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半島と琉球列島の交流 · 交易について : 物質文化資料を中心に

        池田榮史(이케다 요시후미)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0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2

        한반도와 류큐열도의 교류와 교역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연구사를 정리하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야광패 국자와 ‘계유년고려와장조(癸⾣年⾼麗⽡匠造)’ 날인 기와를 중심으로 다시 한번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직접적인 두 지역 간의 교류와 교역 관계는 14세기 이후에 나타나지만, 14세기 이전에도 두 지역 사이에 있는 규슈 및 일본을 사이에 두고 계속해서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반도에서 류큐열도의 오키나와까지는 그 사이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섬과 섬의 가시거리를 따져보면 왕래 가능한 지리적 환경이었다. 그러나 두 지역사이의 직접적인 교류 교역 관계는 14세기 무렵에 류큐열도 오키나와의 류큐 주잔 왕국이 성립할 때까지는 존재하지 않았다. 한반도와 류큐열도 사이의 직접 교류는 류큐열도에 국가적 조직이 성립됨에 따라 시작된 것이다. 본론에서 언급한 야광패 국자 유물 분석은 류큐열도에 국가조직이 성립되기 이전 단계에 한반도와 류큐열도 사이의 교류 교역 방식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그러나 야광패(夜光⾙) 국자의 운반에 관련된 류큐열도에서 한반도까지의 이동 경로나 이를 담당했던 사람이나 집단에 대해서는 가설적인 논의 단계에 머물러 있어 이를 실증할 사료와 자료가 아직까지 부족한 상황이다. 향후에는 류큐열도의 야광패 국자 유물에 대한 실태 규명과 한반도의 야광패 국자 출토 사례를 재검토하는 동시에 일본 규슈에서 유사자료 유무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한반도와 류큐열도 사이의 교류와 교역 관계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일본, 나아가 일본열도와 류큐열도 사이의 교류 교역 관계를 밝히는 길이 될 것이다. On the exchange and trade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yukyu Islands, the research history was summarized and reviewed once again, focusing on the recently talked-about glow-in-the-dark shell ladle and tile, the seal of the “Gyeoyeon Goryeohuajangjo(癸⾣年⾼麗⽡匠造).” As a result, direct exchanges and trade relations between the two regions emerged after the 14th century, but even before the 14th century, they continued to be made by reprinting Kyushu and Japan between the two regions.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Okinawa on the Ryukyu Islands, it was a possible geographical environment to travel between the two neighboring islands and islands. However, direct exchange and trade relations between the two regions did not exist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Ryukyu Zhujan Kingdom in Okinawa, Ryukyu Islands, around the 14th century. Direct exchange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yukyu Islands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organization on the Ryukyu Islands. The analysis of the glow-in-the-dark shell ladle relics mentioned in the main issue i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of the exchange and trade method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yukyu Islands at the pre-establishment stage of the national organization on the Ryukyu Island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and data to prove the people or groups in charge of glow-in-the-dark shell ladle, and the route of travel from the Ryukyu Islands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relics of the Ryukyu Islands’ luminous ladle and to review the cases of the excavation of the Ryukyu flagpole on the Korean Peninsula, while conducting an investigation into the existence of similar data in Kyushu, Japan. This could reveal not only the exchange and trad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yukyu Islands, but also the exchange and trade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as well as between the Japanese and Ryukyu Islands.

      • KCI등재

        기획논문: 동아시아 문학의 확장: 류큐 표류기, 군기, 설화 : ▣ 기획의도 ; 『조선왕조실록』 성종조의 류큐(琉球) 표류에 관한 고찰: 김비의(金非衣) 일행이 방문한 아에야마 열도(八重山列島)의 섬이름과 송환 사자에 대하여

        하카마다미츠야스 ( Hakamada Mitsuyasu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4 No.-

