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노미야 손토쿠(二宮尊徳)의 ‘도덕경제’- ‘천도’와 ‘인도’의 개념을 중심으로 본 경세론 -

        한예원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2 일본사상 Vol.0 No.23

        This paper studied moral economy of practicing philosopher Ninomiya Sontoku(二宮尊德, 1787~1856), who lived the Edo era in Japan. Sontoku's family bankrupted because of natural disaster but he struggled back to his feet and he succeeded at last. In addition to, he compounded some idea from that experiences to management philosophy. Especially, this paper studied his administration theory from the concept of the way of providence and morality of human. He accepted natural disaster to way of providence. He regulated some action for overcoming hardship is morality of human. He emphasized people have to overcome and accept way of providence by ‘morality of human’. That theory result from his subjective outlook. He thought mankind has desire and it is basically. So, extravagant people is a matter of course and it is the way of providence. When the way of the providence was controlled by morality of human, the providence was totally completed. On the administration theory, 'selfhood' has a special definition and role like main agent of practice. 'selfhood' has 'self heart' inner side, and it is standard of practice. 'self heart' communicates and circulates with other members and theirs hearts. In this way, main agent of practice is also member of community, and practical man is partner of community's joys and sorrows. This thought is the limits of Sontoku and bureaucrat in Edo government. This administration theory stressed out ‘morality of human’ and its goal is welfare of the people. 'Moral economy' is the way to welfare of the people. Economy of agriculture was substituted what this new economy is the commerce was the trend at the time. Country community was divided into agriculture and commerce. they conflicted each other. moreover, natural disaster threatened right to their life. Sontoku argued to deal with the dangerous situation, that people have to overcome and accept way of providence by ‘morality of human’. 'Moral economy' means righting nature will demand men's efforts. Thus, main agent of practice change one's recognition of nature and society for practicing 'moral economy'. He criticized increasing interest, furthermore, proposed donation in economy of commerce. First of all, main agent of practice realize own income also, they lived a thrifty life and good to the money left over into other social members.

      • KCI등재

        경제가사의 형성과 문학적 특질

        김아연 ( A Yun Kim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3

        인간은 자신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획득하고 사용하는 일체의 행위를 경제(經濟)라고 한다. 경제가 인간의 행위라는 점에서 경제는 언어 행위의 화제로 인식될 수 있다. 이를 전제로 본고는 경제를 소재로 다루는 일련의 가사 작품을 경제가사(經濟歌辭)로 규정하고, 가사문학의 새로운 하위 유형으로 경제가사를 제시하였다. 본고는 경제가사를 가사문학의 하위 유형으로 정립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경제가사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문학적 특질을 분석하였다. 먼저, 본고는 가사를 역사적 장르로 간주하고, 가사문학의 전통 안에서 경제가사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았다. 경제가사는 17세기에 ``빈곤``이라는 소재에서 출발하였음을 규명하였고, 이 과정에서 17세기 경제가사의 작자가 ``빈곤``도 자기의 운명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알았다. 18, 19세기 경제가사는 교훈가사의 교훈성을 수렴하여 다층적 독자에게 올바른 경제 행위의 지침을 알려주는 사회적 효용성을 발휘하였음을 살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경제 가사는 근대적 인쇄 매체인 신문에 게재되어 신문의 논설 형식과 가사의 율문 형식이 결합한 시평가사의 형태로 존재하였고, 자강 운동 단체가 주장한 경제 분야의 자강과 개혁론을 담아냈으며, 백성을 늑탈하는 반민(反民) 세력을 비판하였음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경제가사의 문학적 특질은 두 가지로 대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경제가사는 화자의 체험, 경제적 현상, 경제적 사건 및 행동 지침 등을 상술하여 기록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때 경제가사는 메시지의 내용을 찬찬하게 알려주기 위해 구체적인 기술을 지향하고 열거법, 연쇄법과 같은 표현 기법을 활용하고 있음을 작품을 통해 규명하였다. 그리하여 경제가사의 기록성은 서술을 확장시키고 화자의 감정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살폈다. 둘째, 경제가사의 작자는 가치 있는 교훈을 전달하려는 의식이 강함을 분석하였다. 경제가사의 작자는 교훈을 전달하기 위해 담화 방식, 등장 인물, 등장인물의 어조, 액자 구조 등을 전략적으로 설정하였음을 알았다. 그리하여 작자가 전략적 서술방식을 통해 경제 담론을 형성하고, 독자로 하여금 올바른 경제 행위를 생활상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파악 하였다. People are use of money, resources or service needed to go about their daily lives. Economy has been one of writing materials in literature, because economy is the human behavior. Having consider this, I suggest Economy Gasa a new subtype of Gasa Literature. I tried to analyze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Economy Gasa.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Economy Gasa began as poverty in the 17th century, and writer considered poverty his fate. Secondly, Economy Gasa accepted the didacticism of Didactic Gasa, Economy Gasa as a guideline which delivered correct the economic ac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irdly, Economy Gasa was got into newspaper media, thus, as the comment poetry on current topics of economy which emphasized strenuous efforts of the Korean people and criticized sharply Antinational Actor like Korean Empire corrupt officials, Japanese Imperialism, the Japanese people, and Ilchinho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 explored literary features of Economy Gasa. Firstly, Economy Gasa aimed at specific writing, and made the use of listing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in expression techniques. Throughout it, I revealed that the recordism of Economy Gasa extended description and maximized a poetic narrator`s feelings. Secondly, writers of Economy Gasa tactically used the way of dialogue, characters, characters tones and frame stories to deliver morals. Thus, writers formed Economy discourse and attracted correct the economic action from readers.

