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명희『임꺽정』에 나타난 구술적 양상 연구

        김희진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Lim Kkeok-jeong』of Hong Myeong-hee appeared in a series in the Chosun Ilbo from November 21, 1928 to March 11, 1939 under the title of『Lim Kkeok-jeong Jeon』and published in 'Jogwang' in October 1940. However, this novel has never been completed.『Lim Kkeok-jeong』is composed of 'Bongdan', 'Pijang', 'Yangban', 'Blood Brother', and 'Robbers'. Each chapter of 'Blood Brother', which can be read as an independent novel, is related to each other and composes a complete story. In other words, the stories of the characters are patterned and independently composed. Therefore, it doesn't matter which story comes first before the rest. In『Lim Kkeok-jeong』stories are continuously inserted in the novel, which is called oral narrative patterns. This technique develops story smoothly, makes cutaways natural, and relieves unfamiliarity. In addition, its repetitive juxtaposition, succession, and enumeration show that『Lim Kkeok-jeong』develops story depending on oral tradition. In『Lim Kkeok-jeong』its story is not led by a main character but has event-driven structure composed of numerous main characters, which is called nonlinear narrative structure. Each event between the characters forms a big story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ral statement of『Lim Kkeok-jeong』acts as an important power that gives an impetus to narration. 홍명희의『임꺽정』은『임꺽정전』이라는 제목으로 1928년 11월 21일~1939년 3월 11일 ≪조선일보≫에 연재되고 1940년 ≪조광≫ 10월에도 발표되었으나 미완으로 끝난 장편역사소설이다.『임꺽정』은 <봉단편>, <피장편>, <양반편>, <의형제편>, <화적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형제편>의 각 장은 독립된 하나의 소설로 보아도 좋을 만큼 각각의 장이 연결되어 하나의 완결된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각각의 인물들의 이야기가 정형화된 틀로 짜여져 있으며 독립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다. 때문에 어떤 이야기가 먼저 나와도 상관이 없다. 『임꺽정』은 끊임없이 이야기가 삽입되는 구술적인 서사 패턴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이야기가 매끄럽게 전개되는 역할을 하거나 급작스러운 장면 전환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생소함을 완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반복 병치와 연쇄, 열거의 패턴은『임꺽정』이 구술적 전통에 기대어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임꺽정』은 한 인물에 의해 서사가 이끌어지기보다는 다수의 주인공이 엮어내는 사건 중심의 구조, 이른바 비선형적 서사구조를 지닌다. 인물들이 만들어내고 겪는 사건들이 엮이면서 커다란 이야기 틀을 형성하는 것이다.『임꺽정』의 구술성은 서사를 추동하는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한다.

