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지성과 장자 의 지식관

        김태용 동양철학연구회 2023 東洋哲學硏究 Vol.116 No.-

        이 글은 디지털시대의 연구주제인 ‘집단지성’의 관점으로 장자 의 지식관을 재고한다. ‘집단지성’의 지성은 ‘문제해결 능력’이다. 그러므로 ‘집단지성’은 ‘집합적 문제해결 능력’ 또는 ‘집합적으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뜻한다. ‘집단지성’의 힘이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집단지성’을 형성하는 개별 행위자의 능력과 다양성이다. 지성의 주체로서 소수 엘리트를 강조하는 유가와 달리, 도가에서는 신분과 직업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도’를 깨달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도가에서는 소수의 엘리트가 아닌 다수의 대중이 지성의 주체이다. 장자 에서 지식을 일상적 지식과 ‘진지’로 나누고, ‘진인’이어야만 ‘진지’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런데 정신노동자뿐만 아니라 육체노동자도 ‘진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진지’를 얻는 것은 단순히 지식을 얻는 것이 아니라, 지성 즉 문제해결능력을 얻는 것이다. 보통 사람도 일련의 수양을 통해 ‘도’를 깨달아 ‘진인’이 될 수 있지만, 그 깨달은 ‘도’를 다른 사람에게 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진지’를 얻는 것은 개별적 주체의 몫이고, 독립적이다. 또한 사람들이 ‘진지’를 얻는 방식은 유사하지만 그 구체적 방법은 타고난 성품과 생활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성과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깨달은 ‘도’는 다르지 않다.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동일한 ‘도’를 깨닫지만, ‘도’를 자신의 일에 임기응변적으로 적용하여 자신의 분야에서 궁극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 특히 ‘진인’은 각자 독자적 전문영역에서 습득한 자신만의 일상적 지식을 ‘진지’ 속에 수렴하기 때문에 ‘진인’의 지성이 동일하지 않다. 장자 에서는 제자백가를 ‘일곡지사’라고 칭한다. 그런데 ‘진인’도 처음에는 ‘일곡지사’였다. ‘방술’을 탐구하는 제자백가와 ‘도술’에 정통한 ‘진인’의 차이는 자신의 지식에 대한 생각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진인’이 된 ‘일곡지사’는 자기 지식의 부족을 깨닫고 정진하였다. 반면 제자백가는 자기 지식의 완전성을 굳게 믿고, 다른 사람의 지식을 포용하지 않고 변별한다. 이처럼 장자 에서는 ‘집단지성’에서 강조하는 보통 사람의 지적 능력과 다양성을 긍정한다. 보통 사람이 자기 자신의 협애성을 인정하고 자기 자신이 가치와 이념의 굴레 속에 갇혀 있는 것을 자각하여 거기서 벗어나 ‘도’를 추구한다면, 그가 정신노동자이든 육체노동자이든 상관없이 ‘진지’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장자 에서는 개별 행위자의 지적 협력을 말하지 않고 ‘진인’의 개별능력만을 강조한다. 만약 ‘진인’의 ‘도술’을 장자 에서 ‘집단지성’과 같은 인류 사회적 역할을 하는 능력으로 간주한다면, 개별 행위자의 능력이 결합한 ‘집단지성’이 아니라 ‘진인’의 개별능력인 ‘도술’을 창조, 혁신, 발명 과정에 보편적으로 적용해야만 인류의 위대한 업적을 이룰 수 있다. This article reconsiders Zhuangzi ’s view of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 research topic in the digital era. The intellige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is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collective intelligence’ means ‘collective problem-solving ability’ or ‘the ability to collectively solve difficult problems.’ In order for the power of ‘collective intelligence’ to be properly demonstrated, what is important is the ability and diversity of individual actors forming ‘collective intelligence’. Unlike Confucianism, which emphasizes a small elite as the subject of intelligence, Taoism claims that everyone can realize ‘Tao’ regardless of status or occupation. In other words, in Taoism, the majority of people, not a few elites, are the subjects of intelligence. In Zhuangzi , knowledge is divided into ordinary knowledge and ‘the true knowledge’, and it is emphasized that only ‘the true man’ can attain ‘the true knowledge’. However, not only mental workers but also manual workers can become ‘the true man’. And gaining ‘the true knowledge’ is not simply gaining knowledge, but gaining intelligence, that i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n ordinary man can realize ‘Tao’ through a series of disciplines and become ‘the true man’, but he cannot convey the realized ‘Tao’ to others. Therefore, gaining ‘the true knowledge’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ividual subject and is independent. Also, the ways in which people acquire ‘the true knowledge’ are similar, but the specific methods vary depending on one's innate personality and living environment. However, despite this independence and diversity, ‘Tao’ that people have realized is not different. People working in various fields realize the same ‘Tao’, but they can reach the ultimate level in their field by applying ‘Tao’ to their work flexibly. In particular, since each ‘the true man’ converges his own ordinary knowledge, acquired in his own specialized field into ‘the true knowledge’, the intelligence of ‘the true man’ is not all the same. In Zhuangzi , the disciple Hundred schools of thought is called ‘the scholar of a corner(一曲之士)’. However, ‘the true man’ was also ‘The scholar of a corner’ at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Hundred schools of thought disciple who explores ‘the methods(方術)’ and ‘the true man’ who is well versed in ‘the method of Tao(道術)’ comes from the difference in thinking about one’s own knowledge. ‘The scholar of a corner’, who became ‘the true man’, realized his lack of knowledge and devoted himself to it. On the other hand, disciples firmly believe in the perfection of their own knowledge and do not embrace other people's knowledge but discriminate against it. In this way, Zhuangzi affirms the intellectual ability and diversity of ordinary people emphasized in ‘collective intelligence’. If an ordinary man acknowledges his own limitedness, realizes that he is trapped in the shackles of values and ideologies, and breaks free from it and pursues 'Tao', he can attain ‘the true knowledge’ regardless of whether he is a mental worker or a manual worker. However, in Zhuangzi , it does not mention individual actors's intellectual cooperation, but only emphasizes the individual abilities of ‘the true man’. If 'the method of Tao' of ‘the true man’ is considered to play a social role like ‘collective intelligence’ in Zhuangzi , great achievements of mankind can be achieved only by universally applying this ‘the method of Tao’, which are the individual abilities of ‘the true man’, to the process of creation, innovation, and invention, rather than ‘collective intelligence’ combining the abilities of individual actors.

