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음운변동 특성

        권미지 ( Mi Ji Kwon ),박상희 ( Sang Hee Park ),석동일 ( Dong Il Seo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2

        이 연구는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음운변동률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이중언어 환경 아동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의 음운변동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중언어 환경 아동 4, 5, 6세 각 7명, 9명, 7명씩 총 23명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 4, 5, 6세 각 4명, 9명, 6명씩 총 1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음운변동률에 대하여 발달적인 음운변동 과 비발달적인 음운변동으로 살펴보았다. 발달적인 음운변동의 경우 종성생략 변동에서 언어환경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비발달적인 음운변동의 경우 언어환경과 연령간 분산 분석 결과 이완음화, 모음편차, 첨가, 치조음생략에서 언어환경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환경간과 연령간의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탈기식음화에서 언어환경과 연령간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언어환경간과 연령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is about phonological processes of bilingual language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language environment children and is compared between bilingual language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language environment children in phonological process characteristics. 23 subjects of bilingual language environment children were chosen between 4 to 6 years, 7, 9 and 7. 19 subjects of monolingual language environment children were chosen between 4 to 6 years, 4, 9 and 6.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is study compared bilingual language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language environment children in 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n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language environment groups in final omission in 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lso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anguage environment groups and ages in results of two-way ANOVA in lenition, vowel declination, addition and alveolar omission of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nguage environment groups and ages interaction. And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anguage environment groups and ages interaction in deaspiration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nguage environment groups and ages.

      • KCI등재

        3세, 4세, 5세 아동의 음운변동 특성

        허명진(Myung Jin Huh),조주은(Ju Eun Jo) 한국언어치료학회 2017 言語治療硏究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on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has been conducted through phonological process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phoneme errors of children. While studies on changes of phonological development with time have been conducted overseas, there has been little to no research in Korea. Hence,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processes of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ive and the difference in phonological process between the ages. Methods: The study selected 48 normal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ive. We visited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Busan region to collect utterance samples, and analyzed phonological processes based on the articulation place and manner using the word test of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U-TAP). Results: Postvocalic deletion, liquids deletion, alveolization, and stopping showed a noticeable in-process in the three-year-old child group. In the four-year-old child group, the study showed noticeable liquid deletion, alveolization, and stopping. In the substitution process of the five-year-old child group, stopping and laxing was noticeable. According to our observation of the phonological process between ag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omission of final consonant, omission of plosive consonant, omission of bilabial, velar fronting, alveolization, and alveolar assimilation i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ive year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asalization in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and five. Conclusion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change in phon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reating and diagnosing articulation and phonology.

      • KCI등재

        초기 단계의 읽기 및 음운 능력과 청각 시간처리 능력의 관계

        이경희,오경자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3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and early reading ability and phonological processing in 123 preschoolers who were 4 to 6 year old.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was measured by administering ‘frequency modulation(FM) detection’ and ‘auditory temporal order judgment(ATOJ)’ tasks. Also, non-verbal IQ,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ccuracy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er's FM detection threshold and ATOJ sco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ading accuracy and phonological awarene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M detection threshold significantly predicted reading accuracy and phonological awareness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age and nonverbal intellige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is a contributing factor in early reading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에서 청각 시간처리 능력과 읽기 능력, 음운처리 능력간의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수행되었다. 만 4, 5, 6세 유치원 아동 123명을 대상으로 청각 시간처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청각 시간순서 판단과제와 2Hz 청각 주파수변조 과제를 실시하였고, 레이븐 지능검사, 음운인식 검사, 단어읽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각 시간순서 판단과제와 2Hz 청각 주파수변조 탐지역치는 읽기정확성과 음운인식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또한 2Hz 청각 주파수변조 탐지역치는 지능과 월령의 영향을 통제하여도 읽기 능력의 발달에 유의한 설명력을 가졌다. 청각 시간처리 능력과 음운처리 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2Hz 청각 주파수변조 탐지역치와 청각 시간순서 판단과제는 음운인식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청각 주파수변조 탐지역치는 연령과 읽기를 통제하여도 음운인식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지녔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각 시간처리 능력이 읽기발달과 음운처리의 발달에 중요한 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지지해주며, 읽기 발달에 대한 청각 시간처리 능력의 영향에 대한 가설이 한글과 같은 비서구권의 언어에도 일반화될 수 있음을 제안해준다. 또한 청각 시간처리 능력은 미취학 아동에서 읽기문제를 조기에 탐지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서 앞으로의 읽기연구에서 좀 더 탐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 KCI등재

        학령전 아동의 발음 오류에 관한 연구 - 음운 변동을 중심으로 -

        김태경 ( Kim Tae-kyung ),백경미 ( Baek Kyung-mi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49 No.-