      • KCI등재

        도덕경제와 에로 장르 종사자의 직업 정체성 구성

        임영호,김은진,홍찬이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2

        Media scholars need to investigate diverse ways whereby the logics of the economy and the culture intersect at the point of cultural production. Because E. P. Thompson’s notion of "moral economy" underscores the cultural embeddedness of the economy, it may bring some insights into understanding how economic practices in the production of popular culture incorporate the cultural dimension. Based on that concept, this paper attempts at a case study of how soft-pornography("Ero-video") makers in Korea understand and portray their job and genre. Authors made in-depth interviews with producers and directors at major production companies specializing in soft pornography in Korea. The position of this genre in the cultural industry has been problematic, because its legal legitimacy is undermined by its vulnerability to moral criticism. Consequently, interviewees apparently have developed diverse strategies of presentation of their job and genre, so that they may avoid potential moral and ethical blames both from outsiders and insiders. Those strategies take various forms, such as "neutralization," "legitimacy-building" and "ambivalence." These actors also tend to adopt different strategies depending upon their current position in the industry (i.e., ex-directors vs. incumbents, or producers vs. dire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notion of moral economy for the future study of cultural production. 에로물은 이윤을 추구하는 문화산업의 일부이지만, 성을 둘러싼 도덕적 담론들은 이 장르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추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점에서 에로 장르는 경제와 도덕/윤리가 교차하는 도덕경제의 특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연구는 에로 장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자신의 직업 환경에서 작용하는 윤리적, 도덕적 압력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에로 장르의 도덕 경제적 특성을 조명하고자 했다. 에로 장르 종사자의 직업 정체성 구축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들은 크게 행위자가 인식하는 맥락적 조건, 그리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구분해서 정리했다. 우선 맥락적 조건들은 이 장르에 대해 윤리적, 도덕적 측면에서 사회적 편견이 강하게 작용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업으로서는 상대적으로 만족스런 경제적 여건과 대우, 활동의 자율성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해당 부문의 부침이 심하고, 미래를 전망하기 어렵다는 점도 있었다. 이러한 맥락적 조건들에 대한 행위자들의 대응전략은 크게 중립화, 정당성 구축, 양면성 전략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덕적 가치에 의한 비판에 대응해 이 가치를 희석하거나(중립화), 다른 가치로 대응하거나(정당화), 상황에 따라 선택적 가치로 자신을 합리화하는 양상(양면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말하자면 에로 장르 종사자들이 자신을 둘러싼 환경의 도덕 담론에 대해 보여주는 대응 양식은 기존의 도덕 담론에 대해 탈도덕화로 대처하든, 새로운 대안적 가치로 대응하는 ‘재도덕화’를 추구하든, 상황에 따라 수시로 잣대를 바꾸는 ‘양면적 도덕화’를 취하든 도덕 담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에로 장르 종사자들의 직업 관행과 정체성 구성 전략에서 도덕 담론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도덕경제 개념이 대중문화 장르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유용성이 있음을 말해준다.

