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표현행동이 자기조절능력 및 무용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최은용 대한무용학회 2010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needed in the management of dance majors in the university, by cla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expression behavior, the self-control abilities, and the dance achievement of dance majors in the university.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are dance majors in the four-year university. 408 studen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tatistic methods for confirming the hypothesis of factor analysis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carried out by using AMOS7.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factors of the self-expression behavior of dance majors in the university, active expression behavior and altruistic expression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elf-control abilities of dance majors. Secondly, in the factors of the self-expression behavior of dance majors, active expression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dance achievement of dance majors. In contrast, the passive expression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ance achievement. Thirdly, the self-control abilities of dance maj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ance achie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전공자의 자기표현행동과 자기조절능력 및 무용성취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에서의 무용전공자의 능동적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의 무용전공자로서 408명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AMOS 7.0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자기표현행동 요인인 적극적 표현행동과 이타적 표현행동은 자기조절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직설적 표현행동, 윤리적 표현행동, 소극적 표현행동은 자기조절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무용전공자의 자기표현행동 요인인 적극적 표현행동과 소극적 표현행동은 무용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 적극적 표현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나, 반면에 소극적 표현행동은 무용성취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직설적 표현행동, 윤리적 표현행동, 이타적 표현행동은 무용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무용전공자의 자기조절능력은 무용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한편 연구의 수행을 통하여 나타난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무용의 속성인 무용수의 감성을 외부로 표출한다는 데서 자기표현행동이 중요한 바 무용전공자의 자기표현행동의 제 변수와 자기조절능력 그리고 무용성취도와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검토하였다는데서 의미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관련 연구에 기초적인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자기조절능력이나 무용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조적으로 검토한 결과, 적극적 표현행동이 원인으로 강하게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용전공자가 자기표현을 행할 때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기보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때 성과적 결과물은 긍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이 연구 수행에 있어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만을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직업무용수 등 다른 분야의 대상자를 적용하여 연구하여 이의 관계를 공고히 하였으면 한다. 둘째, 이 연구에서 자기표현행동과 그에 따르는 한정된 변수만을 사용하여 연구하였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표현행동과 관계할 다양한 변수들을 투입하여 연구하였으면 한다. 셋째, 이 연구는 대상자에 대한 세분화를 통하지 않고 대학의 무용전공자들을 통합하여 연구하였으므로 이의 결과에 대한 세분화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전문무용수의 직업전환 활성화를 위한 실태연구