      • KCI등재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이화영,조남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youths’ social media activities on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ommunity on their relationship.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on 305 valid questionnaires. There were several key findings that resulted. First, the amount of youths’ social media use and the reason for use, sense of communit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the amount of youths’ social media use and the reason for use positively influenced collective intelligence. Additionally, a sense of commun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social media us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son for using social media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ir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collective intelligence was the reason for using social media, and in particular, the subfactor of seeking in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social media has become a daily activity for youths to briefly and frequently access and obtain the information they need; they experience a strong emotional connection when interacting with a large number of members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and clear goals and a high level of a sense of community likely lead to a manifest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particular, youths who use social media when seeking information are likely to generat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be better able to utilize it. The study has particular merit in that i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a sense of community in explaining coll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collective intelligenc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ahea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the sense of community is expected to emerge as an important factor for enhancing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ocial capital in the future. This will have major implications for ongoing development and research on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youths’ sense of commun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이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 간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청소년 30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 공동체의식, 집단지성은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SNS 이용 강도와 이용 동기는 집단지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이용 강도와 집단지성, SNS 이용 동기와 집단지성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지성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 동기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정보추구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에게 SNS는 짧은 시간, 수시로 접속하여 자신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일상적 행위가 되었으며, 그러한 이용행태로 다수의 구성원과 상호작용할 때 강한 감정적 연계를 느끼며 분명한 목적을 인식하고 높은 공동체의식을 갖춤으로써 집단지성 발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정보를 목적으로 SNS를 이용하는 청소년이 집단지성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 활동과 집단지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집단지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공동체의식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집단지성은 4차 산업혁명을 앞둔 시점에서 사회적 자본 형성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을 통한 집단지성의 향상은 앞으로 사회적 자본의 양과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집단지성과 지적 해방에 대한 고찰

        주형일(Joo, Hyoung-Il)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digital media an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o reconsider collective intelligence as a result of intellectual emancipation. Collective intelligence is usually considered as a shared intelligence that emerges from the collaboration of many individuals via digital media like internet. Many researchers emphasize the role of ordinary people in the collabor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kind of intelligence is seen as opposite to intelligence of intellectuals or experts and can be identified as wisdom of crowds. The discourse dividing the intellectuals from the mass dominate the discussions about collective intelligence. But collective intelligence is possible on condition that everyone is considered to be intellectually equal. Because only on that condition has everyone the equal power to participate in the collabor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 KCI등재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에 대한 언론 프레이밍 연구

