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T산업의 품질조정과 물가파급효과 분석

        이영수,조주현 정보통신정책학회 2002 정보통신정책연구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ICT산업의 품질개선 효과에 따른 가격하락이 ICT산업과 이 산업을 사용하는 또 다른 산업의 물가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ICT분야와 같이 기술발전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분야에서는 품질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져 정확한 물가지수 산정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품질조정을 고려하여 분석하지 않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품질조정을 고려한 물가지수를 이용하여 ICT산업의 물가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품질조정을 고려했을 경우 물가하락 효과는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어, ICT 분야로의 산업구조 재편은 물가하락을 유발함으로써 국민후생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rice spillover effects of quality adjustment in those industries that are either produce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or users of them. Quality-unadjusted price measures may create a bias in the ICT industry which have experienced rapid technological and market developments induced by fast quality changes. This paper draws on empirical studie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quality-adjusted and unadjusted price spillover effects in those industries that are either ICT-producing industries of ICT-using industries. As an outcome, we find that the quality-adjusted price spillover effects are large in comparison with the quality-unadjusted price spillover effects. What emerges from this brief discussion is that we may expect welfare increase by restructuring industrial structure to the ICT industry that leads to price decline.

      • KCI등재

        ICT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와 자원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정숙,장윤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교사주도 및 학습자주도 ICT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특성인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와 자원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 ICT활용 수업유형이 학습능력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능력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학습능력이 높거나 중간정도인 학습자들이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들 보다 가정과 학업성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CT활용 수업유형이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에 따라 가정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 수준을 높게 인식한 학습자들에 있어서는 학습자주도 ICT활용 수업을 받은 학습자들의 가정과 학업성취가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습자들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ICT활용 수업유형이 학습능력과 어머니의 자원관리행동에 따라 학습자의 자원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가 환경친화적인 자원관리행동을 많이 한다고 인식하는 학습자들일수록 환경친화적인 자원관리행동을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teacher-directed and the learner-directed ICT used instru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of home economics and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and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of a mot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 traditional instruction group, teacher-directed ICT used instruction group, and learner-directed ICT used instruction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experimental instruction. After experimental instruction,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was estimated by test sheets.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two-way ANCOVA and Scheff test for post-hoc analysis.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the ICT used instru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of home economics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the ICT used instruction on learning achievement of home economics according to the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of a mother.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the ICT used instruction on the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the ICT used instruction on the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of a student according to the resource management behavior of a mother.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포스코ICT 언택트전략: VRIO 분석

        박지훈(Park, Jihoon),박현준(Park, Hyunj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포스코ICT 기업을 대상으로 VRIO 분석을 통해 많은 기업들이 위기를 겪은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경제 침체 상황에서 성공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osFrame, PosMaster, PoShield, A.WORKS와 같은 포스코ICT의 솔루션들과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동반성장을 추구하며,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등 포스코ICT 특징을 중점으로 VRIO 분석을 시도 했다. 포스코ICT는 서로 다른 기술들이 융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산업현장의 모든 설비들을 Internet of Things (IoT) 센서로 연결해 모니터링하고 여기서 축적한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미래 환경을 예측한다. 이러한 전략들을 토대로 포스코ICT는 스마트팩토리와 사무자동화, 클라우드 등 포스코ICT의 언택트 관련 업종 설비 및 시스템 도입 구축을 시도 했다. 이러한 언택트 전략들은 포스코ICT가 경쟁우위를 이끄는데 큰 영향을 미치며, 경쟁기업과는 달리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모습에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POSCO ICT companies through VRIO analysis in the economic downturn caused by the coronavirus, in which many companies suffered. To this end, POSCO ICT solutions such as PosFrame, PosMaster, PoShield, and A.WORKS pursue shared growth based on mutual trust and attempted VRIO analysi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OSCO ICT, such as establishing future-oriented relationship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different technologies are fused to create new value, POSCO ICT monitors all industrial sites’ facilities by connecting them with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s and analyzes the accumulated data as big data to predict the changing future environment. Based on these strategies, POSCO ICT attempted to introduce facilities and systems related to POSCO ICT’s untact business, such as smart factories, office automation, and cloud. These untact strategies greatly influence POSCO ICT"s competitive advantage and contribute to the appearance of continuous growth, unlike their competitors.

