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22 개정 한문 교육과정중 ‘인성’ 관련 목표 분석

        김영옥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23 동아한학연구 Vol.- No.17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인성’ 관련 목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전의 한문과 교육과정 내 관련 항목과 비교하여,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인성’ 관련 목표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漢文과 人性’ 영역을 핵심 개념으로 새롭게 제시하였으므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편찬한 한문 교과서에서는 ‘인성’ 관련 목표가 어떠한 학습 요소를 통하여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교수요목기 이후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및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부분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문 자료를 매개로 한 내용중심의 지식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가치관이나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도의 앙양’, ‘인격 도야’, ‘자기 수양’, ‘건전한 생활 윤리’, ‘민주적 생활 태도’, ‘건전한 가치관’, ‘바람직한 인성’,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의 함양을 통하여 자기 삶에 적용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올바른 인성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인성’ 관련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은 반면,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인성’ 관련 영역에서는 공통적으로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목표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목표는 ‘전통 문화의 이해’, ‘선인들의 삶과 지혜에 대한 이해’,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도달하도록 제시하였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문 교과서 내 ‘인성’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내 여러 ‘핵심 개념’에 비하여 ‘인성’ 관련 부분이 실제 교과서에 출현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학습 요소도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서마다 상이하지만 평균 10개 내외의 ‘인성’ 관련 학습 요소가 제시되었고 많게는 18개의 학습요소가 제시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비중이 높은 ‘인성’ 관련 학습 요소는 ㉠ 나눔과 배려, 우정, 효, 가족애, 고운 말 사용, 신중한 언행, 선행. ㉡ 애국, 애민, 국토의 소중함, 공동체 생활. ㉢ 배움의 즐거움, 습관 형성, 진로에의 열정 순이었다. 한편, ‘인성’ 부분은 실천적 교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한문과 교육과정 내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학습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교과서마다 제시한 학습 요소가 너무 다양하다는 것, 학습 요소를 범주화할 수 없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한문과에서 다루어야 할 ‘인성’의 세부 학습 요소를 제시해야 하며, 더불어 학교급별 ‘인성’의 학습 요소 및 성취기준을 차별화하여 제시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관련 내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후 한문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앞에서 제시한 문제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mad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s a subject of study. By compar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contemplate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which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gulated. Furthermore, I studied how ‘Classical Chinese and Personality in Korean Curriculum’ is shown recently. First, after ‘The First Curriculum’, I foun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esent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s to build value and attitudes of learners. Second, I was able to find out that in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sec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ity’ have not only th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ut also have various learning elements than the ‘Essential Concepts’ in it. In addition, I found that meanwhile, despite the ‘Personality’ section’s requirement for the actual curriculum,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y were not able to suggest the definite way to practice it efficiently. Also, as they did not provided learning elements of the ‘Personality’ clearly, the learning elements which every ‘Classical Chinese Textbook’ contains became quite various and had difficulties in categorizing the Learning Elements, which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rranged regulating the definition of the ‘Personality’ clearly, providing its detailed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should be instructed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as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at the aforementioned problem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enough discussion related to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 KCI등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주요 내용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윤지훈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한문교육논집 Vol.60 No.-

