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과 영국에서의 법관 임용 실태 및 근무 환경에 관한 실증적 연구

        진현섭 ( Jin Hyeon Seop ) 사법정책연구원 2023 연구보고서 Vol.2023 No.9

        우리나라는 2013년 미국과 영국의 법관 임용방식을 모델로 삼아 일정 기간 이상 법조경력을 갖추고 뛰어난 실무능력과 훌륭한 성품이 검증된 기성 법조인 가운데 법관을 선발하는 법조일원화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로 인해 법관의 임용뿐만 아니라 보임, 전보인사, 사무분담, 급여, 연금 등 다양한 영역에서 큰 폭의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일정 법조경력을 갖춘 좋은 법관을 확보하는 방안과 아울러 기존에 임용된 또는 향후 임용될 법관의 법원배치,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법관의 보수·연금 등 처우, 법관에 대한 재판보조인력 지원 등에 관하여 전반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법조일원화 제도를 도입한 우리나라에서 기존에 임용된 또는 향후 임용될 법관의 법원배치나 사무분담, 전보인사 등 법관 인력 운용과 법관의 업무보조, 보수, 연금 등 법관 처우에 관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법조일원화 제도가 정착된 미국과 영국 법관들의 임용 당시 법조경력, 과거 직무경력, 임용전 직업, 임용 후 재직기간,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업무보조인력, 보수 및 연금 등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여 분석한다. 법조일원화 제도의 도입 취지에 부합하는 우수한 법조인을 최대한 많이 법관으로 임용할 수 있는 유인을 마련하고, 법조일원화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법관으로 임용되어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보고서의 제2장에서는 미국 법관들의 임용 당시 법조경력, 임용 전 직업, 임용 후 재직기간,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업무보조인력, 보수 및 연금 등에 관하여 살펴본다. 미국의 법원 체계를 연방법원과 주 법원으로 나누어 제1절에서 우선 연방법원 법관의 임용방식을 개관하고, 연방대법원, 연방항소법원 및 연방지방법원별로 법관들의 임용 당시 법조경력, 임용 전 직업, 임용 후 재직기간 등을 살펴본 후 연방법원 법관의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업무 및 보조인력, 보수 및 연금 등에 관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제2절에서 주 법원의 체계와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고, 미국 50개 주 중에서 9개 주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위 9개 주의 대법원, 항소(심)법원 및 1심법원 법관들의 임용 당시 법조경력, 임용 전 직업, 임용 후 재직기간 등을 확인한다. 그리고 주 법원 법관의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업무 및 보조인력, 보수 및 연금 등에 관하여 살펴본다. 제3절에서 미국 연방법원과 주 법원 법관들의 임용 당시 법조경력, 임용 전 직업, 임용 후 재직기간,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업무 및 보조인력, 보수 및 연금 등에 관하여 종합하여 비교한 후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한다. 본 연구보고서의 제3장에서는 영국 법관들의 임용 당시 법조경력, 임용 전 직업, 임용 후 재직기간,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업무보조인력, 보수 및 연금 등에 관하여 살펴본다. 제1절에서 영국의 법원 조직을 체계적으로 개관하고, 대법관, 항소법원 법관, 고급법원 법관, 순회판사, 지방판사, 심판소 판사 등 다양한 종류의 법관에 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제2절에서 영국 법관의 임용방식을 개관하고, 대법관, 항소법원 법관, 고급법원 법관, 순회판사, 지방판사 등 상근 법관의 임용 당시 법조경력, 임용 전 직업, 임용 후 재직기간 등을 살펴본 후 법관의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업무 및 보조인력, 보수 및 연금 등에 관하여 알아본다. 제3절에서 영국 법관의 임용 당시 법조경력, 임용 전 직업, 임용 후 재직기간, 전보인사 및 사무분담, 업무 및 보조인력, 보수 및 연금 등에 관하여 종합한 후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한다. 본 연구보고서에 나타난 실증적인 자료를 통하여 법조일원화 제도가 정착된 미국과 영국의 법관 임용 실태 및 근무 환경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법관 임용에 요구되는 법조경력연수를 정함에 있어 모든 법관 임용자에게 획일적으로 일정한 법조경력을 요구할 필요 없이 임용 후 법관으로서 수행할 업무를 고려하여 자격요건을 정해야 한다. 둘째, 미국 연방법원과 같이 우리나라도 항소법원과 1심법원이 비슷한 정도의 법조경력을 가진 숙련된 법관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변호사 자격을 가진 법조인들이 다양한 분야에 진출하여 법관과 유사한 업무를 담당하는 직역을 넓혀 감으로써 우수한 실무능력을 갖춘 법관 임용자 후보군을 조성해야 한다. 넷째, 법관의 업무를 보조하는 인력을 확충하고 이들이 관여할 수 있는 업무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다섯째, 뛰어난 실무능력과 훌륭한 자질을 갖춘 법조인이 법관직을 선택할 수 있도록 법관 보수심의위원회와 같은 기관을 설치하여 법관의 보수 수준이 적정한지 주기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여섯째, 영국과 같이 우리나라도 비상근 법관 제도를 도입하여 법관으로서의 능력과 자질 및 전문성 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법관의 전문성 및 재판의 전문화를 위해 현재의 법관 순환근무제를 축소하고 직무별 법관 임용, 동일 법원 장기 근무, 동일 업무 장기 수행 등을 적극 고려하여야 한다. 여덟째, 영국과 같이 일반적인 민사사건과 형사사건을 처리하는 절차를 다양화하고, 신속히 사건을 분류하여 사건별로 가장 적절한 절차가 활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보고서가 우리나라에서 법조일원화 제도를 도입한 취지에 부합하는 우수한 법조인을 법관으로 임용할 유인을 마련하고, 법조일원화 제도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임용된 법관이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는 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orea implemented a new judicial appointment system in 2013 that contributed to unifying the legal profession, selecting judges from among existing lawyers who have a specific amount of legal experience, excellent practical skills, and good character, after modeling the judicial appointment process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Significant adjustments are anticipated to be made in a number of areas, including the appointment of judges and their supplemental appointments, transfers, work division, salaries, and pensions. In order to ensure that qualified judges with particular legal careers are appointed, it is essential to thoroughly examine issues such as the assignment of previously appointed or upcoming judges to courts, the transfer of personnel, the division of work, the treatment of judges, such as remuneration and pension, and support for trial assistants for judges. This study aims to gather fundamental information to discuss how to better manage judges in Korea, which employed the unification of the legal profession system. This management includes judge allocation to courts, the division of work, and the transfer of personnel, as well as the treatment of judges, including judicial assistants, remuneration, and pension. To that end, detailed empirical data on the legal career at the time of appointment, previous work experience, occupation before the appointment, length of service after the appointment, transfer of personnel, division of work, judicial assistants, remuneration, and pension of judg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here the unification of the legal profess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would be introduced and analyzed. This study seeks to gain insights that will help provide incentives to appoint many excellent legal professionals as judges, thereby satisfying the purpose for which the unification of the legal profession system was introduced and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encourages