice’s job stress and police deviance. In other words, police’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ttitude on bribery and acceptable attitude on illegal behavior. This means that when the police officer suffers from job stress, the attitude on bribery and acceptable attitude on illegal behavior also increased. Therefore, this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police’s job stress from organization has possibility of increasing the police deviance. To, control the police deviance, police organization needs to make effort to reduce the police officer’s job stress by decreasing the stress factors related their job. Also, employing professional counselor will be one of the method to relieve the police officer’s job stress which leads the police deviance. 경찰은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직업이며, 공정함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국민을 보호하는 형사사법 기관이다. 그러나 청렴도를 위한 경찰조직의 시도와 변화에도 불구하고 경찰의 범죄율은 매해 늘고 있으며 경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는 매년 낮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일탈행위에 대한 적절한 통제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찰의 일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불법행위에 대한 태도 및 뇌물수수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서울 지역에 위치한 경찰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불법행위에 대한 태도 및 뇌물수수태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일탈적 태도에 대하여 관대해지므로 일탈의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일탈태도를 통제하기 위한 조직적 대체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재창(Yoo Jae Cha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4 경찰학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job stress of the police on the job attitude comparing security police and auxiliary police. Despite big differences among police divisions, existing studies on the police job stress have neglected those differ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take those division differences into account and confine the scope of the study to specific division. In addition, this study deals with auxiliary police in police job stress study as they are very important to deal with increasing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job stress of the police on the job attitude,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ecurity police and auxiliary police in the first riot squad of Seoul police agenc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job stress of security police and auxiliary police on the job attitude is different with that of general polic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security police and auxiliary police have different level of job stress and job attitude. The auxiliary police showed lower level of role excess stress and higher level of role ambiguity stress than those of security police. Meanwhile, the security police showed lower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ose of auxiliary police.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job stress of auxiliary police on the job attitude is different with that of security police. In the case of the security police, role excess stress, role conflict stress, and role ambiguity stress had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by ord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police, role conflict stress, role ambiguity stress, and role excess stress had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by order.

      • KCI등재

        여가생활 및 가정생홀 만족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Yung Hyun Yu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1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찰과 일반경찰공무원들의 여가생활과 가정생활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실증적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경우 여가생활 불만 족이, 일반경찰공무원의 경우 가정생활 불만족 등이 스트레스를 심화 시키고 있다. 둘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해양경찰의 경우 미래에 대한 걱정이 큰 반면, 일반경찰의 경우 우울증과 스트레스가 작용되어 직무만족에 부(-) 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대체적으로 여가활동을 제외한 가족생활 주거만족, 여가시간 등에 대해서는 일반경 찰에 비해 해양경찰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며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해양경찰이 일반경찰에 비해 긍정 적이었다. 향후 해양경찰의 경우에는 여가활동 만족도를 일반경찰의 경우에는 가정생활 만족도를 고양시키는 스 트레스 감소전략을 마련하여 직무만족도를 제고시 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arine and general police officers’ leisure and family life’s effect 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empirical investigation detail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marine police, the dissatisfaction of leisure life, and in the case of general police officers, the dissatisfaction of family life and etc. are intensifying stress. Second, concern for the future is most significant in the sub-factor of stress for marine police, while in the case of general police officers, depression and stress are appli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marine police’s satisfaction of family life, residence, leisure time and etc.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general police. The marine police was also more positive in the recognition of job satisfaction than general police. In the future,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for the marine police, family life satisfaction for the general police, and a stress reduction strategy for the marine police should be arranged to enhance work satisfaction. Key words: stress, job satisfaction, leisure, family, police

      • KCI등재

        일부 농어촌 지역 경찰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

        구인영 ( Ku In-young ),가경환 ( Ka Kyung-hwan ),김은희 ( Kim Eun-hee ),문선정 ( Moon Seon-jeong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3

        경찰공무원은 업무 특성상 스트레스, 분노, 불안 등의 정신적·감정적 상태를 동반하는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고, 직무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기능에 크고 작은 변화뿐만 아니라 중요한 전신건강 영역인 구강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일부 농어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경찰서에 근무하는 경찰공무원 53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찰공무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설명한 후 직접방문을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24부의 자료를 제외한 506부의 설문 결과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의 구성내용은 일반적 특성 7문항, 자가구강건강상태 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직무스트레스 도구는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에서 개발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 24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ANOVA, 카이제곱검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와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치아의 통증이 1.74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잇몸출혈은 1.80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취 증상은 2.798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턱소리 또는 통증은 3.56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지하는 자가구강건강상태는 좋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경찰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요인 및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함으로써 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치아통증, 잇몸출혈, 구취, 턱 통증을 포함한 자가구강건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여 향후 경찰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구강건강증진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 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고, 자가구강건강상태의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홍보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olice officers are often exposed to dangerous and unpredictable situations accompanied by mental and emotional states such as stress, anger, and anxiety due to their work characteristics. Their job stress can affect not only large and small changes in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functions, but also oral health, an important general health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of police officers and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veloping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is study, we surveyed 530 police officers who work in police stations in Kyungbuk area from June to July, 2016,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fter visiting the police officers, explaining the purpose, contents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5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24 questions which were not answered properl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7 general characteristic items and 5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items. The job stress inventory used was shortened 24 items measuring Korean job stress developed by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Stress.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finding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of the police officers were as follows. First, the 1.748 times higher the job stress, the more pain in the teeth appeared. Second, the 1.806 times higher the job stress increased, gum bleeding and the 2.798 times higher the job stress increased, bad breath symptoms appeared. Third, the 2.798 times higher the job stress, the more the jaw sound or pain was caused. Therefore,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worse the perceived oral health condition.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job stress and oral health promotion of police officers in the future, through identifying the factors for job stress and job stress level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police officers,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of them, and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job stress level of the police officers on their oral health status including dental pain, gum bleeding, bad breath, and chin pain. Based on the results, the government should devise measures to reduce the job stress of police officers, and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improving oral health conditions.