        This study attempted to roughly examine the direction and main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in mind at the outline level. First,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cluding the "overview of the curriculum design." Personality' introduc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presents the necessity, role, or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so that everyone who encounters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objective" was stated as the direc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 point of arrival for students to achieve, but it was intended to present feasible objective in the school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the school field and the level of learners' Classical Chineses and Classical Chinese learning. The "content system" was designed to foster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in life by integrating the subject's knowledge,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s. The "area" was set in two areas: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s" and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s." In the case of high school "reading Chinese classics" and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s" a separate area was not se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ubjects. The categories of the content system consisted of content elements and concepts and principles that must be known in the learning of the subject, the process and function of acquir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the values and attitudes that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learning of the subject. The development method and statement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 were also examined, and "achievement standard commentary" was developed only when misunderstanding or confusion may occur in the school field, or additional explanation or emphasis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as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textbooks in public education in Korea, that is, they serve as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염두에 둔 교과서 개발 방향 등을 개요 수준에서 대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방향과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관련 선행 연구 등의 분석을 통해 설정한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및 중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를 비롯하여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성격’은 한문과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한문 교육의 필요성 및 역할 혹은 본질과 의의 등을 제시함으로써 한문과 교육과정을 접하는 모든 사람이 한문과가 지닌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목표’는 한문과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학생이 달성해야 할 학습의 도달점으로 진술하되, 학교 현장의 요구와 학습자의 한자 및 한문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고자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가 가장 큰 부분인 ‘내용 체계’는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교과의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게 하여 삶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영역’은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한문’의 경우 ‘한자와 어휘’, ‘문장’ 2가지를 영역으로 설정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편제되는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와 ‘언어생활과 한자’의 경우는 개별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았다. 내용 체계의 범주는 해당 교과목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 요소 및 개념과 원리, 지식․이해를 습득하는 과정과 기능, 해당 교과목 학습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가치와 태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성취기준’의 개발 방식 및 진술 방식을 살펴보았으며, ‘성취기준 해설’의 경우 성취기준 가운데 학교 현장에서 오해 및 혼동 등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거나 추가적인 설명이나 강조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 개발하고,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은 영역 또는 해당 과목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별히 강조하거나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교수․학습 및 평가의 주안점을 기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과 ‘평가’ 개발 방식과 함께 교과서가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갖는 위상, 즉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수업의 매개체이자 중요한 교수․학습 자료의 기능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방향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문고전과 인성교육 [1] - ‘대학생’과 ‘일반인’ 대상의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

        김용재 ( Kim Yong-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4 No.-

        이 글은 과연 한문고전을 통하여 인성교육이 가능할 것인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일까라는 진부한 고전적 명제로부터 논의를 출발한다. 다만, 이때의 인성교육 대상은 대학생과 일반인으로 국한시켰다. 필자가 한문고전과 인성교육의 함수 관계를 논제로 삼은 것은 우리나라의 불운했던 과거사, 즉 “하루빨리 돈부터 벌어야한다”는 잘못된 인생관과, “내 자식만 잘 되면 그뿐이라는 그릇된 교육관”때문이라고 인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상실했다. 마치 우리의 전통적 가치가 일제 식민지를 받게 된 주요원인이라고 치부되었다. 그리고 그 전통문화의 근간은 모두 한자·한문으로 이루어진 고리타분한 유물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기록물이라고만 말하면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은 알레르기 반응부터 보였다. 해방 이후, 우리는 다시 한 번 서구의 신탁통치를 받게 되었고, 이 시기 소위 ‘서구화 ≒ 근대화’라는 등식은 우리의 전통문화를 더욱더 전근대적 박물관 속 미라로 몰아넣는 데에 일조했다. 그러나 21세기 지금, 우리의 모습을 되돌아보면, ‘우리의 정신문화’에 대한 자성과 정체성을 갈망하고, 특히 기술·과학 문명의 인공지능[AI]시대에 접어들면서부터 ‘인성’, 즉 ‘사람 됨됨이’에 대한 성찰이 당면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과거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이 담보되어 있던 한문고전을 인성교육의 실재 현장에 접목시켜 봄으로써, 그 가능성과 실효성을 타진해 보고자했다. 첫째: ‘인성’의 덕목과 국가에서 정한 ‘인성교육진흥법’의 시사점을 진단하고, 둘째: 인성교육은 연령이 낮을수록 그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인성교육은 기성세대들부터 시작해야 함을 논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태인들의 ‘하브루타’ 교육방식과 우리의 ‘고전교육’ 간의 동이(同異)를 발굴해보기도 했다. 셋째: 한문고전을 통하여 인성교육을 온전히 시행하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한자와 한문 속에 숨어 있는 부정적 이미지부터 스스로 비판함이 필요함을 인정해야만, ‘한문고전과 인성교육’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확보 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넷째: 대학생들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문고전(특히 『논어』, 『명심보감』 등)을 인성교육에 접목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案]을 제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산술적 통계로 제시해봄으로써, 한문고전이 인성교육에 어느 정도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지를 도출시켰다. 본고는 무엇보다도 ‘인성교육’이 유아·청소년시기에 반짝 시행해서는 아니 될 영역임에 분명하며, 그렇다고 하여 기성세대들에게만 그 책임을 전가할 문제는 더더욱 아님에 방점을 두었다. 인성교육이야말로, 요람에서 무덤까지 함께 짊어지고 가야만 하는 그러한 영역임에 틀림없다. 혹시 기계(AI)에게도 감정이 이입될지 모르는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더욱이 더 …… Will this article be successful using the Chinese classics for personality education(人性敎育)? This paper starts with these cliché and classic propositions. However, the subject of personality education at this time will be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for discussion. The reason why I mad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lassics and personality education as the topic was that I had a history of my country’s unfortunate past. As we experience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 forgot what our right traditional values were. As if our traditional values were not correct, we recognized that we received a colony from Japan. Howeve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consists of Chinese characters, most of the people in our country get allergic reactions just by saying that it is Chinese classics. After the Liberation, we were once again ruled by the West. At this time, our traditional culture was dismissed as a corpse in an old museum after the so-called ‘modernization(近·現代化).’ But, looking back at our appearance in the 21st century, we longed for reflection on our ‘traditional values’. In particular, reflection on ‘personality’, or ‘humanism’, has merged as a challenge since enter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Based on this sense of problem, I examined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Hanmun High School, which was guaranteed by our traditional values in the past, by incorporating it into the actual site of personality education. First, the government should diagnose the virtues of ‘personality’ and establish the meaning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law.’ Second, it was argued that true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start with older generations, despite acknowledging that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this process, we applied the Jewish style of ‘Havuruta education’ and the dynamics between our classical educations. Third, in order to fully implement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Chinese classics, it was ironically believed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nese classics and personality education’ could be secured only by criticizing negative images hidden i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Fourth, by presen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incorporate literary classics (especially the Analects(論語), Myeangsim Bogam(明心寶鑑), etc.) into personalit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and calculating their educational effects by statistics, we derived how effective Chinese classics can be in personality education. Most of all, personality education(人性敎育) focused on the fact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not be implemented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that it is not an issue that should be passed on only to older generations. Personality education must be such an area that one must contemplate together from cradle to grave. We are living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ere we may be involved in machines.