judges to remain in the profession for a long and stable career to ensure the success of this new system. The second chapter of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legal career at the time of appointment, occupation before the appointment, length of service after the appointment, transfer of personnel, division of work, judicial assistants, remuneration, and pension of United States judges. Dividing the United States court system into federal and state courts, Section 1 begins with an overview of the federal court judge appointment process before delving into the legal career at the time of appointment, occupation before the appointment, and length of service after the appointment of judges to the Supreme Court, Federal Court of Appeals, and Federal District Court, before examining transfer of personnel, division of work, judicial duties, judicial assistants, remuneration, and pension. Section 2 investigates the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state courts and selects a sample of nine states out of fifty to identify legal careers at the time of appointment, occupation before the appointment, and length of service after the appointment to the Supreme Court, Court of Appeals, and Court of First Instance in the selected nine states of judges. Furthermore, it examines the transfer of personnel, division of work, judicial duties, judicial assistants, remuneration, and pension of state court judges. In Section 3, federal and state court judges in the United States a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ir legal careers at the time of appointment, occupations before appointments, length of service after the appointments, transfer of personnel, division of work, judicial duties, judicial assistants, as well as remuneration and pension, with a view to drawing implications for Korea. Chapter 3 of this research examines the legal career at the time of appointment, occupation before the appointment, length of service after the appointment, transfer of personnel, division of work, judicial duties, judicial assistants, remuneration, and pension of United Kingdom judges. Section 1 provides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organization of the United Kingdom courts and examines the various types of judges, including Supreme Court Justices, Court of Appeal Judges, High Court Judges, Circuit Judges, District Judges, and Tribunal Judges. Section 2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ppointment process of United Kingdom judges, examines the legal career at the time of appointment, occupation before the appointment, and length of service after the appointment of full-time judges, such as Supreme Court Justices, Court of Appeal Judges, High Court Judges, Circuit Judges, and District Judges, and then examines their transfer, duties, assistant staffs, remuneration, and pension. Section 3 synthesizes the legal career at the time of appointment, occupation before the appointment, length of service after the appointment, personnel transfer, division of work, judicial duties, judicial assistants, remuneration, and pension of United Kingdom judges, and thereby makes implications for Korea. The empirical data present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by specifically examining the status quo of judicial appointments and the work environ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here the unification of the legal profession system is well established. First, it is not necessary to uniformly require a specific number of years of legal experience for all judicial appointees when determining the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required for judge appointments in Korea. Instead, qualification requirements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duties to be carried out as a judge after the appointment. Second, the Court of Appeals and the Court of First Instance in Korea should be made up of qualified judges with comparable legal careers, analogous to the federal court of the United States. Third, in order to develop a pool of candidates with excellent practical skills for judicial appointment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legal professionals with lawyer licenses to enter a variety of fields and expand their roles to include duties similar to those of judges. Fourth, the number of people who support judges in their work should increase, as should the extent of their involvement. Fifth, a body like the Judicial Compensation Commission should be created to regularly assess whether the level of remuneration for judges is appropriate to ensure that lawyers with excellent practical skills and good qualities may opt to serve as judges. Sixth, Korea needs to set up a part-time judge system to verify the competence, qualifications, and expertise of judges, similar to the United Kingdom. Seventh,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judges and the specialization of trials, the current rotating judge system should be reduced. Additionall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appointment of judges based on function, long-term service in the same court, and long-term performance of the same work. Eighth, as in the United Kingdom, civil and criminal case-handling procedures should be diversified, and cases should be quickly classified to ensure that the most appropriate procedure is applied on a case-by-case basi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creating incentives for excellent judicial professionals to be appointed as judges who fulfill the purpose for which the unified legal profession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and also likely contribute to developing a climate where appointed judges are encouraged to remain in their positions for a significant period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unified legal profession system.