      • KCI등재

        기획논문 : 홍명희 『임꺽정』에 나타난 구술적 양상 연구

        김희진 ( Hee Ji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홍명희의 『임꺽정』은 『임꺽정전』이라는 제목으로 1928년 11월 21일~1939년 3월 11일 ≪조선일보≫에 연재되고 1940년 ≪조광≫ 10월에도 발표되었으나 미완으로 끝난 장편역사소설이다『임꺽정』은 <봉단편>, <피장편>, <양반편>, <의형제편>, <화적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형제편>의 각 장은 독립된 하나의 소설로 보아도 좋을 만큼 각각의 장이 연결되어 하나의 완결된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각각의 인물들의 이야기가 정형화된 틀로 짜여져 있으며 독립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다. 때문에 어떤 이야기가 먼저 나와도 상관이 없다. 『임꺽정』은 끊임없이 이야기가 삽입되는 구술적인 서사 패턴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이야기가 매끄럽게 전개되는 역할을 하거나 급작스러운 장면 전환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생소함을 완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반복 병치와 연쇄, 열거의 패턴은 『임꺽정』이 구술적 전통에 기대어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임꺽정』은 한 인물에 의해 서사가 이끌어지기보다는 다수의 주인공이 엮어내는 사건 중심의 구조, 이른바 비선형적 서사구조를 지닌다. 인물들이 만들어내고 겪는 사건들이 엮이면서 커다란 이야기 틀을 형성하는 것이다. 『임꺽정』의 구술성은 서사를 추동하는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한다. 『Lim Kkeok-jeong』of Hong Myeong-hee appeared in a series in the Chosun Ilbo from November 21, 1928 to March 11, 1939 under the title of 『Lim Kkeok-jeong Jeon』and published in ``Jogwang`` in October 1940. However, this novel has never been completed.『Lim Kkeok-jeong』is composed of ``Bongdan``, ``Pijang``, ``Yangban``, ``Blood Brother``, and ``Robbers``. Each chapter of ``Blood Brother``, which can be read as an independent novel, is related to each other and composes a complete story. In other words, the stories of the characters are patterned and independently composed. Therefore, it doesn``t matter which story comes first before the rest. In『Lim Kkeok-jeong』stories are continuously inserted in the novel, which is called oral narrative patterns. This technique develops story smoothly, makes cutaways natural, and relieves unfamiliarity. In addition, its repetitive juxtaposition, succession, and enumeration show that『LimKkeok-jeong』develops story depending on oral tradition. In『Lim Kkeok-jeong』its story is not led by a main character but has event-driven structure composed of numerous main characters, which is called nonlinear narrative structure. Each event between the characters forms a big story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ral statement of 『Lim Kkeok-jeong』acts as an important power that gives an impetus to narration.

      • KCI등재

        도적, 식민지인의 영웅: 홍명희의 『임꺽정』을 중심으로

        정은경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68

        This paper examines the popular sensibility embedded in the popularity of Hong Myeong-hee's novel Im Kkeokjeong, focusing on ‘thief’ and ‘colonial hero’. The popularity of Im Kkeok-jeong is firstly because this novel was created based on motifs such as storytelling format, folktales, and legends that are familiar to the traditional readers who still enjoy the old-fashioned novels. Second, it is because it accepted the righteous motif of 'The Story of Hong Gil-dong', enjoyed by the public for a long time, and at the same time presented Lim Kkeok-jeong's gang riot as an allegory for counter-viole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is means that any violence that was illeg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would soon lead to an armed struggle for independence. The heroic acts of the independence fighters and martyrs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were called “terrorists,” “national criminals,” “bombers,” “conspirators,” and “heavy criminals,” and were condemn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ong Myeong-hee, who had no choice but to have anti-Japanese consciousness through his father's suicide, indirectly denounces the injustice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Im Kkeok-jeong, and suggests the legitimacy of armed struggle as counter-violence. Almost all of the six brothers who formed siblings with Lim Kkeok-jeong in Im Kkeok-jeong are composed of lower-class people who are persecuted by the ruling class. The ‘robbery’ of those belonging to the marginalized class in the feudal status system, such as butchers, servants, salt merchants, and child of a concubine, usually targeted at corrupt officials and regional power. Also, Im Kkeok-jeong's heroism is most vividly depicted in the battle against the government army. The heroism of 'thieves' highlighted in Im Kkeok-jeong can be said to be a piece of popular sentiment that dreams of uprising and rebellion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ch monopolized all armed forces. 본고는 홍명희의 대하소설 『임꺽정』의 인기에 내포되어 있는 대중감성을 ‘도적’과 ‘식민지 영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임꺽정』의 인기는 첫째, 이 소설이 여전히 고소설류를 향유하고 있는 전통적 독자층에게 익숙한 강담식, 설화, 전설 등의 모티브 등을 바탕으로 창작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오랫동안 대중이 즐겼던 『홍길동전』의 의적 모티프를 수용하였고, 동시에 임꺽정 화적패를 일제에 맞서는 대항폭력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는 식민지 시기 일체 불법화된 폭력이 곧 독립무장항쟁과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제에 맞선 독립투사, 열사의 영웅적 행위는 당시 조선 내에서는 ‘테러리스트’, ‘국사범’, ‘폭탄범’, ‘음모단’, ‘흉악범’ 등으로 불렸으며 일제 법질서에 의해 단죄되었다. 부친의 자결을 통해 항일의식을 지닐 수밖에 없었던 홍명희는 『임꺽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일제 강점의 부당성을 고발하고 이에 대한 대항폭력으로서의 무혈투쟁의 정당성을 제시하고 있다. 『임꺽정』의 임꺽정과 의형제를 맺은 6형제는 거의 모두 지배층으로부터 핍박받는 하층민들로 구성되어 있다. 백정, 머슴, 관노, 소금장수, 서자 등 봉건적 신분제도에서 소외된 계층에 속하는 이들의 ‘도적질’은 대개 탐관오리와 토호세력을 대상으로 한 것이며, 또한 임꺽정의 영웅성은 관군과의 전투에서 가장 생동감있게 그려진다. 『임꺽정』에서 부각되는 ‘도적’의 영웅주의는 일체의 무력을 독점한 일제에 대한 봉기와 반란을 꿈꾸는 대중감성의 한 편린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홍명희의 『임꺽정』

