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창업기업 동적역량의 조합된 효과가 신제품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홍인기,김형준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22 마케팅논집 Vol.30 No.4

        Existing studies consistently show that a company's dynamic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Dynamic capability consists of exploitation capability and exploration capability, and ambivalence is the key to dynamic capability. When these two capabilities are combined, additional effects of a balance dimension and a combination dimension occur, which can further enhance the effect of dynamic capabilities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Therefore a study on the combined dimensional effect of dynamic competencies can explain how the combined effects of dynamic capabilities affect competitive advantag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strategies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effect of dynamic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study, the effects of the combination dimension and the balance dimension of dynamic capabilities existed additionally,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And the effect of the balance dimension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dimension. The positive effect of the balance dimension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was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company's years. In the case of combination dimension, only when the company's years was relatively high,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ew products. 기존의 연구는 기업의 동적역량이 신제품 경쟁우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동적역량은 탐색역량과 활용역량으로 구성되며 두 역량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 즉, 양면성이 동적역량의 핵심이다. 이처럼 두 가지 역량을 조합할 때 균형차원과 조합차원이라는 추가적인 효과가 발생하여 동적역량이 신제품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창업기업은 자원이 부족하며 따라서 역량의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동적역량의 조합된 차원효과에 대한 연구는 동적역량의 조합된 효과가 상황에 따라 어떻게 경쟁우위에 영향을 주는지를 설명하고 동적역량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증연구 결과, 동적역량의 조합차원과 균형차원의 효과는 추가적으로 존재했으며, 신제품 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그 영향은 균형차원의 영향이 조합차원의 영향보다 중요했다. 균형차원이 신제품 경쟁우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기업의 업력과 무관하게 유의하였다. 조합차원의 경우, 기업의 업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만 신제품 경쟁우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 업력이 낮은 기술창업기업의 경우 탐색역량과 활용역량을 동시에 균형있게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 동적역량이 신제품 경쟁우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유리한 전략이고, 업력이 높아짐에 따라 조합차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The Influence of Knowledge Heterogeneity on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Knowledge Absorptive Capability and Knowledge Combination Capability

        현우기,민상훈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3 국제경영리뷰 Vol.27 No.3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subsidiaries of a multinational enterprise (MNE) is the key of the MNE's survival and development in the increasingly competitive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issue of how to promote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However, studies do not systematically reveal the mechanisms of the effects of knowledge heterogeneity on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Thus, based on knowledge-based view, absorptive capability theory and dynamic capability theor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internal knowledge heterogeneity (IKH) and external knowledge heterogeneity (EKH) on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by focusing on moderating roles of the knowledge absorptive capability and knowledge combination capability. The results of a field survey of 343 subsidiaries in China indicate that IKH is positively related to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and EKH is positively related to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Besides, the findings provide that knowledge absorptive capability strengthens the effects of IKH and EKH on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such that the higher the knowledge absorptive capability,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s between IKH and EKH as well as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Knowledge combination capability also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IKH and EKH and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such that the higher the knowledge combination capability,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s between IKH and EKH as well as subsidiary innovation performanc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공급사슬성과에 관한 다각적 연구

        박광오(Park, KwangO),채호창(Chae, HoChang) 한국물류학회 2016 물류학회지 Vol.26 No.1

        SCM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SCM 주요성공요인 파악에 관한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범위가 주로 동적특성들에 국한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CM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정보공유, 상호의존도, 파트너십 품질변수를 도출하여, 이들 간의 상호영향관계를 모형화하고, 이들 간의 관계가 조합적 경쟁역량으로 측정된 SCM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SCM 도입성과는 정성적 측정방법론, 정량적 측정방법론 등을 통하여 측정되고 있지만, SCM 성과를 측정하는데 완벽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차원에서 SCM 성과를 측정하는 노력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CM 도입성과를 제품품질, 인도속도, 프로세스 유연성, 가격리더십 측면에서 측정하는 방법인 조합적 경쟁역량 측면에서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공유는 파트너십 품질 및 조합적 경쟁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공유는 파트너십 품질을 통해서도 조합적 경쟁역량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의존도 역시 파트너십 품질 및 조합적 경쟁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의존도는 파트너십 품질을 통해서도 조합적 경쟁역량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파트너십 품질 또한 성과변수인 조합적 경쟁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xisting research of SCM is dominated by research of understanding major success factors, therefore, research on models that describe SCM performance is needed. Therefor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C dynamic characteristic, SC static characteristic and partnership characteristic, modelize the mutual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look into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influencing the SCM performance. Moreover, the current SCM performance is being measured through financial researches, non-financial researches on SCM performance measurement are not sufficiently reviewed as each of the methodologies have limitations. There, SCM performance is to be measured in the Combinative Capabilities in this research. In this study, Combinative Capabilities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product quality, delivery speed, process flexibility, price leadership. The four factor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e Information Sharing, Mutual Dependency, Partnership Quality, Combinative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formation shar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artnership quality, combinative capabilities.. Also, information sharing had indirect impact on combinative capabilities through partnership quality. Secondly, mutual dependency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artnership quality, combinative capabilities. Also, mutual dependency had indirect impact on combinative capabilities through partnership quality. Lastly, partnership quality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mbinative capabilities.

