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전풍토가 종업원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외투기업과 국내기업 비교

        이경재,여경환,Lee, Kyung Jae,Yeo, Kyung Hwan 한국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5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safety climate, organizational tru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between safety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argeting population were the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First, it was figured out that employees' recognition of organizations' safety climate has an effect positively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t turns out that individuals' safety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was figured out that organizational trust plays a role as mediation when employees' recognition of organizations' safety climate has an effect positively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 result revealed that foreign investment compan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organizational climate. Fifth, organization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 that the individuals' safety awareness are positively affected on the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 results of four hypotheses using intermediary variable in which organizational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climate and "work attitud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demonstrate significance of trust in organization in connecting safety climate and work attitude. Therefore, when trust in organization is enhanced, work attitud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uld be improved.

      • KCI등재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통제위치와 공정성 풍토의 영향에 관한 다수준 연구

        서유미(Seo YuMi)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1

        조직냉소주의는 조직에 대해 환멸과 실망, 좌절감을 갖는 태도로 조직 구성원이 조직관행과 제도의 부당함을 경험할 때 가지게 된다(Andersson & Bateman, 1997). 본 연구는 이러한 조직냉소주의를 불러오는 선행요인 중 개인의 통제위치 효과와 집단공정성 풍토의 영향을 살펴보며, 특히 두 변수 간 하위차원 간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 다층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개인의 통제위치 효과는 개인수준의 내적, 외적(권력, 운)통제위치의 세 하위 차원(Levenson 1974, Rotter, 1966)으로, 집단 공정성 풍토는 집단 수준의 분배적, 절차적, 관계적 공정성 풍토 차원(Colquitt, 2001)에서 각각 그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직에서 일어나는 부당한 일들에 대한 지각과 귀인은 개인의 통제위치에 따라 다른 패턴으로 일어날 것이며, 이에 따라 내적 통제위치의 경우 부(-)적, 외적 통제위치의 경우 조직냉소주의와 정(+)적인 관계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집단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조직 내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 경우 조직 내의 일상적 관행에 대한 강한 규범적 기대를 공유함으로써 개인의 외적 통제위치가 조직 냉소주의에 미치는 정적(+)관계를 완화시키는 완충제로서 기능할것으로 예상하였다. 총 14개 조직, 73개 팀에 소속된 333명의 팀원들에게 두 번에 걸쳐 수집한 설문 데이터 분석 결과, 분배적 공정성 풍토와 내적 통제 위치는 조직냉소주의에 유의미한 부정적 주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 풍토와 관계적 공정성 풍토는 외적(운) 통제 위치가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효과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고, 관계적 공정성풍토는 외적(권력) 통제위치가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였다. 이상 주 변수들의 하위차원 간 상호작용 효과와 그 방향이 지니는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cross-level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level locus of control variables and group-level justice climate in terms of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cynicism. While individual and group-level factors have their unique main effects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ynicism, their interactions are hypothesized and tested. As an one of important individual traits, the locus of control is expected to affect individual’s attribution process, thu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cynicism. It is expected that people with high internal locus of control will show less organizational cynicism. In addition, grouplevel justice climate is expected to have direct main effects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ynicism as an important contextual factor. Moreover, group-level justice climate and individual trait locus of control are expected to show interaction effects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ynicism. The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77 work teams in 14 Korean organizations showed that distributive justice climate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had main effects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ynicism. Procedural justice climate and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moderated the effect of chance locus of control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ynicism. The effect of power locus of control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ynicism is also moderated by interactional justice climate.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on organizational cynicism and organizational justice as we recognize the cross-level effects of justice climate on the individual level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ynicism. By investigating the each facet of justice climate (procedural, distributional, and interactional), the unique effect of each facet was examined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cynicism.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How can Authentic Leadership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Jin-Gyu Tak(탁진규),Tae-Woo Roh(노태우)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조직분위기,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조직분위기가 조직 내에서 리더의 역할과 구성원들 간의 긴장 관계를 완화해준다는 기존 연구에 따라 진성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분위기의 매개역할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총 44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통계분석은 SPSS/WIN 24.0과 STATA 1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조직분위기,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분위기는 조직시민행동과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성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분위기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기존의 진성리더십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조직분위기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진성리더십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lima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to suggest the implications behind the growing importance of authentic leadership. In particular, this study substantiates existing arguments that organizational climate moderates the tension between leaders and employees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various business areas in Korea, and 444 responses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which was performed using SPSS/WIN 24.0 and STATA 14.0 statistics package and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1) authentic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lima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performance; 2) organizational climate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4) organizational climate perform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among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By including organization climate’s mediating effect as a factor in the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this study presents a new perspective for future studies on leadership.