      • KCI등재

        일본 변형근로시간제도에 관한 연구

        이승욱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9 産業關係硏究 Vol.29 No.2

        With the passage of the Amendment of Labor Standards Act(‘LSA’) on January 15th 2019, there has been made significant changes in calculating working hours. Before the amendment, although LSA provided that maximum number of working hours is 40 hours in a week, and 8 hours in a day, the courts and the Ministry of Labor have had arguably interpreted the ceiling of working hours did not cover holiday work, and as a result, in practice the actual maximum number of working hours in a week amounted to 68 hours. However, as the Amendment of LSA clearly states that holiday working hours are included in overtime working hours, the actual total working hours in a week is now reduced from 68 hours to 52 hours. As the employers have shown strong opposition to these changes, the tripartite commission made a compromise regarding the reform of working-hours averaging system. The main issue here is to extend the unit period of averaging working hours. They have succeeded in settlement to extend the unit period from 3 month to 6 month despite of the fierce opposition from the labor movement. Their compromise can be appraised as a limited success as I believe they did not carefully consider the various legal issues to be raised when it implemented.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examine the potential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possible extension of unit period of working-hours averaging system in terms of the experiences in Japan which adopted the similar system in 1993. In doing so, I believe we can get some implications for the issue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in detail during the social dialogue process. 2019년 1월 근로기준법 개정에 의해 현장의 일반적인 관행과 달리 휴일근로를 시간외근로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통해 근로시간의 실질적인 단축 조치가 이루어졌다. 이에 경영계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을 연장하여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는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연장하는 데 합의하고, 이에 따라 근로기준법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되어 있는 상태이다. 탄력적 근로시간제에서 단위기간의 길이가 길어지면 근로자의 생활과 건강에 미치는 불리한 영향은 커질 수밖에 없고 근로시간규제 원칙에 대한 예외의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제도변화에 수반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법적 쟁점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논의는 단위기간의 연장에 국한되어, 그밖에 수반되는 세부적인 쟁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 논문은 1993년 1년 단위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여 20년 이상 운용하여 온 일본의 제도 내용과 그 과정에서 제기된 법적 쟁점, 그리고 최근에 이루어진 일본 노동기준법의 개정 사항까지 포함한 관련 내용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관련 제도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 있다.