      • KCI우수등재

        복합적응시스템으로서 공급사슬네트워크의 환경, 전략, 그리고 성과에 관한 연구

        류춘호(Choon Ho Ryu),이정호(Joung Ho Lee) 한국경영학회 2008 經營學硏究 Vol.37 No.3

        This study addresses manufacturers` ability to influence their supply chain network in order to adapt to their competitiv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a manufacture, the supply chain comprises a network of suppliers and customers, and is theoretically viewed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The supply chain network is the set of suppliers and customers whose strategies, products, technologies, and systems can be influenced by the manufacturers. Different degrees of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emerge, which this study defines as the ability of the supply chain network to reconfigure and adjust its operations in the face of changing competitive environments. This study considers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can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be operationally defined? (2) How does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lead to combinative capabilities? (3) What is the influence of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on business performance? Drawing on literature streams in supply chain management, operations strategy, organizational change and learning, and complexity theory, this study develops and tests the constructs and operational measures of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and model the nomological set of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that form the basis of our theory. This study then develops and tests a model describing the outcomes of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and its influence on combinative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Using data from 234 supply chain managers, this study tests for the effects of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on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activities and for the effects of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on combinative capability. Based on complex adaptive system theory, this study develops eight competencies that characterize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in supply chain network practices: partner compatibility, supplier information exchange, customer information exchange, implementation capacity, management openness, supplier empowerment, customer openness, and landscape awareness.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daptability supply chain network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combinative capability. Further, this study finds that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does not impact business performance directly, but rather is mediated through combinative capability, which provides the requisite variety for firms to survive and thrive in dynamic environments. Ultimately, it is possible and desirable for manufacturers to strengthen exploitation and exploration practices simultaneously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ability of supply chain network and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인성론과 교육론에 대한 일고찰

        김민재(Kim, Min-jae)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0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최대의 양명학자로 꼽히는 하곡 정제두의 인간 본성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고, 여기에 기초하여 그의 교육철학과 교육방법론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정제두의 사상을 도덕교육 또는 가정교육과 연결시켜 조명한 몇 편의 연구가 있기는 하지만, 인성론과 교육론 일반에 집중하여 이루어진 연구는 전무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황이나 이이 같은 학자들이 리(理)라는 유가적 상징에 비추어 인간 본성을 설명한 것과 비교할 때, 정제두는 인간 본성을 마음 이상의 것으로 풀이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정제두에게 있어 인간 본성이란, 우리 마음의 순선함이자 양지(良知)의 본체이며 명덕(明德)이기 때문이다. 이런 전제 하에 그의 인성론이 지니는 특징을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인간 본성은 양지의 체(體)와 연결됨과 동시에 실제로 감지되는 것이다. ⓑ 둘째, 인간본성은 사람이라면 결코 떠날 수 없는 근간이자 인의예지의 사덕(四德)이며, 내 마음의 양지가 사물(태)에 대해 마땅하면서도 타당한 조리를 발출할 수 있게끔 하는 근원이다. ⓒ 셋째, 인간 본성은 동(動)과 정(靜), 미발과 이발의 구분에서 정이나 미발과 직결되는 개념이 아니다. 요약하자면, 정제두의 사상에서 인간 본성이란 우리의 마음이 사욕에 가리지 않은 도덕적 상태, 즉 ‘도덕심’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간의 도덕심에 대한 신념이 반영된 정제두의 교육론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철학과 교육방법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교육철학과 관련해 제시할 수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정제두가 공부의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긴 것은 본령을 세우는 일이었다. ⓑ 둘째, 그는 행위로 인해 발생한 결과보다는, 행위자 내면의 마음 상태, 즉 동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 셋째, 그는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투철한 비판의식을 견지하면서도, 수용적이며 편견 없는 태도를 강조했다. 요컨대 정제두의 교육철학은 능동성과 주체성을 강조한 희망적, 낙관적 성격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정제두의 교육방법론을 ‘마음의 수렴?발산’의 통합이라고 제시한 뒤, 두 가지 특징을 언급하였다. ⓐ 첫째, 정제두는 덕의 성취가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라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그 과정에 있어 상황, 내용, 학습자의 재질에 따라 차등을 둘 수 있음을 강조했다. ⓑ 둘째, 정제두는 학습자들의 ‘정신적 역량의 여유’를 중요하게 여겼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Hagok Jeong, Je-du’s human nature, his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methodology based on this. For Jeong, Je-du, human nature is goodness, basis, and bright virtue of our heart. Under this premis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of human nature as follows. First, Jeong, Je-du described human nature as the basis of our heart, which is actually sensed. Second, human nature is the four virtues[四德], from this human nature, right principle comes. Third, human nature is not the concept directly connected with serenity, in the division of movement[動] and serenity[靜]. In brief, in his idea, human nature is the moral status, that is, a sense of morality which is not interrupted by selfish interests. In respect of Jeong, Je-du’s theory of education which reflected belief in human sense of morality, this research investigated by dividing into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methodology. The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suggested by being related to educational philosophy are as follows. First, the point which Jeong, Je-du the most highly regarded in the process of study was to establish basis. Second, he focused on the internal mind state of the agent, that is, the motive. Third, he emphasized receptive and open-minded attitude along with thorough criticism. In short, Jeong, Je-du’s educational philosophy can be determined to be wishful and optimistic character which emphasized activity and independence. Also, this research stated two characteristics, after suggesting Jeong, Je-du’s educational methodology as combination of convergence?divergence of mind. First, Jeong, Je-du highly regarded achievement of virtue, however, he thought that the process of education could be graded according to situation, content, and the learners’ capability. Second, Jeong, Je-du highly regarded the learners’ composure of mental capability.