        본고는 조선왕조실록 성종 10년(1479) 조에 보이는 김비의(金非衣) 일행 3명의 ``표류기``를 살폈다. 검토하고자 한 논점은 ``표류기``에 기록된 야에야마(八重山) 지방 섬들의 명칭 문제와 김비의 일행을 조선에 송환했을 당시의 사자 문제 두 가지이다. 전자에 대해서는 1920년대부터 오쿠라 신페이(小倉進平)와 이하 후유(伊波普猷)에 의해 지명에 대한 추정이 있었고, 일본에서는 이것이 현재도 통설로 계승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추정의 근거는 한자 표기된 섬 이름의 발음을 단서로 삼은 것이었기에, 현재의 섬 이름에 가까운 것이 없는 경우에 억지로 끼워 맞춘 경향이 확인된다. 가장 극심한 예는 ``后伊是麻`` 혹은 ``훌尹是마``라고 표기된 섬이다. 한자 표기로 보면 ``후이시마(フュイシマ)`` 혹은 ``훌윤시마(フルリュンシマ)`` 등으로 발음 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가까운 발음으로 읽히는 섬 이름은 현재의 야에야마 제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하 후유의 설에서는 이것을 구로시마(黑島)에 해당한다고 하였고, 이것이 통설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표류기의 방위나 거리에 대한 기록으로 보았을 때, 가장 상응하는 것으로 보이는 위치에 있는 섬은 이시가키시마(石垣島)이나, 이시가키시마는 산지가 있는 비교적 큰 섬으로 농사도 행해왔다. 그러나 ``훌尹是마``는 하루만에 한 바퀴를 돌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섬으로 농사를 짓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지리적 조건은 이시가키시마와 합치되지 않는 것이 확실하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구로시마와 이시가키시마 사이에 위치한 다케토미시마(竹富島)이다. 다케토미시마는 주위 10km 정도의 작은 섬으로 산호초가 융기한 섬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평탄한 산지나 하천이 아니다. 이 때문에 다케토미시마는 수원(水源)의 혜택을 받지 못해 농사가 행해지지 않았다. 이러한 제반의 조건은 다케토미시마가 ``훌尹是마``에 대한 기술과 합치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 15세기 당시에 있어서 다케토미시마가 사키시마(先島) 지방의 정치적인 중심이었다고도 볼 수 있다. 즉, 사키시마 열도의 서쪽 끝에 요나구니시마(與那國島) 부근을 표류했던 김비의 일행은, 사키시마 제도의 섬에 이송된 뒤, 다케토미시마를 최종거류지로서 했다가 그 다음으로 미야코(宮古) 제도를 향해 송환되었다고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다케토미시마라는 명칭의 발음은 ``후이시마``, ``훌윤시마``라는 발음과 전혀 다르므로, 종래 구로시마설(黑島說)과 같은 상황에 처하게 만든다. 따라서 ``훌尹是마``를 다케토미시마로 단정 짓는 데에는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지만 80년 이상 전에 성립된 근거의 희박한 설을 지금까지 수용해왔다는 것은 문제적이며, 재검토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즉, 이 문제는 단순히 섬 이름의 문제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16세기 류큐 왕부에 의한 야에야마 정벌 이전에 있어서 야에야마 제도의 중심이 어디였는지에 대한 역사적인 문제와도 관련되는 것이며, 나아가 앞으로의 사료 검토를 필요로 하는 과제인 것이다. 후자에 대해서는 표류민 김비의 일행을 본국에 송환한 하카타(博多)의 상인 ``新時羅``가 단순히 ``위사(僞使)``였다는 데에 그칠 것이 아니라 다면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新時羅``는 김비의 일행의 송환 담당을 자처했고, 쇼신왕(尙眞王)에게 위탁받는 형식으로 김비의 일행을 조선에 송환시켰다. 그러나 그는 쇼신왕의 사자가 아니라, 어떻게 된 영문인지 제1기 쇼씨 최후의 왕이었던 ``쇼토쿠왕(尙眞王)``의 사자라고 고했다. 이렇게 사칭을 행한 이유는 분명치 않지만, 이듬해 조선을 방문했던 위사 ``敬宗`` 일행도 똑같이 ``쇼토쿠왕``의 사자를 사칭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아마도 쇼토쿠왕 시대부터 조선과의 교류나 무역에 종사해온 하카타의 상인들은, 쇼토쿠왕의 사후에도 그 이름을 기반으로 하여 조선과의 독점적인 무역을 진행하려고 했던 것을 추측해볼 수 있다. ``新時羅``의 경우, 실제로 쇼신왕의 명을 받아 실질적인 류큐국왕의 사자로서 표류민의 송환이라는 공적인 역할을 달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에서 굳이 사칭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하카타 상인의 한 사람이었던 그는, 그가 속한 하카타 상인들의 집단적 사유와 이익에 손해가 가지 않도록 ``쇼토쿠왕``의 사자를 사칭해, 국서도 바꿔 적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확실히 ``新時羅``는 정식적인 류큐 국왕의 사자였다고는 말할 수 없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또한 하카타나 쓰시마(對馬)의 상인들의 개입이 없었다면, 류큐왕부가 빈번하게 조선에 사자를 파견해 표류민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일도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위사``라고 불리는 사자들의 복잡한 존재 방식이 조선 왕조와 류큐 왕조의 교류속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조선왕조실록 성종 10년 조에 보이는 김비의 일행의 ``표류기``는 조선 왕조와 류큐 왕조 교류의 다면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 of Kim Bi-ui traveling in a company of three in the ten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ongjong (1479)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on Dynasty. The issues examined are the two problems of the naming of the Yameyama Islands and the envoy missions recorded in th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 of Kim Bi-ui and his group`s repatriation to Choson at the time. On the former, there have been assumptions on the toponyms by Ogura Shinpei and Iha Fuyu since the 1920s, which are the conventional wisdom in Japan even today. However, since clues can be found for the basis of these assumptions by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of the islands` names, there is a tendency to forcibly match the names of today`s islands when there are names that do not resemble them. The most extreme example are the islands labeled ``后伊是麻`` and ``훌尹是마.