      • KCI등재

        조직의 윤리 풍토와 조직 구성원 직무 결과간의 관계에 대한 교차수준 연구

        심창현(Sim, Chang Hyun),신유형(Shin, Yuhyu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 경영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조직의 윤리 풍토에 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윤리 풍토에 대한 많은 선행 연구들이 윤리 풍토가 조직 수준의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주로 개인 수준에서 측정하고 고찰해 왔다. 본 연구는 조직 수준에서의 윤리 풍토가 조직 구성원의 직무결과를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247개 기업의 5,845명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위계적 선형 모형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서로 다른 윤리 풍토가 조직 구성원의 직무 결과를 차별적으로 예측함을 나타내었다. 즉, 조직의 법과 윤리중심 풍토와 지역사회 중심 풍토는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반면, 조직의 권위에 대한 복종 풍토는 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성 풍토는 예측과 달리 직무만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법과 윤리 중심 풍토 및 지역사회 중심 풍토는 다른 두 유형의 풍토에 비해 구성원의 직무 결과의 보다 중요한 선행 변수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국내의 다양한 산업 및 규모의 조직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크며 기업 윤리 및 조직 풍토 연구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business ethic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growing body of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linkage between ethical climate and employee work outcomes. However, past research on ethical climate has mainly examined ethical climate at the individual level of analysis. Given that ethical climate itself is an organizational level construct, it may need to be measured and analyz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this end,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and employee work outcomes from a cross-level perspective. Drawing on ethical climate literature, we identified law and ethics climate, community-focused climate, efficiency climate, obedience-to-authority climate as four key climates that reflect the level of ethicality in an organization. We predicted that law and ethics and community-focused climates would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dividual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On the other hand, we proposed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efficiency and obedience-to-authority climates and the three work outc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5,845 employees in 247 Korean companies that were recruited via stratified sampling based on firm size, industry, and location. The four types of ethical climate were measured with employees’ perceptions of each type of climate within their organization, and their responses were aggregated to the organizational level so that they could reflect the corresponding type of organizational climate. Aggregation statistics such as rwg, ICC(1), and ICC(2) indicated sufficient within-organization agreement as well as between-organization variability in the four types of ethical climate. The result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is showed that law and ethics climate and community-focused climat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In contrast, efficiency climate and obedience-to-authority climate were not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Contrary to expectations, w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fficiency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w and ethics climate and community-focused climate are more influential in predicting employees’ work outcomes than efficiency and obedience-to authority climates.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have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분위기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탁진규,노태우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lima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to suggest the implications behind the growing importance of authentic leadership. In particular, this study substantiates existing arguments that organizational climate moderates the tension between leaders and employees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various business areas in Korea, and 444 responses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which was performed using SPSS/WIN 24.0 and STATA 14.0 statistics package and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1) authentic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lima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performance; 2) organizational climate has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4) organizational climate perform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s among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By including organization climate’s mediating effect as a factor in the research on authentic leadership, this study presents a new perspective for future studies on leadership.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진성리더십이 조직분위기,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조직분위기가 조직 내에서 리더의 역할과 구성원들 간의 긴장 관계를 완화해준다는 기존 연구에 따라 진성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분위기의 매개역할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총 44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통계분석은 SPSS/WIN 24.0과 STATA 14.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상사의 진성리더십은 조직분위기, 조직시민행동 및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분위기는 조직시민행동과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성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분위기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기존의 진성리더십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조직분위기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진성리더십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가 있다.