        본 연구는 만 3~6세 아동들의 발음 오류 가운데 음운 변동에 나타난 연령별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3~6세까지 연령별로 24명씩 총 96명의 자발화를 수집하고 각 음운 변동 오류를 보인 아동들의 수와 해당 오류의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6세 아동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음운 변동은 단모음화, 음절 탈락, 종성 자음 삽입 현상이었고, 2세 이전에 나타난다고 보고된 바 있는 중첩, 음절 도치, 구개음화 등은 3세 이상에서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중성 자음 삽입을 제외한 대부분의 음운 변동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그 빈도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발음 능력 발달에 관한 연령별 지표를 마련하고 개별 분절음의 조음 능력과 연결음의 조음 능력을 구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e studied changes in phonological processes of three to six year-old Korean children. We collected natural utterance data of 96 children, 24for each age group, and analyzed by two ways: number of children showing each process and their frequency of each process. Our data show that glide deletion, syllable deletion, and coda insertion process occurred most frequently. Although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reduplication, syllable inversion, and palatalization process occurred at two years of age, they did not occur at three years of age or older in our study. Most processes decreased whereas coda insertion increased over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improve our knowledge in age-related phonological behaviors and in detecting differences in articulation abilities of an individual sound and sequencing sounds.

      • KCI등재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수에 있어 한자 읽기 교육의 문제 - 중국 어린이의 한자 읽기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신수영,金善娥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7 漢字 漢文敎育 Vol.42 No.-

        한국 어린이들이 중국어를 배우면서 접하는 한자의 학습에 대해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경험에 근 거한 교수법과 방법론 위주로 논의가 이루어지며, 무엇을, 언제, 어떻게 도입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 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학습자의 연령 요소와 그에 따른 인지 발달과 관련된 고려가 부족한 편이다. 본고는 이에 중국 어린이의 한자 읽기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어린이의 한자 교육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알파벳 등 표 음문자를 사용하는 어린이가 발달적 읽기 장애가 있는 경우, 이들의 기억력 장애는 시각적-공간적 자극 처리 능력보다는 음운 인식 능력과 관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중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들이 중국어 읽기 능력의 습득에서 작업 기억의 중요성을 조사하여, 중국어 한자 읽기 에서 음운 인식과 시각적 자극에 대한 처리의 기능을 다각도로 관찰,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 지는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유력하고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중국 어린이 학습자가 언 어적 환경과 인지 발달 단계에 따라 한자 읽기 습득에 있어 음운과 시각적 정보, 두 유형의 인지적 처리 기술이 서로 다른 처리 기제를 가질 수 있으며 두 가지 모두 한자 변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및 학습에서도 한자 읽기의 교수와 학습은 학습자의 인지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교수요목과 교수방식을 선택해 야 하며,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Korea, discussions of character teaching for young learners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such as what characters, when, and how to teach them, have been lacking. Specifically, children’s 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have not been fully considered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Korean children. Hence,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n children’s character learning from empirical studies of how native Chinese children learn to read. Previous studies on children’s reading disorders in alphabetic writing systems have suggested that children’s reading difficulties can be attributed to phonological awareness rather than visuo-spatial processing abilities. Research on Chinese children’s reading development has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working memory in Chinese reading and explored the contributions of phonological and visual processing to Chinese reading.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which modality, phonological or visuo-spatial processing, plays a more significant role in reading Chinese characters among Chinese children. Studies imply that both types of processing are important in character recognition, but linguistic contexts and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in which Chinese children are placed differentiate the contribution of each mode of processing. Therefore,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Korean child learners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haracter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phases of learners, and more empirical studies on this issue need to be conducted.

      • 읽기 학습장애 위험아동 조기선별을 위한 음운처리과정과 초기읽기의 발달패턴 분석

        김희진(Kim Hee Jin),김동일(Kim Dong-il)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

        본 연구는 읽기 학습장애 위험아동을 조기선별 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학령 전 아동의 음운처리과정과 초기읽기 능력의 발달패턴을 분석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외 선행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발한 음운처리과정 및 초기읽기 능력검사는 다음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음운인식, 음운적 작업기억, 음운적 정보회상, 단어인지, 읽기 유창성.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 만 4,5세 일반아동 총 52명을 대상으로, 총 3회기(10월, 11월, 12월)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음운처리과정 능력에 따른 세 하위집단 간 초기읽기 능력의 발달패턴, 특히 진전도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음운처리과정 능력이 뛰어난 아동들은 초기읽기 검사에서 높은 성취수준을 보일 뿐 아니라 빠른 발달속도를 보이는 반면, 음운처리과정 능력이 낮은 아동들은 초기읽기의 성취수준이 낮고 발달속도도 상대적으로 매우 느린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reading outcomes by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nd early reading abilities for struggling read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fundamental foundation to develop measurement for early identification of reading difficulties for children at risk for reading disabled.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early reading abilities of the normal preschool children, native speakers of Korea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nd early reading abilities for normal preschool children is; (2)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early reading abilities' development among the groups by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The following two major conclusions were presented by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pattern: 1. Children's achievement level and growth increase with time. As children's age increases, so does their achievement level. However, the growth increases regardless of children's age except reading fluency test. 2. Among the groups by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level, the upper group is shown to faster growth rate in the early reading abilities than the lower group. All the groups demonstr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growth.