      • KCI등재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직무태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진형,김강일 한국경찰학회 2020 한국경찰학회보 Vol.22 No.2

        112경찰의 경우에는 주민들이 신고하는 신고가 접수되는 첫 관문이자 치안서비스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고 접수는 지역경찰과 함께 주민이 접수한 112 신고를 처리하는 최전방 전초기지라고 할 수 있다. 그간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른 직업과는 차별성을 가진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경찰관들도 각 역할에 따른 직무의 종류가 나뉘다 보니 특별하게 112경찰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는 않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112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112경찰의 직무만족과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112경찰의 직무 스트레스 중 역할 과다 요인이 직무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예상과 달리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역할갈등 요인과 역할 모호함 요인은 직무태도에 있어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는 역할 내에서의 갈등과 모호함이 112경찰이 맡은 담당업무를 처리하는데 있어 상당한 스트레스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112경찰의 직무 스트레스 중 역할과다요인과 역할모호함 요인이 직무만족 요인에 부(-)의 영향을 미칠것으로 가설설정단계에서 보았으나 실험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역할갈등요인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어 직무 스트레스 중 역할갈등 요인은 112경찰의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In the case of 112 police, it is the first gate to be reported by residents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urity service. Such reception can be said to be a front-line outpost handling 112 reports received by residents along with local police.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police officers who are different from other occupations have begun to study job stress, but police officers have also been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of roles, so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112 police offic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112 police officers' job stress affects 112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 The analysis found that the role over-factor during the 112 police's job stress was expect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job attitude, but the role conflict factor and role ambiguity factor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job attitude, which was adopted. This suggests that conflict and ambiguity within the role appear to be considerable stress in handling the duties undertaken by the 112 police. Next, it was seen in the hypothesis setting stage that the role and the role-compatibility factors during the 112 police's job stress w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job-satisfaction factors, bu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However, due to the significant result that role conflict factors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role conflict factors during job stress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112 police officers.

      • KCI등재

        일선 지역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상호,김동현 한국경찰연구학회 2017 한국경찰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일선 지역경찰관들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받게 되는 직무스트레스의 수준과 그에 따른 경찰관들의 우울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선 지구대에서 근무하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2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직무스트레스 척도, 우울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우울, 회복탄력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은 경찰관 일수록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을 전반적으로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대 경찰관의 회복탄력성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장 이상의 계급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순경의 회복탄력성이 타계급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우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가지는 반면, 회복탄력성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과 우울은 서로 부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이 높은 일선 지역경찰관들은 직무스트레스를 받아도 우울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the level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local police offic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428 local police officers using BDI, Job Stress Scale and KRQ-53. Analyses were done on SPSS 22.0 for Windows,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wo-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f mean difference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were that police officers were likely to experience high job stress and depression as they grew older and police officers in their 20s had higher resilience than other police officers in their 30s, 40s, 50s. In addition, police officers with high rank(above corporal) had higher job stress and depression. Police officers with constable rank had higher resilience than police officers with other rank.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resilience and depression in the police force turned out that i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lso, the lower factors of job stres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esilience and depression have shown to have negative related to each other.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not only between police officers' job stress and depression. The lower resilience,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more likely it is to be depressed, whereas police officers with resilience are less likely to suffer from work-related stress.

      • KCI등재후보

        경찰공무원 직무스트레스관리지원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변화 효과

        이창희(Lee, Jang Hee),김민화(Kim, Min Hwa)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3