      • KCI등재

        조직역량과 조직풍토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무관,최희봉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5 지역산업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climat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 the main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petences and climat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e als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petences and commitment. Our results, as expected, provide support for both the mai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petences and climat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istent with expected, this study find som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We discus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직몰입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조직수준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경쟁력과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자원들과 루틴의 집합을 의미하는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조직풍토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또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풍토가 조절하는지 또한 고려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조직역량 중 공유가치, 구성원, 전략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조직풍토 중 발언권 또한 조직몰입을 향상시켰고, 조직냉소주의는 조직몰입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그리고 조직풍토는 부분적으로나마 조직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제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심리적 분위기가 개인 및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태종,임명성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분위기와 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심리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을 모두 포괄하는 심리적 분위기-성과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했다. 연구모형에서 제안한 요인들은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과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이다. 제안 모형에서 제시한 인과성을 검정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 기법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심리적 분위기 요인 중 경영진의 지원은 인지된 업무 분위기와 조직의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업무 분위기는 조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성과는 조직의 몰입과 업무 동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의 성과는 모형에서 제시한 어떠한 요인과도 유의한 인과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 동기와 조직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결과를 통해 경영진의 지원과 인지된 업무 분위기라는 심리적 분위기 요인들은 조직의 몰입을 통해 개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업무 분위기는 개인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limate and performances. To explore this purpose, we build a research model rooted in Psychological Climate-Performance Model to consider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all together. These factors may contribute to encourage individual as well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s.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through jamovi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ol to support covariance-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causal relationship. We found that managers’ support,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climate factors,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work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work climate has also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individual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work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not influenced by any factors such as work motiv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dividual performance whatsoever. In addition, we found that no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work motivation as well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psychological climate factors including managers’ support and perceived work climate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work motivation directly inspires individual performance.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urther in the last section.

      • KCI등재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의 관계에서 창의적 조직풍토의 매개효과

        박선형,임성범,이승연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For this, research question is established as follows. How structural relations are going on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re are some findings whether schools' creative environment factors do mediating role in making relationship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 climate. This study indicates the result as follows. First,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to construct schools' creative environment of the organization. So,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 climate can be well constructed based on the level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has a positive effect of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is rated higher when there are many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promoting creativity, in other words, less hindering factor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is fully mediated by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This means tha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having great impact to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with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that, for revitalizing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the role of principal which can make sch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more appropriate to revitalize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 has to be handled more importantly tha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self. 제4차 산업혁명시대 도래로 대변되는 급변하는 상황과 환경적 불확실성에 직면하여 세계 각국은 무엇보다도 창의적 우수 인재양성을 위한 혁신적인 교육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선행조건으로서 교사의 창의적 교수역량 제고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즉, 교사는 학교 조직운영의 성공과 교육과정 실행의 완결성 제고에 있어서 실질적인 주체적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변혁적 리더십을 고려하고, 매개변인으로 창의적 조직풍토를 설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를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조직 내 요인으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의 창의적 조직풍토에 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효과를 가진다. 특히, 조직 환경적 요인으로서 학교의 창의적 조직풍토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위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교사 440명에게 설문을 배포하여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적 조직풍토가 매개변수로 개입된 상태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교수행위의 직접적 관계는 성립되지 않았으며, 창의적 조직풍토는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교수행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Role of Organizational Climat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ase of Teaching Hospitals

        Mohammad Amin Bahrami,Omid Barati,Malake-sadat Ghoroghchian,Razieh Montazer-alfaraj,Mohammad Ranjbar Ezzatabadi 질병관리본부 2016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tectives Vol.7 No.2

        Objective: The commitment of employees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factor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limat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and the organizational climate in hospital setting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2014 at two teaching hospitals in Yazd, Iran. A total of 90 nurses in these hospitals participated. We used stratified random sampling of the nursing population. The required data were gathered using two valid questionnaires: Allen and Mey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tandard questionnaire and Halpin and Croft’s Organizational Climate Description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done through SPSS 20 statistical software (IBM Corp., Armonk, NY, USA).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limate (r = 0.269, p = 0.01). There i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of organizational climate and affective commitment (r = 0.208, p = 0.049) and between focus on production and norma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r = 0.308, p = 0.003). Conclusion: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climate could be a valuable strategy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PSM)와 조직분위기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그리고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부산광역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강동철 ( Kang Dong Chul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3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방공무원의 동기부여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방공무원에게 특별히 부여된 동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한 지방자치단체에 근무 중인 지방공무원 218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 고취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치게 될 때, 조직몰입과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검토할 수 있도록 구조방정식모델을 설계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규범적 동기_공익을 위한 헌신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며, 정서적 동기_측은지심은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하지만, 자기희생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때문에 조직분위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방공무원에게 공공봉사동기는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공직에 공공봉사동기를 느껴 지방공무원이 되었다면, 지자체의 조직분위기에 참여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body of work in this area by investigating the responses from 218 local public servants from one local govern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determine which specific motivation of local public servants has the largest effect on organizational climate of local government. This study also has conducte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o review the mediated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uman Relations in the process from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Organizational Climate. According to the results, 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Compassion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Human Relations. However, Self-Sacrifice was shown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uman Relations. Therefore, Local public servants'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a relevant factor in Organizational Climate. Local public servants who feel motivated with their public sector provide higher levels of Organizational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