      • KCI등재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Conversational Speech Produced by 2- and 4-Year-Old Children

        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말소리 습득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음운오류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가장 타당한 문맥은 자발화이다. 문헌고찰을 통해 안정적인 말소리 패턴이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알려진 2세의 자발화 분석을 통해 초기음운오류패턴을 확인하고, 다시 이러한 초기 패턴이 사라지는 것으로 알려진 4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후기까지 남아 있는 후기 음운오류패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세와 4세 각 집단 별로 20명씩 총 40명의 자발화에서 50어절씩을 추출하여 음운변동을 구하고 각 변동 별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하였다. 결과: 2세에서 주로 관찰되는 초기오류패턴은 음절탈락, 종성탈락, 유음탈락, 마찰음ㆍ파찰음ㆍ유음의 파열음화, 마찰음의 파찰음화, 활음화, 연구개음 전방화, 긴장음화였으며, 4세 이후에도 남아있는 후기오류패턴은 어중종성탈락과 유음탈락, 마찰음ㆍ파찰음의 파열음화, 연구개음 전방화와 경음화 등이었으며 유음탈락과 어중종성탈락, 마찰음의 파열음화와 경음화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자발화 문맥에서 적용하기에 편리하도록 고안된 발달적 음운변동 분석의 기본적인 준거 틀을 검증하였으며, 자발화에서 나타나는 초기와 후기 음운오류패턴의 발달적 비교 준거를 제공하였다. 단어유도 문맥에서 나온 이전 연구들에 비해 자발화에서 유도한 결과 음소탈락과 동화가 적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말소리장애아동의 자발화를 통한 음운 진단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가 발달적 오류패턴특성인지 판단하는 것과, 음운치료목표를 수립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Most studies have examined the developmental error patterns of speech sounds based on elicited word productions. Howev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ech sound productions in conversational speech in 2- and 4-year-old children. The application of articulation tests for the Korean language were administered and the analyses of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were conducted. Methods: A total of forty typically developing monolingual Korean children, twenty children per group in the ages of 2 and 4, who had no speech, language, hearing or cognitive problems, and participated.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participants' homes during daily activities, including play and regular conversations with their mother. A total of 50 eojeols were analyzed. The error patterns for each age group were examined. Results: Syllable deletion, coda deletion, liquid deletion, stopping, affrication, gliding, fronting, and tensing were found in a quarter of 2-year-old children. Early phonological error patterns (syllable deletion & word-final coda deletion) appeared to disappear by age 4. Word-medical coda deletion, liquid deletion, stopping and tensing are found in a quarter of 4 year-old children. There were quite a few omissions and assimilations of phonemes in younger children, which appeared to be related to conversational speech as opposed to elicited word productions. Conclusion: The results depicted the early and late developmental phonological error patterns in Korean conversational speech. In addition, the clinical implication was discussed with respect to developmental speech disorders.

      • KCI등재

        초등 1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낱말 해독,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자소 지식

        양유나(Yang, Yuna),배소영(Pae, Soyeong) 한국음성학회 2018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word decoding skills, phonological awareness (PA),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skills, and letter knowledge of first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and those who were typically developing (TD). Eighteen children with DD and eighteen TD children, matched by nonverbal intelligence and discourse abi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Word decoding of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Pae et al., 2015) was conducted. Phoneme-grapheme correspondent wor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whether the word has meaning, whether the syllable has a final consonant, and the position of the grapheme in the syllable. Letter knowledge asked about the names and sounds of 12 consonants and 6 vowels. The children’s PA of word, syllable, body-coda, and phoneme blending was tested. Object and letter RAN was measured in seconds. The decoding difficulty of non-words was more noticeable in the DD group than in the TD one. The TD children read the syllable initial and syllable final position with 99% correctness. Children with DD read with 80% and 82% correctnes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D group had more difficulty in decoding words with two patchims when compared with the TD one. The DD group read only 57% of words with two patchims correctly, while the TD one read 91% correc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coda PA, phoneme level PA, letter RAN, object RAN, and letter-sound knowledg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Korean developmental dyslexics, and the urgent need for the inclusion of a Korean-specific phonics approach in the education system.