``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s, they can be read as possibly Fui-shima or Ful-ryun-shima, but there are no islands among the Yaeyama Islands today that have names close to these pronunciations. Despite this, Iha Fuyu`s theory says these names are related to Kuroshima, and this has become widely accepted as of now. When taking in account the bearings or distance recorded in th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 the location that corresponds the most is the island of Ishigaki, a relatively large island with production sites which also practiced agriculture. However, 훌尹是마 is recorded as being small enough to go around once in a single day and did not have farming, so geographically it is certainly not Ishigaki. W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here is Taketomi Island, located in between Kuroshima and Ishigaki. Taketomi Island`s circumference measures about ten kilometers and being on elevated coral reef, has no flat production areas or brooks throughout. Therefore, Taketomi Island count not receive the benefit of water sources and did not practice agriculture. These various conditions show that Taketomi Island fits with the description of 훌尹是마. Moreover, in the fifteenth century, Taketomi Island was the political center of the Sakishima Islands. That is, it naturally occurs to mind that after Kim Bi-ui and his group drifted to the vicinity of Yonaguni Island at the western end of the Sakishima Islands and were moved to an island among the Sakishima Islands, and went to Taketomi Island as the final destination and were later repatriated by going through the Miyako Islands. However, since the name ``Taketomi``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pronunciation of 后伊是麻 and 훌尹是마, it traditionally brings us to the conclusion of the Kuroshima theory. Thus, clos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drawing the conclusion of Taketomi Island as 后伊是麻. However, that a theory established over eighty years ago on slight evidence is still in use today is problematic, and the need for re-exa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That is, this problem does not rest on simply matching the names of islands, but since this is also related to the historical problem of the center of the Yaeyama Islands before the Yaeyama Campaign of the Ryukyu Kingdom in the sixteenth century, it is a task that needs future examination of sources. On the latter, the study also indicated the various facets of Kim Bi-ui and his party`s repatriation to Choson by a Hakata merchant by the name of 新時羅 simply described as an ``imposter emissary.`` 新時羅 himself took the responsibility of repatriating Kim Bi-ui and his party by the supposed request of King Sho Shin. However, he was not the envoy of King Sho Shin, and for one reason or another was reported as being the envoy of the last king of the first Sho Dynasty, King Sho Toku. Why this impersonation was used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common point to be found in the next imposter emissary ``敬宗`` group who came to Choson. Perhaps it can be assumed that the Hakata traders who engaged in exchange and commerce with Choson since the period of King Sho Toku sought to monopolize this trade even after his death. In the case of ``新時羅,`` it is true that he played a public role in repatriating them as the envoy of the Ryukyuan king by the command of King Sho Sin. On this point, there was no need to impersonate. However, on one hand, since he was a Hakata merchant, it can be thought that he changed the letters of credentials after impersonating himself as an envoy of King Sho Toku in order to not harm the organizational profits and possessions of the Hakata traders. It cannot be said for certain whether 新時羅 was the Ryukyu King`s envoy. However, if there was no interference from the Hakata or Tsushima traders, it can be thought that there would be no need for the Ryukyuan Kingdom to dispatch missions frequently to repatriate refugees to Choson. On this account, the complicated existence of ``imposter missions`` that called themselves missions in the exchange between Choson and the Ryukyu Kingdom cannot be ignored. The article noting th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 of Kim Bi-ui traveling in a company of three in the ten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ongjong (1479)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on Dynasty is one example that shows the multiple dimensions of the exchange between Choson and the Ryukyu Kingdom.