      • KCI등재

        가족적 맥락에서의 ICT 소비자 유형화 연구

        이보한(Lee, Bohan),John, Brady,나종연(Rha, Jong 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평소 소비자가 개인적 차원이 아닌, 가족적 차원에서 가족 관련 ICT 이용 목적의 다양성과 정도에 따라 어떻게 유형화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ICT 보유 현황과 보편적 이용 정도, ICT에 대한 태도가 가족적 차원의 이용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소비자 유형에 따라 ICT에 대한 가족 차원의 만족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생활에서 ICT 이용 목적의 다양성과 정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소비자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열성적 이용자’ 유형, ‘정서 특화 이용자’ 유형, ‘기능 특화 이용자’ 유형, ‘제한적 이용자’ 유형 등 다른 특성을 보이는 네 개의 집단이 발견되었다. 이들의 분포를 통해 가족적 맥락에서의 ICT 이용은 소수의 열성적 이용자와 제한적 이용자, 다수의 정서 혹은 기능 특화 이용자로 구성되어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네 개로 유형화된 소비자집단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연령, 가계소득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소비자유형별 ICT 보유 현황과 이용 정도, 태도와 같은 ICT 관련 특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요인이 가족 생활에서의 ICT 이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들은 가족 생활에서의 ICT 이용에 대한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족적 맥락에서의 이용 목적이 다양하고, 이용이 활발한 집단일수록 가족 생활에서의 ICT 이용에 대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 차원의 ICT 이용은 소비자 스스로 이루어나가야 하며, 가족 생활에서의 ICT 이용에서 벗어나 있는 소비자 집단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1) create a typolog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CT) usage in the family context considering the variety of purposes and frequency of use, 2) investigate antecedents variables that impact the use of ICT in family life, and 3) investigate the results of ICT usage in a family context as measured by user satisfaction. Data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survey. A purposive sampling scheme was used to represent the average characteristics of online users in Korea. A cluster analysis revealed four groups of families based on the purpose and frequency of use in daily life. These clusters were labeled as; ‘intense users,’ ‘specialized users with emotional purposes,’ ‘specialized users with functional purposes,’ and ‘limited users.’ There were comparatively few intense users and limited users with most respondents using devices for specialized purposes, either emotional or functional. Clusters also differed in their demographic compos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lusters in terms of ICT ownership, use, and attitudes to ICT as well. Results indicate that a variety of factors can impact ICT usage and acceptance by a family. Consumers in each group tended to be satisfied with the ICT devices and services they used. More frequent users and those with the greatest number of devices reported the highest levels of family satisfaction with ICT. Results indicate that the utility of ICT devices for the family is dependent on the family itself. Further research into the needs of families and the role that ICT can play in meeting those needs is called for.

      • KCI등재

        ICT정책 활성화 방안 연구: 조직과 기능의 통합 및 조정을 중심으로

        윤광석,박경돈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정보화정책 Vol.25 No.1

        The ICT policy domai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y domains in terms of national development and continuity. It is primarily because the contemporary society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changed based upon th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Recentl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reorganize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ransferred a few of the key ICT related functions to other ministries as an attempt to develop the national ICT policies. However, critics in this domain argue that various problems still exist in the ICT policies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ICT policies in Korea, and develop alternatives to solve those problems. In order to ser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mploys multiple methods; a quantitative method which is a survey involving experts in ICT policies, and a social network analysis involving public officials in ICT related ministrie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enhance its capacity to make adjustments in ICT-related policies as the current decentralized system continuously creates various types of problems. The second possible solution to the problem is to change the national ICT policy system to a centralized one. However, this requires various efforts such as cooperation among ICT related government agencies, separation of ICT policies from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nd increased government capacity to implement the ICT policies. ICT정책은 국가의 생존과 발전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현대는 고도로 발전한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롭게 출발한 정부도 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부처의 명칭을 변경하고, 내부 조직을 개편하였으며, 일부 기능도 타 부처로 이관시키는 등 다양한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대응은 과거 여러 정부 때부터 제기되어오던 정보통신부의 해체와 그에 따른 조직과 기능의 분산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ICT정책과 관련된 현황을 살펴보고, 제기되고 있는문제들의 경험적 타당성을 검증하며, 문제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무원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문헌분석 및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의 핵심인 조직과 기능상의 문제점과 대안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분산형 추진체계를 유지할 경우 정책조정기능 강화(부처 간 정책조정협의체 활성화, 정보통신전략위원회 기능 강화, 청와대 ICT수석비서관실 설치), 통합된 추진체계로 전환할 경우 정책추진기능 강화, ICT정책 우선순위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과학기술과 ICT의 분리, 그리고 각 부처 간 ICT정책 협업 활성화 등의 다양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져 이와 관련된 대안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 구성원의 ICT 활용교육에 대한 이해와 역할 : 초등학교 교사, 학생, 교장, 부장과 학부모 사례연구 Case Study of teachers, students, principle, leader teacher, and parents