      • KCI등재

        한문(漢文)의 활용(活用)-한문(漢文)과 인성(人性), 한문(漢文)과 문화(文化)영역(領域)의 내용(內容) 요소(要素)와 성취기준(成就基準) 분석

        김왕규 ( Wang Kyu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2015년, 국가는 교육과정을 개정, 공시했다.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경우,한문(한자, 어휘, 문장, 글)에 대한 학습을 ‘이해’로, 한문을 통한 학습을 ‘활용’으로 구분하고, 한문과를 구성하는 2개의 내용 영역으로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을 설정했다. 이 글의 핵심 내용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문의 활용’ 영역 가운데, ‘漢文과 人性’, ‘漢文과 文化’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분석한 것이다. 한문 학습을 통한 다양한 활용 가운데,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를 ‘核心 槪念’으로 설정했다. 학년(군) 및 학교 급을 통해서 한문 학습자들이 배우는 학습 내용의 일반 원리가 ‘일반화된 지식’인데, 학습자들이 배워야 할핵심적인 내용 지식인 ‘내용 요소’를 왜 학습해야 하는지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내용 요소’를 학습한 뒤,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또는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이 바로 ‘技能’인데, ‘이해와 공감하기’, ‘토의·토론하기’, ‘적용하기’ 등을 강조했다. 한문과 성취기준은 한문과를 통해 학생이 배워야 할 지식과 기능을 의미하며, 수업후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또는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성취기준의 기술 및 구성 방식은 ‘내용 요소 + 기능’이다. 예컨대, 내용 요소인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과 ‘이해와 공감하기’, ‘적용하기’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한문 기록에 담긴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라는 ‘한문과 인성’의 성취기준을 진술했다. 또한, ‘한문과 문화’의 성취기준에서 “~태도를 형성한다.”라는 진술은 기능 가운데 하나인 ‘적용하기’의 連繫·變容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성취기준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방향을 안내하고 한문과 평가 방향 및 기준 설정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거듭되는 문제 제기이지만, ‘인성’과 ‘문화’ 영역의 성취기준은 ‘정의적 태도, 능력’과 관련되는 기준이기 때문에, 교수·학습 및 평가와의 연계·수용 事例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청된다. 그리고 인성, 문화 역량을 교과서에서 수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데, 제재 발굴과 단원 구성이 향후의 핵심 과제일 것이다 In 20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ed the revised curriculum. This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established two domains, understanding of classical Chinese and utilization of classical Chinese, defining learning classical Chinese as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rough classical Chinese as ‘utiliz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 factor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personality and classical Chinese’ and ‘culture and classical Chinese’ at the domain of utilization of classical Chinese in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15. Through the utilization of a variety of learning classical Chinese, it has set up a "Chinese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classical Chinese and personality," "classical Chinese and culture as ``main concept``. Through the year (group) and school-level general principles of learning content that classical Chinese learners learn is ``generalized knowledge``, which acts as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why should learn. After learning ``content elements``, ability to look forward to, or to be able to do is skill, ``understanding and empathy,`` ``discuss and debate,`` ``apply,`` etc. are emphasized. Classical Chinese achievement standards means that the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which should be learnt from the classical Chinese, indicates an ability to look forward to, or be able to be students after class. Description and composi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tent element + skill. For example, the content element, ``understanding and empathy`` and ``wisdom and spirit of the ancestors`` and ``application`` are combining features such as "to understand wisdom and spirit from classical Chinese text and to internalize valuable thing in the view of current meaning." "Form attitude like something.", this description can be shown as collaboration or change of applic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acts as the basis of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Even though it is continual question, research on combination and application between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is needed to study constantly becaus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domain of ‘personality’ and ‘culture’ is related to ‘affective manner and ability.’ And we should find some ways to accept the personality and power of culture in the textbook, in this procedure, discovering materials and organizing units are key tasks.