      • KCI등재

        도덕경제론과 미디어 경제 연구

        임영호(Yung-Ho 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7 언론정보연구 Vol.54 No.2

        근대 경제학에서는 행위의 합리성 문제를 비용 대 편익이라는 효율성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이러한 사고방식은 경제학을 넘어 사회과학 전반으로 널리 확산되었다. 하지만 경제적 논리로는 설명하기 어렵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은 현상도 많이 존재한다. 특히 도덕이나 규범은 경제 현상의 작동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설명하는 확장된 경제 이론이 필요하다. 도덕경제론은 바로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접근 방식이다. 이에 따르면 경제 활동에서 개인의 효용극대화와 합리적 선택을 강조하는 경제학의 기본 가정 역시 초시대적으로 통용되는 가치가 아니라 자본주의 등장 이후에 형성된 역사적 현상에 불과하다. 경제적 원칙은 당대의 도덕적 규범에 의해 구성되는 상대적인 가치이기 때문에, 경제활동이나 영역과 관련된 규범적 측면을 고려해 재구성해야 한다. ‘도덕경제(moral economy)’론은 바로 이처럼 경제 현상에서 규범이나 문화의 역할 문제를 다루는 접근 방식이다. 이러한 시도는 경제와 관련된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서 경제학적 접근 방식의 편협성과 한계를 해결하는 데에도 풍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기존의 도덕경제론에서 다룬 주요 쟁점과 개념을 소개하고, 이 논의가 미디어 경제를 이해하는 데 주는 함의, 쟁점 등을 검토한다. The economic ways of thinking, which understands the rationality of an action in terms of cost versus utility, has reached beyond the parochial academic discipline of economics and increasingly permeated social sciences in general. Nevertheless, moral and ethical considerations constitute influential elements in the ways economic phenomenon operates. While modern economics underscores maximization of individual utility as the motivating force for agents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n assumption represents only a historically-bound phenomenon materialized after the rise of capitalism, rather than trans-historical values. In the sense that so-called economic principles in their modern forms are primarily embedded in contemporary moral norms, it is necessary to reformulate them in the context of ethical-moral norms with regards to economic practices. ‘Moral-economy’ approach aims to deal with the role of ethics and culture in economic phenomenon. Such attempts may provide fresh insights in overcoming limitations of previous economic theories for alternative theorizations of media economics. This paper addresses major issues and concepts in moral-economy literature and explores their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media economy.

      • KCI등재후보

        Linking Economic Anthropology Perspectives with the African Peasant Economy

        Regina Hoi Yee FU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22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 No.52

        This paper attempts to relate some of the key economic anthropology concepts with the study on African peasant economy. In the economic anthropology perspective, the economy consists of both the market and the community realms, and the African peasant economy is dominated by the community realm. In this realm, individual is embedded in a web of social dependencies and obligations, and material goods and resources are exchanged through a complex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ssociations. African peasant economy is not yet totally captured by capitalism and state control. The principles of subsistence orientation and reciprocity still guide the social and economic behaviors of African peasants. With the community heritage, African peasants have been able to innovate and generate local initiatives. Economic anthropology perspectives and views on African peasant economy offer much potential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unique mechanisms that may have hindered development of the African peasant economy. Backed by years of fieldwork experience in rural Nigeria, I argue that the community realm remains important. The discipline of economic anthropology would help us to better analyz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frican peasant economy.