      • KCI등재

        최근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탄력적 근로시간제 합의안에 대한 논의- 현행 근로기준법상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

        박소민 ( Park So-mi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2

        지난 십수년 간 논쟁을 거듭한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된 근로기준법 일부 개정법률안이 통과되어, 주 52시간 근로시간 상한 제한이 2018. 7.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근로시간 단축의 폭이 큰 만큼 산업현장에서 적응기간은 물론 근로시간 단축의 충격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중심으로 한 유연근로시간제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도 산업사회로 들어서면서 새로운 업종과 업무가 생겨나고 근무방식과 근무 형태가 다양화됨에도 최근의 근기법 개정만으로는 근로시간 운영의 유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근로시간을 획일적으로 규제하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개정된 근로시간 단축 법안으로 변화하는 근로환경에 적합하도록 유연하게 개선하면서도 적정한 보호를 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유연근로시간제 중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해 논한다. 우선, 탄력적 근로시간제에 대해 그 개념과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입법연혁 및 주요국가의 입법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행법상의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요건 및 효과 부분에서 실무상 쟁점이 되는 사항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최근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합의된 사항에 대해 그 내용을 소개하고, 합의안에서 쟁점이 되는 사항에 있어서 필요한 제도적 보완책을 제시하였다. 근로자측에게는 근로 및 휴일을 계획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사용자측에게는 유연한 기업 경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전에 소정근로시간을 명확히 확정하고, 사전 확정된 근로시간은 근로자에게 통보하도록 제도적으로 보장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특히, 6개월 이내 단위의 적용 확대에는 1일·1주 소정근로의 상한, 시간외근로의 상한 등에 관한 특별한 기준이 필요하고, 도입시 동의주체가 되는 근로자대표제를 입법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근로자의 건강 확보 조치 등 제도의 남용을 억제할 방안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며, 임금보전방안에 있어서도 그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gal structure for flexible work hours system. To reduce too long working hours in Korea, working hour system needs to be adjusted to industrial change and necessity of company and worker. Recently, there are so many discussions that have been issued about flexible work hours system after shortening work-hours. The flexible work hours system can be flexibly adapted to the changing working environment, while providing the appropriate protec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cept and utilization status of the flexible work hours system, and looked at the legislative history in our country and the legislative examples of major countries. In addition, we summarized the issues that are important in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the flexible work hours system in the current law. Finally, February 19, 2019. It introduced the contents of the agreement reached by the Economic and Social & Labor Council, and presented the institutional supplementary measures necessary in matters of contention in the agreement. In order to encurage the flexible work hours system that allows employees to use work and holidays in a planned manner and enables flexible management of the employer side, it is necessary to clearly confirm the fixed working hours in advance and review whether pre-fixed working hours are guaranteed to be notified to employees on a systematic basis. Particularly, in order to expand the coverage within six months, special criteria are required for the upper limit of daily and weekly work, and upper limit of overtime work, a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labor representative system at the establishment. Further, detailed research on measures to curb abuse of the system, such as measures to secure the health of employees, is needed, and specific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ensure their effectiveness in wage conservation measures.

      • KCI등재후보

        중국의 주택제도 개혁과 '단위체제'의 해체: 상해시를 중심으로

        김영진,장홍밍,임반석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3 국제지역연구 Vol.12 No.3

