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적 평화 : 미시적 평화담론의 한반도 적용과 의의

        허지영 ( Heo¸ Ji Y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한반도의 평화논의는 남북한의 정치적인 통합에 치중하며 평화의 다양한 개념과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통일중심 평화논의를 확장하고자 갈등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개인들이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미시적 차원의 평화적인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에 주목하는 일상적 평화이론을 고찰한다. 국제기구나 서구국가가 중심이 되어 자유주의 체제를 분쟁지역에 일률적으로 이식하는 방식의 자유주의 평화구축에 대한 비평적 성찰을 바탕으로 등장한 개념이 포스트자유주의 평화 담론이다. 평화구축 과정에서 갈등지역의 고유한 역사, 정치,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과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한다. 일상적 평화는 포스트자유주의 담론 중에서도 갈등사회의 가장 미시적인 차원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개인들의 평화적인 행동과 사고방식, 그리고 미시적 차원의 평화활동이 거시적인 사회체제나 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 평화의 구성성에 주목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일상적 평화의 정의와 특징을 맥긴티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정치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에 치중하는 평화이론들과 차별화되는 일상적 평화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확장성에 대해 고찰한다. 일상적 평화이론은 통일이라는 거대 담론을 넘어 한반도의 평화논의를 다양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veryday peace,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varieties of peace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dominant unification discourse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focuses on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Everyday peace refers to the routinized pro-peace and pro-social practices by individuals and collectives living in deeply divided post-conflict societies. Everyday peace, one of post-liberal peace discourses which emerged as a critique of liberal peace, a dominant form of peace-support intervention, occurs in spaces or localities over whic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exercise limited control. Everyday peace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s to go beyond the dichotomies in peace and conflict studies of local vs. global or agent vs. structure. This article closely studies the theory of everyday peace focusing on Mac Ginty’s research, discussing its scalability as well as its limits. As a liberal-local hybrid form of peace, everyday peace can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South Korea, in which peace is often regarded as political processes for unification.

      • KCI등재

        국제평화에 관한 이론적 소고:신자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박병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1

        The human race has persistently made efforts to secure peac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the modern concept of national sovereignty emerged with Peace of Westfalen in 1648, peace was turned from a situational concept into a group and relationship concept. In addition, two world wars and the Cold War vividly revealed confliction among humanity. Disappointment resulting from these wars gave the human kind a task to establish a peaceful international system. With the inception of the post-Cold War era and the 21st century, expectations of international peace have increased. The international society, however, has spawned various conflicts of security, human rights, religion, poverty and environment and so, in reality, the issue has grown more complicated and multidimensional.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to prevent conflicts and to secure a peaceful situation with certain conditions by using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ies. For the purpose,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peace on the basis of realism and liberalism is investigated in the second chapter. Then, based on neoliberalism, conditions for world peace and peace concepts are studied in the third chapter. The meaning of the given concepts is summed up in the conclusion. Peace theoretician and antiwar activist A. J. Muste says, “There is no way to peace.” That is to say, peace cannot be attained without efforts and perfect peace cannot exist. In the relationship of nations, peace requires active cooperation among them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relative concept. It is not possible for us to eliminate confliction factors entirely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 But, peace under municipal understanding through institutional cooperation will be possible. 국제사회에서 평화(Peace)를 정착시키려는 인류의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웨스트팔렌 평화조약(1648년)으로 근대 국가주권개념이 등장하면서 평화는 상태개념에서 집단과 관계개념으로 전이하게 되었다. 또한 두 차례의 세계전쟁과 냉전은 인류의 갈등적 행태를 여실히 보여 주었고, 이로 인한 실망은 어떻게 하면 평화로운 국제체제를 형성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인류에게 안겨주었다. 탈냉전과 새로운 21세기가 시작되면서 국제평화에 대한 기대는 높아 갔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더욱 다양한 갈등 문제-안보, 인권, 종교, 빈곤, 환경 등-들을 양산하면서 복합적이며 다차원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정치이론이 제시한 분쟁을 방지하고 평화로운 상태가 어떠한 조건에서 작동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 2장에서는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국제평화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제 3장에서는 신자유제도주의를 바탕으로 평화적 조건을 먼저 살펴보고 평화개념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개념적 의미들을 요약하고자 한다. 평화이론가이자 반전활동가인 무스테(A. J. Muste)는 “평화에는 길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즉, 평화는 결코 노력 없이는 성취될 수 없으며 완전한 평화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국가들의 관계에서 평화는 국가들의 적극적 협력이 필요하며, 또한 상대적 관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국제관계에서 분쟁요인들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신자유제도주의가 주장하는 제도적 협력의 공간을 통해 상호 이해적 평화는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여성은 평화적인가? 엘쉬타인의 전쟁과 평화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권석우 국제언어인문학회 2015 인문언어 Vol.17 No.1