      • KCI등재

        구미 중소제조기업 연구개발 속도에 미치는 혁신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구상,조중길,신지욱,김태성 한국융합학회 2016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7 No.6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프로세의 문제점을 진단 하고, 혁신역량이 연구개발 속도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이러한 영향에 대한 평가는 혁신역량에 관한 요인의 융복합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유형에 따른 발전방향성을 파악할 수 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혁신역량 및 경영환경에 따라 연구개발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연구의 신뢰성과 유효성 검증을 위해 내부 일관성을 나타내는 크론바흐 알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개발 속도가 R&D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연구이고, 기업의 내부 역량에 관한 자원을 기반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로 학술적 가치를 갖는다. 각각의 요인에 대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기업개발역량 수준 유지를 통해 연구개발, 재무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며 기업의 전략 수립에 미치는 연구개발 역량 개발에 근거가 될 수 있는 실무적 가치가 있는 연구이다.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diagnosed the problem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evaluated the influence of innovative ability on the spee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evaluating these effect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direction of power gen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the meltdown factor of factors related to innovative capabil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n the spee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innovative capacity and business environment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by Klumbach alpha Was used.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how the speed of R & D affects R & D activities, it is a research aimed at the necessity of a resource-based approach to the internal capacity of a company, Have a valuable value. Based on the influence on the company, each factor is a research that analyzed the influence on R & D and financial indicators through maintaining company's development level, Research that has practical value that can base on the development of R & D capacity on corporate strategy formulation.

      • KCI등재

        조합 역량과 습득 역량이 해외 R&D 자회사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일본 다국적 기업 해외 연구소에 관한 연구

        박연진(제1저자) ( Yeon Jin Park ),송재용(교신저자) ( Jae Yong Song ),( Kazuhiro Asakawa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6 國際經營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일본 다국적 기업의 해외 연구소에 관한 실증 연구를 통하여 다국적 기업 해외 R&D 자회사의 조합역량, 습득 역량, 자율성이 자회사의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증하는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혁신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다양한 지식의 원천에서 어떻게 지식을 골고루 습득하고 조합하여 활용하는지가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자회사의 혁신 역량의 원천을 습득 역량(sourcingcapability)과 조합 역량(combinative capability)으로 구분한 후 이 역량들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 분석하였다. 특히 조합 역량을 본국과 현지, 그 외의 국가의 지식들을 조합하는 역량과 다국적 기업 내부의 지식과 외부의 지식을 조합하는 역량으로 세분하고 각각의 조합 역량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을 수립하였다. 또한 조합 역량이 습득 역량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지와 자율성이 조합 역량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일본 다국적 기업의 해외 연구소에 관한 설문 자료와 특허 자료를 결합하여 실행한 음이항 회귀 분석 결과 해외 자회사의 본국-현지-그 외의 국가의 지식을 조합하는 역량과 습득 역량, 자율성이 해외 자회사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국-현지-그 외 국가의 지식을 조합하는 역량이 해외 자회사의 습득 역량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습득 역량과 조합 역량은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innovative performance of overseas R&D subsidiaries by analyzing data from overseas R&D laboratories of Japanese multinational corporations. After classifying the capabilities of the overseas R&D labs as sourcing capabilities and combinative capabilities,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such capabilities on innovative performance. This paper focused on the impacts of the two types of combinative capabilities associated with the abilities to combine and utilize knowledge from different knowledge sources on subsidiary innovative performance. This paper also explored the moderating role of combinative capabilities and autonomy. Statistical findings from negative binomial regressions with integrated data from surveys and patent data of overseas R&D laboratories of Japanese MNCs revealed that combinative capability related to combined knowledge from home country, host country, and other countr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subsidiary innovation. Additionally,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both sourcing capability and autonomy have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performance on an overseas R&D subsidiary. Furthermore, the degree of combinative capability related to utilizing knowledge from home country, host country, and other countries served to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urcing capability and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an overseas R&D subsidiary.

