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s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Moderated by Collective Leadership

        오호준,신제구 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9 No.1

        With the goal to present an effective leadership strategy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and how this effect via collective intelligence is assisted by collective leadership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To resolve potential common method bias from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ffectivity was set as one of the control variables. A 311 out of 319 responses from employees at firm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eight univariate outliers. Our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issu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collective intelligence. Also, we identified the simple moderating effect(synergistic effect) and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collective leader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as well a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is moderated(conditional indirect effect) by collective leadership. This study expand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by examining issue leadership’s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e ro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leadership and ve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Key words: Issue leadership, Collective intelligence, Creative behavior, Collective leadership

      • KCI등재

        영화 사운드 시간성과 시간성 표현의 물리적 속성

        오호준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6

        시옹(Chion), 알트만(Altman), 푸도프킨(Pudovkin)과 등과 같은 영화이론가들에 의해 이론화되어온 영화에서의 사운드 개념은 사운드가 종속적인 객체로서만 위치하기보다는 독립적인 역할과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영화의 가시화 영역인 온 스크린영역과 순간적으로 이동되는 비화면 영역이라는 비가시 경로 그리고 인식된 현실로 갈 수 있는 어쿠스마틱 영역인 오프 스크린 영역에 시옹의 시간성을 적용해, 인간의 상상으로 재구성하는 사운드 디자인에 대한 형태 분석을 진행하였다. 영화의 청각표현에 해당하는 대사는 인식 층위의 최우선 순위에 해당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그러한 사운드 형태의 물리적 속성 값은 존재하는가라는 궁금증으로 시작해 시간의 연속선상에 있는 앰비언스, 룸 톤, 잡음을 비롯해 싱크레즈를 나타내는 사운드 효과 그리고 온 스크린을 통해 보이는 사운드의 거리감과 공간감, 마스터링을 통한 음의 균형 값들을 영화 속 사운드 구성요소로 분류해보았다. 이러한 영화 사운드 형태는 각각 인식된 현실이라는 선택적 조정을 통해 들려지는데, 이와 같이 사운드의 시간성과 그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내러티브의 이해와 몰입이라는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운드 형태별 물리적 음량 값을 가지게 된다. 이에, 사운드 시간성 요소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음량 값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상업영화 <이끼>, <인셉션> 사운드 디자인의 구성요소별 사례를 분석하였다. Film sound concepts as theorized by film researchers such as Chion, Altman and Pudovkin refer to sound that is not only placed as a dependent element but that also functions as independent or complementary assistance. This research analyzes the physical forms of sound appearing in sound design, rearranged by a human imaginative idea applied as part of Chion’s time temporality concept in visual zones on screen, invisible zones, and in acousmatic zone in off-screen areas. This analysis stems from curiosity about why dialog taking first priority of a human cognition layer as one sound forms at the beginning. What are the formal attributes of film sound? This research also categorizes sound forms and analyzes linearized time elements, ambience, room tones, noise forms, sound effects referring to the concept of 'synchrese', sound distance and space sense, and sound mastering balance. These film sound forms are heard by controlling recognized reality selectively. Thus, sound time temporality and its elements have categorical physical sound levels to undertake the functions of sound form allowing viewers to understand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film narrativ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mmercial films <Moss> and <Inception> in terms of their sound design to find the applicable expression model of the physical sound level and how it accomplishes sound time temporality functions.

      • KCI등재

        모션그래픽 추상 이미지 구성 사례에 대한 연구

        오호준(Oh Hojun),오호준(Oh Hoj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모션그래픽의 시각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중 점과 선 자연으로부터의 추출 이미지 그리고 비정형의 창의적 형태를 가진 이미지들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정확한 지시를 하고 있지는 않다. 비록 그 개체들은 모호하지만 독립적인 표현의 방법으로 보는 이들의 감성을 자극하거나 정형의 것보다 더 넓은 의미의 해석을 가능케 한다. 우리는 이를 추상 이미지라 말 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의 단순한 감각적 표현이라기보다 모션그래픽을 이루는 요소로서 크게 구분해 여섯 가지의 차별적 기능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를 나열하면 첫 번째는 오브젝트 형성을 위한 이미지 재료로서의 기능 두 번째는 영상의 느낌과 분위기를 조성하며 제품과 연결되는 콘셉트 이미지를 생산하는 기능 세 번째는 시점 이동을 유도하는 기능 네 번째는 자연스럽게 화면을 전환시키는 기능 다섯 번째는 오브젝트나 텍스트의 부각을 위한 보조배경으로서의 기능 여섯 번째는 단순화와 상징화 그리고 추출 이미지 등을 활용해 단순하게 축약시키는 기능이 있다. 특히 추상 이미지의 콘셉트 이미지 생산과 단순화와 상징화 기능의 두 기능은 이미지 기능 적용에 있어 가장 빈번히 활용되는 기능으로 분석된다. Dots lines extracted images from nature and indefinite creative forms of various visual elements composing motion graphics neither explain concretely what they are nor indicate accurately what they are referring to. Though their individual entities are ambiguous the independent expressions make it possible for viewers to be stimulated emotionally and interpreted with broader meanings rather than to be understood with finite entities. We take them as the abstract images and they are not just have the simple sensuous expressions but have six categorized meaningful functions as the elements of forming motion graphics. The first is the function as the preliminary arranging image materials for forming main objects. The second one is to make visual feelings and environments and is to produce concept images linked to brand products. The third is the one that makes viewers' eyes move to the other proceeding viewpoints. The fourth one is the function to make an image to be transferred from another smoothly. The fifth image function is to enhance main texts or objects by using the abstract images as the supporting backgrounds. The sixth one is to have entire story compositions shortened by symbolizing and simplifying creative images. And it is analyzed that the two image functions the concept production images and the simplifying creative images were adapted frequently in producing abstract images.