        장인주 대한무용학회 2010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4 No.-

        This paper, based on the survey data by the Dancer's Career Development Center(2007),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dancers' career transition. The survey shows that many professional dancers do not make official employment contracts. Therefore, they are not entitled to the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as well as other training supports provided by the government. Since many professional dancers retire at their early stage in lifetime, they demand retraining programs for career transition. The legalization of employment contracts is necessary to support professional dancers. It will also facilitate their career transition. It is argued that the direct support for the dancers' transition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because it will help the dancers to focus more on their performances. In this respect, the retraining programs for professional dancers were widely accepted as the important policies for developing dance, long ago in the Western Europe. More policies to support the dancers' transition directly should be established. 한국에서 전문무용수가 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전문 교육을 받아야 한다. 전문무용수는 대부분 최소한 5년에서 길게는 15년 이상 교육을 받고 있다. 길고 어려운 교육과정을 거쳐 전문무용수가 되지만 불안정한 고용으로 예술활동에 전념하기 어렵고 또한 조기 은퇴로 인해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실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전문무용수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인 전문무용수지원센터(2007)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많은 전문무용수들이 비공식적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정부의 고용 및 복지 정책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음을 밝혔다. 또한 전문무용수들은 대부분 예기치 않게 조기에 은퇴하기 때문에 직업전환 재교육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으나, 실제로 적절한 재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지 않고 있어 재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고려하지 않았지만 현재 정부나 민간의 예술지원정책은 대부분 단체나 작품 중심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고용이나 복지측면에서 전문무용수에 대한 지원은 유럽에 비해 열악하다. 예를 들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공연예술지원정책을 크게 바꾸면서 ‘공연예술단체 집중육성지원’사업을 개설했다. 기존의 공연기획서 심사를 통한 소액 단일지원에서 탈피한 장기적 창작지원프로그램이다. 무용단체로는 12개 단체가 선정되었다. 창작예술가 입장에서는 매우 환영할만한 대표적 정책이지만 무용수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정책의 직접적 혜택을 크게 누리지는 못했다. 따라서 직업전환 재교육을 포함한 무용수의 복지관련 지원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전문무용수의 생활이 안정되고 직업전환이 활성화된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전문무용수가 되기 위해 교육을 받을 것이고, 이것이 전반적으로 한국의 무용예술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유럽에서 무용예술이 발전한 중요한 토대 중의 하나도 전문무용수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었다. 즉 현직에 있는 무용수를 지원하는 정책도 중요하지만, 그들이 안정적으로 예술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그들의 은퇴 이후의 직업전환에 대한 지원도 미리 준비하는 거시적 지원체계는 서구에서 일찍이 자리잡았다. 1980년대부터 일찍이 이러한 필요성을 강조해왔으며, 캐나다 직업전환센터장을 역임한 조이센 시디무스(Joysanne Sidimus)는 의사, 변호사, 심리치료사, 마시지 테라피스트, 무용교사, 재정전문가, 그래픽 디자이너, 중소기업사장 등으로 변신한 무용수의 사례를 상세하게 제시하면서 집중력, 헌신적인 열정, 고된 일을 참고 성사시키는 엄청난 잠재력의 소유자로서 무용수를 높이 평가하였으며, 이들을 위한 재교육 투자가 절실함을 강조한 바 있다(Sidimus, 1987). 이러한 노력에 힘있어 전문무용수 직업전환 국제연합기구(IOTPD)가 설립했으며, 2010년 현재 7개국(프랑스, 미국, 캐나다, 영국, 네덜란드, 스위스, 한국)의 센터가 이에 가입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무용수에 대한 직접적 지원을 통해 고용을 안정화하고 직업전환 재교육의 시급함을 강조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무용수 직업전환정책의 직접적 수단으로 첫째는 취업 정보지원 및 컨설팅 지원, 둘째는 재교육 프로그램지원, 셋째는 경제적 지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실태 ...

      • KCI등재

        대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 창의적 잠재력 및 무용수행과의 관계에서 창의적 메타인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보경 ( Bo Kyung Jang ),박기현 ( Ki Hyun Park ) 대한무용학회 2025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3 No.1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5요인 성격특성 중 예술 영역의 창의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무용수행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창의적 잠재력의 효과가 창의적 메타인지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검증하는 데 두었다. 연구대상은 472명의 무용학과 대학생들이며,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대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무용수행에 미치는 효과는 창의적 잠재력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경험에 대한 개방성이 창의적 잠재력에 미치는 효과는 창의적 메타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작용한다. (3)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무용수행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창의적 잠재력의 효과는 창의적 메타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다. 이 결과는 대학생들이 창의적인 무용수행을 위해 창의적 아이디어와 새로운 경험을 수용할 수 있는 인지 스타일을 지향하고, 창의성이 요구되는 활동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략뿐만 아니라 그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통제하는 데 필요한 창의적 자기지식과 맥락적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creative potential, whic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s one of the five personality traits and dance performance,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creative metacognition.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openness to experience on dance performance was fully mediated by creative potential; (2) the effect of openness to experience on creative potential was greater at higher levels of creative metacognition; and (3) the effect of creative potential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dance performance was greater at higher levels of creative metacognition. Findings suggest that dance performance requires college students to orient their cognitive style to be receptive to new ideas and new experiences and to accumulate the creative self-knowledge and contextual knowledge necessary to monitor and control their activities as well as the strategies used in the course of activities requiring creativity.

