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대내 부사관 인권상황 개선방안 연구

        김의식 한일군사문화학회 2019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8 No.-

        The human rights situation and service environment of the NCOs in the military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have improved to some extent and the degree of avoidance of discrimination has been reduced to some extent. In some units, however, human rights violations and discrimination remain, such as interference with privacy by officers and senior admissaries, including commanders. In order to ensure the human rights of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to prevent the damage of discrimination, there must be a change in the perceptions of officers, including commanders, and senior NCOs. Classes are necessary to carry out their duties, and subordinates and juniors should be perceived as equal partners and horizontal co-workers, not the vertical relationship between blind and casual clothes. In addition, commanders and senior NCOs should not be overly involved in the privacy of their NCOs with fear of command respon -sibilities and should be aware that public holidays and after-hours are private. There must be a change outside the military. Outside the military, such as the media and the National Assembly, commanders and senior NCOs should not be held accountable for personal incidents that occur after work hours and on public holidays. Requiring unlimited liability creates room for violations of the human rights of subordinates’ NCOs for accident prevention activities. A social atmosphere that respects the NCOs should also be established. If there are many articles that recognize the specialty of the NCOs and treat them equally with the officers in the media,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perceptions of the NCOs and the perceptions of soldiers enlisted in the military. Final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improving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NCOs is to be proud of themselves. Promoting pride as a professional who plays a key role in maintaining and exerting combat power in military organizations can improve overall human rights, including recognition and respect from officers and soldiers, ensuring human rights and preventing discrimination. 이번 연구를 통해 파악한 군대 내 부사관의 인권상황과 복무환경은 이전보다 일정부분 개선되었으며 차별피해도 어느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국가인권위원회와 국방부의 많은 노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일부 부대에서는 여전히 지휘관을 포함한 장교와 선임 부사관들에 의한 사생활 간섭과 같은 인권 침해와 차별행위가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사관의 인권을 보장하고 차별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휘관을 포함한 장교들과 선임 부사관들의 인식에 변화가 먼저 있어야 한다. 계급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고, 상하급자는 맹목적인 상명하복의 수직적 관계가 아니라, 서로 동등한 전우이자 수평적인 직장동료라고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지휘관이나 선임 부사관들은 지휘책임을 우려해서 예하 부사관들의 사생활에 지나치게 간섭해서는 안 되며 공휴일과 일과 이후 시간은 개인의 사생활이라는 것을 확실히 인식해야 한다. 군대 외부에서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 언론이나 국회 등 군대 외부에서는 일과시간 이후와 공휴일에 발생하는 개인적인 사고에 대해 지휘관과 선임 부사관들에게 지휘책임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무한 책임을 요구하면 사고예방활동이라는 이유로 예하 부사관의 인권을 침해하는 여지를 만들게 된다. 부사관을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형성해야 한다. 언론 등에서 부사관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장교와 동등하게 예우하는 기사가 많이 보도되면 국민들의 부사관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오고 군에 입대하는 장병들의 인식에도 변화가 와서 차별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사관의 인권상황을 개선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부사관 스스로 자긍심을 갖는 것이다. 군대 조직에서 전투력을 유지하고 발휘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라는 자긍심을 가지고 역량을 키워나간다면 장교와 병사들로부터 인정받고 존중받아 인권이 보장되고 차별피해가 예방되는 등 인권상황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급부사관의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이인혁(In-Hyouk LEE),김재철(Jae-Chul K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3

        본 연구는 초급부사관을 대상으로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소재지의 00부대 초급부사관 6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PS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기법을(Muthén & Muthén, 2010)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군 인성은 조직몰입 및 셀프리더십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군 인성이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셀프리더십을 통해 조직몰입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사관의 조직몰입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군 인성 교육과 더불어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between military character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junior NCOs(Non Commissioned Officers). This research target was 684 junior NCOs in the 00 unit located in Jeonbuk.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and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techniques (Muthén & Muthén, 2010).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variants showed the military character statically significant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self-leadership. Also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ppeared statically and significantly.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charact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mean that military character directly affect and increases theorganization commitment through the self-leadership.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ing the education of the self-leadership and the military character in order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of junior NCOs.

      • KCI등재

        군(軍) 초급 부사관의 직무불안정성과 우울의 관계 :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 검증

        김재엽,장대연,서정열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1 No.1

        본 연구는 초급 부사관의 직무불안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육군, 해군, 공군 5년차 이하의 부사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지각된 직무불안정성, 우울, 사회적 유대감 등을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는 2017년 6월부터 2개월간 진행되었으며 436명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획득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SPSS 24.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급 부사관의 30.7%가 직무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35.2%가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제변수로 선정한 군 유형, 병과, 복무형태는 우울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건강상태만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인 초급 부사관의 직무불안정성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대감은 직무불안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직무불안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급 부사관의 직무불안정성과 우울을 해소할 수 있는 군 정책의 실질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Depression of Junior NCOs and 2)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We selected Junior NCOs under 5 years service term from Army, Navy, Air Force in Military and conduct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on the participant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starting in June, 2017 and we were able to collect a total of 436 responses. With SPSS 24.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nd the result follows. First, 30.7 percent of Junior NCOs responded that they feel Job Insecurity nowadays. Second, Military type, branch of the service, long/short term of Control Variable did not affect depression, but Subjective health had relation with depression. Third, Job Insecurity has an effect on Depression of Junior NCO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on Depression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practical and policy-based interventions for Junior NCOs experiencing Job Insecurity and Depression.

