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문화연구와 아시아 환경예술 네트워크의 구축

        윤영득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5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4 No.3

        문화가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성공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로 인식된다. 다양한 아시아 도시들의 문화적 투자와 개발에 있어서 공통의 딜렘마와 도전 그리고 접근방식 을 비교 고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아시아 환경예술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환경예술은 환경이라는 개념이 자연환경과 생활환경, 문화 역사적 환경이라는 여러 개념들을 다층위적으로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연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문화연구는 문화의 영역별로 구획되어 분절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환경이라는 개 념의 다층위적인 속성에서 보았을 때 학제적 문화연구의 성격을 바탕으로 환경예술을 추구하여야 한다고 본다. 문화 연구는 하나의 지적 태도이고, 운동이고, 네트워크이며 실천적 지위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분야 간에 상호 교류 및 통합의 네트워 크와 큰 틀에서 환경을 공유하고 있는 지역의 다층위적인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런 의미에서 아시아 환경예술 네트워크의 필요성은 확립된다고 보겠다. 그러면 아시아 환경예술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확립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첫째 는 아시아 환경예술과 관련된 학제 간 교류연구의 활성화, 둘째로는 상호교류프로그램 활성화, 국제초청 문화프로그램의 상호 개최, 셋째는 도시환경예술품설치에 있어서 국 제화와 개방화를 제안해 본다. It has been well recognized that culture contributes to the economic and social sucess of cities decisively. It is necessary to study common dilemma and challenges and approach methods in cultural investment and development of various Asian cities comparatively. For this, the need for establishment of Asian environment arts network is suggested. Environment arts is intimately related with cultural studies since the concept of environment itself includes various concept such as natural environment, life environment, cultural and historical environment. This cultural study has a tendency to be divided into the regions of culture. However, I think environment arts should be pursued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disciplinary cultural study, viewed upon multidimensional properties of the environment arts concept itself. Cultural study is one of intellectual attitude, movement, network and can non be governed under a united method. Thus it is inappropriate for the cultural study to be enclosed into academic region and it will itself reflect the weakness of practical position of cultural study. I think mutual interchange among domains, network of integration and multidimensional network of regions sharing environment in a big framework are necessary. In this meaning, I think the necessity of Asian environment arts network. is established. Then, what are the concrete methods of establishing Asian environment art network? In the below, some of the concrete methods are suggested. ☐ Activation of interdisciplinary interchange study among academic regions related with Asian environment arts ☐ Activation of mutual interchange program and mutual holding of international cultural program ☐ Internationalization and opening in city environment arts setting-up market

      • 환경교육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충북 환경교육네트워크의 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최수경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s staying afloat and getting adjusted, by looking in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of Chungbuk. With the review, the study is to discuss issues getting in the way of development of reg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and suggest practical solutions to tackle the situation. For the study, in-depth person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secretary generals of the institutions on environmental network of Chungbuk.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of study, Chungbuk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had a chance to promot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 Act taking effect. But opinions were mixed on incorporation of the network and this undermined solidarity. Also conflicts were emerging and recognized among the parties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To overcome the situation, extensive discussions were made to see whether incorporation c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s and efforts were made to strengthen the membership, build framework to reach consensus, better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uphold the principle of solidarity. Given this backdrop, the study is to present the im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with regard to its utility and relevance, and suggest the vision of Chungbuk environmental education. 본 연구는 지역의 환경교육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사례로 환경교육단체가 각각 도생하고 적응해가는 과정을 충북지역 환경교육네트워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단위 환경교육네트워크의 발전을 저해하는 쟁점과 방안 그리고 실천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충북의 역대 환경교육네트워크 간사단체 사무국장 두 명을 심층 면담하여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하는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 충북환경교육네트워크는 환경교육진흥법 이후 환경교육 활성화의 기회를 맞이하였으나, 네트워크 법인화라는 쟁점에 이견을 갖게 되고, 연대의 약화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주체들 간의 관계 갈등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법인화가 대안이 될 수 있는 지에 대한 논의, 멤버십의 강화, 합의의 틀 마련, 소통, 연대원칙 확인이라는 노력을 하고자 하고 있다. 그리고 환경교육진흥법의 효과적 활동, 충북 환경교육네트워크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제도적 네트워크, 중층적 배태성, 조직 관행의 확산