        There have been arguments concerning whether femininity is inherently peaceful or peace is in itself feminine. Whereas most radical feminists such as Sara Ruddick and Betty Reardon and anti-militaristic feminists such as Cynthia Enloe advocate the notion of peaceful women, equal rights or liberal feminists such as Barbara Ehrenreich and political realist such as Jean Elshtain reject the idea but with a different reason. Ehrenreich insists women are not peaceful and even war prone in order to prove that men and women are equal in their performances; Elshtain proclaims women can not be pacifists to advocate that war is functionally necessary to the sustenance of the state. Among many theories, however, Elshtain’s political thought related with gender, peace and war is under scrutiny here in this article, in that she has delved into these issues in a sustained and very controversial manner. As an exemplary proponent of political realism and liberal or “neoliberal” feminism in the arena of international relations, Elshtain negates the notion of feminine peace or peaceful femininity by providing examples of various women participating in the war around the world. The political realization that war has always been in the world and will not be “obsolete” makes her say peace is “problematic” and even “sterile,” because it robs a vital and driving force from the people and their history. In her ideal civic state where “purified patriots” do carry “necessary” just war against terror, no place is given therefore for the perpetual peace. Whether women are peaceful, bellicose, peaceful but warring if necessary (Johan Galtung, Christine Sylvester, Jan Pettman, and Dan Smith and Inger Skjelsboek, among others), one thing commonly accepted for all the feminists and IR theorists despite their political differences is that, ultimately “peace is better than war.” Elshtain’s theory of problematic peace, then, turns out to be “problematic” because she claims war has been inevitable as a vital force through which the world is constituted and thus peace, categorically passive and inferior, will politically never be actualized. For Elshtain, war matters, not peace. This article insists however that the notion of “negative peace” should be transcended by not positioning peace opposite to war in the world of nuclear war which in the end nullifies the notion of constituting war itself. A new notion of peace is thus desirable to move away from the outdated notion peace as an absence of war and from the obsolete notion of nuclear catastrophe, a structural and ultimate outcome of negative peace. After one massive nuclear war, there will be no more “deterrent” wars. The awareness that war’s opposite is not peace but ordinariness and “fullness of life”(Panikkar), and that ordinary “full” life is not achieved by war may relieve Elshtain from her relentlessly realistic but nevertheless idealistic conundrum, who is driven with the political notion of “homo homini lupus” and “bellum omnium contra omnes,” which should be negated in the civil society in vain.

      • 백범김구의 평화론에 관한 연구

        정경환 ( Kyung Hwan Chung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서석사회과학논총 Vol.1 No.1