        임윤서 한국정치정보학회 2010 정치정보연구 Vol.13 No.2

        Method for public to express their opinion through collective behavior is more actively and diversely manifested under the highly advanced cyber network in the contemporary society. Namely, this type of public participatory culture actively transcending to online up to off-line is to be intelligent itself through raising the active issues. This type of situation would be the unprecedented original change and can be considered as new symptoms of social change. This type of phenomenon is similar to the having powerful resistance from the public with the discriminatory approach that has been contributed to the specialization of knowledge for a long time and the solid united system of knowledge power in exclusive ownership. This study is aimed at contemplating how the press looks into the 'Collective Intelligence' phenomenon as the collective behavior of the public that is generated in entire territorie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under such situation in time in what framework. In more concrete terms, a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presented by the framing of the press, it intends to find out what image of 'public' is, what is the attitude and position of the press on the 'public' a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with certain image, and what are the alternatives evaluated and presented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s displayed negatively by analyzing the frameworks used in the major newspaper articles. 대중이 집단적 행동을 통해 자신들의 견해를 표명하는 방식은 현대사회에 고도로 발달된 사이버 네트워크 속에서 더욱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즉 온라인을 중심으로 오프라인까지 활발하게 넘나드는 이러한 대중적 참여문화는 이슈에 대한 적극적 문제제기를 통해 스스로 지성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전례가 없는 근원적 변화이며 사회변동의 새로운 징후로 평가할 만하다. 이와 같은 현상들은 오랫동안 지식의 전문화에 기여해 왔던 차별적 접근과 배타적 소유라고 하는 지식권력의 강고한 연합체제가 대중으로부터 강력한 저항을 받고 있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전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중의 집합적 행동인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현상에 대해 언론이 어떤 프레임을 갖고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언론의 프레이밍에 의해 제시되는 집단지성으로서 ‘대중’의 이미지는 무엇인지, 특정 이미지의 집단지성으로서 ‘대중’에 대한 언론의 태도와 입장은 어떠한지, 그리고 집단지성이 부정적으로 표출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평가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하는 대안들은 무엇인지를 주요 신문 보도기사에 사용된 프레임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에 대한 언론 프레이밍 연구

        임순미(Iem Soon Mi) 한국정치정보학회 2010 정치정보연구 Vol.13 No.2

        대중이 집단적 행동을 통해 자신들의 견해를 표명하는 방식은 현대사회에 고도로 발달된 사이버 네트워크 속에서 더욱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즉 온라인을 중심으로 오프라인까지 활발하게 넘나드는 이러한 대중적 참여문화는 이슈에 대한 적극적 문제제기를 통해 스스로 지성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전례가 없는 근원적 변화이며 사회변동의 새로운 징후로 평가할 만하다. 이와 같은 현상들은 오랫동안 지식의 전문화에 기여해 왔던 차별적 접근과 배타적 소유라고하는 지식권력의 강고한 연합체제가 대중으로부터 강력한 저항을 받고 있다는 것에 다름 아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전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중의 집합적 행동인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현상에 대해 언론이 어떤 프레임을 갖고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언론의 프레이밍에 의해 제시되는 집단지성으로서 ‘대중’의 이미지는 무엇인지, 특정 이미지의 집단지성으로서 ‘대중’에 대한 언론의 태도와 입장은 어떠한지, 그리고 집단지성이 부정적으로 표출되는 상황에서 어떻게 평가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하는 대안들은 무엇인지를 주요 신문 보도기사에 사용된 프레임을 분석함으로써 살펴보고자 한다. Method for public to express their opinion through collective behavior is more actively and diversely manifested under the highly advanced cyber network in the contemporary society. Namely, this type of public participatory culture actively transcending to online up to off-line is to be intelligent itself through raising the active issues. This type of situation would be the unprecedented original change and can be considered as new symptoms of social change. This type of phenomenon is similar to the having powerful resistance from the public with the discriminatory approach that has been contributed to the specialization of knowledge for a long time and the solid united system of knowledge power in exclusive ownership. This study is aimed at contemplating how the press looks into the 'Collective Intelligence' phenomenon as the collective behavior of the public that is generated in entire territorie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under such situation in time in what framework. In more concrete terms, a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presented by the framing of the press, it intends to find out what image of 'public' is, what is the attitude and position of the press on the 'public' a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with certain image, and what are the alternatives evaluated and presented under the situation that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s displayed negatively by analyzing the frameworks used in the major newspaper articles.