      • KCI등재

        첨단 공연예술기반 실천을 위한 무용교육공학 기술의 활용 동향 및 모색

        이승주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3

        본 연구는 첨단 디지털 공연예술기반 실천을 위한 무용교육공학 기술의 활용 동향 및 모색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예술로서의 무용교육공학의 연구 활동과 활용범위 그리고, 그 응용범위의 가능성을 추론해 봄으로써, 향후 다양한 연구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접근하게 되었다. 즉, 현재까지의 첨단 디지털 공연예술기반 실천을 위한 무용교육공학 기술의 활용 동향의 연구범위는 그 장르가 다소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비추어볼 때, 학제적 복합융합 학문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무용공연예술분야의 학문분야가 비교적 다양하면서도 창의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 본다. 이러한 의미에서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환경의 구축에 따른 무용공연예술 분야가 거듭 성장 할 수 있도록 종합교육정보 환경개발, 적합한 전공별 정보화시스템 구축, 예술교육분야의 학제적 교류를 통한 전문가 양성교육 등 새로운 개념의 패러다임이 요청된다. 그리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과 창의성을 신장 시킬 수 있는 개별화된 수준별 맞춤교수-학습프로그램의 개발과 사이버시대에 적합한 온라인 전문지도자 양성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할 것이다. 즉, 미래에는 디지털 공연안무전문가 뿐만 아니라 디지털 움직임동작분석 전문가 또는 디지털 무용산업마케팅 전문가와 같은 전문지도자의 양성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가상현실 교육의 환경기반은 매우 폭 넓게 응용 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미래의 학교 무용교육에 부응하고 첨단 무용교육공학으로서 무용공연예술분야가 교육적으로 큰 성과를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eZ-DCBS의 프로그램이 무용교육의 첨단화로 도약하는데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grope for the various directions of research from now on by reasoning the research activities, range of utilization and range of application of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as digital media arts through the trends of and groping for the utilization of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for practice based on cutting-edge digital performing arts. That is,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genre of the range of research of trends of utilization of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for practice based on cutting-edge digital performing arts up until now has been somewhat limited, it is expected that relatively diverse and creative researches will be done in the academic field of dance and performing arts at the moment when we are greeting the era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y. In this connection, it is requested to have a paradigm of new concept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educational information environment, construction of proper informatization system for each major, the nurture and education of experts through interdisciplinary exchanges between the fields of arts and education and so on so that the fields of dance and performing arts can grow over and over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zation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teaching-learning programs tailored to each level that can increase the ability and creativity of each learner and the nurture of online professional instructors proper for the cyber era should be opened up. That is, as the future has sufficient possibilities for nurturing not only the experts in digital performance choreography but also the experts in digital movement analysis or the experts in digital dance industry marketing, the environment basis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an be applied in a very broad way. Hence,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e program of eZ-DCB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making the dance education become high-tech expecting the changing future school dance education can be satisfied and the field of dance performing arts can achieve a great educational outcome as cutting-edge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 KCI등재

        ‘왕자’와 ‘짐승’ 사이: 댄스 서바이벌 <스테이지 파이터>에 나타나는 남성 무용수의 재현방식

        제환정 대한무용학회 2025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3 No.2

        본 연구는 Mnet의 2024년 TV 댄스 프로그램 〈스테이지 파이터〉를 대상으로, 경연 무용, 미디어 플랫폼, 감정 서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형성되는 남성 무용수의 재현 양상을 분석한다. 특히 본 프로그램에서 남성 무용수가 어떻게 서사화되고 대상화되며, 상품화된 콘텐츠로 재구성되는지를 고찰하였다. 〈스테이지 파이터〉는 남성 무용수의 신체적 특징과 감정 서사를 중심으로 캐릭터화하며, 이들을 콘텐츠형 인물로 구성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연출 논리에 따라 특정춤 장르와 캐릭터가 고정되며, 춤의 소비과정을 위한 장르 스테레오타입을 강화하는특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의 미디어 환경에서 무용의 예술성과 무용수의 정체성이 어떻게 구조화되는지를 밝히며, 비판적 무용 담론의 확장을 시도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presentational strategies surrounding male dancers in the 2024 Mnet television dance survival program <Stage Fighter>. Focusing on the intersection of competitive dance, media plat- forms, and emotional narratives, the study explores how male dancers are narrativized, objectified, and reconstructed as commodified content within the media framework. The program constructs male dancer identities primarily through phys- ical attributes and emotionally charged storytelling, thereby shaping them into content-driven personas. Furthermore, the production logic of the show fixes particular dance genres and character types, reinforcing genre-based stereotypes that facilitate the consumption of dance as spectacle. By analyzing these dynamics, the study examines how the ar- tistic value of dance and the identities of dancers are systematically structured within a consumer-oriented media environment. This research ultimately contributes to expanding critical discourse on dance repre- sentation in contemporary media culture.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치료의 고유성(originality)에 대한 고찰 : 신체심리치료, 치유적 무용교육과의 공통적 토대와 경계

        남희경 ( Nam Hee Kyung )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17 신체심리연구 Vol.2 No.2

