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리적 분위기가 개인 및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태종,명성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분위기와 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심리적 요인과 행동적 요인을 모두 포괄하는 심리적 분위기-성과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했다. 연구모형에서 제안한 요인들은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과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이다. 제안 모형에서 제시한 인과성을 검정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모형 기법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심리적 분위기 요인 중 경영진의 지원은 인지된 업무 분위기와 조직의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업무 분위기는 조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성과는 조직의 몰입과 업무 동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의 성과는 모형에서 제시한 어떠한 요인과도 유의한 인과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무 동기와 조직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결과를 통해 경영진의 지원과 인지된 업무 분위기라는 심리적 분위기 요인들은 조직의 몰입을 통해 개인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업무 분위기는 개인의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limate and performances. To explore this purpose, we build a research model rooted in Psychological Climate-Performance Model to consider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all together. These factors may contribute to encourage individual as well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s.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through jamovi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ol to support covariance-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causal relationship. We found that managers’ support,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climate factors,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work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work climate has also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individual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work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not influenced by any factors such as work motiv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dividual performance whatsoever. In addition, we found that no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work motivation as well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psychological climate factors including managers’ support and perceived work climate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work motivation directly inspires individual performance.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urther in the last section.

      • KCI등재

        경영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치동인과 성과측정치의 매개효과

        임태종,김달곤,이상완 한국회계정책학회 2011 회계와 정책연구 Vol.16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lignment among business strategy, value drivers and performance measur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y firms are adopting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PMS). It provides information that allows the firms to identify the strategies which offer the highest potential for achieving the firm’s objectives and align management processes. Effective PMS requires measures to reflect the activities and outcomes that are important in enhancing performance. The performance measures must be aligned with its strategy and value drivers. Value driver is long-term strategic goals.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expected to be higher when value drivers and performance measures are aligned with the firm's strategy. This study has found little support for the hypotheses. The mediation effect of value drivers and performance measures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performance was partially existent. Overall, only the mediator of environment-related value driver and measure was found. The reasons for this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extent of alignment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value drivers was very low. Second, the extent of alignment between value drivers and performance measures was very low. Particularly, the measurement gaps between value driver and performance meas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the companies need to reestablish the alignment among business strategy, value drivers and performance measures.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전략과 가치동인, 성과측정치 간에 어떤 관계가 있으며, 그 관계가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가치동인은 경영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장기적인 경영목표이며, 성과측정치는 그 가치동인에 일치하는 단기적인 성과지표를 말한다. 전략정렬의 관점에서 보면 경영전략과 가치동인, 성과측정치가 잘 정렬되어 있어야 하며, 그 결과가 경영성과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수는 여러 가지 인데, 경영전략은 유연화, 혁신, 유지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가치동인은 총 10개의 지표에 대해 그 중요성을 측정하였으며, 성과측정치도 가치동인과 동일한 항목으로 측정하여 각각을 하나의 변수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경영성과는 인지된 성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경영전략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가치동인과 성과측정치 모두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은 환경성과지표 뿐이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를 추가분석해 본 결과 크게 두 가지의 이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경영전략과 가치동인간에 관계가 잘못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경영전략에 일치해야 하는 핵심가치동인 가운데 일부는 관련성이 없거나 반대 방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치동인과 성과측정치 간에 방향성은 일치하였다. 그러나 그 크기에서는 다르게 나타났다. 가치동인으로서 중요하지만 성과측정치로는 중요성이 낮은 경우 혹은 그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전략정렬의 관점에서 현재의 성과측정시스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PMS의 광범위성이 동기부여, 역할명료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임태종 한국회계정책학회 2023 회계와 정책연구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MS broadness on motivation, role clarity, and job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way the use of PMS broadness affects job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Methodolog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22 were collected.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amovi v2.3.16 and hypothesis testing was conducted using Smart PLS v2.0 M3. [Findings] The breadth of PM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breadth of PMS has a positive effect on motivation and role clarity, and motivation and role clarit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readth of PMS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through the increas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role clarity of memb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the members, it is necessary to include financial/non-financial and results/input indicators containing information on organizational goals and activities, and indicators that can provide balanced perspectives and diverse perspectives to the members when organizing measuremen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PMS의 광범위성이 동기부여, 역할명료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폭넓은 PMS의 이용이 개인 수준에서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한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122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jamovi v2.3.16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하고, Smart PLS v2.0 M3를 사용하여 가설 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PMS의 광범위성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PMS의 광범위성이 동기부여와 역할명료성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동기부여와 역할명료성이 직무성과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PMS를 폭넓게 사용하는 것이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와 역할명료성 증가를 통해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구성원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성과측정지표를 구성할 때 조직목표와 활동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는 재무/비재무 지표와 결과/투입 지표를 포함하고, 구성원에게 균형 잡힌 시각과 다양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지표를 포함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참여예산과 예산슬랙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임태종,김봉기,최현정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참여예산이 예산슬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관되지 않은 연구결과는 다른 요인에 의하여 참여예산이 예산슬랙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이 참여예산과 예산슬랙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최근 리더십의 대안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진성리더십이 참여예산과 예산 슬랙 간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 실증분석 하였다. 과학적 연구 절차에 따라 먼저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 결과 에 근거하여 가설 설정을 하고, 군 조직에서 재정업무를 담당하는 간부를 대상으로 설문을 회수 하였다. 그리고 회 수된 설문지 200부 중에서 불완전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180부를 최종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예산은 예산슬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참여예산과 예산슬랙 간의 관계에서 진성리더십이 조절역할을 한다. In this study,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if the authentic leadership, which recently became an issue as an alternative of leadership, plays th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ve budgeting and the budgetary slack. The hypothes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in accordance with the scientific research procedure an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commissioned officers in charge of financial businesses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Out of 200 questionnaires collected, 1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shown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ve budgeting has positive(+) effect on the budgetary slack. Second, The authentic leadership plays the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ve budgeting and the budgetary slack.