      • KCI등재

        세무요인 및 문화적 요인이 지하경제규모에 미치는 영향

        전태영,변용환 한국세무학회 2013 세무학 연구 Vol.30 No.2

        The interest in determining the causes of shadow economy has strongly increased in recent years. However, investigating the causes is still an undeveloped area of research. Employment in the informal sector seems to be a relevant income source for many people. The relevance of investigating not only tax burden but also social norms like tax morale or trust has emerged, as empirical findings indicate that deterrence models predict too little tax compliance. Our paper investigates to which extent taxation, tax morale and trust affect the shadow economy, using an international country panel. Recently developed data sources such as World Values Survey provide the basi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attitudes such as tax morale and trust. After controlling for a variety of potential factors, we find a strong support that a higher trust level and a higher individual tax rate lead to a smaller shadow economy. To measure trust, we resort to the trust index provided in the World Values Survey(2006/07) of 77 countries. This index is simply equal to the share of survey respondents in each country who answer that most people can be trusted, when asked the following question:"Generally speaking, would you say that most people can be trusted or that you need to be very careful when dealing with people?". Agents will be more prone to pay taxes if they trust their fellow tax-payers to do the same, and if they trust the state to use tax revenues to finance public goods. Individual taxation is measured by the Fraser Institute Index of marginal tax rate. Although it is mostly stated that marginal tax rates should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ize of shadow economy, others assert oppositely that higher taxes result in better public goods and services, which in turn provide an incentive to operate in the formal system. The present empirical result seems to support the latter assertio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like tax morale, corporate tax rate, and tax revenues didn't pro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ize of shadow economy. 지하경제는 과세되지 않는 경제활동의 결과이기 때문에 적절히 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경제규모가 큰 경우 세금수입의 축소로 국가 재정수지가 악화되어 남유럽과 같은 재정위기의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무변수 및 문화적인 변수가 지하경제규모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는 각종 국제기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회귀모형을 설정하였는데, 독립변수로는 납세의식, 신뢰수준 및 세금부담을 채택하였다. 세금부담변수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 복수로 변수를 설정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소득세한계세율, 법인세한계세율 및 조세수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측정하였다. 통제변수로는 규제수준, 경제의 개방정도, 농촌인구비중 및 물가상승률을 채택하였다. 회귀분석결과 세무변수 중에는 소득세한계세율이 높을수록 지하경제규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높은 세금부담이 제공하는 좋은 공공재와 법률시스템이 공식경제활동에 대한 편의와 보호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지하경제를 축소시키는 유인을 제공한 것으로 해석된다. 법인세한계세율 및 조세수입비중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지하경제의 선택과 관련된 사항은 거의 개인적인 의사결정과 민감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신뢰수준은 지하경제규모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정사회의 신뢰수준이 높을수록 국가의 보호기능을 활용하기 위하여 세금납부가 증가할 것이므로 지하경제규모가 축소된다는 것이다. 신뢰는 사회적 자본의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고려하면 정책적으로 사회적자본의 형성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확충하고자 노력하는 것은 지하경제의 통제에 유익한 방법인 점을 알 수 있다. 한편 납세의식은 지하경제와의 관련성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통제변수 중에는 농촌인구비중과 인플레이션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는데, 생산성이 낮은 농업에 대한 세무당국의 관심이 높지 않다는 점과, 인플레이션이 심할 경우 명목소득의 구매력 감퇴를 지하경제에서의 활동으로 보충하려는 동기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선물경제 위의 인공지능: 깃허브 코파일럿과 오픈 소스의 자산화