        강영주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여성문학연구 Vol.16 No.-

        In Lim, Kkeok-jeong, a historical novel by Hong, Myung-hee, there often appears description of a strong and independent woman or description of a happy couple. We can also find characters' speech and action embodying an idea of sexual equality in it. These features are caused by the fact that Lim, Kkeok-jeong is a historical novel about the Chosŏn dynasty in the sixteenth century, when sexual discrimination was not so serious a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nd by the fact that its main characters are the people seceding from the feudal system. Hong, Myung-hee had firm opinion about sexual equality and an enlightening intention that he wrote a historical novel to advocate nationalism. So he described characters and lives of Chosŏn women bright and beautiful in Lim, Kkeok-jeong. But in 'The Bandit', the last part of this novel, Lim, Kkeok-jeong changed into a man of common idea taking feudal sexual discrimination as a matter of course. In addition, most female characters including heroine Un-chong are described as ordinary women losing positiveness in this part. This change seems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writer read Veritable Records of the Dynasty of Chosŏn for the first time and accepted to his novel greatly when he wrote 'The Bandit'. 이 논문에서는 홍명희의 역사소설 임꺽정을 여성주의의 시각에서 고찰해 보았다. 임꺽정에는 강하고 주체적인 여성상과 의좋은 부부상이 자주 등장하며, 남녀평등 사상을 구현하는 등장인물들의 언동이 두드러지게 그려져 있다 . 그러한 특징은 임꺽정이 조선 후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녀차별이 심하지 않았던 16세기를 배경으로 한 역사소설인 데다가 , 주요 등장인물들이 봉건체제로부터 이탈하여 도적패에 가담하는 민중들로 설정되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 또한 홍명희는 남녀평등에 대한 확고한 소신을 지니고 있었고 , 식민지 치하에서 민족의식의 보존을 위해 역사소설을 쓴다는 계몽적인 의도를 지니고 창작에 임했으므로, 임꺽정에서 조선시대 여성들의 성격과 생활을 미화한 측면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작품의 후반부인 화적편에 이르면 주인공 임꺽정은 봉건적인 남녀차별을 당연시하는 통념적인 남성으로 변모하고 , 임꺽정의 아내 운총을 비롯한 대부분의 여성인물들은 타자화된 채 적극성을 상실한 평범한 여성으로 전락한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러한 변모는 홍명희가 화적편을 연재하던 무렵에 조선왕조실록에 처음 접하고 실록의 내용을 수용하여 소설을 창작해나간 데서 초래된 것이라 볼 수 있다 .