        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2 인사조직연구 Vol.20 No.4

        조직 관행의 확산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체로 하나의 네트워크, 제도적 환경, 조직군 속에서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조직들 간에 이루어지는 확산에 관심을 집중해왔다. 하지만 조직 관행의 확산은 여러 네트워크나 조직군을 거쳐서 일어날 수도 있다. 이 논문은 특정 네트워크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조직이라도, 그 네트워크에 배태되어 있는 행위자와의 지속적 관계를 통해 그 네트워크에서 유발되는 제도적 압력에 노출되는 것을 중층적 배태성(two-fold embeddedness)으로 개념화하고, 이에 기초하여 조직 관행의 국제적 확산 과정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1995년부터 2008년까지 116개 국가의 ISO 14001 환경경영표준 인증기업 수에 대한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각국 정부들 간에 형성된 다자간 환경 협약의 제도적 네트워크가 어떻게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한 기업들 간의 조직 관행 확산을 견인하는지 살펴본다. 분석 결과, 세계 각국의 정부들이 참여하는 다자간 국제 환경 협약 네트워크는 ISO 14001의 국제적 확산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에 대한 환경 규제의 필요성이 높은 경우, 그리고 정부가 자국 기업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ISO 14001 인증에 대한 국제 제도의 압력이 기업에 더 크게 전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제 제도 네트워크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정부가 자국 기업에 제도적 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으며, 그 역할의 효과는 정부와 기업 간 관계의 속성에 따라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국제 제도와 정부-기업 간 관계의 속성이 ISO 14001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대신, 국제 무역 및 투자 관계, 국가 간 언어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경영 활동에 대한 일반화된 국제 규범이 강화되면서, 기업들 간의 직접적 상호 작용 네트워크가 국제 제도 네트워크와 중층적 배태성의 역할을 대체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는 조직 관행의 확산이 조직들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배태된 조직들 간의 간접적 연결을 통해서 일어날 수도 있으며, 두 가지 기제의 상대적 중요성은 확산이 진행되면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Much research on diffusion has paid exclusive attention to the spread of ideas and organizational practices within a single network or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highlighted the role of structural and cultural embeddedness therein. An underlying assumption in this line of research tradition is that a network or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is a rather closed system, unaffected by the influence from other networks or institutional environments: therefore, an organization interacts with organizations in a closed system, but not with organizations outside. However, this assumption is implausible. Since organizations actually participate in multiple networks and multiple environments, organizational practices can travel through multiple networks, and organizations in one institutional environment can learn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that are legitimate in other environments. To fill this gap,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two-fold embeddedness, referring to the state in which an organization is not a member of an institutional network, but in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via connection with organizations which are directly embedded in this network. This postulates that an organization can adopt a practice as a response to institutional pressures arising from a rather remote network, insofar as it has an embedded relationship with other organizations that are embedded in that network. This paper empirically tests the theory of two-fold embeddedness by using panel data on ISO 14001 environmental management standard certification in 116 countries from 1995 to 2008, focusing on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nstitutions (specifically, inter-governmental environment agreements) in the cross-national diffusion of a organization-level practice, i.e., ISO 14001 standard. Several hypotheses are proposed. Since firms are connected to international institutional networks(specifically, inter-governmental environmental agreement networks) through an embedded relationship with their government, the adoption rate of ISO 14001 in a country will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embeddedness of its government in such institutional networks (H-1). This hypothesis suggests that inter-governmental institutions are not only a source of institutional pressures, but a conduit for the international diffusion of an organizational practice. The next two hypotheses investigate the cross-national heterogeneity in the diffusion speed. I argue that the effect of embeddedness in inter-governmental networks can be moderated by the nature of the embedded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firms. If firms depend on the government for critical resources, they are likely to adopt patterns of behavior endorsed by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will be able to readily transmit macro institutional pressures to firms within its territory. This leads to the second hypothesis: the level of dependence of firms on the government will moderate the effect hypothesized in H-1 (H-2). Likewise, if the government is deeply embedded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nstitutions and finds the need for tight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domestic firms, it will likely encourage firms to adopt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like ISO 14001. Thus, the need for environmental regulations will moderate the effect hypothesized in H-1 (H-3). Finally, three additional hypotheses are proposed, which test temporal heterogeneity in diffusion mechanisms. Identifying two types of institutional pressures, I argue that network-specific institutional pressures are gradually replaced by diffuse ones, as transnational environmental norms emerge and a variety of institutional actors such as NGOs, consumers, and competitors take over the roles previously played by governments and environmental agreement network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창의성과 환경 연구의 지식구조 탐구