      • KCI등재

        안보 목적의 해외정보 온라인 수집을 위한 법제도 연구

        김창섭,이상진 한국국가정보학회 2021 국가정보연구 Vol.14 No.1

        The development in cryptograph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has led the paradigm shift in foreign intelligence collection for the national security, which initiates the internet online collection known for the most effective and realistic intelligence activities in foreign intelligence history. The online intelligence collection is defined as the way to access the target communication devices with clandestine infiltration such as hacking, and collect information without the users’ notification.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legal system in intelligence collection applies a procedural hurdle that is substantially lower than in criminal investigation. For this reason, the online collection is estimated as the most optimized method in the foreign intelligence. It is commonly known that the developed countries have employed the online intelligence collection from 2000s, and reformed their legal system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However, the Korean laws such as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s Network Act’ do not distinguish the home and foreign territory, so that the irrational and potential conflicts are involved even though the collection is conducted extra-territorially. This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that reorganization in the current law system should be followed. This note will delineate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legal system of the foreign intelligence activiti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provide the suggestions to fortify our legal foundation in extra-territorial intelligence. The foreign intelligence collection in national security is the legally acceptable activities. However, the lack of system has driven this topic to the controversial discussion of legality, and it results in the entire intelligence collection to be daunted. For this reason, the rational legal system and policy that can embrace the profound understanding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environment must be established. Finally,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foreign intelligence will be encouraged with the improved environment that the intelligence organizations can conduct intelligence activities with the legal procedure. 암호통신과 글로벌 인터넷 등의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국가안보를 위한 해외정보 수집활동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수집이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온라인 수집은 해킹기술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정보통신기기에 비밀리에 침투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해외정보 수집에 있어 최적화된 방안이라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수집 법제는 범죄수사 법제와는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해외정보 수집활동에 있어 온라인 수집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충분히 합리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미 주요 선진국들은 2000년부터 온라인 수집을 활용한 정보수집 기술을 도입하고 이를 허용하는 법제도를 재정비하고 있는 반면에, 우리는 사법관할권 밖인 해외에서의 정보수집 활동조차도 국내외 구분이 없는 인터넷을 활용한다는 이유로 통신비밀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과 같은 국내 현행법에 저촉되는 불합리한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에 대한 법제도 개선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국의 온라인 수집과 연관된 해외정보 수집활동의 실태와 법제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역외(해외에서) 해외정보 수집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안보 차원의 해외정보 수집은 정당한 활동임에도 제도 미비로 불법 논란에 휩싸여 활동이 위축되는 현실을 고려하여 기술발전과 정보환경에 대한 이해를 반영할 수 있는 합리적인 법제도와 지침을 마련함으로써 적법절차를 준수하면서 원활하게 정보수집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국가의 해외정보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정보기관의 정보수집 활동과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서울중앙지방법원 2008가합40668판결 및 서울고등법원 2009나60819판결을 중심으로-

        김호정 ( Ho-jeong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1

        정부조직법에 의해 국가정보원법이 제정되고, 나아가 국가정보원법 제3조 제1항에서 국가정보원의 직무범위를 규정하고 있는 것은 헌법 제96조의 행정조직 법정주의 원칙을 실현하는 것이다. 국가정보원 직무의 구체적 내용과 범위는 동 법률의 입법취지와 목적을 고려한 적극적 해석이 충분히 가능하다. 국가정보원 정보수집활동의 적법성의 한계를 검토함에 있어서는 먼저 정보기관과 정보수집활동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보수집활동의 목적은 국가안보에 있지만 국가안보를 위한 정보수집활동의 대상에는 구별이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적법성 여부는 정보활동의 대상이 아니라 국가정보원법 제1조에 규정된 ‘국가안보’라는 목적 관련성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정보수집활동은 비노출·간접 활동을 원칙으로 하며, 수집활동의 기법과 행위 태양은 전문적이고 다양하기 때문에 그 절차를 법령으로 규율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그 활동이 직접 국민을 대상으로 권력적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아닌 한, ‘국가안보’를 위한 정보수집활동에는 국민의 묵시적 동의가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안보를 위한 정보수집활동이 개인정보, 즉 ‘자기정보통제권’을 침해하는가는 결국 헌법 이론상 기본권의 내재적 제한을 인정할 수 있는지의 문제로 귀착된다. 기본권은 국가 공동체의 존립을 전제로 하고 국가공동체에 의해 비로소 보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헌법이 추구하는 전체적 가치질서를 실현하기 위한 규범 조화적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본권의 내재적 제한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ct has been established following the Nat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ct, according to the article 3 clause 1 of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ct, it regulates the scope of duty of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which activates the Principle of Ruling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y Law in article 96 of Constitution. The specific content and boundary can be positively understood considering the legislative intent and purpose of above law. To examine the legal limits of the Intelligence Collection Activities of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first of all,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telligence Agencies and Collecting Activities must be done. The purpose of Intelligence Collection Activity is on National Security, however there is no distinction in the Intelligence Collection Targets in purpose of National Security. Therefore, whether it’s legal or illegal must be judged on the criteria of Purpose relevancy with ‘National Security’ which is regulated by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ct article 1, not the target of Intelligence Collection. The fact that Intelligence Collection makes non-exposed and indirect activities as a rule, the skill and the action of Collecting activity are various and professional makes it’s process very difficult to regulate by a law. Therefore, when the Collection activity is not directly using it’s power toward the citizen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n implied consent of citizens for Collecting Activity for ‘National Security’. Whether the Intelligence Collection for ‘National Security’ violates personal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 Right’ or not eventually is concluded as the problem whether the underlying limits of Constitution theoretical Natural Right can be admitted. The Natural Right can be guaranteed by the State Community only when the existence of State Community is premised. Therefore, underlying limits of Constitution theoretical Natural Right can be admitted in the sense of norm-harmonizing interpretation is needed to actualize general value order which the Constitution pursues.