      • KCI등재

        참여예산, 보상갈등, 예산슬랙 그리고 관리적 성과 간의 관계

        임태종,이상완,김재열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회계정보연구 Vol.34 No.4

        Most previous studies on participative budgeting focused either on the positive aspects of participative budgeting through motivation or negative aspect of participative budgeting through creation of budgetary slack. Also,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ere not consistent. The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in a balanced perspective considering both the positive aspects of mitigation of compensation conflic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creased through participative budgeting, and the negative aspect of the potential for subordinates creating budgetary slack for private gain. Hypothesis was set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deduction, and 186 surveys collected from group organization was analyzed using SMART PL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ve budgeting mitigated compensation conflict and increased budgetary slack. Second, while mitigation of compensation conflict had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managerial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budgetary slack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managerial performance. The study result shows tha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f participative budgeting, the influence on performance improvement differ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this context.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mostly being limited to profit organizations, the study expanded the research subject to nonprofit organizations. Second, unlike previous studies,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ducted analysis in a balanced perspective of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at can occur when participative budgeting becomes the basis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ensation. Third, the study result can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execution of participative budgeting in nonprofit organizations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studies. 참여예산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 참여예산이 동기부여를 통하여 미치는 긍정적인 측면 또는 예산슬랙 창출을 통하여 미치는 부정적인 측면 중 하나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는 일관적이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예산으로 인하여 증대된 정보와 의사소통이 보상갈등을 완화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과 하급자가 사적 이익을 위하여 예산슬랙을 창출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균형 잡힌 시각에서 실증분석을 하였다. 선행연구와 추론에 기초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군 조직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지 186부를 SMART PLS(Partial Least Squar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예산은 보상갈등은 완화시키고, 예산슬랙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갈등 완화는 관리적 성과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예산슬랙은 관리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참여예산의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의 크기에 따라 성과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으며, 이 같은 맥락에서 선행연구의 결과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가 대부분 영리조직에 국한된 것에 비하여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으로 연구대상을 확대하였다. 감독기관의 감독, 예산편성 및 집행의 의무화 등으로 인하여 영리조직보다 비영리조직에서 예산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달리 참여예산이 성과평가나 보상의 기초가 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 결과는 비영리조직에서 참여예산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고, 또한 후속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학에 부는 ESG 열풍과 대학의 역할