        안동근,한지수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3 창의력교육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structure of creativity and environment research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propose a future study direction.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a total of 477 keywords from 176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20 years from 2003 to 2022 that investigated creativity and environment. Then a total of 77 keywords represented more than twice among them were analyzed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including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cluded creativity, creative environment, creative family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creative thinking, creative 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so on. The keyword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included creativity, creative family environment, creative environment, creative school environment, research trend, family environm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o on. From the community analysis, nine sub-groups were made focusing on self-leadership (isolated node), creative thinking principles (creative learning principles), creative problem solving (environment education, environmental attitudes, environment literacy etc.), science gifted students (parents, family, school etc.), organizational creativity (individual creativity, group creativity, creative research environment etc.), creativity (creativity characteristics, creative efficacy, classroom environment, creative class environment, reading environment etc.), creative environment (creative thinking, creative product, creative characteristics, creative process etc.), family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task environment, infants creativity etc.), and creative family environment (creative school environment, creative task environment, creative orientation etc.).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제도화된 정책네트워크와 정책선택: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박채복 한독사회과학회 201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1 No.4

        To establish the formation and dynamics of environment policy deci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licy network that exists in the various actors, and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is chosen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e process of deciding EU’s environmental policy, there is some distinctiveness of environmental issue that cannot be done only with government’s lead. Through analyzing the policy network that works with connection forming of various actors, this study seeks how th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makes actual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 to realize that policy network theory has usefulness and theoretical suitability for analyzing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of actors who participat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and analyze the example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Also, this study will examines how policy network has changed its category and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and will analyze formal and informal network interac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policy actors and its connection structures. To analyze the EU’s environmental policy through policy network, policy of climate change counter measure and policy actor who relates EU`s emission trading scheme, this study focuses its network analysis.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의 형성(formation) 및 동태성(Dynamics)을 규명해보기 위하여 다양한 층위의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책네트워크(policy network)를 분석해보고자 하며, 유럽연합의 환경정책네트워크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부주도만으로는 성공을 거둘 수 없는 환경문제의 특수성이 상당히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다자간 관계형성을 통해 작동하는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환경정책 결정과정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연계 구조를 분석하는데 정책네트워크이론이 유용성 및 이론적 적합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네트워크를 사례로 분석해보았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결정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네트워크의 특성과 유형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다양한 환경정책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식적ㆍ비공식적 네트워크의상호작용과 연계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또한 정책네트워크를 통해서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분석해보기 위해 기후변화대응정책과 그 일환인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에 관련된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옹호연합정책네트워크(ACPN)를 통한 환경정책 형성과정 연구: 인천 사월마을 환경피해 사례를 중심으로