        본 논문은 백범김구의 평화론에 대한 연구이다. 백범은 일생을 조국의 독립과 통일을 위해 헌신한 인물이다. 백범이 73년 삶 속에서 정치활동과 정치노선을 전개하면서 일관된 길을 걸어온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리고 모든 정치지도자들은 평화에 대한 생각을 지니고 있는데 백범의 평화론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는가? 이러한 의문에 대해 본 논문은 해답을 제공하고 있다. 백범의 평화론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서 고찰할 수 있다. 첫째가 자유평화론을 지적할 수 있다. 자유평화론은 자유가 평화의 전제이고 자유가 전제되지 않은 평화논리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 민족국가창달론이다. 민족국가 내부의 창달과 평화와 세계평화를 결합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셋째, 세계화평론이다. 세계질서를 구성하고 있는 인류 상호간에 인의, 사랑 및 자비로써 서로 화해와 평화로운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침략주의론을 지적할 수 있다. 무력에 의해 아무런 명분도 없이 타국을 침략하는 제국주의의 침략주의를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지닌 백범의 평화론의 성격을 지적하면 적극적 평화론의 성격, 민주적 평화론의 성격 및 모든 정치활동의 지향점으로서의 성격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백범의 평화론의 내용과 성격을 종합해보면 백범의 평화론은 21세기 평화론의 모형으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세계화가 급속도로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족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지적하고 있다고 고찰된다. 또한 북한의 핵실험 이후 안보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오늘의 한반도 및 동북아 안보정세에서 우리 민족의 생존 및 발전전략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eace doctrine of Baek-bum, Kim koo. Baekbum`s peace theory is constituted of four parts. A first point is the peace theory of anti-dictatorship(that is, the theory of freedom-peace). It means that the premise of peace is freedom. A second is the theory of promotion of nation-state. This doctrine is simple; it relates the promotion of nation-state with worldwide-peace. A third is the theory of world harmony. It means the love, charity,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mong peoples as a member of mankind. Lastly, it is the theory of anti-aggression. Without any cause, an act invading other states is a definite act harming worldwide peace. The theory of Baekbum`s peace, mentioned above, containes various meanings. It has a character of the doctrine of positive peace. And it has a character democratic peaceful doctrine. Or, it has a character relating all political activity. This Baek-bum`s peace doctrines means the paradigm of 21th`s peace theory. Furthermore, it shows us how to make nationalism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lso, it indicates the surviving and developmental strategy under the present security condi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 KCI우수등재

        판문점 체제의 기원과 변화

        김학재(KIM, Hak-Jae)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19

        왜 한반도에서는 평화를 구축하기가 어렵고, 반면 적대와 대립으로 회귀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게 이루어질까? 이 글은 평화를 제도로 보고 제도 변화의 네 가지 유형 - 냉전적 평화, 탈냉전적 평화, 민주적 평화, 발전주의적 평화 - 을 개념화함으로써, 기존의 현실주의, 자유주의, 기능주의적 이론보다 한국에서의 평화 만들기 과정과 역사에 밀착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글은 한반도의 평화가 매우 부정적이고, 낮은 수준으로 제도화되었고, 그것을 뒷받침하는 사회경제적 교류와 협력의 규모도 작고 유의미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정전체제인 판문점 체제가 애초부터 외부의 영향에 의해 수립된 부정적인 평화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점차 외부의 영향보다 내부 행위자들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며 이를 긍정적 평화로 변화시키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졌고, 최근 한국에서 촛불혁명 이후에 정치연합 변동이 이루어지자 다시 평화프로세스가 재개되었다. 이는 민주 정부의 지배연합의 역량이 증대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점에서 민주평화론의 증거이기도 하고, 발전주의적 평화를 추구하는 지역 행위자들과의 이해관계 조합이 평화구축에 긍정적 토대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Why is making peace so hard and returning to confrontation relatively easy on the Korean Peninsula? By conceptualizing four types of institutional change - Cold War peace, Post Cold War peace, democratic peace, and developmental peace - the author suggests a better explanation of the peacemaking process in Korea than previous realist, liberal and functionalist approaches. The author argues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stitutionalised on a low level and in a negative way, and that the scale and density of socio-economic exchanges has been weak and insignificant. This is because the Panmunjom Regime, as an institutionalized armistice, was originally a negative peace created by external influences. However, internal actors have attained increasing importance in changing it into a positive peace. Lately, however, all actors have faced the difficulties posed by domestic politics and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which has made them choose a passive and negative set of policies. The second round of peace process at the moment shows complex combination of various motivations of South Korean democratic peace, North Korean and Chinese developmental peace mode of diplomatic position. New Cold War type of threat posed by the U.S. president of Trump may increse the importance of domestic actors of each engaged countries in North East Asia.

