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김강일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8

        Separated by seas,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engaged actively in interaction too in the pre-modern period. As maritime accidents occurred simply because interaction was frequent, the three countries implemented assistance systems. Such systems in the East Asian region for the rescue of drifters did more than provide assistance to people involved in maritime accidents through humanitarian-like perspectives, they also were high-level diplomatic activities that were linked to the overlapping issues of domestic politics and state defense in each country. Chosŏn and China repatriated drifters through the traditional foreign relations established through the tribute system. When political conditions changed, such as during the transition from Ming China to Qing China, there were times when repatriation of Chinese drifters was not easy, but, overall, Chinese who landed in Chosŏn were repatriated receiving careful attention from the Chosŏn government. There were no regulations relating to repatriation, but Chosŏn bore the costs associated with repatriation. The route by which the Korean government returned the Chinese drifters proceeded from the site of landing to Hanyang, to Ŭiju, and then to Liaodong. An envoy specially appointed to lead the Chinese to Liaodong accompanied them, and he delivered the Chinese people to the Liaodong Regional Military Commissioner. The Chosŏn government also presented a written document that explained the circumstances. The Chinese government entrusted the Korean envoy with return gifts that expressed thanks for the repatriation of the drifters. In the case of Chosŏn and Japan, until the Imjin Waeran of 1592-1598, repatriation system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not constant, bu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following the Edo bakufu’s grasp of central power, a stable system for repatriating drifters gradually developed. Because the political conditions in the Chinese mainland had stabilized by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system for repatriating drifters between Chosŏn and Japan too came to be managed in a stable manner. Japanese who landed in Chosŏn were forwarded from the landing site to the Japan House in Pusan, and the Chosŏn government bore the associated costs. After the Japanese were sent from the Japan House to Nagasaki via Tsushima, the Japanese were questioned and then sent to their home community. In this way,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founding of the Qing government Korea, Japan,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managed repatriation systems within the traditional diplomatic order centered on China. Later, after the opening of ports, these countries introduced modern Western laws for assistance in maritime accidents and came to manage new systems for maritime assistance.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한ㆍ중ㆍ일 3국은 근대 이전에도 바다를 통하여 활발한 교류가 있었으며, 해양을 통한 교류가 잦은 만큼 해양사고 또한 자주 발생하였고, 일찍부터 해난구조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이와 같은 동아시아 지역의 표류민 구조제도는 단순히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해양사고를 당한 사람을 구조하는 차원이 아니었으며, 각국의 국내정치와 국방문제가 복합적으로 담겨 있는 고도의 외교행위였다. 조선과 중국은 책봉체제(冊封體制)에 입각한 전통적인 외교관계에 바탕을 두고 표류민을 송환하였다. 명청 교체기 등 정치적 상황이 바뀔 때는 중국 표류민의 송환이 원활하지 못할 때도 있었지만, 대체로 조선에 표류한 중국인은 조선 정부의 세심한 구호를 받으면서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송환과 관련하여 성문화된 규정은 없었으며, 송환비용은 모두 조선측이 부담하였다. 송환 루트는 표착지-한양-의주-요동이었으며, 특별히 선발된 사신이 표류민을 인솔하고 요동으로 가서 책임자(都司)에게 인계하였다. 인계할 때는 표착 경위를 적은 자문(咨文)을 함께 제출하였고, 표류민을 인수받은 중국측에서는 조선 사신을 통해서 답례품을 보내고 표류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했다. 임진왜란 이전에는 朝日 간의 표류민 송환체제가 불안정했으며, 임진왜란 이후 도쿠가와막부(德川幕府)가 중앙권력을 장악하면서부터 차츰 안정적인 표류민 구조체제가 구축되기 시작하였고, 17세기 말 중국 대륙의 정치 정세가 안정되면서부터 비로소 한일간의 표류민 송환체제도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다. 조선에 표류한 일본인은 조선측의 부담으로 표류지에서 부산의 왜관(倭館)으로 인계하였으며, 왜관(倭館)에서 대마도(對馬島)를 거쳐 나가사키(長崎)로 호송된 후 조사를 받고 귀향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처럼 明ㆍ淸 교체기를 전후 한 시기에 한국ㆍ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들은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국제질서 아래 해난구조 시스템을 운영했으며, 개항 이후에는 서양의 근대적인 해난구조법을 받아들여서 새로운 해난구조 시스템을 운영하게 되었다.

      • 中國朝鮮族社會 地位論

        金强一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2000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3 No.1

        중국조선족사회는 중국과 한반도를 연계하는 동북아지역의 중심지대에 처해있고 邊緣文化區域을 형성하였으며 따라서 文化轉換기능을 강하게 나타내므로 동북아지덕체 있어서 중요한 전학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문화적으로 중국조선족사회는 한반도 모체문화와 증국문화의 융합으로 이중성격을 띠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조선족사회의 우세이며 발잔의 특수한 조건이다. 이러한 문화적인 우세는 邊緣文化區域의 한 개 돌출한 특성으로 나타나는데 세계화를 꿈꾸고 동북아경계적인 불럭화를 지향하는 한국에는 물론 중국에 있어서도 중요한 전략적인 의미를 띠고 있다. 중국조선족사회가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우세를 이용하여 우리민족의 문화전략을 펴내는 것은 강대한 문화력을 형성하고 경제력을 확장하는 한반도 세계문화전략의 중요한 일환이므로 마땅히 우리들의 환심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그리고 중국조선족사회가 지니고 있는 문화전환기능은 한반도의 통일에 있어서도 적극적이고 중요한 요소이므로 중국조선족사회와 한반도의 관계를 재정립하여 통일의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The ethnic Korean society in China, often called 'Chosunjok', is based on the central area of Northeast Asia which links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It has built up the Byunyon Culture Prefecture. This prefecture shows strong features of cultural conversion and occupies an important strategic status in the region of Northeast Asia. The culture of ethnic Korean society in China maintains a duplicity with the merger of the parent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ongoing relations within the Chinese culture. This dual status offers conditions helping this unique society to have superiority and a strong developmental background. As one of its prominent characteristics, cultural superiority holds a strategic significance, both to China and Korea, that dreams of globalization and the economical blocking of Northeast Asia.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s world culture strategy which can assist in Korea's economic move forward by using the cultural superiority of Korean society in China. It is quite natural that we pay attention to this society and its cultural superiority. The function of cultural conversion, which the Korean society in China has, is an active and important factor i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 should build u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society i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and create more favorable circumstances toward the 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幕府 巡檢使報告書에 보이는 對馬人들의 조선 인식

        김강일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동국역사문화연구소 학술대회지 Vol.- No.추계

        순검사(巡檢使)는 에도시대(江戶時代) 때 전국 각지의 다이묘(大名)와 하타모토(旗 本)의 영지(領地)를 감찰하기 위하여 막부에서 파견한 감찰단을 말한다1). 에도막부는 근세 초기에는 巡檢使를 자주 파견했지만, 근세 중기 이후부터는 장군이 교체될 때 파견하는 정례행사로 정착했다. 순검사의 파견은 도쿠가와 쇼군(德川將軍)의 통치권이 전국에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