        최은미,김종호,최일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2 No.1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formulation process using the Advocacy Coalition Policy Network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case of Sawol town in Incheon, which required the revision of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in March 2021 and the revision of the Special Accounting for landfill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is stud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 formed a policy network between stakeholders before the request for revision of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and the conflict escalated with two belief system that the alliance for migration plan due to the environmental damage and the alliance fo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residential area. This process is divided into latent conflicts, felt conflict, and manifest conflict, and then it anticipates that the interaction of the advocacy alliances based on the network formation will effect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residential area and/or the Special Accounting for landf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network in environmental disputes where diverse policy actors are intertwined, to look into how the policy network affect the subsystem of the composition of policy subsystems, and to anticipate how their influences and strategies would affect final policy output.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policy formulation by applying policy network analysis and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nd specified the theoretical effectiveness of the policy formulation process by predicting further policy. 이 연구는 2021년 3월 환경보건법 개정안과 수도권매립지특별회계 조례개정을 요구하게 된 인천 사월마을 사례를 바탕으로 옹호연합정책네트워크(Advocacy Coalition Policy Network) 분석틀을 활용하여 정책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추후 산출될 정책을 예단해 보았다. 연구분석에 따르면 환경보건법 개정요구가 나오기까지는 환경오염과 환경피해라는 환경적 요인이 이해관계자 간의 정책네트워크 구성을 형성시켰고, 환경피해에 따른 이주대책마련 요구 연합과 환경개선대책 촉구 연합 간의 두 가지 신념체계로 갈등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정책갈등 잠재기, 정책갈등 표출기, 정책갈등 심화기로 구분지어 이해관계에 따른 정책네트워크 형성이 이들 옹호연합들의 상호작용과 그 결과로 산출 될 것이라 예측되는 주거환경개선 또는 수도권매립지특별회계 조례개정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정책행위자들이 혼재한 환경분쟁 상황에서 정책네트워크 구성과정을 살펴보고, 환경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 정책네트워크가 정책하위체계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들의 영향력과 전략이 최종 정책산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또한 한 가지 분석보다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할 수 있는 정책네트워크 모형과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상호보완적으로 결합한 연구 분석틀을 적용하여 정책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동태적 속성을 규명하였다는 점, 그리고 추후 산출될 정책을 예단해 봄으로써 정책형성과정에서 설명하는 이론적 유효성을 명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탐색

        여관현 ( Kwan Hyun Yeo ),송영민 ( Young Min So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이론의 탐색적 고찰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정책네트워크 이론을 관광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의 틀과 구성요소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은 정책네트워크의 개념과 연구동향, 그리고 관광정책네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접근 및 관광 연구에서의 정책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관광 연구를 위한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구성요소는 관광정책에서의 대내적 환경, 주요 행위자, 상호작용, 네트워크 구조와 같이 4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관광정책네트워크 분석에서 정책네트워크를 둘러싸고 변화되는 관광정책의 대내적 환경은 중요한 분석 요소이다. 관광정책에서의 대내적 환경은 관광정책과 관련하여 분석의 시간적 범위에서 제도적·정치적 환경을 분석하고, 관광산업의 정책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밝혀내는 것이다. 둘째, 주요 행위자는 직접적인 행위자와 간접적인 행위자로 구분된다. 즉, 행위자의 선호, 목표, 참여 동기, 역할, 이해관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상호작용은 관광정책네트워크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관광정책에서 주요 행위자들은 그들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복잡한 관계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정보의 교환관계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은 그 교환의 내용이나 관계의 형성이 중요하다. 넷째, 네트워크 구조 또한 관광정책네트워크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네트워크 구조는 주요 행위자간의 개방성을 기반으로 하여, 그들 간의 네트워크 형태와 권력 또는 갈등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the theoretical aspects of analysis in tourism policy network.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apply theory of policy network analysis to tourism industr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our components of the tourism policy network analysis. There are the tourism policy environment internally, the main actors, interactions, network structures. First, the policies surrounding tourism network environment is an important element of analysis. The internal environment as respect to the analysis of the tourism industry is for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nalysis. Second, the main actors in the tourism policy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network analysis. The main actors can be divided into the direct and indirect actors. Third, the inter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of tourism policy network. The exchange of information takes place in relation to the exchange of the content or form of the relationship. Fourth, the network structur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ourism policy network. Network structure can show that tourism policy network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in actors or structured forms of conflict and resolution, and also show activities between key actors influencing the others.