        시대적 흐름은 다학제간 융합을 요구하고 있고, 최근 새로운 융합학문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전문분야 간 경계는 점점 더 모호해져 가고 있다. 하지만 각 전문분야 간 경계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을 때 윤리적, 전문적 통합이라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의 고유성(originality)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몸(body), 움직임(movement), 무용(dance)을 공유하고 있는 무용동작치료, 신체심리치료, 치유적 무용교육과의 공통적 토대와 경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심리치료와 무용동작치료는 공통적으로 신체 감각에서 감정, 그리고 인지까지 연결해가는 상향식 접근 심리치료법이라고 볼 수 있다. 신체심리치료는 내수용감각(interceptive) 현상에 토대를 두고, 내적 감각을 인식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반면 무용동작치료는 근감각적(kinaesthetic) 현상에 토대를 두고, 외적으로 표현되는 운동감각에 초점을 두고 있을 뿐 아니라, 심미적·창조적 표현과정을 통해 심리내적 변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특정적이다. 둘째, 무용교육의 결과도 유기적으로 개인에게 심리·정서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지만 무용동작치료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례개념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심리·정서적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심 무용동작치료사,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무용치료사, 그리고 무용동작치료사를 교육하는 이들에게 무용동작치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좌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Nowaday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is trendy. Recently new transdisciplinary studies are rapidly being increased and the boundaries among professional fields are being gradually obscured. However, Ethical and professional integration is possible only when we clearly understand the boundaries among different professional fiel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at is the originality of dance/movement therap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common groundwork and boundary among Dance/ Movement Therapy(DMT), Somatic Psychotherapy(SP), and Dance Education as healing experience, which are sharing the same elements of body, movement, and dance. As a result, first the common groundwork of DMT and SP is that they are both ‘Bottom-up Approach’, which address physical sensations first and then find the emotional and cognitive connection to the sensations. However, SP is based on the interceptive phenomenon and focused on the awareness of internal sensation while DMT is based on the kinesthetic phenomenon and focused on the externally expressive motor sensation and provides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through artistic and creative expressive process. Second, the result of dance education can organically provid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but DMT systemically provides psychological emotional support through case conceptualization in order to help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s study is aimed to offer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training that can be used novice dance/movement therapists, therapists searching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ducators for dance/movement therapists.