      • KCI등재

        홍명희 <임꺽정>의 전대 야담 수용 양상과 의미

        이승은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5 No.-

        As an example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yadam, this study reveals the aspect and meaning of Hong Myung-hee's <Im Kkeok-jeong> that accepted the previous yadam. Hong Myeong-hee created his works by using historical records and Yadam data as the main material for characters including Lim Kkeok-Jung and their events. In general, in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yadam to fit the narrative development of <Lim Kkeok-jeong>,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en the characters and events of the previous yadam are accepted as they are, when the actions and events of the characters are greatly expanded, and the case of transforming and combinging various yadams for the creation of characters. Yadam accepted in this way contributes to creating various elements of the narrative, such as characterization, progress of events, and delivery of historical background. This can be said to be a concrete example of the modern movement and expansion of yadam through the writer Hong Myeong-hee. Hong Myeong-hee wanted to write a authentic Joseon work consistent with Joseon-feeling, and the material of the story he found for this was the yadam of the previous generation. However, he did not seek to reproduce or retrospectively the yadam of the traditional period. Hong Myeong-hee rearranged the characters of previous historical tales to reflect the critical mind of the day, such as criticism of the falsity of class consciousness, or revealed the popular aspect through the expansion of love stories and the depiction of sensational scene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yadam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of <Lim Kkeok-jeong>, modern thoughts and expectations of contemporary readers were included. 본고는 야담의 근대적 전환의 한 사례로 홍명희의 <임꺽정>이 전대 야담을 수용한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힌 것이다. 홍명희는 임꺽정을 비롯한 등장인물과 그들이 벌이는 사건을 사료와 함께 야사, 야담 자료를 주된 재료로 하여 작품을 창작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이중 야담에 주목하여 수용의 양상을 몇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전반적으로 야담을 <임꺽정>의 서사 전개에 맞게 ‘다시 쓰기’ 하는 과정에서, 전대 야담의 인물과 사건을 그대로 수용 및 재배치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야담을 결합, 변용하여 인물을 창조하는 경우, 나름의 의도에 따라 인물의 행동과 사건을 확장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렇게 수용된 야담은 인물 형상화, 사건 진행, 역사적 배경의 전달 등 서사의 제 요소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홍명희라는 작가를 경유한 야담의 근대적 운동과 확장의 구체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야담은 조선 정조에 일관된, 순 조선 작품을 쓰고자 했던 홍명희에 의해 선택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가 전통 시기 야담의 재현이나 회고적 정취를 추구한 것은 아니었다. 홍명희는 신분제의 폐해 비판과 같은 당대의 문제의식을 담아내기 위해 전대 야담에 변화를 주거나, 연애담의 확장・선정적인 장면 묘사의 부연 등을 통해 통속적인 면모를 드러내기도 했다. 즉 <임꺽정>은 전대 야담의 수용 과정에서 근대적 사유와 당대 독자의 기대 지평을 담아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임꺽정〉의 창작과정과 『조선왕조실록』

        강영주(Kang Young-zu) 한국현대문학회 2006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0

        In this paper, I studied how Veritable records of the dynasty of Chosŏn affected Hong, Myung-hee's historical novel Lim, Kkeok-jeong. Before writing 'The Bandit', the last part of the novel, the author read Veritable records of the dynasty of Chosŏn for the first time and accepted its contents in 'The Bandit' greatly. Among Korean historical novels, Lim, Kkeok-jeong is the first novel which applied Veritable records of the dynasty of Chosŏn. Being based on Veritable records of the dynasty of Chosŏn, Lim, Kkeok-jeong could show its color as a modern historical novel vividly and increase its reality. On the other hand, it brought about lack of perspective and weake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he Auther did not make good use of Veritable records of the dynasty of Chosŏn before he wrote 'The Bandit', and so it brought damage of harmony between 'The Bandit' and the former part. Nevertheless Hong, Myung-hee made important progress in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cal novel by applying Veritable records of the dynasty of Chosŏn.