        임태종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ESG management, which has recently been advocated by various universities, and (2) discuss the role of universities related to ESG. A wide range of literature is collected and analyze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ESG-related data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cademic papers, reports, and media press releases related to ES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ESG-related academic research has recently increased rapidly and has been conducted a lot. Research on various topics and fields is needed in the future. (2) ESG-related courses or educational programs are still in early stages. Various curriculum development is needed. (3) It is necessary for domestic universities to voluntarily conduct ESG management and practice it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ESG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ies play various roles as research, education, and regional-based companies and service providers in relation to ESG. This shows that the role of universities is important for the spread of ESG culture. In addition, ESG management of universities is an inevitable reality, and it shows that universities are also facing ESG eval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1) 최근 여러 대학에서 표방하고 있는 ESG 경영의 현황을 정리하고 (2) ESG와 관련한 대학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문헌을 수집 및 분석한다. ESG 관련 학술논문, 보고서, 언론 보도자료 등을 통해 ESG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SG 관련 학술연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많이 수행되었다. 향후 다양한 주제와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2) 국내 대학의 ESG 관련 교과목 개설이나 교육 프로그램은 아직 초기단계이다. 다양한 교과목 및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3) 국내 대학이 자발적으로 ESG 경영을 하고, 이를 실천하여 ESG 문화확산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ESG와 관련하여 대학이 연구, 교육, 지역 기반 기업 및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ESG 문화확산을 위해 대학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대학의 ESG 경영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대학도 ESG 평가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비재무지표의 이용과 관리적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상사신뢰의 역할

        임태종,이상완,김봉진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4 No.1

        비재무지표의 이용과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에서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통하여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그리고 비재무지표의 이용과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는 조직수준에서 진행되었을 뿐 개인수준에서 진행된 것은 별로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가 갖는 연구영역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개인수준에서 어떤 경로를 통하여 성과향상에 기여하는지를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비재무지표는 장기적으로 기업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고, 기업이 추구하는 전략과 연계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성과측정을 할 때 비재무지표를 이용하게 되면 조직구성원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감소될 것이고,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감소는 기업의 대리인 역할을 하고 있는 상사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킬 것이며, 상사신뢰는 관리적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논리적 추론을 바탕으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SMART PLS(Partial Least Squares)를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비재무지표의 이용은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을 감소시키고, 역할모호성의 감소는 상사신뢰를 증가시키고, 상사신뢰의 증가는 관리적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개인수준에서 직무스트레스의 감소와 상사신뢰의 증가를 통하여 관리적성과 향상에 기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수준에서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관리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조직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서도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Many prior studies show tha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se researches do not reveal clearly how non-financial measures improve the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Rather many researches abou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have been going on just in organizational level and not in personal level. This study covers the contribution of non-financial measures in improving performance at a personal level through empirical analysis. Non-financial measures are expected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involved in corporate strategies in the long run. When non-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are use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in the organization will be decreased. When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re decreased, trust of the supervisors who represent the company also improves. Consequently, the improved trust of the supervisors will improve confidence and trust in the managerial performance as expected due to each manager playing his/her part and no overlapping of roles. In order to verify findings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and logical reasoning to set the hypothesis, research model SMART PLS (Partial Least Squares)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As expected, this study reveals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to reduce the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leading to improvement in managerial performance and trust in the supervisors. This study shows tha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lead to stress reduction and an increase in confidence of the supervisors at the individual level. Improved managerial performance will contribute towards overall success of the organiz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how non-financial measures influence managerial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is also important at the level of organization member s perception and behavior aspect.

      • KCI등재

        기부금 관련 소득세 계산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임태종,김완용 한국조세연구포럼 2020 조세연구 Vol.20 No.3