      • KCI등재

        徳之島の窯業生産からみた琉球列島と韓半島の交流

        新里亮人(신자토 아키토)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0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2

        류큐 열도(琉球列島)의 구스쿠(グスク)라 불리는 성새건조물(城塞建造物)에서 도자기, 철기 등과 함께 경질의 도기(陶器)가 출토되는 것은 1950년대부터 알려져 있다. 당시 가마터가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그 루트에 대해서는 조선 반도, 일본 열도, 오키나와 본섬 등 여러 견해가 제시되었으며, 한동안 산지 불명의 상태가 계속되었다. 1983년 도쿠노시마 남부 이센쵸(伊仙町)에서 저수지 개축 공사 중 대량의 도편(陶片)과 목탄(木炭), 소토(焼土, 가마의 일부) 등 가마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물이 세트로 발견되면서, 구스쿠에서 출토된 도기의 대부분이 도쿠노시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가마터는 가무이 야키 고가마터군이라 이름 붙여졌고, 이곳에서 생산된 도기는 발견된 지명을 따서 ‘가무이 야키’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런데 이 도기 가마의 구조와 생산 기종의 구성에서 규슈(九州) 남부의 중세 요업(窯業) 생산터와의 계통 관계가 거론된 적이 있었지만, 기형(器形), 소성(焼成), 문양(文様) 등 여러 요소가 한반도산 무유도기(無釉陶器)와 유사했다. 때문에 지금은 일본 열도와 한반도 쌍방의 특징을 계승한 ‘남도의 중세 스에키(須恵器)’라는 평가가 정착되었다. 이후 가무이 야키와 고려 도기의 관계를 통해서 류큐 열도와 한반도의 교류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지난 몇 년간 아마미(奄美) 군도에서는 가무이 야키의 도기 가마터 성립 시기의 취락흔적과 수전흔적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도쿠노시마의 취락흔적에서는 가무이 야키가 11세기 전반 무렵의 재지토기와 동반되는 사례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중국 도자기와 재지 토기가 포함된 유구면 보다 아래의 퇴적층에서 출토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가무이 야키의 성립 시기는 종전보다 50년 정도 오래된 11세기 전반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가무이 야키의 출현 시기가 종전보다 약간 이전이라면, 그 성립 계기에 대해서도 재검토해야 할 여지가 생기게 된다. 필자는 가무이 야키의 도기 가마터 성립 시기를 11세기 중반으로 보고 있으며, 그 성립 계기로 일본 유일의 국제 무역항 하카타(博多)에서 전개된 일송(日宋) 무역과 일려(日麗) 무역을 상정해 왔다. 일려 무역의 기록은 11세기 후반 이후에 확인되기 때문에 가무이 야키 도기 가마터의 성립이 예상보다 오래되었다면 가무이 야키는 일려 무역의 기록 이전에 출현한 것이 된다. 일본의 중세가 시작되기 직전까지는 고로칸(鴻臚館)에서 공적으로 관리된 무역 활동이 전개되었는데, 도쿠노시마의 고려(高麗) 도공(陶工) 초빙도 자유로운 상업 활동의 결과가 아니라 공권력이 관여하여 달성되었을 가능성도 상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It has been known since the 1950s that hard earthenware, along with ceramics and ironware, has been excavated from the castle building, called ‘Gusuku’ in the Ryukyu Islands. Since no kiln site was found at that time, various views were presented on the route, including the Joseon Peninsula,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main island of Okinawa, and the mountain area remained unknown for some time. In 1983, most of the pottery excavated from ‘Gusuku’ was found to have been made in Tokunoshima, as a set of artifacts common in kilns such as large quantities of pottery, charcoal, and soto were found during the renovation of a reservoir in Ishencho, southern Tokunoshima. The kiln site was named Kamui Yaki’s ancient kiln sites, and the pottery produced there was named Kamui Yaki after the name of the site.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ln structure and the production model was mentio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kiln’s structure and production model, it is now evaluated as ‘the Middle Age Sueki of South Islands,’ which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Korean Peninsula, as various factors such as deformity, plasticity, and pattern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Korean Peninsula. Later, we will think about the exchange between the Ryukyu Islands an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amui Yaki and Goryeo pottery. Over the past few years, the Amami Islands have been investigating the traces of the settlement and hand-to-hand traces of Kamui Yaki’s pottery kiln site, and the traces of Tokunoshima’s settlement have confirmed that Kamui Yaki accompanies the earthenware from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Since they tend to be excavated from sedimentary layers below the remains of an old building, which includes Chinese ceramics and jazzy earthenware,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Kamui Yaki is likely to be traced back to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some 50 years older than before. If Kamui Yaki’s appearance is a little earlier than before, there will also be room for a review of its establishment. I see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ottery kiln site of Yaki Kamui as the middle of the 11th century, and have assumed the Ilsong trade and Ilryo trade, which developed in Hakata, Japan’s only international trade port. Since the records of the Ilryo trade are confirmed after the late 11th century, if the construction of the Gamui Yaki Pottery Kiln Site is older than expected, then the Kamui Yaki appeared before the records of the Illyo trade. Until just before the start of the Middle Ages in Japan, publicly managed trade activities took place in the ‘Korokan’. I think it is necessary to assume that Tokunoshima’s invitation to the Goryeo potter was not the result of free commercial activities but the possibility that it was achieved by the involvement of public power.