      • KCI등재

        대학 ‘교양한문’ 강의에 대한 새로운 모색

        이은봉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7

        Currently, universities have commercializ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market principle of the Neo-liberalism and are working on reinforcing consumer-oriented education and competitiveness of education. Furthermore, due to the decrease of school age population, universities’ priority has become surviving in the competition, which has led them to discard the proper attitude of scholarly pursuit and turn into job training facil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has been long since Classical Chinese courses such as “Classical Chinese Liberal Education” have become unpopular due to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difficult and obsolete. Therefore, I have transformed the class into an introspective course in which the learners can learn classical Chinese and interpret classics in the contemporary context through the education that merged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with writing. Based on some level of accomplishment this has brought about, I would like to propose a few ways and directions of improvement.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ccurring to academic learning in the age of digital culture and neoliberalism, criticizes the problems of these changes, explores personalization process by way of exploring the contemporary meaning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nd paper writing, and finally overviews students’ response to these classes. Looking at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I could see that they feel the need for this kind of class. However, they also pointed out a few problems: the course title is too old-fashioned and stiff that it feels less accessible; also, number of enrolled students are too large that in-depth discussion is impossible and the it is difficult to have every paper corrected in detail. Also, lecturers must also put in greater amount of work in preparing these classes since they not only study classical Chinese, but also have to cross between the texts from the East and the West, or the contemporary and classical texts. Yet, there is also a saying that “review the old to learn the new.” Even if the time changes, one cannot discard the essence of university classes. Hence, a few of suggestions that I would like to propose are changing the title to something students may be intrigued to, and allowing the students to learn classical characters in a fun and easy manner, while maintaining the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Also, instead of teaching many sentences, allowing students to be self-reflect by teaching the meaning of even a single sentence through cross-text and based on their interest. In the end, I would like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personalize it by writing their own papers.