        경찰공무원은 직무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돌발적인 위험한 상황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 및 관리에 대한 실천적인 조력방법의 필요성 또한 매우 크다.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관리지원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경기도 관내남성 경찰공무원 2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군과 비교집단군에 각각 14명씩 배정 한후 영화치료 프로그램 참여로 인한 스트레스 대처의 증진 효과를 사전·사후·추후로 나 누어 분석하였다 . 그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의 하위항목인 문제해결 , 조력추구 , 정서완화 , 문제회피 , 소망적 사고 모두에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 집단과 시점 간 상호작용분석과 추후분석 결과 또한 통제집단과 프로그램 참여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 따라서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지원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논의할 수 있었다. Police officers have been classified as one of the profession that receives the highest level of stress among many jobs. Compared to other professions they are more exposed to sudden and dangerous situations day-by-day with the experience of tension and stress. Recently police agenc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support for police officers’s stress coping and managing. Thus the studies of police officers’ stress are steadily increasing. However, the studies about program development for stress management and coping techniques are not sufficient ye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inematherapy program for supporting the job-stress management of police officer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28 police officer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14 of the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were provided the cinema-therapy program. The other 14 of them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and were not provided any program. All Participants conducted sequential 3 tests(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about the way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19.0.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of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of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such as ‘problem solving’ and seeking support’ were significantly high in post-test and follow-up test at 3 months later. On the other hand, their scores of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such as ‘emotional relief’, ‘problem avoidance’, ‘wishful thinking’ were significantly low in post-test and following test. Also,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test time(pre, post, follow-up). The effect of cinema-therapy was maintained 3 months later. Through the results, we would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cinematherapy for job related stress management of police officers.

      • KCI등재

        일선 경찰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정용선,윤주명 한국국정관리학회 2014 현대사회와 행정 Vol.24 No.3

        Police officers have been working under a lot of stress, such as tense working environment and recurring fatigue from night shif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job stress factors and the level of them, and to find whether stress coping strategies have an impact on the level of stress. The sample of this study is 383 officers from Chungnam Provincial Police Agency surveyed.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reveal that the job stress of the rank-and-file officer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heavy workload2, social relations2, structural problems, and local issues. Especially, factors that significantly have impact on job stress are salary and promotion related to structural matters, insufficient break time related to workload concerns, and, lastly, civilian resistance toward law enforcement and civilian distrust toward police officers related to local issues. The direct coping strategy such as taking advantage of past experience and seeking advice from co-workers and seniors is represented as one mostly used by the respondents, followed by emotional coping strategy such as meditation, yoga, and TV watching and by physical one such as workout, shopping, and vacation, etc. The destructive coping strategy such as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is found to be the least chosen on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coping strategies is found only in a destructive coping strategy. This strategy as mediating factors is diminishing the effects of stress factors on the level of job stress of the surveyed police offic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reduce the job stress of police officers, relieving heavy workload and salary and personnel system refinement are needed and that organizational measures are needed for establishment of police authority and image improvement. 경찰공무원들은 긴장된 근무환경, 반복되는 밤샘근무로 인한 피로 등 많은 스트레스 속에서 근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선 경찰관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수준은 어떠한지, 그리고 이들간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충남지역에 근무하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선 경찰관들의 직무 스트레스에는 역할갈등・역할 모호성・업무과부하・인간관계・조직구조적 문제・지역사회관계 요인 등 모든 요인이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활용빈도는 과거의 경험, 동료의 조언 등의 직접적 대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명상・요가 등의 정서적 대처, 운동・쇼핑 등의 물리적 대처 순으로 나타났고 음주・흡연 등 파괴적 대처는 활용빈도가 가장 낮았다. 분석의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파괴적 대처의 경우 스트레스 요인들이 경찰 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경찰의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가희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olice social support on stress and to seek systematic intervention measures and programs that can reduce stress. As a method of the study, the final 248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using direct questionnaires for 300 police officers from 31 police stations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462 district and security centers, and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8.0. The content of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police social support on stress. In conclusion and suggestion, police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whereas control variables such as gender, spouse, age,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years of work, rank, and unit of works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and institutional approach to reducing police stress.

      • KCI등재

        여가생활 및 가정생활 만족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과 일반경찰공무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유영현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1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찰과 일반경찰공무원들의 여가생활과 가정생활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실증적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경우 여가생활 불만족이, 일반경찰공무원의 경우 가정생활 불만족 등이 스트레스를 심화 시키고 있다. 둘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해양경찰의 경우 미래에 대한 걱정이 큰 반면, 일반경찰의 경우 우울증과 스트레스가 작용되어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대체적으로 여가활동을 제외한 가족생활 주거만족, 여가시간 등에 대해서는 일반경찰에 비해 해양경찰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며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해양경찰이 일반경찰에 비해 긍정적이었다. 향후 해양경찰의 경우에는 여가활동 만족도를 일반경찰의 경우에는 가정생활 만족도를 고양시키는 스트레스 감소전략을 마련하여 직무만족도를 제고시 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arine and general police officers’ leisure and family life’s effect 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empirical investigation detail i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marine police, the dissatisfaction of leisure life, and in the case of general police officers, the dissatisfaction of family life and etc. are intensifying stress. Second, concern for the future is most significant in the sub-factor of stress for marine police, while in the case of general police officers, depression and stress are appli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marine police’s satisfaction of family life, residence, leisure time and etc.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general police. The marine police was also more positive in the recognition of job satisfaction than general police. In the future,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for the marine police, family life satisfaction for the general police, and a stress reduction strategy for the marine police should be arranged to enhance work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