      • KCI등재후보

        400년의 류큐· 오키나와와 동중국해 기지문제의 현재

        개번 맥코맥(Gavan McComack),다무라 후미노리(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6 아시아리뷰 Vol.5 No.2

        동아시아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동중국해를 둘러싼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이 글은 오키나와(沖繩)를 중심으로 400여 년의 역사를 살펴보고자 한다. ‘오키나와 문제’는 미·일 정부가 미 해병대용 새로운 시설을 오키나와 본도 북부에 건설할 것을 완강히 요구하는데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배후에는 과거의 압박과 착취가 깊게 각인된 역사가 숨어 있다. 14세기 후반부터 류큐(琉毬)는 사실상 독립해 있었으나, 17세기 류큐가 정복당하면서 류큐 국왕은 에도(江戶) 막부와 베이징의 황제를 동시에 섬기게 되었다. 19세기 초, 일본 메이지(明治) 정부는 류큐 왕국을 폐하여 류큐 번이라 하고, 메이지 정부는 신정권이 안정되자마자 본격적으로 류큐를 일본에 병합하기로 결의했다. 뒤늦게 일본의 일부가 된 오키나와 주민은 ‘일본인’이 되기 위해 오키나와라는 아이덴티티를 부정하고, 오키나와·류큐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버리도록 강요받았다. 1945년 괴멸적인 오키나와전 이후 1947년 5월, 천황이 오키나와를 본토에서 떼어내어 장기간 미군 점령을 희망했다. 일본에서 분할되어 미군 사정권 아래에서 ‘전시국가’가 된 오키나와는 일본으로 반환되면 미군에서 해방되고 일본 헌법 아래 비군사적이며 평화로운 섬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일본 복귀를 희망했다. 결국 1972년 시정권이 미군에서 일본으로 이관되었으나 일본 정부는 거액의 비용을 미국에 지불하는 한편, 미군기지 반환을 바라지 않았다. ‘반환’으로부터 약 20년 후, 냉전체제는 종결되었으나 기지는 여전히 남아 있고, 더 나아가 미·일 정부는 기지를 더욱 증강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오키나와 주민을 또 다시 크게 낙담하게 만들었다. 오키나와는 지리적 특성에 따라 급속히 변모하고 있는 동아시아, 동북아시아 공동체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헤노코(辺野古) 기지 반대운동을 통해 폭력과 강제로 점철된 400년의 역사를 배경으로 한, 평화적 수단으로 평화로운 섬을 회복하는 시민의 이야기가 지금 완성되어 가고 있다. Active cooperation among all parties surrounding the East China Sea is necessary for peace and prosperity of East Asia. This paper looks at 400 years of Okinawa’s history with this in mind. The “Okinawa Problem” is known to have its roots in the insistence of the U.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on installing new facilities for the U.S. Marine Corps on the north end of the island, but hidden deeper within lies a long historical legacy of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n independent kingdom since the late 14th century, the Ryukyu islands were subdued by outside powers in the 17th century and forced to serve both the Tokugawa shogunate and Beijing. In early 19th century the Meiji government deposed the kingdom and annexed the islands as soon as the new regime was stabilized. The Okinawans were forced to denounce their identity and fully identify themselves as “Japanese,” and also to disown their unique language and culture. In May of 1947, after the war ended in which a devastating battle was fought on the island, the Japanese Emperor preferred to have Okinawa ruled under long-term U.S. military supervision. The residents of Okinawa hoped that when the island is returned to Japan after being used as a “wartime” state under U.S. military administration, it would be freed from American occupation to become a peaceful and non-militarized island under the Japanese constitution. However, even as the island’s administration was transferred to Japan in 1972 with a large payment made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the United States, Japan did not want the military bases to be returned. Since then the bases have remained for over 20 years, well past the end of the Cold War, and now both the American and Japanese governments are actually demanding an expansion of the bases, greatly disappointing the islands’ residents. Okinawa’s geopolitical situation provides ample opportunity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rapidly changing East Asian community. Through the opposition movement against Henoko Base and over 400 years of violence and oppression, the story of a citizenry that seeks restoration of a peaceful home via peaceful means continues today.