      • KCI등재

        중국 고전무용의 발전 현황 -신중국 성립이후를 중심으로

        심숙경 ( Sook Kyung Shim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5

        전통적 중국 고전무용은 서주 시대의 아악과 육대무로부터 시작하여 한 대의 상화대곡, 위진남북조 시대의 청상악, 당대(唐代)의 궁중 연악(燕樂)으로 이어지나 송대(宋代)이후 원(元), 명(明), 청(淸)시대를 거치면서 점차 중국 전통극인 희곡(戱曲)으로 흡수되어 원·명·청시대를 거치면서 점차 희곡 표현수단의 하나로서만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나 혼란스러웠던 근.현대의 중화민국을 거쳐 1949년 신중국(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되면서 질곡의 역사를 함께한 무용예술도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먼저, 신중국 설립 후 중앙희극학원이 설립되자 초대원장 오양위첸과 최승희, 매란방 등은 희곡중의 고전무용동작을 정리.체계화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또한 희곡 중의 고전무용동작요소를 발굴하여 정리 작업을 함으로써 중국 고전무용 체계의 부활과 희곡무용 발전에 중요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정부의 세계적 우수한 문화예술을 적극 흡수, 지지한다는 기본방침아래 신중국 초창기에 처음 중국에 소개된 소련학파 발레는 이후 중국 고전무용과 무극, 무용교육 등 다방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66년부터 시작된 ``문화대혁명`` 10년간은 8개의 ``양판희``작품 외에는 일체 공연이 금지되는 문화예술계의 암흑기였으나, 반면 ``혁명양판희``로 규정된 <홍색낭자군>과 <백모녀>등 최초의 중국 발레무극인 탄생되기도 하였다. 1970년대 말, 해방과 함께 개혁개방이 됨에 따라 고전무용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이전의 희곡무용 연구에서 탈피하여 고대의 석굴벽화 및 출토된 각종 문물중의 무용형상 자료를 연구. 정리하여 수많은 고전무용과 고전무극이 창작된 것이다. 80년대 이후에는 최승희 제자인 까오진롱이 돈황벽화의 형상을 토대로 ``돈황무용``을 재현함으로써 고전무용에 새로운 장르가 탄생되기도 하였다. 주목할 일은, 1954년 중국 문화부에서 설립한 ``무도교원 훈련반``에서 학습한 당만성, 이정일은 80년대 이후 고전무용의 새로운 동작체계로 ``신운(身韻)``을 창조함으로써 고전무용 교육방법에 체계화를 이룩하였다. 이는 하체는 발레동작을 도입하고 상체는 희곡 중의 전통무용 동작요소를 결합한 신고전무용 형태로써, 신중국 이후의 사회적 상황과 무용교육의 실상을 되짚어 보면 지극히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따라서 오늘날 중국에서 통용되는 중국고전무용의 개념은 고대로부터 전해지는 진정한 의미의 고전무용 이라기보다는, 신중국 성립이후 중국 전통인 희곡무용과 중국무술의 기초위에 외국 발레무를 결합하여 점차 형성된 것으로, 시대흐름에 따른 현재진행형으로 변화, 발전하고 있다 할 수 있다. The classic dance of China includes Yayue(雅樂), Liudaiwu(六代舞) of the during Xizhou(西周) Period, Xianghe-daqu(相和大曲) of the Han(漢) Period, Qingshang-yue(淸商樂) of the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Period, Yanyue (燕樂) court dance of the Tang(唐) Period(618~907) and Xiqu(戱曲, dance drama) dance of the Sung(宋), Yuan(元),Ming (明) and Ching(淸) Period. However, as the new China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in 1949 after the chaotic Republic of China Period in recent/modern age, the dance art of China also went through transformation along with turbulent history of China. After the Central Xiju Academy(中央戱劇學院) had been established, the general director 歐陽予천(Ouyang Yuqian) started to organize and systemize the classic dance movements of classic dance dramas. They also extracted movement elements from classic dance dramas and organized them. It became an important foundation in the resurrection of Chinese Classic Dance and the development of dance drama. Meanwhile, Chinese government enforced a basic policy to accommodate, absorb, and support high-quality foreign art and culture. In accordance with such policy, Soviet Union Dance School introduced ballet for the first time in China, and ballet gave big impact in Chinese class dance, dance drama, and dance education.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went on 10 years from 1966, was the dark period and an abnormal advance period for Chinese art. At the time, no art performance was allowed except Yangbanxi(樣板戱), which was eight exemplar dramas. The Chinese classic dance had reformation new change in the late 1970s as China went through new reformation and opening of the country. Numerous classic dances and classic dance dramas were created by studying and organizing the dance image information found in various artifacts from ancient stone cave murals and relics. In addition, Tang Mancheng(唐滿成) and Li Zhengyi(李正一), who studied in Dance Teacher Fostering Class in 1954, completed the systemization of classic dance education method by creating Shenyun(身韻), which was a new movement system in Chinese classic dance. Shenyun combined Chinese classic dance movement with ballet movement for the lower part of body. It was quite natural developmen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ociety and dance education in new China. In these days, the Chinese classic dance is developing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trend of favoring lyrical and artful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oreign ballet and modern dance technique with Chinese classic dance, which succeeded and advanced the tradition.