        This paper examines the housing reform and its deconstructive implications on the so-called “work unit system,”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of social management in China. During the pre-reform period a typical work unit combined the workplace and housing, the latter was an indispensable aspect of the work unit system. This paper first explains the formation of public ownership of housing and its distribution system in the planned society, focusing on Shanghai. Then the reforming process of housing is examined, focusing on the important points of the reform: namely, raising rent on the one hand and selling out public housing on the oth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ousing reform and its results, two examples were studied in a field work research at Shanghai Guangming Middle School and Shanghai Jinshan Petroleum Inc. Through a summary of the find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 housing reforms have contributed to the deconstruction of the work unit system, which has resulted in an improvement of the inequality of living conditions. Housing reforms not only increase the liquidity of human resources but also relaxes the state’s control of society. 이 글은 중국에서 계획체제의 중요한 사회관리 방식의 하나인 소위 단위체제가 개혁과정에서 어떻게 해체되고 있는지 주택개혁을 통해서 살펴본다. 계획체제에서 주택은 직장과 주거지의 공간적 일치를 특징으로 하는 전형적인 단위체제의 불가결한 구성요소였다. 따라서 주택의 상품화는 단위체제 해체의 중요한 측면을 이루고 있다. 방법론적으로 이 글은 주택제도의 개혁이 단순히 경제적 효율성에 입각한 것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적 이해구조와 관련된다는 시각, 즉 정치경제적 시각에 입각하고 있다. 글의 전개에 있어서는 먼저 계획체제에서 공유주택 제도의 성립과 주택분배 제도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어 개혁 과정에서 공유주택 임대료의 인상과 공유주택 매각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개혁 과정에 관해 논의한다. 그와 함께 구체적인 주택개혁의 사례로서 상해시에 소재하는 광명중학과 금산석화유한주식회사에 대한 현지조사 내용이 검토된다. 결론적으로 주택개혁이 단위체제 해체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와 함께 주택의 상품화 개혁은 한편으로 주거공간의 확대를 가져오지만 다른 한편 주거조건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아울러 주택개혁은 인적인 요소의 유동성 확대와 함께 사회에 대한 국가의 통제와 간섭의 이완을 내포하고 있다.

      • 재판연구원 제도의 바람직한 운영방안

        문선주 ( Moon Sunju ),김효정 사법정책연구원 2020 연구보고서 Vol.2020 No.7

        재판연구원 제도는 전면적 법조일원화와 함께 2011. 7. 18.자 법원조직법 개정으로 도입되었고, 법학전문대학원 졸업생이 배출된 첫해인 2012년부터 시행되었다. 새롭게 도입되어 이제 막 정착된 제도일 뿐 아니라 제도 도입의 전제였던 전면적 법조일원화가 시행되는 2026년까지는 여전히 제도 운영의 과도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2021년이면 재판연구원 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되므로, 그 동안의 시행 성과를 검토해볼만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보고서는 재판연구원 제도의 도입 및 운영 경과, 현재까지의 운용 현황을 정리하는데 중점을 두고, 향후 검토해볼만한 개선 방안의 단초를 제안하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법원의 주도로 도입되어 정착되어 온 제도인 만큼 법원 내부의 다양한 자료를 주로 참고하였고, 현황 파악과 개선에 관한 의견수렴을 위하여 현직 및 전직 재판연구원, 재판연구원과 함께 근무한 법관에 대한 의견조회 등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보고서는 먼저, 제2장에서 재판연구원 제도의 도입 경과 및 도입 취지를 자세히 정리하고, 그에 따른 제도의 운영 방향을 검토하였다. 도입 취지에 따른 재판연구원 제도의 주된 목적은 법조경력자 출신 법관의 업무보조임이 명백하다. 따라서 재판연구원 제도를 통하여 부수적으로 법학전문대학원의 정착이나 변호사 실무수습에 기여하고, 법조 직역 사이의 교류를 도모할 수는 있지만, 결국 법원 내 운영 방향은 법관의 실질적 업무보조에 맞추어 져야 한다. 비교법 연구로 제3장에서 미국과 영국의 제도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우리나라 재판연구원 제도에서 참고할만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제4장 재판연구원 제도의 운용 현황에서는, 재판연구원의 업무 현황과 업무 이외의 현황으로 나누어 제도 도입 이후 법원 내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 결과 등을 정리함으로써 그간의 실제 운용 현황과 그에 관련된 개선의견 등을 파악하였다. 이에 의하면, 재판연구원 제도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고, 법관의 실질적 업무경감에 기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법조인력을 양성하는 제도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운용 현황에서 확인된 문제점이나 제도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실무적 개선방안과 장기적 활용방안을 제안해보았다. 실무적 개선방안 에서는 재판연구원의 업무를 둘러싼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무분담별 업무개선방안, 구체적인 업무별 개선방안, 공동연구원 제도의 활용방안, 재판연구원 교육 강화방안, 업무 매뉴얼의 마련 방안, 기타 제도 운영 관련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업무별개선방안을 정리하여 재판연구원의 업무 설정 등에 관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담은 재판연구원 업무 매뉴얼(안)을 제시해보았다. 