      • KCI등재후보

        모션그래픽 이미지의 선택적 주의와 연상 이미지 디자인 구성

        오호준 (Oh Hojun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미디어의 영상 콘텐츠들은 하루가 달리 다양화되고 새로운 비주얼 효과와 신기술에 힘입어 또한 나날이 진화되고 있다. 시공간을 활용한 현란한 입체모션 컬러의 변화 질감의 변이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의 활용 조명 효과 사운드 효과 등 영상 이미지를 접하게 되는 수용자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시켜 눈과 귀의 관심을 끌고자하는 다양한 다이내믹 영상 시도들이 펼쳐지고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다이내믹 복합 디자인 속에서 차별화되고 기억을 자극할 수 있는 간결하고 상징적인 모델을 찾기 위해 모션그래픽 디자인의 선택적 시각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인지심리학의 게슈탈트 이론을 비롯 한 시각 여과 이론 통로 이론 등을 바탕으로 시각의 선택적 주의를 위한 모션그래픽 이미지 구성 스타일의 유형을 찾고자 했다. 분석방법으로 모션그래픽 전문 사이트의 분류를 참고해 40개사 250편의 클립들을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기계적 구성 유기적 구성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운드 이미지 스타일 만화 및 그래픽 애니메이션 스타일 레이아웃 구성 스타일 이미지 실사와 그래 픽 병합 스타일 타이포그래피 중심 스타일 카메라 뷰 중심 스타일 스톱모션 활용 스타일 순으로 활용빈도가 많았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시각의 선택적 주의와 함께 이미지 연상에 따라 기억의 자극을 유도하는 연상 이미지 활용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상징적 개념 가치를 연상 이미지화하여 복제와 변이를 반복하는 디자인 방법이었고 두 번째는 도형의 모양 사물 캐릭터 등을 포함하는 오브젝트나 상징적 모션의 변이를 연상 이미지와 결합하는 방법이었고 세 번째 방법은 스토리 라인의 전개에 따른 연상 이미지를 귀납적 또는 연 역적인 시점이동 방식으로 변이시키는 것이었다. Visual contents of media have highly diversified and evolved day by day from new visual effects and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various dynamic visual experiments are being made to attract viewers' eyes and ears coming across visual images like three-dimensional motions applied to a space-time transformations of color and texture applications of character and animation lighting and sound effects. This thesis focuses on the concept of visual selective attention in order to have concise and symbolic models that could stimulate viewers to differentiate something from general dynamic motion designs. For this I tried to find out some design patterns of motion graphics images composing for visual selective attention that is presented by the theories of cognitive psychology Gestalt laws visual encoding and perceptual tunnel. The 250 motion clips produced by 40 world-famous motion graphics studios were collected from websites stock works and the design patterns were researched by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Taking design patterns of high frequency in turns the followings are produced as a result. That is the patterns of sound image covering the mechanical and organic patterns cartoon and graphics animation frame layout centered merged real pictures with graphic elements typography centered camera view centered and stop motion cutouts. And the methods of association image compositions inducing human serial memory processing were produced as the design patterns with visual selective attention. The first one is the design method making symbolic concepts and values as associated images by ways of re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The second method is to connect object forms covering figure shapes characters and symbolic motions with association images. The third one is to transform associated images having narrative story contents into inductive and deductive view approach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집합적 리더십이 구성원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 결과 기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호준(Oh, Ho-june),신제구(Shin, Je-goo)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0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공군 간부를 대상으로 리더(대대장급 지휘관)의 집합적 리더십이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합적 리더십이 결과 기대감을 경유하여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서성(affectivity)을 팀 사이즈, 권력거리와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으며, 공군 대대장급 지휘관과 함께 근무하는 간부를 대상으로 획득한 176부 중 16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집합적 리더십이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합적 리더십이 결과 기대감을 경유하여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verifies the mechanism for which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EO) of CEOs at small-and-medium enterprises(SMEs) affects directly business performance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 survey was executed to the employees of various SMEs, and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PROCESS macro(Hayes, 2013). Prior to conducting the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reviewed by 9 HR experts, which improv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e common method bias was minimized by executing the survey in two separate parts with an one week interval; the first part of the survey measuring the all variables except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second part, only the dependent variable. Firm size, firm industry, and firm age were selected as control variables. The findings verified the positive direct effect of CEO’s EO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between EO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verified. These findings empirically verify the mechanism that the EO of CEOs at SMEs positively a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mediated by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present study expands existing leadership research about sustainable business performance, and presents interes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ith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집합적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호준(Ho-June Oh),신제구(Je-Goo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는 집합적 리더십(collective leadership)의 유효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집합적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합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간 조직기반 자긍심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간접효과의 메커니즘이 심리적 안전감에 의해 조절되는 조건부 간접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급과 함께 직무상황에서의 정서성(affectivity)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19부 중 부적절한 자료(univariate outliers) 10부를 제외한 30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집합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조직기반 자긍심은 집합적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매우 낮음’, ‘낮음’, ‘중간’의 세 단계를 제외한 ‘높음’, ‘매우 높음’의 두 단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조직의 리더들이 집합적 리더십을 통해 구성원의 조직기반 자긍심과 창의적 행동을 촉진하는데 있어 심리적 안전감이 높아야 그 효과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leadership. Specifically, we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collectiv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and how this relationship is affected indirectly by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Further, we identify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psychological safety has in moderating this mechanism.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job rank and the affectivity in work situation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fter excluding ten univariate outliers from 319 responses that were collected, a total of 309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Our findings showed that collect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 members, and that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played the role as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Also,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high’ and ‘very high’ percentile levels, but not in the ‘very low,’ ‘low,’ and ‘middle’ levels. Together, the findings imply that when leaders at organizations promote members’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creative behavior through collective leadership, it can be more effective when members feel high psychological safety 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후보