      • KCI등재

        小南 李一雨의 삶과 한시 세계

        박영호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3

        Sonam(小南) Lee Il-woo(李一雨, 1870~1936) was person of gentry families who was born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lived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this paper, I sought to understand his spiritual world and orientation will by analysing Sonam’s classical chinese poetry work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traces of life which was the background of creation, then classified the works by themes. Sonam’s innate disposition was considerate and integrity, and he conferred a favor on a person but always felt insufficient. He severely saved the cost of daily living, but when he relieved the needy and rescued the disturbance, he emptied out the barn and dispensed grain to the poor. By installing Ui-jang(義庄), he helped people who were in need. Also, by founding the Woohyeon-seoru(友弦書樓), he fostered talented people. After the merger between Korea and Japan, he closed the door, cooped himself up, controlled himself and his family and tried to escape from secular matters.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world of Sonam with the works included in the 『Seongnam-sego(城南世稿)』. The poems in the 『Seongnam-sego(城南世稿)』 are all 38 titles and 46 poems, all of them are modern-style classical chinese poetry(近體詩). Specifically, the octonary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七言律詩) are 30 titles and 38 poems, the quatrain with seven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七言絶句) are 5 poems, the octonary with five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五言律詩) are 2 poems, and one long poem with five Chinese characters in each line (五言長篇). The poetry of Sonam were composed of a state of unworldliness, devotion to country and people, inmost thoughts between companions, the longing for his family, and feelings on transience of life etc. Considering his journey through life and the level of creation of poetry, many works are expected to be discovered in the future. Later, if the writings of Sonam will be discovered supplement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on works. 小南 李一雨(1870~1936)는 한말에 출생하여 일제강점기를 살다간 사대부가의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소남의 한시 작품을 분석하여 그의 정신세계와 지향의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작의 배경이 되는 삶의 궤적을 살피고 한시 작품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소남은 타고난 성품이 자상하고 청렴하였으며 남에게 은혜를 베풀고는 항상 부족하다고 여겼다. 일상생활의 비용은 심하게 절약하였으나 어려운 사람을 구휼하고 난리를 구제할 때에는 곳간을 비워서라도 나누어 주었다. 義庄을 설치하여 곤궁한 사람을 도왔고 友弦書樓를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 한일합병 이후에는 문을 닫고 칩거하며 자신과 집안을 단속하고 세속적인 문제에서 벗어나려고 하였다. 본고에서는 『城南世稿』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소남의 한시 세계를 분석하였다. 『城南世稿』에 수록된 한시는 모두 38제 46수이며 전부가 近體詩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7언 율시가 30제 38수이고, 7언 절구가 5수이며, 5언 율시가 2수이고 5언 장편이 1수이다. 소남의 한시 세계는 脫俗의 경지, 愛族愛民 의식, 朋友間의 회포, 家族에 대한 그리움, 人生無常의 감회 등으로 구성되었다. 소남의 인생 역정이나 시문 창작의 수준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많은 작품이 발굴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에 소남이 남긴 저술이 추가로 발굴되면 그에 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고홍명(辜鴻銘)의 유교 경전 번역의 의의

        김혜영 영남중국어문학회 2023 중국어문학 Vol.- No.94

        This study reveals the purpose of Gu's translations and presents the significance of the translation by examining Gu’s English translations of Confucian classics, Analect, Doctrine of the Mean, Great learning. Gu, Hongming was exposed to and educated in Western culture early on. While other Chinese intellectuals at the time embraced Western culture and tried to bring it back to China, he took the alternative ways to believe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advocate Cultural Conservatism. With the intention of keeping traditional morals at home and promoting them in the West, the translation of Confucian classics is one of the entities to actualize his stance. Gu translated Chinese classics into English because the existing translations by Western sinologists did not fully understand Chinese culture and could not deliver the essence of culture. Gu also believed that sinologists' translations caused Western readers to view weird Chinese intellectual and moral content. Gu hoped to correct Westerners' misconceptions about Chinese culture through his translations of Confucian classics. Gu considered Confucian classics to be the framework of Chinese culture, which could provide Western society with the motifs of a new social order. He characterized Chinese civilization as a moral civilization. He often used the concept of ‘moral’ as translation term of ‘Ren(仁)’, ‘Dao(道)’, ‘Zhong(中)’, ‘Hua(和)’, ‘Zhongyong(中庸)’, ‘Junzi(君子)’, ‘Xian(賢)’, ‘De(德)’. Gu emphasized that Chinese civilization is based on moral obligations, which is different from obeying rules, laws, and doctrines imposed by the police and government in the West. Morality is the feature that originates from conscience, willingness, and determination. It is the morality that is taught in Confucian texts. In addition, Confucianism functions as a religion in a broad sense in China. Gu represented Confucianism as the solution to religious and social problems the West faced.