장기적 활용방안에서는 재판연구원 배치 확대와 증원 방안, 재판연구원 임용 개선방안 등 재판연구원 제도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장기적 방안들을 간략하게 검토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운용 현황에서 확인된 문제점이나 제도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실무적 개선방안과 장기적 활용방안을 제안해보았다. 실무적 개선방안 에서는 재판연구원의 업무를 둘러싼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무분담별 업무개선방안, 구체적인 업무별 개선방안, 공동연구원 제도의 활용방안, 재판연구원 교육 강화방안, 업무 매뉴얼의 마련 방안, 기타 제도 운영 관련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업무별개선방안을 정리하여 재판연구원의 업무 설정 등에 관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을 담은 재판연구원 업무 매뉴얼(안)을 제시해보았다. 장기적 활용방안에서는 재판연구원 배치 확대와 증원 방안, 재판연구원 임용 개선방안 등 재판연구원 제도와 관련하여 논의되는 장기적 방안들을 간략하게 검토해보았다. With an amendment to the Court Organization Act on July 18, 2011, the law clerk system was introduced together with full-scale unification of the legal profession (appointing judges from among experienced attorneys) and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2, the year when law school graduates were p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Not only is it a newly introduced system that has just begun to take root, but its operation is still going through a transitional period until 2026, when unification of the legal profession will be implemented at full scale. However, as 2021 marks 1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clerk system, it is worth noting how much its implementation has achieved so far. In this context, this report focuses on summarizing the introduction, operation progress and status of the law clerk system so far, and makes some suggestions for noteworthy improvements in the future. For this study’s method, various internal data in courts were referenced because this system was mainly introduced and established by courts. To identify its current status and gather feedback for improvements, opinions were collected from current and former law clerks and judges who worked with law clerks. In this report, Chapter 2 describes the progress and intended purpose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law clerk system in detail and reviews a direction for the system’s operation. According to the law clerk system’s intended purposes, it is clear that law clerks are introduced to support judges appointed from among experienced attorneys. Hence, while the law clerk system may supplement the footing of law schools or practical training of attor-neys and promote exchanges among related legal professions, a major direction for its operation in courts should ultimately focus on practically supporting judges. As a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laws, Chapter 3 briefly examines the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K and summarizes their implications for Korea’s law clerk system. Next, Chapter 4 looks at the current operation of the law clerk system, summarize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of law clerks’ work and non-work duties in courts since the system’s introduction, and identifies the actual operation status so far and related feedback for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law clerk system has been introduced and operated in a relatively stable manner, contributed to practically alleviating workloads for judges, and established itself as a system that nurtures talented legal professionals. Finally, Chapter 5 suggests practical improvements and long-term uses as specific proposals to overcome problems or structural limitations identified in the operation status. As for practical improvements to consider, improvements involving specific duties, a joint law clerk system, stronger law clerk training, establishment of a manual, and other matters related to system operation are reviewed to tackle problems with law clerks’ work.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a proposed manual for law clerks that summarizes improvements for specific duties and includes minimum guidelines for the defined description of law clerks' duties. As for long-term uses, several options discussed in regard to the law clerk system are briefly reviewed, including assigning more law clerks, increasing the number of law clerks, and improving the recruitment of law clerks.

