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성폭력 사례정보 추출도구(K-SACRAI)의 개발과 적용

        김기현(Kim, Ki-Hyun),유비(Ryou, Bee),김재원(Kim, Jae-won) 한국피해자학회 2019 被害者學硏究 Vol.27 No.3

        성폭행 피해자에 대한 지원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정확한 사례 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최근 성폭력 및 아동학대 등에 관한 논의에서는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는 기관의 사례기록 정보를 활용해 성폭력 경험과 특성을 분석해야한다는 논의가 존재한다. 사례기록 정보는 성폭력 사건에 대한 공식 정보와 개입 과정을 포함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동시에 사례 기록 정보는 관리 데이터로서 즉각적인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사례 관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대표적인 지원단체인 해바라기센터 표준행정시스템에서 사례정보를 추출하는 도구인 K-SACRAI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K-SACRAI는 전문가, 정신과 의사, 변호사, 사회복지 교수들로 구성된 다 학제적인 위원회를 통해 해외 사례 정보 추출 도구의 검토와 수정과정을 거치며 개발되었다. K-SACRAI의 추출 항목 중 일부를 피해자지원기관의 아동, 청소년, 성인사례에 적용한 결과, 이전 논의에서 찾을 수 없었던 다양한 피해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령, 연령대에 따라 동반되는 피해특성의 차이와 서비스 이용에서는 차이가 존재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Accurate case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service model for victims of sexual assault. Therefore, recent discussions on sexual assault and child maltreatment say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sexual assault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the case record information of the institution supporting victims of sexual assault. The case record information includes official information on sexual violence cases and the process of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case record information is limited to immediate use as administrative da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develop and apply tools that can systematically extract case management information.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K-SACRAI, a tool for extracting case information from the standard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Sunflower Center, a representative support organization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K-SACRAI was developed through the review and modification of overseas case information extraction tools by organizing a multidisciplinary panel of experts, psychiatrists, lawyers and social welfare professors.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some of K-SACRAI s extractive items to child, adolescent and adult cases of victim support agencies indicated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previous discussions had not found. For exampl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blood damage and the use of services in cases that were accompanied by age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성폭력범죄에 대응한 개정 형법에 관한 연구

        김한기 ( Han Kee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一鑑法學 Vol.0 No.27

        There were revisions to the penal code, the basic law for sexual assaults on December 18, 2012. The revisions reflecte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unishment provisions of sexual assaults strongly insisted by the academia and women`s groups. The major change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the object of rape has been redefined as “person” instead of “woman”, second, the crime of quasi-rape has been newly added to reinforce punishment for a forced act of intercourse, and finally, the provision for a crime requiring complaint from the victim for prosecutor has been abolished for sexual assaults including rape. It is positive that the provision stipulating a crime requiring complaint from the victim for prosecutor has been abolished for rape. However, there is some concern about the excessive execution of punishment right by abolishing the provIsIOn for all sexual assaults. It is also required to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for potential problems that can take place by abolishing the provision. But, in addition to a portion on these positive, there is another problem of the revised criminal code. Firstly, In the notions for the sex the historical background difference of the Province of South Korea and Western were ignored. Secondly, duplication of on the revision Criminal Code and existing criminal special law regulations is the more serious problem. Thirdly, With respect to with crimes systems, the retreat of the principles of clarity of configuration requirements is concerned. And after an offense subject to complaint was abolished follow-up action plan is insufficient. Finally, Even when viewed from a constitutional perspective, legislation was not been granted in the legal justification.