      • KCI등재

        고등학교 한문과 연계⋅융합 수업 실천 사례 - 민주시민교육에서 ‘민주주의와 참여’를 대상으로 -

        곽명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21 漢字 漢文敎育 Vol.50 No.-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여 진행된 연계⋅융합 수업의 한문과 수업 실천 사례이다. 평소 연계⋅융합 수업에서 배제되거나 도구적 역할에 머물렀던 한문과의 연계⋅융합 수업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적으로 시도된 것이다. 자칫 특정 교과에 치우친 주제로 인식될 수 있는 민주시민교육이라는 영역에서 ‘민주주의와 참여’라는 주제로 한국사⋅통합사회 교과와 함께 연계⋅융합 수업을 진행하였다. 민주시민교육에서 추구하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역량을 한문과 인성역량과 연결하여 수업의 목표로 삼고, ‘한문과 인성’ 영역의 성취기준에 맞추어 과정형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수업으로 설계하였다. 과정형평가의 수행과 분절된 교육활동을 하나로 연결하기 위해 ‘교육과정-수업-평가- 기록’을 일체화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는 수업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이동시켜 학생들이 삶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게 돕기 위한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way to foster creative and integrative learner pursued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It was also design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linking and converging classes with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subject. With the aim of the exploration, the association and convergence classes were conducted along with ‘Korean history’ subject and ‘Integrated society’ subject, the purpose of which is to overcome the conservative limitations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subject, and investigate a range of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subject. In the field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linkage and convergence classes were conducted with ‘Korean history’ subject and ‘Integrated society’ subject under the theme of 'Democracy and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e class was made in the connection of the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of democratic citizenship pursued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with personality competences pursued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subject. The class was designed to accompany the course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Personality” area. In order to connect the performance of course assessment and divided educational activities into one, the classes were conducted in the intergration of ‘curriculum-class-evaluation-record’ processes. This is to help students grow into the master of life by shifting the center of the class from teachers to students.

      • KCI등재

        조선 실학시대 尹臣間의 학문 활동 : 『詩經講義』를 통해 본 正祖와 丁若鏞의 경우 Focusing on the academic encounter of king Jeongjo and Jeong Yak-yong based on 「Si-gyeong-gang-oui」