      • KCI등재

        제도화된 정책네트워크와 정책선택 :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박재복 한독사회과학회 2011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1 No.4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의 형성(formation) 및 동태성(Dynamics)을 규명해보기 위하여 다양한 층위의 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정책네트워크(policy network)를 분석해보고자 하며, 유럽연합의 환경정책네트워크를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부주도만으로는 성공을 거둘 수 없는 환경문제의 특수성이 상당히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다자간 관계형성을 통해 작동하는 정책네트워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환경정책 결정과정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환경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연계 구조를 분석하는데 정책네트워크이론이 유용성 및 이론적 적합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네트워크를 사례로 분석해보았다. 유럽연합의 환경정책 결정과정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정책네트워크의 특성과 유형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다양한 환경정책행위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식적ㆍ비공식적 네트워크의 상호작용과 연계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또한 정책네트워크를 통해서 유럽연합의 환경정책을 분석해보기 위해 기후변화대응정책과 그 일환인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도입에 관련된 정책행위자의 네트워크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To establish the formation and dynamics of environment policy deci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licy network that exists in the various actors, and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is chosen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e process of deciding EU’s environmental policy, there is some distinctiveness of environmental issue that cannot be done only with government’s lead. Through analyzing the policy network that works with connection forming of various actors, this study seeks how th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makes actual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 to realize that policy network theory has usefulness and theoretical suitability for analyzing connectivity and interaction of actors who participate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process, and analyze the example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network. Also, this study will examines how policy network has changed its category and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EU’s environmental policy decision, and will analyze formal and informal network interaction of various environmental policy actors and its connection structures. To analyze the EU’s environmental policy through policy network, policy of climate change counter measure and policy actor who relates EU`s emission trading scheme, this study focuses its network analysis.

      • KCI등재

        망분리 정책이 핀테크 기업의 개발자들의 업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나윤선,박나현,김재윤,원종호,이대호 정보통신정책학회 2022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9 No.3

        Although the network separation regula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ccess with general hacking because the internal network of a company is cut off from the external Internet network, it is difficult to keep up with rapid changes in hacking and security techniques. For that reason, US government gives companies the opportunity to choose the way to protect their network.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network separation regulation on the R&D environment of domestic Fintech companies, 134 developers in the Fintech industry were asked about their opinions o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network separation regulation through open questions. Through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 try to group the thoughts that developers currently have in relation to the R&D environment by topic and determine their importance. Multiple-choice questions were asked to developers about the variables derived through this on a Likert 7-point scale, and based on this data,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blems caused by network separation regul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f developers in the Fintech industry and on the intention to leave/leave a job through path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etwork separation regul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ase of information retrieval and the availability of open source, which lowers work productivity. And it was found that decreased work productivity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but increased the intention of developers to consider changing/leaving a job. 망분리 규제는 기업의 내부 망이 외부의 인터넷 망과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식의 해킹으로는 접근이 힘들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해킹과 보안 기법의 빠른변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미국 등에서는 기업이 선택할 수 있는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망분리 규제가 국내 핀테크 기업 업무 환경에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핀테크 산업 개발자들 134명을 대상으로 재직 중인기업의 근무 환경과 망분리 규제에 대한 의견을 열린 질문을 통해 취합하였다. 취합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분석과 CONCOR 분석을 통해 현재 개발자들이 업무 환경과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들을 주제별로 묶어보고 중요도를 판단하고자 한다. 이를통해 도출된 변수들에 - 대하여 개발자들에게 리커트 7점 척도로 객관식 질문을 하였으며, 이 데이터에 기반하여 경로방정식 분석을 통해 망분리 규제가 가지고 오는 문제점들이 핀테크 산업에 종사하는 개발자들의 직장 만족도나 이직/퇴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망분리 규제는 정보검색의 용이성과 오픈소스 획득의 용이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는 업무 생산성을 하락시킨다. 그리고이렇게 하락된 업무 생산성은 직장에 대한 만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개발자들의 이직/퇴사 고려에 대한 의도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농촌다운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 및 중요도 분석-네트워크 분석과 AHP 분석 활용-

        이차희,임정언,이상문,윤상헌 한국농촌계획학회 2019 농촌계획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factors for formation of the future - oriented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this evaluation factors. The main research methods are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AHP analysis and importance analysis for exper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 factors for evaluation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environmental-sustainability, communality, self-reliance, aesthetic, enjoyment, settlement), 3 sub-factors of each factors, and key physical facilities(10 for rural center and 28 for rural villages) were derived by literature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on it. Second, key priority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physical formation of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was deducted by AHP analysis. Improving accessibility of living services in the settlement factor, improvement of garbage collection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round the residential area, and ensuring topographic continuity in the environmental-sustainability factor was derived as a priority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facilities in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cultural welfare facilities in common. However, when compared with the villages where the harmony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living environment is emphasized, convenience of living and accessibility of transportation were important in the rural cen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lving the qualitative conditions as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help to attract new popul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by suggesting strategic priority items when carrying out projects related to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cre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