      • KCI등재

        군 조직에 있어서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전투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김기춘,박계홍,문재승 한국상업교육학회 2014 상업교육연구 Vol.28 No.6

        우리 군이 국방개혁 2030에 의해 부사관을 현재 11만 6,000명에서 15만 2,000명으로 대폭 증원하는 계획에 따라, 간부의 33%를 차지하는 초급부사관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초급부사관은 군의 특수한 명령체계 하에서 다양한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군 전체 전투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초급부사관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조직성과 즉, 전투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갈등은 전투역량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역할모호와 역할과다는 직무만족을 매개로하여 전투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모두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전투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은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전투역량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할모호, 역할과다는 오로지 직무만족의 매개를 통해서 전투역량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이지만, 역할갈등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매개변수를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Following the Defense Reform Plan 2030 to greatly increase the number of non-commissioned officers(NCOs) from 116,000 to 152,000.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level NCOs, making up 33% of military executive members, will also rise dramatically. These elementary level NCOs, in the course of experiencing different kinds of job stress under the distinct command structure characteristic of military organizations, may affect its combat capabilities on the whole. For this reason, this study observed the effect of job stressors on the organizational ability, i. e. combat capabilities of the military and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corroborative evidence is as follows. Firstly, of the factors inducing job stress, only conflict in duty proves a minus to combat capabilities, and ambiguity and excessiveness in duty does not. Secondly, all factors of job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ly,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in regard to combat capabilities. Fourthly, job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role between combat capabilities and job stressors. This shows that ambiguity and excessiveness in duty only affects combat capabilities indirectly by affecting job satisfaction, but conflict in duty has both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mediating variables. Since job stressors contain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o combat cap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management measures to lower factors of job stress. The limit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points were discussed based on th results.

      • KCI등재

        지역사회 군병원 간부의 임파워먼트가 의료사회복지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서혜석 ( Hye Seok Seo ) 한국병원경영학회 2008 병원경영학회지 Vol.13 No.2

        This study carried out a covariance-structural analysis to verify formed causations between general variables and the influences of Medical Social Work Service of officers and NCOs in Korean Community Military Hospitals. The subjects were 7 hospitals, 337 military hospital executives in rear area,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below. First, about empowerment level, culture in the organization turned out to be the primary direct influential factor, and personal, organiza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 were influential factor. There was no indirect influential factor present. Second, in Medical Social Work Service, empowerment level was significant on direct effect. In case of personal character indirect effect was important. It showed that the significant influence factor that affects Medical Social Work Service in total effectiveness is personal character and empowerment level. It`s productiv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furnish the outcome as a basic data for Military Medical Social Work Service revitalization plan. On the basis of the result, we propose several suggestions for Military Medical Social Work Service as follow. First, to educate empowerment increase program of officers and NCOs in Military Hospital, specific system which allows entrust education to a certain civil education institution or KAMTSW(Korean Academy of Military Social Welfare) is required. Second, need to provide the medical social work service that matches with Military Hospital and distinct from usual hospital. Last, for specific study we expect various follow-up researches on the basis of this study, which can develop concrete empowerment model by inquiring research, would come out.

      • KCI등재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나용주,윤병섭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데 있었다. 우리나라 전문대학교 부사관과를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362부의 응답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행동 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수인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에 각각 체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Manz와 Sims, 2001)인 셀프리더십이 자율성, 책임감, 통제성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필요한 인지, 심리, 행동 변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에게도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의 셀프리더십 수준을 높여 셀프리더십 개발로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셀프리더십의 하위변수인 행동 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기평가, 정보수집, 목표설정, 진로계획, 문제해결에 각각 유의한 양(+)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일관성 있게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기평가, 진로계획, 문제해결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수인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에 각각 체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별로 회귀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준비행동의 경로를 통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를 투입하여 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셀프리더십→자기평가→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정보수집→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목표설정→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진로계획→진로준비행동, 셀프리더십→문제해결→진로준비행동이 완전매개하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본인에 맞는 진로를 성공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는 확신성을 의미(Hackett와 Betz, 1986; Kossek et al., 1998)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career decision self-efficacy)이 본인에 맞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부사관 전공 전문대학교 학생에게도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장벽이 높게 지각될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낮아지므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여 진로준비행동을 잘 할 수 있도록 진로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support for university students Department of NCOs leadership needs and self-perceived any casualty, the purpose being plac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ehavior and these self-appointed leadership needs parameters. To this end, the men and women college students Military major using the convenience of the student sample extraction to extract the 362 students. Setting the model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and then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ere studi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study model verific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at i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Self-supporting department NCOs leadership is perceived by the student directly affects the employment action desire, desire is appointed acting under a direct impact on causality, self-leadership support was confirmed that an indirect effect on the employment action. As a result, NCOs autonomous department that students are not perceived to predict the employment needs and behaviors, self-leadership that can affect appetite as well as direct action, through the intermediary of supporting autonomy.