      • KCI등재

        2012년 성폭력법제의 개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형법상 강간죄를 중심으로

        이현정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성균관법학 Vol.25 No.2

        There were revisions to the penal code, the basic law for sexual assaults on December 18, 2012. The revisions reflecte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unishment provisions of sexual assaults strongly insisted by the academia and women's groups. The major change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the object of rape has been redefined as "person" instead of "woman"; second, the crime of quasi-rape has been newly added to reinforce punishment for a forced act of intercourse; and finally, the provision for a crime requiring complaint from the victim for prosecutor has been abolished for sexual assaults including rape. The revisions represent a reflection upon the past when sexual assaults that caused a social issue were dealt with through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emporary special acts for every occurrence of such crimes. They deserve very positive evaluation in that they revised the fundamental aspects of sexual assault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do have the following problems, for which the present study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irst, although the object of rape was redefined as "person" instead of "woman," the conduct is still defined as "rape," which means a rape crime cannot be applied to homosexual rape. The study thus introduced examples of legislation to revise the conduct of rape. Second, it is admirable that punishment for a forced act of intercourse has been reinforced by newly adding quasi-rape, but the constituent conditions are not clear. The study thus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it. Finally, it is positive that the provision stipulating a crime requiring complaint from the victim for prosecutor has been abolished for rape. However, there is some concern about the excessive execution of punishment right by abolishing the provision for all sexual assaults. It is also required to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for potential problems that can take place by abolishing the provision.

      • KCI등재후보

        업무상 위력 간음죄에서‘위력’의 분석- 서울서부지방법원, 2018. 8. 14. 선고 2018고합75 판결, 서울고등법원, 2019. 2. 1. 선고 2018노2354 판결 -

        유상진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강법률논총 Vol.8 No.2

        Sexual assualt in workplace is committed in the case as a force against a person supervised by a business relationship. This occurs mainly i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group to which the victim belongs, and is also called an influence-peddling that takes advantage of intangible control over the victim.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se of Ahn’s, which is a typical type of influence-peddling, in which conflicting rulings of the first and second trials led to these different outcomes. A key is how to interpret the part of “as a force.” Not only should the crime of sexual and intimidation not reaching the level of violence and intimidation not be considered minor but also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crime is more bad and significant because of a wide range of powers and the absence of restrictions on means. It is a meaningful judgment that the decision gave implications for the sex crime in the workplace, given the fact that Article 303 (1), which is a crime of occupational power, has rarely been applied. The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work-related power should be the fact that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relationship is very important, that objective and clear evidence is required of whether it is a “status to subordinate the victim,” and that the victim has taken advantage of the condition in which sexual self-determination, such as active resistance, is difficult to exercise, and so on, to proceed to. 업무상 위력 간음죄는 업무, 고용 기타 관계로 인하여 자기의 보호 또는 감독을 받는 사람에 대하여 위계 또는 위력으로써 간음한 경우에 성립하는 범죄이다. 이는 주로 가해자와 피해자가 소속된 집단 내부의 권력 관계에서 발생하며, 피해자에 대한 무형의 지배력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권력형 성범죄로 불리기도 한다. 권력형 성범죄의 대표적인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 안 전 지사의 업무상 위력 간음죄에 대한 1심과 2심의 상반된 판결이 나와 어떠한 부분이 이러한 다른 결과를 이끌었는지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판결의 핵심 쟁점은 ‘위력으로써’의 부분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여부이다. 강간죄에서 요구하는 폭행·협박의 정도에 이르지 않았다고 하여 업무상위력 간음죄가 경하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위력의 범위가 넓고 수단의제한이 없기 때문에 사안에 따라서는 죄질이 나쁘고 중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성인에 대한 업무상 위력 간음죄인 형법 제303조가 적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대상판결이 업무상 위력 간음죄에 대한 시사점을 준 것에 대해서 의미 있는 판결이라고 본다. 업무상 위력 간음죄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관계의 특수성 고려가 매우 중요하고 ‘피해자를 종속시킬 수 있는 지위’인지 여부에 대한 객관적이고 명확한 입증이 필요하며,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등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하기 어려운 상태임을 알고 이용하여 간음행위로 나아갔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판단요소가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개정형법상 성폭력범죄에 대한 검토

        선종수(Sun, Jong-Soo)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東亞法學 Vol.- No.62