        안미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4

        7차교육과정과 함께 시작된 ICT 활용교육은 약 3년전 초등학교에서 처음 실시되면서 ICT 활용교육에 대한 가장 많은 시행착오와 파급효과를 경험하였다. 특히 정보화 시범 학교는 빠르게 ICT 활용교육을 도입하도록 외부의 지원과 압력을 받았고 내부적으로는 이에 저항하는 반응도 경험하였다. 성공적인 ICT 활용교육은 교실 수업방법의 질적 개선 및 교수-학습 활동의 효과와 효율성을 최고의 목표로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ICT 활용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교현장의 주체자들의 생각과 그들이 경험한 것에 대한 이해가 앞서야 향후 효과적인 개선 방안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ICT 활용교육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정보화 시범초등학교의 구성원들을 통해 ICT 활용교육의 개념과 가치, 기대하는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 경험한 갈등의 종류와 해소방안, 그리고 각자의 역할을 사례연구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구성원들은 ICT 활용교육에 대한 서로 다른 개념을 갖고 있었다. 교사는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학생과 학부모는 학교환경 개선으로, 교장과 부장선생은 학교개혁과 수업의 질 확보로 이해하고 있었다. 효과에 대해서 교장 및 부장선생과 학부모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나 학생과 교사는 학업성취 결과에 대해서 불확실하다고 지적하였다. 모든 학교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부정적인 효과로 정보소외, 인터넷상에서의 어긋난 언행, 부적절한 정보에 접근 가능성이었다. 역할에 대한 연구결과로는 부장교사와 교장의 의지가 ICT 활용교육을 도입하고 학교개혁을 이루기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수업의 질 향상은 교사의 관심과 역량에 달려있음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ICT 활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중등학교에서의 ICT 활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Implementation of ICT in school-based learning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driving force for changes in school community and its stakeholders' roles. Use of ICT is no longer an optional nor assistive tools, but it is an essential tool and method for all school-based activities. Previous researches, relating to ICT applications in schools, focused on the level of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teacher's ability to use ICT, student's ability to use ICT, and how these factors interrelate to create successful integration. For last several years, MOE of Korea required use ICT at the least 10% in classroom activities. These policies carried out without enough teacher training, teaching resources, nor ICT experts placed in schools to support the teachers. Such an external pressures, obviously, compound circumstantial problems and psychological conflicts between the administrator, leaders, teachers, students, and the parent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use qualitative data to (1) understand the school community stakeholders' experiences and (2) identify the successful integration process of ICT to generalize to other schools. Result of the study identified stakeholders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ICT differently, unsure of its effects, and experienced different level of resistance, opposition, and conflicts. As for the roles, leading teacher and the principle's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seem to play most critical role for successful integration of ICT in school and the classrooms.

      • KCI등재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with ICT to the Education : In terms of Q Methodology Q 방법 적용