        [Purpose]In this study, an effort was made to clarif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donation-related income tax calculation regulation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Methodology]This thesis compares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old Income Tax Law. It shows that the current Income Tax Law is not consistent with the practice and it presents the problem of tax deduction for donations on financial income through a simple case. [Findings] First, there is no limit on statutory donations deducting tax, and there are no regulations on deduction carried forward. Second, political fund donations are not reflected in the calculation of the limit for designated donation deducting tax. Third, the provisions on the tax deduction limit for the Employee Stock Ownership Association(ESOA) donations conflict. Fourth,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donation tax deduction and the ESOA donation tax deduction when the standard tax deduction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ESOA donation. Lastly, in the case of tax deduction for donations on financial incom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tax burden is smaller in the case of global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than in the case of separated taxation of financial income. [Implications]It is meaningful that it present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donation calculation regulation under the Income Tax Law, which had little prior studies.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현행 기부금 관련 소득세 계산규정의 입법상의 문제점을 밝히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논문에서는 기부금과 관련된 과거의 조문과 현행 조문을 비교하여 법규정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제시한다. 또한 현행 규정이 실무와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간단한 사례를 통하여 금융소득에 대한 기부금 세액공제의 문제점을 제시한다. [연구결과]첫째, 세액공제하는 법정기부금에 대한 한도규정이 없고, 이월공제에 대한 규정도 없다. 둘째, 세액공제하는 지정기부금에 대한 한도계산 산식에 정치자금기부금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셋째, 우리사주조합기부금 세액공제한도에 대한 「소득세법」 규정과 「조세특례제한법」 규정이 충돌한다. 넷째, 우리사주조합기부금에 대해 표준세액공제를 중복적용하는 경우 기부금 세액공제액과 우리사주조합기부금 세액공제액을 구분하기 어렵다. 끝으로, 금융소득에 대해 기부금 세액공제를 하는 경우 금융소득을 분리과세할 때보다 금융소득을 종합과세하는 경우에 오히려 세부담이 더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소득세법상 기부금 계산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점과 세법개정시 자구수정을 통하여 실무적으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비재무지표의 이용과 개인성과 간의 관계에서 역할스트레스와 상사신뢰의 역할

        임태종,이상완,김봉진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3

        Many prior studies do not reveal clearly how non-financial measures improve the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Rather many researches abou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have been going on just in organizational level and not in personal level.This study covers the contribution of non-financial measures in improving performance at a personal level through empirical analysis. Non-financial measures are expected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involved in corporate strategies in the long run. When non-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are use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in the organization will be decreased. When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re decreased, trust of the supervisors who represent the company also improves. Consequently, the improved trust of the supervisors will improve confidence and trust in the managerial performance as expected due to each manager playing his/her part and no overlapping of roles. As expected, this study reveals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to reduce the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leading to improvement in managerial performance and trust in the supervisors. This study shows tha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lead to role stress reduction and an increase in confidence of the supervisors at the individual level. Improved managerial performance will contribute towards overall success of the organiz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how non-financial measures influence managerial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use of non-financial measures is also important at the level of organization member's perception and behavior aspect.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통하여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그리고 비재무지표의 이용과 관련된 많은 선행연구는 조직수준에서 진행되었을 뿐 개인수준에서 진행된 것은 별로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가 갖는 연구영역의 한계점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개인수준에서 어떤 경로를 통하여 성과향상에 기여하는지를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비재무지표는 장기적으로 기업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많은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고, 기업이 추구하는 전략과 연계되어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성과측정을 할 때 비재무지표를 이용하게 되면 조직구성원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감소될 것이고,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감소는 기업의 대리인 역할을 하고 있는 상사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킬 것이며, 상사신뢰는 개인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 비재무지표의 이용은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을 감소시키고, 역할모호성의 감소는 상사에 대한 신뢰를 증가시키고, 상사신뢰의 증가는 개인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개인수준에서 역할스트레스의 감소와 상사신뢰의 증가를 통하여 개인성과 향상에 기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수준에서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관리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조직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인지적, 행동적 측면에서도 비재무지표의 이용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서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병원을 중심으로

        임태종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조직을 대상으로 부서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종합병원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 253부에 대해 PL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 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직무만족은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조직몰입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서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이는 전문성과 협력이 중요시 되는 병원조직에 있어서 부하를 근로자가 아니라 동료로 생각하고 부하를 위해 헌신하고 배려하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이끌어 내고, 이를 통해 고객지향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f department head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hospital organiz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mployee of general hospitals.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on 253 copies of the questionnaire using the P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Second,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respectively.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ervant leadership of the department hea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Hospital organizations value expertise and cooperation. Therefore, servant leadership, which considers employees as colleagues, not workers, and is dedicated and caring for members, is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ervant lead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that leads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and contributes to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