      • KCI등재

        학습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 육군 간부를 중심으로 -

        최순원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what antecedent variables affect learning agility. To this end, after analyzing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influencing variables of learning agility and classifying the preceding variables into individual, job,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421 army officers & NCOs were evaluated for a month in August 2020 using proven diagnostic tools such as Burke et al.(2016).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ing agility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was in the order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experience openness, job performance, job autonomy, and positive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the influence of antecedent variables on the sub-factors of learning agility was demonstra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variables that affect learning agility shown in previous studies, and can be used as a strategy to improve learning agility in practice.

      • KCI등재

        부사관과 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진로에 미치는 영향

        권정민,이한규 한국융합보안학회 2017 융합보안 논문지 Vol.17 No.2

        이 연구는 부사관과 학생들이 자각하는 지지가 셀프리더십 욕구와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셀프리더십 욕구를 매개변수로 학생들의 임용행동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남녀 대학학생 부사관과 전공 학생을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362명의 학생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형을설정한 다음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이 진로신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계획 명확성에서는 확인 중심적 전략(+), 목표 중심적 전략(+), 독립적 자기신뢰에는 확인 중심적 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자책 중심적 전략(+), 진로 유연성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 전문능력향상은 확인 중심적 전략(+), 자책 중심적 전략(+)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만족에서는 자연적보상전략(+), 교과만족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 목표 중심적 전략(+), 인식만족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 목표 중심적전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신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만족에서는 진로계획 명확성(+), 독립적 자기신뢰(+), 진로유연성(+), 전문능력향상(+), 교과만족에서는 독립적 자기신뢰(+), 진로유연성(+), 전문능력향상(+), 인식만족에서는 독립적 자기신뢰(+), 진로유연성(+), 진로계획명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support for undergraduate students of Department of NCOs leadership needs and self-perceived any casualty, the purpose being placed to identify the cause-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behavior and these self-appointed leadership needs parameters. To study this end, the men and women college students Military major in Busan district using the convenience of the student sample extraction to extract the 362 students. Setting the model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and then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ere studies a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sult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study model verific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what i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leadership is confirmed in the career planning of clarity on the impact of career beliefs centered strategies(+) target-oriented strategy(+), and independent self-reliance, check-centered strategies(+),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ies(+), ERA=centric strategy(+), in the natural course flexibility, compensation strategies(+),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ies(+) improve professional skills appeared to affect the check-centered strategies(+), ERA-centered strategies(+). Second, self-leadership is general satisfaction at the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natural reward strategies(+), the curriculum meets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target-oriented strategy(+) recognition satisfy the natural reward strategies(+) target-oriented strategy(+) appeared to affect this. Third, career beliefs Major General satisfaction in the impact on satisfaction Career Planning Clarity(+), an independent self-reliance(+), career flexibility(+)improve professional skills(+), the curriculum satisfies independent self-reliance(+), career flexibility(+) improve professional skills(+), the self-satisfied recognized independent trust(+), career flexibility(+), career planning clarity(+) it appeared to influence this.

      • SCIESCOPUSKCI등재

        Effect of inlet throttling on thermohydraulic instability in a large scale water-based RCCS: An experimental study

        Qiuping Lv,Matthew Jasica,Darius Lisowski,Zhiee Jhia Ooi,Rui Hu,Mitch Farmer Korean Nuclear Society 2024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56 No.2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let throttling on the thermohydraulic stability of a large scale water-based Reactor Cavity Cooling System (RCCS). Th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water-based Natural convection Shutdown heat removal Test Facility (NSTF) at Argonne, which represented a ½ axial scale and 12.5° sector slice of the full scale Framatome 625 MW<sub>t</sub> SC-HTGR RCCS concept. A two-phase steady state was first established through direct condensate refill, followed by increased inlet throttling over 10 stages, corresponding to a loss coefficient K over the range of 0.05-653. With the inlet throttling gradually increased, the system experienced a unique transition process between stabilization and destabilization. Through a stability analysis, three instability mechanisms were identified in the present test, including a compound mechanism due to both natural circulation oscillations (NCOs) and density wave oscillations (DWOs), Type-II DWOs, and geyseri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