        2012년 형법 개정은 성폭력범죄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형법상 강간죄의 객체는 ‘부녀’에서 ‘사람’으로 변경을 하고, 친고죄도 폐지하였다. 그리고 유사강간죄를 신설하였으며, 2009년 헌법재판소에 의해 위헌결정이 있었던 혼인빙자간음죄 규정을 삭제하였다. 개정형법상 강간죄 객체의 변경은 그동안 부부강간, 동성간의 강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객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강간죄는 간음행위라는 실행행위의 해석상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간음행위는 혼인 외의 남녀사이의 성관계를 의미하므로 부부강간이나 동성간의 강간의 경우 해당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강간의 개념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형법상 강간죄의 구성요건을 ‘강간’에서 ‘성교행위’로 변경하면 제기된 문제는 해결될 것이다. 그리고 개정형법상 유사강간죄는 강제추행보다는 불법성이 중한 강제적 삽입행위를 처벌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유사강간죄는 구성요건해석상의 불명확한 부분이 있으며, 이는 개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형법상 성폭력범죄에 대한 친고죄 규정 폐지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즉 수사 또는 공판절차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해자에 대한 2차, 3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형법은 개정을 통하여 성폭력 관련 형사특별법과 동일한 구성체계를 가지게 되었으며, 유사한 구성요건을 규정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형사특별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성폭력 피해 주장 여성에 대한 인식: 주체성과 판단자 성별의 효과

        정찬영,김현정,김태경,박상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6 No.3

        In this study,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a woman who claims sexual assault would be evaluated more negatively, and the suspected man would be judged more leniently, when the woman is agentic. In addition, we expected that this phenomenon would occur because the agentic accuser does not conform to the ‘sexual crime victim’ stereotype or feminine norms, and considered these as mediator variables. We also postulated that male (vs. female) participants would have a less positive regard of the agentic accuser and tested participant gender’s moderating effects. Contrary to our hypothesis, participants criticized the agentic (vs. non-agentic) woman who claims sexual assault less and perceived her more positively and truthfully, and more likely to judged the suspected man to be guilty and recommended longer sentences. However, we observed the expected moderating effects of participant gender, so that male (vs. female) participants evaluated the agentic accuser more negatively. Mediation analyses yielded results on perceived truthfulness that were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Participants thought of agentic accuser as less feminine, which predicted less perceived truthfulness. Also, the less the agentic accuser was perceived to be feminine, male participants blamed her more while female participants had more positive impressions of her.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피해 주장 여성이 주체적인 모습을 보일 때 피해 주장 여성에 더 부정적인 판단을, 가해 혐의 남성에게는 더 너그러운 판단을 하게 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 현상은 주체적인 피해 주장 여성이 피해자다움과 여성성에서 벗어났기 때문일 것으로 예상하여 이들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고, 더불어 남성 참가자들은 여성 참가자들보다 주체적인 피해 주장 여성을 덜 긍정적으로 볼 것으로 판단하여 참가자 성별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했다. 연구 결과, 가설과 달리 참가자들은 피해 주장 여성이 주체적으로 묘사된 경우 그 여성을 덜 비난하고, 더 긍정적이고 더 진실되어 보인다고 평가하였으며, 가해 혐의 남성에게 유죄와 형량을 더 주었다. 하지만 여성 참가자들보다 남성 참가자들이 주체적인 피해 주장 여성을 덜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예측한 참가자 성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한편 매개효과의 경우 지각된 진실성에서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참가자들은 주체적인 피해 주장 여성이 더 피해자답지 않다고 보았고 그것이 더 낮은 지각된 진실성을 예측했다. 또한 피해 주장 여성이 주체적으로 행동하여 지각된 여성성이 낮다고 여겨질수록 남성 참가자들은 피해 주장 여성 비난을 더 하였고 여성 참가자들은 긍정적인 인상 평가를 더 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