      • KCI등재

        전후 미국의 `점령형 신탁통치`의 성립과 냉전적 변형 ― 조선, 미크로네시아, 류큐제도를 중심으로

        강성현 ( Kang Sung Hyun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12

        본 연구는 미국의 전후 기획과 실행에서 점령과 신탁통치가 어떻게 결합되고, 이 `점령형 신탁통치`가 어떻게 냉전적으로 변형되는지 검토한다. 우선 군사점령 및 이를 통한 종속지역에 대한 지배와 통치의 역사, 그리고 국제법적 논의를 면밀히 고찰한다. 제국주의의 식민지 확장 전쟁과 점령이 국제정치 및 국제법의 틀 내에서 어떻게 견제를 받으면서 제도화되었고,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위임통치-신탁통치 `장치`를 관계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조선, 미크로네시아, 류큐제도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조선은 `적국으로부터 분리된 지역`이었고, 미크로네시아는 일본의 위임통치령이었으며, 류큐제도는 일본 주권이 미치는 영토였다. 조선은 유엔에 의한 4개국(미·소·영·중)의 `비전략적 신탁통치` 적용이 시도되었다가 끝내 좌절되었고, 미크로네시아는 미국으로의 `병합`과 신탁통치 적용 사이에서 결국 미국을 유일한 시정권자로 하는 `전략적 신탁통치`로 귀결되었으며, 류큐제도는 유엔이 아닌 샌프란시스코 대일평화조약을 통해 미국을 유일한 시정권자로 하는 신탁통치로 결정되었다. 이 글은 세 지역에서 기획, 적용, 냉전적 변형을 겪은 신탁통치를 `점령형 신탁통치`의 시각에서 분석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occupation and trusteeship are combined in the U.S. Post-war Plan, the plan`s implementation, and how `occupational trusteeship` transforms during the Cold War. First, this article addresses military occupation`s history of control and domination of dependent areas through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law. I examine imperialist colonial expansion-motivated use of war and occupation, while investigating colonial institutionaliz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ternational law via the Mandate and Trusteeship `Dispostif`.Next, I analyze Korea, Micronesia, and the Ryukyu Islands. Korea was a “territory which may be detached from enemy state”, Micronesia was a territory held under the mandate of Japan, and the Ryukyu Islands were territories falling within the sovereignity of Japan. In Korea, four countries (U.S., USSR, British, China) tried to protract a `non-strategic trusteeship` (U.S., USSR, British, China), but their attempts failed. In the case of Micronesia, between the `annexation` to the U.S. and the application of the trusteeship, it eventually resulted in a `strategic trusteeship` with the U.S. as the sole administering authority. Ryukyu Islands was placed under the U.N. International trusteeship system through a peace treaty, with the U.S. as the sole administering authority.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rnational trusteeship system that was planned, applied, and transformed in the above three lo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Occupational Trusteeship`.

      • KCI등재

        제주도와 유구(琉球),충승(沖繩) 신화 비교 연구의 검토와 전망

        정진희 ( Jin Hee Jeo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7

        제주도와 琉球·沖繩의 신화에 대한 비교 연구는 그 성과에도 불구하고 琉球·沖繩의 역사와 그 신화 자료의 전승 맥락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 오독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향후 두 지역 신화의 비교 연구 과제는 琉球·沖繩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전제로 설정되어야 한다. 제주도와 琉球·沖繩은 도서 지역이라는 환경적 공통점과 외부의 권력에 의해 주변부화된 지역이라는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교의 조건이 성립된다. 이러한 조건적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어 본고는 島嶼 신화학, 마을 공동체 신화학, 무속 신화학 측면에서 향후 두 지역 신화가 구체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중심과 주변의 역학 관계를 드러낼 수 있는 메타 담론으로서 두 지역 신화 연구사에 대한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주도와 琉球·沖繩 신화의 비교는 두 지역 신화의 본질적 특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도서 지역이면서 동시에 주변화의 역사를 겪어온 지역의 신화에 대한 이론을 정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교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myth of Jeju-island and Okinawa is a subject worthy of comparative study. In spite of a lot of precedent study, the comparative study is not successful as a mythology. I think the fallacy of precedent study is due to lack of knowledge or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Okinawa and misapprehension about the context of Okinawan myth. The more understanding about history, culture and religious folklore of Okinawa, is indispensable for successful comparative study. Jeju and Okinawa are similar in geographic environment and historial circumstances. First, they are islands. And second, they had been merged into dynasty and had been located as a periphery by the dynasty government from over the sea. From these similarities and features, I suggest that the comparative study must be done as a mythology on island, on village, and on shamanism. Moreover, I suggest th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enter`s studies on myths of periphery, in order to reveal the colonialism in them. In conclusion, I think that these comparative studies will show the features of myths` of each island, and construct the mythology of peripher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해남 선비 김여휘의 유구 표류와 송환 경로(1662~1663년)