      • KCI등재

        로컬평화의 전망과 한계: 포스트자유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강혁민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3

        What is local peace?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ocal peace theory through the lens of ‘the local turn’ proposed by postliberalists. By doing so, it fosters the interest of the theory and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the discourse. The author addresses that local peace is the emancipatory peace theory that reinterprets locality and local agency, which have been marginalized in the traditional peace discourse, for effective and justice peacebuilding strategies. It is also clarified that local ownership, the everyday, and relationship with global actors are the key features of the theory. Meanwhile, the author evaluates that the romanticization of the local, binary perception of the local, and theorists’ double standards restrict the theory. The paper concludes that for local peace to be more emancipatory, theorists need to aim at value-neutrality and perform participatory methodology. 로컬평화란 무엇인가? 이 글은 포스트자유주의자들이 제안한 ‘로컬 턴’의 준칙에 입각해 로컬평화의 이론적 배경, 특징,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로써 국내에서 증대되는 로컬평화에 대한 논의를 열고 이 담론의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로컬평화가 20세기 평화인식과 21세기 평화구축에서 주변화되어 온 로컬리티와 로컬주체성을 효과적이고 정의로운 평화구축 전략으로 재해석한 해방적 평화이론임을 밝힌다. 그리고 분쟁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로컬오너십, 로컬의 정체성과 행위문화가 발현되는 일상성, 글로벌 행위자들과 맺는 다양한 관계방식을 이 평화론의 주요 특징임을 설명한다. 한편, 필자는 로컬평화가 갖는 로컬에 대한 낭만화, 이분법적 인식, 이론가들의 이중 잣대가 이 평화론의 결정적인 한계라고 평가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로컬평화가 해방적 평화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로컬에 대한 가치중립과 참여적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이 글을 마무리 한다.

      • KCI등재

        How Does Economic Development Lead to Peace?: Economic Development and Interstate Armed Conflict, 1950-2011

        박요한,우정무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29 No.2

        Zones of peace in the world are found to be where economically advanced democracies are grouped together. Indeed, these countries not only enjoy political freedom and economic affluence but also peaceful foreign relations. While numerous studies have advanced theoretical arguments and documented empirical evidence on the democratic peace, relatively scant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economic development brings about international peace. Representative studies on the economic peace have shown serious theoretical and empirical loopholes in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peace. This present study identifies four related but distinct explanations drawing upon the rich theoretical tradition of the economic peace encompassing both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scholarship. It also offers a more comprehensive test against the all dyad year data of 1950-2011. The findings show that the rate of armed conflict is lower for developed dyads than undeveloped dyads and mixed dyads. Developed countries rarely fight each other.

      • KCI등재

        통일교육에 있어서 자유와 평화가치의 함수관계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22 통일전략 Vol.22 No.1

        This paper deals with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peace, the most important term in unification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is part of a very important unification strategy in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familiarize national members with the justification goals and directions of unification and build unification capabilitie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ideological issue above all else. Our unification aims to become a unified nation through liberal democracy. One thing to keep in mind in the direction of these goals is the correlation between freedom and peace. It is clear that unification education, which is conducted without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freedom and peace, will be nothing more than a pavilion of thought. Freedom is an intrinsic value of human beings, and it is a prerequisite and absolute value that is the source of all values ​​and institutions. Any value and system that ignores freedom loses its legitimacy. On the other hand, peace is a consequent value that cannot stand on its own. In other words, peace can achieve its original purpose when it is defined and presupposed by some absolute value. In this respect, peace can only exert its true meaning and meaning when supported by the universal values ​​of freedom and universal institutions of democracy. If you start unification education after acquiring a firm 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and peace, I am sure that it will be an important driving force in achieving the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본 논문은 통일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용어인 자유와 평화 간의 함수관계를 다룬 것이다. 통일교육은 민족통일의 도상에서 국가 구성원에게 통일의 당위성 목표 및 방향을 정확히 숙지하게 하고 통일역량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통일전략의 일환이다. 통일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보다도 이념문제이다. 우리의 통일은 자유민주주의에 의한 통일국가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의 지향에 있어서 명심해야 할 점은 자유와 평화의 상관성이다. 자유와 평화의 상관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없이 행해지는 통일교육은 사상누각의 교육에 불과할 것이 분명하다. 자유는 인간의 본질적 가치이고 모든 가치와 제도의 근원이 되는 전제적‧절대적 가치이다. 자유를 도외시한 그 어떤 가치와 제도는 정당성을 상실하게 된다. 반면 평화는 스스로 독립하여 설 수 없는 결과적 가치이다. 즉 평화는 그 어떤 절대적 가치에 의해 규정되고 전제될 때 본래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평화는 보편적 가치인 자유와 보편적 제도인 민주주의에 의해 뒷받침될 때만이 그 참된 뜻과 의미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유와 평화의 상관성에 대한 확고부동한 입장을 터득한 후 통일교육에 임한다면 통일교육의 목표를 성취하는데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 KCI등재