      • KCI등재

        우리 현행 「상법」상 집행임원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박정국 ( Jeong Kuk Pra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21 No.3

        집행임원제도란 이사회에 집중된 업무집행권과업무감독권을 제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집행임원이 이사회로부터 업무와 관련된 의사결정권 및 집행권을 위임받아 이를 결정 및 집행하고, 이사회는 집행임원의 이러한 결정 및 집행을 감독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1997년의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주식회사의 지배구조를 개선하여 기업경영의 투명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목적에서 사외이사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사외이사도 지배주주난 경영진이 지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이사회 내지 감사위원회를 통한 실효성 있는 감독을 기대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우리의 전통적인 이사회제도의 운영체제를 개혁하여 업무집행기능과 감독기능을 분리하고 그를 톻해서 주식회사의 실효성 있는 감독체제를 구성하고자 미국의 officer제도를 모방한 집행임원제도의 도입을 논의하게 되었다. 그 결과 2006년 9월 「회사법」개정위원회가 마련한 「상법」개정안에 집행임원제도의 신설규정을 포함시켜 국회에 상정하였으나 결국 2008년 5월 제17대 국회에서 의결되지 못하고 폐기초분되고 말았다. 그러나 그 이후 2011년 4월 14일 「상법」이 개정되어 현행「상법」제408조의2 내지 제408조의9에 집행임원제도가 명문으로 규정되었고 2012년 4월 15일부터 시행되었다. 하지만 현행 「상법」상 잽행임원제도의 타당성과 실효성에 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바 본고에서는 시행된 이후 한해가 지난 시점에서 집행임원제도의 의미를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The executive officer system is a device for separating the right of business executive power and executive oversight to focused on the board of directors institutionally. In other words, this is the system such as that executive officer was delegated the right of decision-making power and executive power from the board of directors and decide and transact it, and the board of directors supervise these decisions and enforcement of the executive officer. Outside director system was introduced on the purpose of ensure the efficiency and transparency of corporate management and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improve the corporation`s governance since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in Korea. But the issue was raised that it was difficult realistically to look forward to the effective supervision through the board of directors or audit committee, because outside directors are most elected by controlling shareholder or executive. Thus, academia was to discuss the introduction of the executive officers system to mimics officer system of the United States, for the purpose of configuring effective supervision system after separating the executive and supervisory functions to reform our traditional board of directors system and configuring effective supervision system. As a result, 「Commercial Law」 amendment including the new regulations of the executive officer system and preparing by 「Companies Law」 Revision Committee in Ssptember 2006 was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but it has been passed by the Natioal Assembly of the 17th and has been disposal eventually. But, the executive officer system was defined as a prestigious institution in article 2 of 408 or article 9 of 408 under the 2011 revised 「Commercial Law」 and was carried out from April 15 in 2012. But,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executive officer system under our current 「Commercial law」 has been questioned still. Therefore, I would like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executive officer system from a point in the past year since was performed in this paper.

      • KCI등재

        중국 동북지역 도시공간의 재구성과 사회 거버넌스 체계의 변화

        정규식 만주학회 2020 만주연구 Vol.- No.29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and socio-economic causes of the differenc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ast region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social governance system’.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ground power mechanism and governance structure that actually works in urban spaces of the northeast region are changing. Since the 2000s, the Northeast has emphasized the reduction of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in response to the central government's social governance system, and the shift to a ‘public autonomy’ model where local residents and social organizations participate. However, in the Northeast region, the influence of local governments from the ‘community building’ process is very strong. Above all, due to the low level of competence and development of social organizations, the generalization of ‘government-led communities’ and the discontinuation of administrativeization continue to be obstacles. In fact, in the ‘government-social cooperation’ model developed in the northeast region, most of the forms are in progress with social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council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or social organizations that have high influence on local society.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Northeast region, independent social organizations do not have a large capacity, so most of them stay in the subsidiary role of government projects. Under these circumstances, social governance projects in the Northeast region may potential risk the selective development of projects that meet the interests of the government, while certain interest groups or relatives who have collaborated with local governments monopolize privileges. In addition, the lack of human resources and expenses to participate in social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system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vitalizing social organizations are pointed out as important limitations in establishing a social governance system in the Northeast region. 본 논문은 ‘사회 거버넌스 체계’로의 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중국 동북지역의 독특한 특성에 주목하여 그 차이가 발현된 역사적・사회경제적 원인을 고찰하고, 나아가 동북지역의 도시공간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기층 권력기제 및 지배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개혁개방 이후 ‘단위체제’의 해체와 ‘사구건설’로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동북지역에서도 다양한 사구 건설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공업단위제 사회’의 특성과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요구를 반영하여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이후부터 중앙정부의 사회 거버넌스 체계 구축에 부응하여 지방정부의 권한을 축소하고, 지역주민 및 사회조직이 참여하는 ‘공민(公民)자치’ 모델로 전환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동북지역의 경우 ‘사구건설’ 과정에서부터 지방정부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사회조직의 역량과 발전 수준이 낮기 때문에 정부주도형 사구의 보편화와 그에 따른 행정화의 폐단이 심각하다. 실제로 동북지역에서 전개되는 ‘정부-사회 합작’ 과정을 보면, 기존에 지방정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관에서 설립한 사회조직이나 지방사회에 영향력이 큰 사회조직과 진행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한 동북지역 특성상 독립적인 사회조직의 역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정부 프로젝트 사업의 보조역할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으며, 이마저도 단기적이거나 임시적인 형태이기에 장기적인 전망을 갖기가 어렵다. 따라서 동북지역의 사회 거버넌스 프로젝트는 지방정부와 결탁한 특정 이익집단이나 친족이 특권을 독점하면서 정부의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사업만을 선별적으로 전개해나갈 위험이 잠재해 있다. 또한 사회조직에 참여하는 인재와 경비의 부족, 사회조직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행정 절차의 미비 등이 동북지역 사회 거버넌스 체계 구축의 중요한 한계로 지적된다.