        Kwon, Sung Ho,Son, So Young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할용하여 '프로젝트 중심 학습(PBL : Project-Based Leaming)'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중심학습을 통한 ICT 활용 연수 프로그램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ICT 연수 프로그램(2002년 5월-6월)에 참여한 현직 교사 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수를 참여한 교사들의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Q 방법을 상요하였다. 조사된 인식도의 결과를 근거로 ICT를 활용한 프로젝트 중심 학습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Q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네 Type으로 나누어졌다. Type Ⅰ은 '학생들의 참여 선호유형(Interested in Students' Participation)', Type Ⅱ는 '자기 주도적 학습 선호유형(Intersted in Self-Directed Leaming)', Type Ⅲ은 '흥미로우나 부정적 유형(Interested, but negative)'그리고 Type Ⅳ는 '비관적 유형(the Pessimistic)'으로 나뉘었다. 전체 39명의 참여 교사들 중 Type Ⅰ 은 27명, Type Ⅱ는 10명, Type Ⅲ는 1명, Type Ⅳ는 1명이었다. Type Ⅰ은 학생들의 참여도를 중요시 하며, PBL 학습은 토론 학습과 협동학습을 촉진시켜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고 본다. 이들은 PBL 화동이 현장에 적용되어 높아진 학습 참여도가 학습 효과를 가져 올 것이라는 긍증적 인식을 갖고 있다. Type Ⅱ는 자기 주도 학습을 강조하며, PBL 학습에서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이끌어 나가야 하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인식한다. 또한 교사의 이와 같은 안내자 역할이 실제 현장에서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TypeⅢ은 PBL이 이상적이지만 주입식 교육이 난무하는 현장에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ICT를 화용한 PBL을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현 학습 환경이 너무나 열악하다고 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은 실제 현장에서 각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Type Ⅳ는 PBL을 실제 현장에 적용할 때 학습 환경은 중요 방해요소가 아니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주입식 교육체제 내에서는 PBL을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즉, 주입식 교육에서는 교사가 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끌어 나가기 때문에 학습자 중심 학습이 불가능 하다고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Q 방법을 사용하여 ICT를 활용한 PBL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를 알아 보았다. 참여한 교사들의 98%를 차지하는 Type Ⅰ과 Type Ⅱ가 PBL을 긍적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ICT를 활용한 PBL 적용에 대해 교사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Today's big issue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how to apply ICT(Inform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the education. Three years passed since the new curriculum has been put into practice- In spite of a$vantages with the ICT, problems are am out and not easily solved out. M&t of all, the d n m w n why the education using ICT has not completely settled down is found in the teachers' prekmces of using ICT in the class, so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the teachers' perspectives. It introduces the altemitive instruction, based on PBL, the projected-based learning, with the ICT appliance* PElL or project-hed learning is the instruction to encourage indqmdent student learning of various topics and dsciphnes. PBL converges especially on the students' high-orckr thinking and Gollabordtion work using the stu&,its' pmbkrn solving skills. 'his study is to find out tlie teacliers' recognjtiun and presm whether the dtmnative instruction, the project-based learning with ICY, c m be put into practice in the present ducational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PSearch with the c1-mthdology, some obstacles when acceptiw thtk new instmction in the presmt educational system, are pointed out. However, as imst tit' teachas in this survey, except two of aH the others, have positive attitudes, we can almost make sure of high pssjbility to accept PBL instmdion using ICT in the present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일본어교육에서의 ICT 리터러시 교육

        趙大夏(Cho Dai Ha) 일본어문학회 2017 일본어문학 Vol.76 No.-

        コンピュータと情報通信の急速な進歩とその波及効果は簡単に予測することができない時代になって、すべての学問分野に情報通信技術を導入することは、もう不可欠な要素になった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 学生レベルでの教育情報化の成果は、主に学力の向上と創造性、問題解決力、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などで表現される。最近は、これらを達成するための基礎能力として、情報通信素養(ICT-literacy)が強調されている。これにより、世界各国では、学生のICTリテラシーレベルを体系的かつ科学的に診断するための研究を継続的に行っている。OECD生徒の学習到達度調査(PISA)によると、韓国は、コンピュータベースの評価で実施されたPISA2015の全領域にかけて到達度がやや下落した。そこで将来の社会の変化に対応して適応できる教育環境を構築し、情報通信技術(ICT)に基づく教授·学習、評価を導入するための研究と支援が必要である。 本論文は、最近、教育界で大きく注目を集めている反転授業による日本語教育と日本語ICTリテラシー教育を融合した授業の事例研究の一つとして、日本語でのICTリテラシーを培養しながら、学習者中心の日本語学習を同時に達成するために、筆者が開発した授業(ICT日本語)とその運営方法などを紹介し、この分野に関心を持って研究者と情報を共有するために作成した。 Recently, the ICT literacy has been emphasiz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whose outcome is mainly represented by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bility, creativity, problem-solving cap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high level thinking-capability at the student level. Each country has continuously conducted research to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measure the ICT literacy level of students. According to theOECD’s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PISA), Korean student’s achievement fell slightly in all areas of PISA 2015, which were implemented by computer based evaluations. Therefore, support is needed to introduc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based on the ICT an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develop adaptability for social changes in future. As a part of class case study combining Japanese language education with Japanese ICT literacy education in terms of flipped learning which has gained much attention in educational circles, this paper introduced the operation method and lesson(ICT Japanese) developed by the author to accomplish the Japanese learner’s ICT literacy ability and learner centered Japanese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are the information with those interested in this research field.