      • KCI등재

        전자안무노트를 이용한 김천홍 무용가의 핸드라이팅 무용콘티 디지털 복원으로의 재해석

        이승주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5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Cheoyongrang” written by dancer Kim, Cheon-hong, which is related to Korean dance heritage. This study conducts a 3D digital resto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s reinterpretations to revive the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dance culture, using the electronic dance note (eZ-DCBS) developed by Lee, Seung-ju, in 2011. The previous studies deal with either the on-stage re-creations of performances based on dance notations, or case analyses that trace the literary reflections and recreations, according to certain experts’ interpretations. This study verifies the possibility of 3-D recreations during the reinterpretations of experts from different fields to digitally restore “Cheoyongrang” using the electronic dance not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results in Picture 1 and Picture 2 show that the target texts of dancer subjects are almost perfectly restored to their original conditions. However, the settings, props, costumes, and movements in sync with music, and accurate timing for entrances and exits that appear in the pictures are difficult to restore and recreate to their original characters and shapes due to the lack of clearly defined standards. Unlike other art forms, dance is highly changeable by a dancer’s movements. Creating standards for dance heritage restoration is, therefore, very critical, and the conditions of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preserve holders of dance heritage in their original conditions. For instance, a variety of standards can be applied, such as the holder’s height, age, and appearance, certain dance movements, make-up techniques, costume colors, language and behavior, movement forms, breathing frequency during performances, and duration. Restoring dance heritage does not merely consist in simple staging and fancy performance recreations. Only with a scientific approach and a high-tech platform to embrace the media can the said standards help impeccably revive the spirit of a heritage holder.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and recreating the movements of Cheoyongrang extracted from its photograph evidence, using the 3Ds MAX of eZ-DCBS and the BIP technology of a virtual character studio. I suggest the following tasks for future researches, in regards to the problems that arose during the study. First, a theory on the digital restoration of dance heritage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restoration standards should be clearly defined;Second, an educational program for digital dance restoration experts should be provided to preserve dance heritage; Third, an in-depth discussion is required to discover all-around artistic talent who combines and integrates a future dance culture. The problems suggested by the study’s conclusions will provide a direction for digital dance culture restoration and points for improvement. The birth of the first dance drama, “Cheoyongrang,” written by Kim, Cheon-hong, also indicates the birth of another dance drama through the coordination of converged media. Establishing a scientific theory on the restoration of dance heritage will, therefore, lead to a paradigm shift in the academic ethics of a future dance culture, and the driving force behind such culture lies in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춤 문화재와 관련된 김천홍 무용가의『처용랑』을 연구물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는 춤 문화의 고고학적 옛 의미를 되살리기 위한 전문가적 재해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3D로 복원과정을 거쳤으며, 2011년 이승주가 개발한 전자안무노트(eZ-DCBS)를 이용하였다. 즉, 현재까지 관련 연구들은 무보를 바탕으로 무대에서 공연을 재현하거나, 특정 전문가의 해석에 의한 문헌적 복원 및 재현을 추정하는 사료분석 등의 연구들이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 전자안무노트를 이용한 김천홍 무용가의『처용랑』을 디지털로 복원하기 위하여 각 분야별 전문가의 재해석을 바탕으로 3D로 재현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진 1과 사진2에서 얻어진 결과에서 무용수 피사체에 대한 텍스트 타겟의 복원은 비교적 완벽에 가깝게 복원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사진에서 나타난 주위 배경과 소품, 의상, 음악과 일치되는 동작, 등장과 퇴장 등의 정확한 시차는 고유의 성격과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 재현하는 데는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연구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춤은 다른 예술에 비해 특정 무용가의 움직임에 의해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하여 춤 문화재 복원을 위한 기준마련은 매우 중요하며, 춤 문화재와 관련된 보유자들의 완벽한 원형보존을 위해서는 무용교육공학 매체수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보유자의 키와 나이 생김새, 특정 춤 짓, 분장기법, 의상에서의 색깔, 언어행위, 움직임 형태, 공연에서의 호흡 횟수 등 기준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춤 문화재 원형복원은 단순한 무대구성과 화려한 무대공연의 재현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즉, 과학적 접근과 매체수용의 기반이 필요한 이때에 보유자의 얼과 정신을 빠짐없이 그대로 살릴수 있는 기준의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처용랑의 증거사진 추출에 의한 관련동작을 eZ-DCBS의 3Ds MAX 및 가상 캐릭터스튜디오 기법의 BIP 기술을 통해 복원 및 재현의 가능성을 시도 하였다. 즉, 작업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차기 연구과제로 몇 가지 당부하고자 한다. 첫째, 디지털 춤 문화재 복원에 대한 이론정립과 명확한 복원기준의 집대성이 요구된다. 둘째, 춤 문화재 보존을 위한 디지털 춤 문화재 복원 전문가 양성과정이 요구된다. 셋째, 미래 춤 문화의 융복합적 종합예술인재 발굴을 위한 심층적 논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론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은 디지털 춤 문화 복원이 나아갈 방향과 보완점들의 기준이 될 것이다. 그리고 김천홍 무용가의『처용랑』의 첫 춤극의 탄생은 오늘날 융복합 매체와 협응을 통해 또 다른 춤극의 탄생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춤 문화재 복원의 첨단 과학적 이론정립은 미래의 춤 문화의 학문적 윤리와 전환점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안겨줄 것이며 그 문화를 이끄는 힘은 인재양성에 있음을 당부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강강술래의 심리치유적 요소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연구