        韓睿嫄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3 남명학연구 Vol.16 No.-

        본고는 조선의 경학사에 일획을 그은 君王인 정조와 신하인 정약용의 학문적 만남을 『詩經講義』라는 텍스트를 통하여 조망한 논문이다. 이들의 만남에 주목하는 이유는 통상의 經筵과는 달랐기 때문이다. 군왕이 자신의 의도로 선택한 인재와 질의응답을 통하여 새로운 경학의 세계를 확장하는 보기 드문 케이스이다. 우선 전통적 帝王敎育의 유형으로 정도전·권근·이황·이율곡 등의 사례를 들어 조선시대 경연이 추구하였던 이상적 교육상을 알아보고, 이것에 대응하는 역대 왕들의 경연 참석 상황을 살펴보았다. 정조의 캐릭터는 한마디로 말하면 好學의 學者적 君王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정조의 유교적 이상정치와 현실의 실현이라는 접점에 정약용을 비롯한 초계문신이 위치한다, 초계문신 뿐 만 아니라, 정조의 정치적 학문 활동에는 학파·지연·신분의 차를 초월하여 다양한 유자가 참여한다. 이러한 열린 학문 활동은 곧 당시 사회의 개방성에의 지향을 엿보게 함과 동시에 보편 문화의 성숙을 알려준다. 『시경강의』를 통하여 살펴본 두 사람의 기본적 경학관은 상당히 유사하다. 양쪽 다 주자의 경학적 업적을 존중하지만, 논리상 부합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회의와 반론을 제기학 있다. 물론 정조는 정약용만큼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정조의 개방적 경학관에 힘입어 주자를 극복하는 정약용의 독창적 견해가 빛을 볼 수 있었다. 다시 이러한 脫朱子의 경학관은 정조시대의 새로운 학풍으로 자리 매김을 하게 되었다. 정약용의 『시경강의』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정치와 사화에 관한 두 사람이 견해를 알아보았다. 특히 '賢人'에 있어서 정조가 유교의 전통적 賢人觀을 견지하고 있음에 비하여, 정약용은 어느 분야에서나 기능이든 학문이든 할 수 있는 데까지 매진하여 어느 경지에 도달하면 그를 현인이라고 보고 있다. 이는 고착화된 신분 사회이 통념에서 벗어난 견해로 받아들여진다. 그런데 '安民'의 문제에 있어서는 두 사람 모두 유사한 시각을 노정한다. 安民의 기본조건으로 治者계층의 德化를 중요시한다. 堯舜의 至治를 정치의 이상형으로 제시하고 그 실현을 위한 현실적 방법으로 治者는 古學의 가르침을 실천에 옮기는 것으로 想定한다. 이러한 본고의 고찰을 통하여 정조와 정약용과 같은 군신간의 학문적 활동은 글자그대로 敎學相長적인 만남이며, 조선경학의 실학시대를 만개 시킨 動力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rough scrutiny of the text named 「Si-gyeong-gang-oui」, this study examined the academic encounter of king Jeongjo and his subject Jeong Yak-yong, both of which were remarkably active in the Chinese classics history. Their encounter was interesting because they met through a distinctive court seminar which was different from general ones. The king tried to expand the new world of the Chineses classics study through discussion consisting of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one whom he selected in the seminar. This study presented cases of Through scrutiny of the text named 「Si-gyeong-gang-oui」, this study examined the academic encounter of king Jeongjo and his subject Jeong Yak-yong, both of which were remarkably active in the Chinese classics history. Their encounter was interesting because they met through a distinctive court seminar which was different from general ones. The king tried to expand the new world of the Chineses classics study through discussion consisting of questions and answers with the one whom he selected in the seminar. This study presented cases of Jeong Do-jeon, Gwon Geun, Lee Hwang and Lee Yul-gok who were involved in emperial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deal education pursued by the court seminar of Joseon Dynasty and correspondingly, examined kings' participation in the seminar. King Jeongjo was academic-oriented. He suggested ideal Confucian politics and attempted to realize the ideal, and civil ministers, including Jeong Yak-yong, followed him. Confucian scholars from various schools as well as the civil ministers participated in lung's academically-oriented political activities beyond school, region, and status. Such open academic activities indicated that at that time, culture was mature and society was open to everybody. The basic views towards the Chineses classics study of the two were considerably similar when they were examined through 'Si-gyeong-gang-oui,. hey respected Juja's achievements in Chinese classics, but presented doubts and objections about the suggestions with logical inconsistency. Of course, the king's view was not as original as that of Mr. Jeong, but Jeong's brilliant view to overcome Juja was supported by the view of king Jeongjo. The new views on Chinese classics, which were a departure from Juja's, became a new trend of king Jeongjo's period. This study examined the two's views about politics and society through analysing the text of 「Si-gyeong-gang-oui,. In particular, king Jeongjo insisted on the traditional Confucian view about the good and wise king while Mi. Jeong considered any person that reached to the top through their best efforts in techniques or academic activities as the good and wise kings. It was thought that the latter's view was beyond the fixed idea of a status-oriented society. However, for the issue about the appeasemeent of the people, the two had similar perspectives. They considered a virtue of the ruling class as a basic requirement for the appeasement of the people. They suggested that the politics governed by King Yo and Soon was ideal, and to realize the ideal, the ruling class followed ancient teaching. Through the review of the text, this study concluded that academic encounter of king and servant encouraged academic development and were energies to promote the realism at full bl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