      • KCI등재

        The Effects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Moderated by Collective Leadership

        오호준,신제구 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9 No.1

        With the goal to present an effective leadership strategy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and how this effect via collective intelligence is assisted by collective leadership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To resolve potential common method bias from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ffectivity was set as one of the control variables. A 311 out of 319 responses from employees at firm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eight univariate outliers. Our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issu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collective intelligence. Also, we identified the simple moderating effect(synergistic effect) and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collective leader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as well a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is moderated(conditional indirect effect) by collective leadership. This study expand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by examining issue leadership’s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e ro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leadership and ve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Key words: Issue leadership, Collective intelligence, Creative behavior, Collective leadership

      • KCI등재

        The Effects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Moderated by Collective Leadership

        Ho-June Oh(오호준),Je-Goo Shin(신제구)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단지성을 통하여 영향 을 미치는 간접효과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와 조건부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슈 리더십과 집합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보고형 설문방식의 측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무상황에서 정서상태를 표현해주는 정서성(affectivity)을 직급 등과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고, 국내 5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한 설문지 319부 중 부적절한 자료(univariate outlier) 8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1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이슈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간 직접효과와 집단지성을 통한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슈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 간 관계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단순 조절효과(강화효과)와 조건부 직접효과가 모두 확인되었으며, 이슈 리더십과 집단지성간 관계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단순 조절효과(강화효과)와 이슈 리더십이 집단지성을 경유하여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집합적 리더십에 의해 조절되는 조건부 간접효과 역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서 리더십과 조직행동 분야에서 비교적 연구가 부족했던 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집합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및 조건부 효과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이슈 리더십과 집합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goal to present an effective leadership strategy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and how this effect via collective intelligence is assisted by collective leadership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To resolve potential common method bias from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ffectivity was set as one of the control variables. A 311 out of 319 responses from employees at firm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eight univariate outliers. Our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issu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collective intelligence. Also, we identified the simple moderating effect(synergistic effect) and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collective leader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as well a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is moderated(conditional indirect effect) by collective leadership. This study expand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by examining issue leadership’s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e ro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leadership and ve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 KCI등재

        가상 세계의 집단 지성과 창작 주체 연구

        한혜원 ( Han Hye-w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4 No.-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property of collective intelligence in creating virtual world. Collective intelligence appears in a variety of forms in world wide web. Collective intelligence can be defined as a form of new creative power in digital paradigm. The concept of collective intelligence was introduced by Pierre Levy(noosphere), Howard Rheingold(smart mobs) and Charles Leadbeater(mass innovation). With web technology, Human being can interact and collaborate easily. Collective intelligence emerges from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s of so many web users. Wikipedia(Wikimedia), Knol(Google) and Knowledge Search(Naver) are good exampl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Wikipedia is collaborative encyclopedia, which has 13million articles by millions of users around the world. Users can update new texts whenever they want by web. A content of Knol(a unit of knowledge) has multiple articles on the same topic by different users. Naver's Knowledge Search is also collaborate information service. But it consist of Q & A, which is a kind of user creative contents. It has point, level and ranking system but they can leave their own texts. Fan art is different kind of creation by collective intelligence in world wide web. It is generated from fandom, which is a subculture composed of fans. For example, the subject of American fan fiction is focused on scientific fictions, films, soap dramas and TV stars like Tolkien fandom or Star Wars fandom. But in Korea, only members of web community can create and share their fantasy by fan fiction. Collective Intelligence produces the productive, interactive and alternative text in many ways. Creative power of collective intelligence converges complex and different desire of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