      • KCI등재

        어중 두 자음 연쇄 조건에서 나타나는 3∼4세 아동의 종성 발달

        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일반아동의 말소리발달과 기능적 음운장애 아동의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어중 두 자음 연쇄 조건에서 3~4세 일반아동들의 연령에 따른 오류, 어중종성의 종류에 따른 오류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어중종성의 음운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후행 어중초성의 종류에 따라 오류율이 달라지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3세부터 4세까지의 아동을 6개월 단위로 네 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한 집단은 각각 남아 4명, 여아 4명, 8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32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어중종성과 어중초성의 가능한 연쇄 77개의 경우에 대하여 고유낱말로 평가문항을 구성하고 전달구에 넣어 따라 말하기를 통해 유도하여 녹음하고 전사한 뒤 분석에 이용하였다. 결과: 연령별로 네 집단 특히 3세 전후반 집단은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으며, 4세에 이르면 어중종성이 따라 말하기 조건에서 완전습득 되었다. 어중종성의 발달은 치경음, 양순음, 연구개음 순서로 이루어지며 어중초성에 폐쇄음이 올 때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 결과는 3~4세 일반아동의 어중종성 발달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말소리장애가 있는 아동의 어중종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오류패턴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평가문항이 보강되어야 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Korean children differ in the phonological process of coda at word-medial and word-final position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error patterns in word-medial position codas when working with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In order to further develop evaluation tools to aid these children, this study investigated coda error patterns in word-medial positions in normally developing Korean children between the agesof 3 and 4.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24 children, ages 3 to 4, without speech and language delay.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age(with 6 month age gaps). Seventy-seven artificial words with every possible bi-consonants matrix at the word-medial position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Results: The findings are described below. First, the early 3 year old group(group Ⅰ) showed more significant errors than the three other groups(group Ⅱ, Ⅲ, and Ⅳ). Seco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oda consonant pronunciation went from velar, bilabial, and alveolar sounds according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The most difficult sound was velar stop/k┓/. Third, stop sounds after a coda showed more errors than other sounds(affricate, fricative, nasal, and lateral). In addition, sonorant sounds after a coda showed fewer errors than obstruent sound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in Korean word-medial position codas. Error rates differed according to (1)age, (2)placement and manner of articulation for coda consonants, and (3)consecutive sounds. In order to support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we should continue to develop a test for codas in the word-medial position.

      • KCI등재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의 읽기중재 효과

        김수진(Soo-Jin Kim),이지영(Ji-Young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1

        배경 및 목적: 아직까지 우리글 읽기에서 음운변동이 포함된 단어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거나 그 효과가 검증된 바 없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읽기중재 프로그램들을 응용하여 개발, 적용한 뒤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대상은 모두정신지체로 언어발달과 읽기발달이 지체된 중학생이다. 훈련목표는 경음화, 구개음화, 유음화가 적용된 단어로 하였으며 중재프로그램은 다감각접근법을 수정하여 5단계의 훈련과정을 개발하여 적 용하였다. 결과: 첫째, 다감각접근 응용프로그램이 세 아동의 경음화, 구개음화, 유음화 변동 습득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세 아동 모두 음운변동 적용 읽기기술이 비훈련단어에도 일반화되었다. 셋째, 기초선과 비교할 때에는 유지기간의 수행이 개선되었으나, 훈련기간의 습득수준과 비교하여 볼때 세 아동 모두 수행수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는 중고등학교 읽기장애 아동에게 개별화된 목표를 통해 다감각접근법 응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읽기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유지 수준은 정신지체로 인한 읽기장애 아동들에게는 반복훈련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어 고유의 특징을 반영한 읽기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학교에서의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ew combining multisensory reading treatment program for teaching the specific Korean phonological processes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caused by mental retardation. Methods: The new program is a combination the multisensory (AVK: Auditory, Visual and Kinesthetic) approach, the wholistic approach and metalinguistic approach. When reading aloud, phonological processes should be adopted in order to understand and transmit the meaning of the words. The targets of treatment for reading pronunciation with the phonological process were tensification, pala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The participants were three children with reading pronunciation difficulties in tensification, pala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A multiple probe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treatment and generalization effects. Results: First, all three children improved on tensification, palatalization, and lateralization by the new combining multisensory reading treatment program. Second, it was effective in facilitating generalization on untrained words. Three children presented prominent generalization effects in lateralization. Third, the children were found to maintain partially their performance rates of the later phase of the reading with phonological process intervention three week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train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need of developing specialized Korean reading treatment program and individualized reading treatment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