        평화의 삼각구도(Triangulating Peace)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최아진 ( A Jin Choi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본고는 칸트적 자유주의자들이 제시한 평화의 삼각구도에 대해서 최근 논쟁과 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의 타당성 및 적실성을 평가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네 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하여 국제기구, 경제적 상호의존, 그리고 평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칸트적 자유주의자들의 기대와 달라 민주주의와 국제기구는 강한 긍정적 상호작용을 보여주지 않고 있으며, 민주주의와 경제적 상호의존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나, 현실주의와 중상주의의 도전을 받고 있으며,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조건과 제약 연구하면서 정교화를 도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민주주의와 평화와의 관계를 보면, 두 변수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를 인정하면서 최근에는 민주주의가 평화로 이어지는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논쟁이 전개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미국의 외교정책과 연결하여 민주주의를 도모하고 확산하는 방법에 대해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f the Triangulating Peace argument made by Kantian liberalism based on recent major deb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mocrac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peace. It finds that, first, it is difficult to adopt or implement democratic rules in m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economic interdependence shows a mixed result: the Kantian liberalists repor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but at the same time realists and mercantilists challenge this relationship using different evidence and methods. Third, regarding the impacts of democracy on peace, a focus of recent debate moves from its empirical foundations to an explanatory validation of causal mechanisms between two variables. Although they were not systematically studied, the impacts of peace on democratization have recently drawn attention and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ajor debates in both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foreign policy practice.

      • KCI등재후보

        평화의 삼각구도(Triangulating Peace) 비판적 고찰

        최아진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f the Triangulating Peace argument made by Kantian liberalism based on recent major deb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mocrac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peace. It finds that, first, it is difficult to adopt or implement democratic rules in m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economic interdependence shows a mixed result: the Kantian liberalists repor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but at the same time realists and mercantilists challenge this relationship using different evidence and methods. Third, regarding the impacts of democracy on peace, a focus of recent debate moves from its empirical foundations to an explanatory validation of causal mechanisms between two variables. Although they were not systematically studied, the impacts of peace on democratization have recently drawn attention and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ajor debates in both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foreign policy practice. 본고는 칸트적 자유주의자들이 제시한 평화의 삼각구도에 대해서 최근 논쟁과 연구를 중심으로 이론의 타당성 및 적실성을 평가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네 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하여 국제기구, 경제적 상호의존, 그리고 평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칸트적 자유주의자들의 기대와 달리 민주주의와 국제기구는 강한 긍정적 상호작용을 보여주지 않고 있으며, 민주주의와 경제적 상호의존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나, 현실주의와 중상주의의 도전을 받고 있으며, 변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조건과 제약 연구하면서 정교화를 도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민주주의와 평화와의 관계를 보면, 두 변수 사이에 긍정적인 관계를 인정하면서 최근에는 민주주의가 평화로 이어지는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논쟁이 전개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미국의 외교정책과 연결하여 민주주의를 도모하고 확산하는 방법에 대해 논쟁이 진행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