        김현진 ( Kim Hyun Jin )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17 신체심리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강강술래의 심리 치료적 요소를 분석하고 무용동작치료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강강술래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로 강강술래를 예술 치료적 관점에서 분석한 네 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강강술래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강강술래의 구성 및 형태를 소개하였고, 무용동작치료 개념과 이론적 원리를 소개하였다. 결과 및 분석으로서, 첫째 강강술래의 치료적 요소, 둘째, 강강술래와 무용동작치료의 상관관계,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강강술래를 적용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서 무용동작치료가 가진 7가지 주제-몸과 마음의 상호작용, 인격이 반영된 움직임, 치료자와 내담자의 상호관계 및 그룹의 동시성, 무의식의 상징적 움직임 표현, 내적 욕구와 외적 현실의 통합, 집단 움직임을 통한 응집력, 반복적인 움직임을 통한 몰입감과 해방감-를 강강술래의 7단계 형태에 담아 구성하였다. 논의 및 결론으로 첫째, 인용된 문헌 연구를 통해 강강술래 경험이 현대인의 정신 균형과 집단예술치유문화로서 기능을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춤사위, 호흡, 몰입과 신명, 놀이, 공감 등의 치료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둘째, 서구권에 근간을 두고 발전해온 무용동작치료와 우리의 전통 민속무용인 강강술래와의 접점 및 상호연관성을 구체적으로 연구한 것에 의의가 있다. 셋째, 강강술래가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구성에 적합한 구조와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대상자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으로서의 발전 및 활용 가능성이 제시된다.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보다 더 활발하게 강강술래가 활용되기를 바랄 뿐만 아니라 한국 민속춤이 가진 심리치료적 요소와 가치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herapeutic factors of Korean traditional community dance Ganggangsullae, compare these factors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dance/movement therapy and develop an 8-week group DMT program based on Ganggangsullae for adults with elevated stress and neuroticism. During the pilot study analysis, the researcher categorized the seven therapeutic themes- 1. The relationship of the body and mind 2. The movement of the reflected personality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 and the patient 4. Confronting the unconscious mind through free association 5. Creating a movement through improvisation 6. Group dynamics 7. The immersion and salvation- from dance movement therapy theories This study put together the correlation between Ganggangsullae and dance movement therapy. Based on those results, the researcher developed an 8-week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of applied Ganggangsullae for adults with elevated stress and neuroticism, Even though the program has only been applied several times in field, this thesi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study the Ganggangsullae as a therapeutic program and provides a good link from Korean traditional dance to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 KCI등재후보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 치료의 효과성과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박선아 ( Park Sun A )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17 신체심리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 무용동작치료의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학위논문과 학술지 17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 감정표현의 어려움으로 우울을 경험하는 중년기 여성에게 무용동작치료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한 무용동작치료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프로그램별, 하위요인별로 연구를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프로그램 개발 절차나 구성에 대한 근거를 밝히고 있지 않았다. 이에 프로그램 적용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적절한 구성과 내용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아직 무용동작치료가 대중화, 일반화 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할 때 명확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를 따른 프로그램의 구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향후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우울의 어느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상의 문헌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무용동작치료의 일반화에 일조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연구에 이용한 선행 연구 수가 많지 않아 연구 결과를 객관화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eding researches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o reduce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o examine their effectiveness and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eding researches show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was effective for those who experience the depression as they struggle to express their own emotions. Second, I analyzed the researches in order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through the proceeding research by its programs and sub factors, most of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of the proceeding research did not disclose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or the resource of the compos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proper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program in order to secure the efficiency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Especially,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is not popular nor to be generalized, the program composition that follows the specific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is highly necessary. Also, to apply the dance movement therapy more concretely, the further study needs to examine in which part of the depression of the middle aged women, the dance movement therapy is effective.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these are suggestions. Firs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 expect that the dance movement therapy for the middle-aged women depression decrease is composed and the many researches that help the generalization of dance movement therapy are taken. Second, I considered that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s of proceeding researches that a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result has limitation to be objectified.

      • KCI등재

        A Study on the Nostalgia and Participation Continue Intention of DFAP’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이지설,임선영 대한무용학회 202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1 No.3

        본 연구는 COVID-19 Pandemic 상황에서 생활무용참여자가 인식하는 노 스탤지어가 향후 생활무용 참여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스탤지어 인식, 인지적 정서조절, 대처 유연성, 회복탄 력성, 참여지속의도를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표본은 비확률 표본추출방법 중 편의 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총 557부의 설문지를 현장에서 배포 후 모두 회 수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된 33부를 제외한 총 524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Windows PC/SPSS 28.0 ver. 과 AMOS 26.0 ver.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 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무용에 대한 노스탤지어의 모든 하위요인은 인지적 정서조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생활무용에 대한 인지적 정서조절은 대처 유연성과 회복탄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생활무 용에 대한 대처 유연성과 회복탄력성은 참여지속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단절과 소외로 상징되는 코로나19 pandemic 상황에서 생활무용참여자의 억압된 신체활동의 본능은 생활무용에 대한 노스탤지어 인식으로 발현되어지고, 이는 향후 지속적인 생활무용 참여 의도와 동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