      • KCI등재

        세계문학과 민족문학 사이 : 식민지 조선에서 번역 주체의 향방, 홍명희의 경우

        손성준(Son, Sung-j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코기토 Vol.- No.93

        이 논문은 식민지시기 조선에서 세계문학 수용에 가장 앞장섰던 문인들이 1920년대 중반부터 ‘순조선 것’의 문학적 형상화에 매진하게 된 현상을 홍명희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당시 세계문학 번역의 최종 목표는 조선 독자에게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 신문학계의 발전에 있었다. 이는 번역 주체들이 조선문학을 위한 실천을 어떠한 방향으로 심화해 가느냐에 따라 언제든 번역을 멈출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세계문학에 대한 남다른 독서열을 지닌 홍명희는 직접 다양한 작품들을 조선어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그런 그가 번역을 멈춘 후 조선문학에 매진하며 선택한 것은 역사소설 임꺽정의 장기 연재였다. 그의 창작방향은 인물, 묘사, 정조(情調) 등 작품의 모든 요소를 ‘순조선 것’으로 구현하는 데 있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세계문학과 의식적으로 거리를 두는 태도를 취하였다. 다만 이 가시적 불연속성 이면에는 주체의 연속성이 내재해 있었다. 따라서 조선이라는 외장을 걷어내는 순간 거기에는 여전히 세계문학의 유산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홍명희가 한때 열독했던 쿠프린의 『결투』, 톨스토이의 『하지 무라트』 등과 『임꺽정』의 유사성은 이 점을 잘 대변한다. 이상은 한국문학사에서 근대의 고전이 된 텍스트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연구할 수 있는 단초이기도 하다. This paper studies the works of Hong Myung-hee, who led the translation and acceptance of world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Joseon, focusing on the literary formation of “pure Joseon” from the mid-1920s. The translation of world literature at that time focused on its use as a tool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literature for Joseon, rather than the ultimate goal of introducing it to Joseon readers, for which reason translators stopped translating at any tim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sought to deepen Joseon literature. Hong Myung-hee, who had a special passion for reading world literature, translated various works into Korean. After he stopped translating, he focused on Joseon literature and chose a long-term serialization of the historical novel Lim Kkeok-jeong. His creative direction was to consistently embody Joseon sensitivity, with all the elements of his work intended to be “pure Joseon.” In the process, he sought to exclude world literature. However, behind this visible discontinuity, the continuity of the subject remained, such that if the Joseon elements were removed, the legacy of world literature remained. The similarity between Lim Kkeok-jeong and Kuprin’s Duel and Tolstoy’s Hadji Murat illuminates this point. This means the study about texts that have become modern classic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needs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A costume study on the basis of descriptions in the novel Im Kkeok Jeong

        Kim, Soh-Hyeon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Vol.8 No.1

        Writer Hong Myung-hee, author of the novel Im Kkeok Jeong, provided an excellent description of the costume customs of the Chosun era,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various historical texts and literature by practical science proponents, and experience gained from the Hong household of Pungsan, a noble family of high standing during the Chosun dynasty.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owards descriptions of late Chosun era customs, rather than 16th century customs, with the intent of heightening the image of what most people felt to represent Chosun and its prestige, thereby generating greater reader sympathy. Therefore, information on the costume customs of the novel 1m Kkeok Jeong is analyzed and re-formed to fit with the temporal setting of the 16th century. By providing data to aid visual understanding and re-creation, the intent is to accept it as material for the rumination of our ancestors and their lifestyles in the 16th century. The novel provides a good description of Chosun economic customs, in which cotton and hemp were used not only as fabric for clothes, but also as currency. The trade value of cotton drapery or hemp drapery with dimensions of 5 strand density at a length of 35 ja per roll was designated as 5 mal (about 90 liters) of rice by national law, but the actual value varied depending on the production of rice. Also,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sang po with dimensions of 3 strand density at a length of 30 ja per roll, or 2 strand density seochongdae cotton, which was used only as currency due to the rough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osun dynasty, a class-based society, are described through distinctions of attire. The writer's intent regarding the symbolic nature of attire reflecting social position, a characteristic of the entire Chosun period, is analyzed with the presentation of visual materi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