        정성일(Chung, Sungil)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3 No.-

        1662년 해남 선비 김여휘와 제주 사람이 포함된 32명의 조선인이 해난 사고를 당하여 유구국 아마미오시마로 표류하였다. 그들은 9월 24일[서력 11.4] 제주 별도표를 출발하여 해남으로 향하다가 추자도 분근에서 서북풍을 만나 표류하기 시작하여 10월 5일[서력 11.15] 유구인에 의해 구조되었다. 그들 중 4명은 그들의 동료가 구조되기도 전에 배 안에서 목미 말라숨졌다. 생존자 28명은 그곳에서 사쓰마로 이송된 뒤 나가사키에서 조사를 받고 대마도로 넘겨졌다. 1663년 5월 27일[서력 7.2] 대마도에 도착하자마자 김여휘 일행은 다시 심문을 받았다. 일본에서 모든 조사 일정을 마치고 그들이 부산포로 건너온 것은 7월5일[서력 8.7]이었다. 왜관에서 다시 조사를 받은 그들은 부산첨사화 동래부사에게 인계된 뒤에도 마지막으로 조선측의 조사를 받아야만 했다. 김여휘 일행이 고향 해남으로 돌아온 것은 7월 25일 [서력 8.27]이었는데, 그의 아내는 4월17일[서력 5.23] 에 이미 사망하고 말았다. 이 해난 사고는 1663년 한ㆍ일 간 울릉도 쟁계와 관련되어 있는 안용복의 제1차 도항, 그리고 1802년 문순득의 유구 아마미오시마 표류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된다. In 1662, thirty-two Koreans, including Kim Yeowhi, who was a classical scholar in Haeman County, and Jeju islanders, encountered an accident at sea and their ship drifted to Amami Oshima island, in Ryukyu. They were rescued by Ryukyuan islanders on the fifth day of the tenth month(or Novermber 15 in the Gregorian calendar), after having departed for Haenam, their home town, from the Byeoldo port in Jeju island on the twenty fourth of the ninth month(or Novermber 4 in the Gregorian calendar), but having been set adrift near Chuja island by a northwester. Four people among them died of thirst before the group was rescued. These twenty-eight survivors were sent from Ryukyu to Satsuma domain in southern Kyushu in Japan, and then to Thusbima domain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 Nagasaki. Kim Yeowhi and his fellow passengers were immediately interrogated upon their arrival in Tsushima on the twenty-seventh day of the fifth month(or July 2 in the Gregorian calendar) in 1663. They returned to Joseon, at the Busan port, on the fifth day of the sixth month(or August 7 in the Gregorian calendar), after clearing the investigations in Japan. They also had to undergo questioning at the Japan House(K. Waegwan), a compound where Tsushima islanders resided, in Busan and investig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after being delivered to Busan military base and the Dongnae County office. Kim Yeowhi and his colleagues retuned to Haenam County, on the twenty-fifth day of the seventh month(or August 27 in the Gregorian calendar). However, Kim’s wife had died on the seventeenth day of the fourth month(or May 23 in the Gregorian calendar). This maritime accident is useful for comparative study with the first voyage of An Yong-bok to Japan, which related to the territory dispute over Ulleung island between Korea and Japan in 1663, and drifting of Mun Sun-deuk to Amami Oshima in 1802.

      • KCI등재

        15~19세기 표류 제주인의 출신지 휘칭(諱稱) 양상에 대한 고찰

        김나영(Kim, Na-Young) 역사문화학회 201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9 No.1

        본고는 15~19세기 표류인 가운데 유독 ‘표류 제주인’들에게만 나타나는 모습, 즉 자신의 출신지를 숨기는 행동양상에 주목하여 시기별․표착 국가별로 그 실태를 추적해 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 표류 제주인들이 출신지를 숨겨야만 했던 그 원인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邈在海外 · 四海孤島의 火山島이자 强風多風의 ‘섬’이라는 제주도의 자연 · 지리학적 공간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제주인들은 자의적 · 타의적으로 바다로 향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가운데 ‘漂流’라는 일종의 해난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컸다. 한편, 異國으로 표류해 간 제주인들은 그 나라 땅에 닿기도 전에 차고 있던 號牌를 비롯 ‘濟州’라 표기된 문서 및 동전 등을 태워버리거나 바다 속에 던져버렸으며, 혹은 표착한 나라의 현지조사를 받을 경우 제주인임을 숨기고 다른 지역 출신으로 거짓 진술 및 보고하는등 타지역 표류인과는 다른 특이행동을 보이고 있음을 당시 조선측 사료 속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렇듯 해당 모습에 대한 기존의 제 학설을 비교․검토함과 동시에 그 원인으로 ‘이국인[타국인]이 제주인에 대한 오해’와 ‘유구세자 살해사건’에 초점을 맞춰 표류 제주인들의 출신지 諱稱의 존재양상을 새롭게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reason of the aspects found only in ‘drifters from Jeju’ among the drifters in the 15~19th century that they concealed where they were from by tracking the real condition by time and drifting ashore. As Jeju Island was a volcanic island with strong wind in the middle of the ocean, its natur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 led Jeju people to the sea according to or against their will. Therefore, they were mainly exposed to danger of drifting. Meanwhile, the drifters from Jeju who arrived in another country threw away any documents or coins with Jeju written on as well as their identification plate even before they reached the foreign land. It was easy to find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that the drifters from Jeju Island made a false statement about their hometown when they went through an investigation in the country they arrived in unlike to the drifters from the other areas. To shed new light on the aspects of the drifters from Jeju Island, the study first found out how their disguise was described in the orignal material and tracked down the aspects by time and the country they arrived in. The study then compared and reviewed the existing theory and tried to find out the background they had to hide their hometown focusing on foreigner’s ‘misunderstanding of Jeju people’ and ‘muder of Prince Ryukyu’.