        하대청 한국이론사회학회 2023 사회와 이론 Vol.46 No.-

        The recent emergence of ChatGPT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use of humanity’s intellectual and planetary commons by big tech companies to trai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AI). Some have criticized the fact that open source codes shared by developers for free are being used as training data to train the AI, and that the intellectual and ecological commons are being extracted as assets of tech giants.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ift economy like open source and AI technology and industry by examining the famous GitHub Copilot, an automated code completion AI launched by GitHub, a dominant platform in the software development in 2021. The view that open source activities have been corrupted by commercialization, as critics often claim, oversimplifies the diverse and heterogeneous open source community, and this article instead focuses on the moral economy of developers.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ienced open source developers, the author argues that open source communities operate with a unique moral economy that combines libertarianism, reciprocity, and meritocracy, and that this moral economy serves as a catalyst for making open source a corporate asset. As a result, unlike the more traditional approach of leverag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recent AI technologies and industries that rely on moral economies have evolved to encourage and leverage the production of commons rather than privatizing it. This article refers to AI technologies and industries with these characteristics as “AI on the gift economy,” and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ts implications. 최근 ChatGPT 등장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인류 공통의 지적⋅행성적 커먼즈가 사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개발자들이 무상으로 공유하는 오픈 소스 코드가 AI를 학습시키는 훈련데이터로 사용되었던 사실을 두고 지적⋅생태적 커먼즈가 거대 기술기업의 자산으로 추출된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 글은 2021년 출시된 자동 코드 완성 AI 깃허브 코파일럿(GitHub Copilot)을 조사하면서 오픈 소스와 같은 온라인 선물경제와 AI 기술 산업이 맺는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오픈 소스 활동이 상업화되면서 변질되었다고 평가하는 흔한 관점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오픈 소스 공동체를 지나치게 단순화한다고 보는 이 글은 대신 개발자들의 도덕경제에 주목할 것이다. 경력 있는 오픈 소스 개발자들을 면담하면서 저자는 오픈 소스 공동체에는 자유주의, 호혜성, 능력주의가 결합된 독특한 도덕경제가 작동하며 이 도덕경제가 오픈 소스를 기업 자산으로 만드는 촉진자로 기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 결과, 익숙한 지적 재산권을 활용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도덕경제에 의존하는 최근의 AI 기술과 산업은 사유화에 매진하기보다는 오히려 커먼즈 생산을 장려하고 활용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런 특성을 가진 AI 기술과 산업을 ‘선물경제 위의 AI’라 부르면서 이것이 갖는 여러 함의를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도시희극 속 위기의 청년들: 크레딧 경제의 틈새 찾기

        이미영 ( Mi Young Lee ) 영미문학연구회 2021 영미문학연구 Vol.41 No.-

        This paper aims to define and analyze young men’s credit crisis and their differentiated strategies in rebuilding their damaged credit by reading closely the two city comedies, Eastward Ho and A Trick to Catch the Old One. Theoretically, the early modern credit economy was based on the harmonious correspondences between moral credit and economic credit, thus orienting toward a “moral economy.” However, as moral credit could be constructed by performance or deceit, the credit economy based on the moral credit could also be manipulated to one’s interest by the clever use of the loopholes inherent in the credit economy. In Eastward Ho, Quicksilver, a “bad” apprentice, ruins his credit and is locked up in the Counter, a debtor’s prison, by his master and creditor, Touchstone. To get released from prison and to regain his credit, Quicksilver must receive a pardon from his former master. For that purpose, Quicksilver performs the role of a penitent prisoner and becomes an icon of penitence in the prison. Golding, a “good” apprentice, silently joins him in the plot as the director of Quicksilver’s performance, thus constructing his own credit as a merciful administrator. Touchstone, a shrewd merchant, also agrees to become a spectator of the show and admits Quicksilver as his apprentice again, thus helping to construct the moral economy of the world in the play. In A Trick, Witgood, a bankrupt prodigal, cannot rebuild his career so easily, because he has multiple creditors and his own uncle, Lucre, is the one who confiscated his land. As his credit cannot be easily rebuilt by mere performances and role-playing, Witgood appropriates the lusty widow stereotype and uses the marriage with a rich widow as leverage to get the assistance of his uncle. He also needs the power of papers and legal contracts, along with cunning manipulation of the hostility and rivalry between Lucre and Hoard, to navigate through the hostile world of London and retrieve his land and reputation. Quicksilver and Witgood, the young men in credit crisis, reveal the loopholes and dilemmas of the credit economy, and show how moral credit and economic credit defined and negotiated each other in the early modern England.