        LED무대세트 모션그래픽 입체 공간감 표현연구

        오호준(Oh, Hoj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TV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무대세트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무대가 갖는 공간적 기능과 공간감에 대한 개념을 정의해보고자 한다. 무대의 배경을 디자인하는 세트로서의 개념이 요사이 K-pop과 같은 아이돌 그룹이 많이 등장하는 음악 프로그램에서는 LED영상 배경을 주 무대배경으로 활용하면서, 세트의 개념을 포함하면서도 동시에 공연과 함께 호흡하며 볼거리를 제공하는 무대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개념으로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무대가 공연이 벌어지고 있는 특정 장소라는 공간적 한계를 넘어서 초현실적 공간이나 우주와 같은 심리적 시각적 공간 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은 LED 무대영상에 표현되는 모션그래픽 영상의 다양한 조합이 있기 때문이다. 그 영상의 구성중 특히, 입체적 공간 활용 구성은 무대의 물리적 공간제약을 넘어서 무대의 깊이감을 더해주며, 공연 내용에 따라 무대를 축소하거나 확대하는 등 다이내믹한 시각적 디스플레이 효과를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무대공연에 더욱 몰입케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LED무대영상의 입체적 공간감을 구성하는 방법들은 우리나라지상파 방송 3사의 음악 프로그램 15편을 분석 자료로하여 입체적 영상 구성사례를 통해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유형으로는 Z축 카메라 모션과 배경의 물리적 공간 활용, 배경의 루핑패턴, 오브젝트의 자체 모션, LED 디스플레이 변화, 배경 레이어의 병치를 활용해 평면화면에서 영상의 공간적 깊이감을 발생시키는 구성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상파 방송 3사의 특정 기간 동안 노출된 특정 프로그램을 사례로 하였기 때문에 표본을 정리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음악 쇼 프로그램에 나타난 시각적 공간감 표현패턴을 정리한 것에 의미를 두고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배경 공간성의 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various functions and roles of stage set applied on TV shows, and tries to give a definition of the stage set concept having spatial function and impression. The stage set concept designing its background especially on TV music shows, appearing many K-pop idol singing groups, and utilizing LED stage set as the main setting, are reproduced on enlarged concept playing a role not only as the basic set but also as the visual stage device keeping tunes with performers. To show the possibilities of utilizing psychological and visual space such as surrealistic or cosmic space is now that motion graphic visual compositions could be varied on the stage LED image. The 3D spatial composition especially, among motion image combinations, makes more feeling depth of stage beyond its physical space limit, and serves audiences to be concentrated on stage performances through dynamic visual displaying effects produced by ways of reducing or extending display images according to performing progress. The 3D spatial compositing methods for LED stage image were classified into 6 compositing combinations by analyzing 15 stereoscopic case programs of Korean three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music shows. These six are stereoscopic spatial-depth producing compositions by utilizing camera’s Z-axis motion, background physical space, backdrops looping pattern, object self-motion, LED various display, and background layer juxtaposition. This study has a research limitation on surveying and organizing the samples, appeared by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certain TV show format from Korean 3 air channels. Nonetheless, it may mean that this study arranged the visual spatial impression patterns appeared on TV music shows, and continually, I plan to study backdrops spatial functions on the basis of this sample research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