      • KCI등재

        1830년대 로마가톨릭(천주교)의 동아시아 선교와 조선대목구장 앵베르 주교의 활동

        이석원 수원교회사연구소 2011 교회사학 Vol.0 No.8

        1831년 조선대목구의 설정은 로마가톨릭(천주교)의 동아시아 선교에서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교황청의 포교성은 조선대목구 설정을 계기로 중국에서 포르투갈의 보호권을 축소하고 대목구를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실제로 포교성은 브뤼기에르 주교의 요청에 따라 1838년 요동대목구를 북경교구에서 분리했으며 1840년대 이후 중국 내륙에도 대목구를 증설하여 직접 중국 선교를 통괄하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포교성은 조선을 축으로 육지와 바다를 통해 주변 지역으로 선교활동을 확대하려 했는데, 특히 조선대목구가 일본 선교의 교두보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여 조선대목구장이 유구 열도 대목구장을 겸하게 하였다. 제2대 조선대목구장인 된 앵베르 주교는 조선에 입국하는데 성공함으로써 파리외방전교회가 조선대목구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동시에 주변 동아시아[극동] 선교에서 조선이 차지하는 지정학적 중요성을 강조하였던 초대 조선대목구장인 브뤼기에르 주교의 선교 방침을 충실히 계승하였다. 그는 조선의 동남 해안에 위치한 동래 왜관에 전교회장을 파견하여 일본 선교의 가능성을 타진하려 했고, 파리외방전교회 마카오 극동대표부와의 협력을 통해 유구 열도에 전교회장을 파견함으로써 유구와 일본 선교를 시도하였다. 또한 앵베르 주교는 요동·만주[달단] 지역에 조선 선교의 전진기지를 확보하려했던 브뤼기에르 주교의 방침을 계승하면서도 동아시아 지역 전체의 선교 사업을 위해 조선대목구와 북경교구의 갈등을 무마하려고 노력했다. 또한 프랑스 라자로회와의 협력 관계 속에서 조선 입국과 마카오와의 연락 경로를 요동·만주 지역에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했다. 이처럼 포교성 및 파리외방전교회(극동대표부)의 동아시아 선교 정책은 앵베르 주교에 의해 구체적으로 시도되었고, 그후 선교사들이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앵베르 주교의 선교 방침과 그 활동의 역사적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1831 by the Congregation for the Propagation of the Faith. Its establishment was a turning point of policies on East Asia mission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First, the Congregation began to pursue the policy to abridge the Padroado(Portuguese Patronage of the East) and expand vicariates in China. In 1838 it detached the Vicariate of Liaodong from the Diocese of Peking as Mgr. Bruguière’s request. Later after 1840’s the Congregation succeeded in controling the mission of China by creating more vicariates. Second, the Congregation tried to expand missionary works in countries near Korea. Considering Korea as the potential center of evangelization, and especially expecting it to be a bridgehead to Japan, the Congregation appointed the Vicar Apostolic of Korea as the Vicar of Ryukyu Islands. Mgr. Imbert, the second Vicar Apostolic of Korea, was the first bishop who entered Korea successfully. He inherited Mgr. Bruguière’s policy; the first Vicar emphasized the geopolitical importance of Korea in the East Asia mission. Mgr. Imbert tried missionary works for Japan and Ryukyu Islands. He sent a catechist to Dongnae(東萊) Waegwan(倭館, a Japanese trade office in Korea) to find out possibilities of Japan mission, and another catechist to Ryuku Islands with the help of the MEP’s Macao mission office. Although he followed predecessor’s policy of securing an advanced base in East Tartary(Liaodong and Manchuria), he made an effort to resolve a conflict between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and the Diocese of Peking, and it was for the mission of whole East Asia. He also tried to make a secure contact route between Korea and the Macao office with the cooperation of French Lazaristes in East Tartary. Mgr. Imbert’s activities have historical importance, as he made attempts on East Asia mission following the Congregation’s and MEP’s policy and his attempts did a foothold role for missionaries after him.

      • 유구열도 주변 잠재 지진해일 전파특성

        배재석,최준우,윤성범,Bae. Jae-Seok,Choi. Jun-Woo,Yoon. Sung-Bum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Potential tsunamis which may occur near Ryukyu Islands were simulate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otential tsunamis over the southwestern sea and the influence of tsunamis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The shallow water area in the east sea of China and the deep water Okinawa Trough play an important role in wave transformation and propagation of the potential tsunami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otential tsunamis generated near Ryukyu Islands can be described as in followings : In the first stage after generation, the tsunamis propagate with high speed both northeastward and southwestward along the Okinawa Trough. As a result the waves are elongated and the tsunami height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elongated crest of tsunamis spans the whole distance of the Okinawa Trough and lines up toward the edge of the continental shelf of East China Sea. Then, the tsunamis are propagating towards the southeast coast of China. Thus, the influence of tsunamis on the Korean coasts becomes we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