      • KCI등재

        도덕감정과 호혜경제

        김왕배(Kim, Wang-Bae)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1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부채의식과 감사, 죄책감을 원본으로 하는 도덕 감정은 사회성을 대변하는 공적 감정으로서 타자에 대한 직관과 성찰, 즉 ‘공감’의 원천으로 작용한다. 타자 지향의 공감역량을 발휘하는 도덕 감정은 신뢰와 연대의 구축과 대안 세계를 위한 변화의 에너지로 기능 하기도 한다. 최근 무한경쟁, 무한효율, 무한시장을 추구하는 신자유주의 글로벌자본주의는 엄청난 부를 축적하고 있지만, 불평등과 양극화, 실업과 빈곤, 배제와 주변화의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 시민사회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패권국가와 거대자본의 힘은 시민들의 정치참여와 사회적 권리 등을 제한함으로써 주체를 왜소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장 부분과 국가복지 부분에 의존하는 후기 자본주의의 삶의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함께 대안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윤을 목표로 하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교환방식, 즉 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 사회경제, 중간경제, 사회적 연대경제 등 여러 유형의 살림 살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필자는 부족사회의 선물 및 환대에 대한 기존의 경제인류학자들과 전통적인 품앗이의 논리를 살펴보면서 이러한 교환방식을 잠정적으로 호혜교환이라 부르고 이에 기초한 경제를 호혜경 제라 칭한다. 즉각적이고 일회적이며 이윤을 추구하는 시장교환과 달리 호혜교환 원리는 인격적이고 의무적이며 순환적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호혜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행위 동기는 무엇인가? 필자는 이를 도덕감정 으로 보고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공동체에 대한 부채의식과 타자 지향적 공감으로 구성되는 도덕감정과 호혜교환과의 상호 친화성을 탐색하고 있다. Moral emotion is a set of complicated global emotion with ‘emergent property’ as being constituted of various local emotions such as ‘debt consciousness, gratitude, guilty feeling, etc. As the typical representative feeling of sociality, it has been functioning to produce the base of empathy(or sympathy) by reflecting others as well. Moral emotion has contributed to providing the motivational energy for social change, for construction for trust and solidarity. Currently, a group of scholars and social movement activists have suggested the alternative economic model based on the reciprocal exchange being contrast with the market economy in which the pursing ’maximized profit’ has resulted in the inequality, polarization, social exclusion, etc. I have argued that the moral emotion as the capacity of reflecting others have operated in enhancing and reinforcing the reciprocal principle.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진숙(Jin Sook Cheon),변인우(In Woo Byun),송혜란(Hae Ran Song),오병훈(Byoung Hoon Oh)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4 노인정신의학 Vol.8 No.1

        Objectives: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morale of Korean elders, to analyze the affecting factors, and to look for the ways to raise their morale. Methods:The structured interviews and measurements of depression (Four-Item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Vulnerability Factors), cognitive function (Short Portable Mental Status Questionnaire) and morale(Measurement of Morale in the Elderly Scale, MMES) were taken for the 50 Korean elders (28 females and 22 males) with age over 65 who were visiting Jong Myo during January to February in 2004. Results:1) In Korean elders, the mean scores of total MMES were 100.82±12.36. According to the items, mean scores of Satisfaction were 43.52±5.14, Equanimity 36.80±7.53, Will-to-live 20.00±4.43. 2) The total MMES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variables such as income (p<0.05), economy (p<0.005), elder abuse (p<0.01) and depression (p<0.001). While other variables including age, residenc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sex, religion, spouse, job, illness and cognitive function were not related. Conclusion:To encourage morale in the Korean elders, economic support by welfarism, socio-legal prevention of elder abuse, and active involvement of geropsychiatrists into th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must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