      • 제조업체의 환경, 전략, 그리고 성과에 관한 연구

        이정호,류춘호 한국경영학회 2007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07 No.8

        본 연구는 제조업체의 조합적 경쟁역량의 개념을 경쟁환경에 대하여 조작화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조합적 경쟁역량의 사업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제조업체가 경쟁환경에 적합한 경쟁역량을 획득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초적 이론의 고찰을 기반으로 제조업체의 조합적 경쟁역량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가설의 설정과 더불어 조합적 경쟁역량이 사업성과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지니는지, 그리고 조합적 경쟁역량이 경쟁환경에 대응하여 사업성과를 유도하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관한 가설들을 설정한 후, 이들을 표본으로 선정된 1 차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제조업체가 현재의 역량을 활용하고 미래의 기회를 탐색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선택되고 제한되는 경쟁역량들을 동시에 누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업체가 각각의 개별 경쟁역량들 조합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notion of combinative capability in manufacturing firm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competitive environment, combinative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Drawing on literature streams in operations strateg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study develops and tests the constructs and operational measures of combinative capability of manufacturers and models the nomological set of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that form the basis of our theory. Using data from 170 operational managers, this study tests for effects of combinative capability on product quality, delivery speed, process flexibility, and price leadership and for effects of combinative capability on business performanc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combinative capability can be viewed as an accumulation of individual capabilities that manufacturing firms can simultaneously improve and strengthen. This study points out in an alternative way that these combinative capabilities can be acquired.

      • KCI등재

        제조업체의 환경, 전략, 그리고 성과에 관한 연구 - 조합적 경쟁역량의 개념화를 중심으로 : 제조업체의 환경, 전략, 그리고 성과에 관한 연구

        이정호(Joung-Ho Lee),류춘호(Choon-Ho Ryu) 한국생산관리학회 2007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제조업체의 조합적 경쟁역량의 개념을 경쟁환경에 대하여 조작화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조합적 경쟁역량의 사업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제조업체가 경쟁환경에 적합한 경쟁역량을 획득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초적 이론의 고찰을 기반으로 제조업체의 조합적 경쟁역량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가설의 설정과 더불어 조합적 경쟁역량이 사업성과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지니는지, 그리고 조합적 경쟁역량이 경쟁환경에 대응하여 사업성과를 유도하는 방법은 무엇인지에 관한 가설들을 설정한 후, 이들을 표본으로 선정된 1차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제조업체가 현재의 역량을 활용하고 미래의 기회를 탐색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선택되고 제한되는 경쟁역량들을 동시에 누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업체가 각각의 개별 경쟁역량들 조합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notion of combinative capability in manufacturing firm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competitive environment, combinative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Drawing on literature streams in operations strateg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study develops and tests the constructs and operational measures of combinative capability of manufacturers and models the nomological set of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that form the basis of our theory. Using data from 170 operational managers, this study tests for effects of combinative capability on product quality, delivery speed, process flexibility, and price leadership and for effects of combinative capability on business performanc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combinative capability can be viewed as an accumulation of individual capabilities that manufacturing firms can simultaneously improve and strengthen. This study points out in an alternative way that these combinative capability can be acquired.

      • 발전기 공급능력 산정 및 예측 기술개발

        김의환,안영모,홍은기,Kim, Euihwan,An, Youngmo,Hong, Eunkee 한국전력공사 2016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ol.2 No.3

        Supply Capability of the generator, if the maximum demand occurs, refers to the maximum power that can be stably suppli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stable power supply to be greater than actual load. However, unexpected power demand and reduction in supply Capability due to stop of unexpected generator in operation can temporarily make a big chaos in power system. In fact, due to a lack of power supply Capability in the country, enforced emergency load adjustment to the September 15, 2011, the circulation power outage has occurred in several cities. As the result, interrupted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stopped hospital medical equipment led to a great deal of trouble to people's lives, causing a social problem. At that time, it was found that a failed frequency control because of smaller actual supply Capability than that of predicted. The difference was about 1,170 MW with Gas turbine power plant. By accurately calculating the generator supply capability, we can not only grasp the power reserve rate, but also correspond to the time of power supply in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