      • 건설공사 하도급 계약금액 조정제도 개선방안 연구 - 납품대금 연동제를 중심으로-

        홍성진 ( Sungjin Hong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23 건설경제산업연구 Vol.9 No.1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건설 하도급업체의 경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랜 기간 국회에서 논의를 거쳐 납품단가 연동제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현행 “상생협력법”과 “하도급법 개정안”의 납품단가 연동제는 원재료의 비중이 10% 이상인 경우를 증명하기가 매우 어렵고, 광범위한 예외조항으로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국가계약법”은 물가변동 등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규정을 두고 있다. “국가계약법”은 공공조달계약을 규율하는 법률로써, 계약 자유의 원칙과 함께 조달계약의 특수성에 따라 공정성을 담보하고 있다. “하도급법”에서 “국가계약법”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규정을 준용할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 시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공표하는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납품단가 연동제를 형해화시키는 광범위한 예외조항도 배척하여 공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따라서 “하도급법”상 납품단가 연동제는 “국가계약법”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 규정을 준용하도록 입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recent surge in raw material prices has added to the management burden of construction subcontractors. Accordingly, after a long period of discu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the Unit price adjustment system was introduced. However, the current Act on the promotion of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re very difficult to prove that the proportion of raw materials is more than 10%, and the effectiveness is very low due to a wide range of exceptions.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t has provisions for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The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t is a law that regulates government procurement, and guarantees fairness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procurement contracts along with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f the provisions for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under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are applied mutatis mutandis, the standards of a credible institution may be applied when the price of raw materials increases. In addition, fairness can be improved by rejecting a wide range of exceptions that undermine the Unit price adjustment system. Therefore, the Unit price adjustment system under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should be legislatively revised to apply the Adjustment of contract amount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 under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 제7차 초등학교 "쓰기" 교과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이성영 ( Seong Young Lee ) 한국작문학회 2006 작문연구 Vol.0 No.3

        이 글은 제7차 초등 ‘쓰기’ 교과서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현상론적으로 분석하고 개선의 실마리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쓰기’ 교과서를 내용, 형태, 활용의 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용’ 측면에서는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가 교과서의 내용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충분히 상세화되어 있지 못하며, 글의 화제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지 못할 뿐 아니라 특정의 장르가 과다하게 출현하며, 제시된 쓰기 과제가 닫혀 있어서 쓸 내용을 생성하기 어려우며, 활동에 대한 지시가 지나치게 친절해서 독립적인 필자를 기르는 데 문제가 있고, 쓰기로 끝이 나서 후속 활동으로 연계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형태’ 측면에서는 대단원의 구성이 주로 장르중심, 목표 중심이어서 글쓰기의 전 과정을 스스로 결정하는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글쓰기를 실현시키기 어려우며, 연역적인 단원 구성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고 있고, 수준별 교육을 위한 평가 활동과 보충 활동의 효과에 의심이 가며, 대단원 안에 억지로 소단원을 만들어서 오히려 학습 효율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활용’ 측면에서는 연습책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현재의 교과서는 그 나름의 문제가 있으므로 다른 체제의 교과서를 통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nalyzing weak points of primary writing textbooks based on 7th curriculum and discovering methods of improvement. For these purpose, I scrutinize writing textbooks in terms of ``contents``, ``form`` and ``application``. There are a lot of weak in terms of contents. The content items of curriculum have not been concreted in textbooks. The topics of writing have not been distributed in various categories. Particular genre, especially letters have appeared too often. It seems that students have difficulties to generate ideas because topics of writing have been so closed. It doesn`t seem that students become independent writer because there have been so many directions in activities. Writing activities have been finished by themselves and haven`t been extended to any other after-activities. And there are also some weak in terms of form. Students can`t experience writing as problem-solving process because big-unit of textbook have been mainly organized through teaching-learning objectives or genre. The most parts of units have been organized deductively, so I can`t find inductively-organized units. It is doubted that there are affirmative effects in assessment-supplementary activities for level-oriented education. The small-units in big-units seem to disturb efficiency of learning. Finally, in terms of application, present writing textbook as work-book need to supplemented by any other types of textbooks because work-book type has also many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