      • KCI등재

        연구논문 : ICT 법 체계 개선방안 -현행 ICT 관련 법제를 고찰하며-

        이부하 ( Booha Lee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5 과학기술법연구 Vol.21 No.3

        ICT 관련 법제는 1961년에 제정된 ‘전기통신법’을 시초로 하여, 이후 한국전기통신공사법, 전파관리법 등 다수의 통신서비스 관련 법률이 제정ㆍ개정되었다. 2014년 방송통신융합에 한정하지 않고 정보통신을 진흥하고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융합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체계, 규제 합리화와 인력 양성, 벤처육성 및 연구개발 지원 등을 통해 정보통신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고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여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등에 관한 특별법’(정보통신융합법)이 제정되었다. 현행 ICT 관련 법제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ICT 입법과정에서 정부부처간에 영역 다툼이나 정책적 오류로 ICT 산업 발전에 장애가 되었다. 둘째, ICT 관련 법제간에 중복성 및 체계성이 부족하다. 셋째, 각 부처간 ICT 정책의 추진체계 분산 및 충돌은 우리나라 ICT 산업 발전을 더디게 만들었다. 넷째, ICT 발전 상황에 부적합한 입법들이 상존하고 있다. 다섯째, 각 영역별로 분리된 수직적 규제체제로 인해 중복규제 및 비대칭적 규제로 형평성 문제가 발생했다. 정보통신융합법은 첫째, 전략위원회와 실무위원회의 강제력이 결여되어 있다. 둘째, 정보통신융합법과 다른 ICT 법간에 중복되거나 상충된다. 셋째, 특별법임에도 불구하고 기본원칙의 선언적 규정이 있다. 넷째, 정보통신융합법에 불명확한 법개념이 존재한다. 다섯째, 국내사업자와 해외사업자간에 차별이 발생하지만, 이에 대한 법적 조치가 없다. 여섯째, 정보통신융합법은 공급자 위주로 규정되어 있어, 이용자 보호 제도가 부재하다. ICT 산업 활성화를 위해 ICT 분야 법 체계 개선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로 ICT 법을 정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 현행 ICT 법률 전체의 체계를 고찰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두 번째로 정보통신 분야의 법 체계를 재구성하는 작업이 되어야 한다. 세 번째로 방송 분야 법제 체계를 재구성해야 한다. 네 번째로 ICT 융합 분야에 기본법을 제정해야 한다. 이른바 ‘ICT 융합 기본법’을 제정하는 일이다. ICT-related legislation in the beginning by the ‘Telecommunications Act’ enacted in 1961, since Korea Telecom Corporation Act, Radio Communications Services Act and many of the laws are enacted and amended. ‘Special Act on the Promotion and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ICT Convergence Act) was enacted in 2014. The current problems with the ICT related legislation has been a failure in the ICT industry development in the area ambition or policy errors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in the first, ICT legislative process. Secondly, system is lacking among ICT-related legislation. Third, propulsion system and conflict between the ministries of ICT policy has made slow the development of the ICT industry in Korea. Fourth, inadequate legislation on ICT developments are also lingering. Fifth, due to the vertically separate regulatory regime for each area it was experiencing problems with overlapping regulatory equity and asymmetric regulation.ICT Convergence Act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forcing of the Strategy Committee and the Working Committee has been lacking. Second, there are in conflict or overlap between ICT Convergence Act and other ICT law. Third, even though there is a special law, ICT Convergence Act prescribes the basic declarative principle. Fourth, there is unclear the concept of the ICT Convergence. Finally, this discrimination occurs between domestic operators and foreign operators, but there is no legal measures. Sixth, ICT Convergence Act’s provisions have been regulated mainly suppliers, not users. We should improve the ICT legal system to activate the ICT industry. First, it should reshape the current ICT legal system. Second, it should reconstruct the system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it should reconstruct the broadcasting system. Fourth, the legal framework must configure the ICT sector convergence: so-called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nvergence Basic Law’.

      • KCI등재

        STEAM 교육을 지원하는 ICT 융합형 블록 교구 개발을 위한 디자인 제안 - 조형 구축을 위한 블록 형상과 방법을 중심으로 -

        최현아,김소영,박재완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With the advance of ICT, convergent products and services have appeared. Our educational environments need to foster ICT-based convergent capable people through STEAM education. A standard framework for STEAM education consists of 3 steps: (1) situation presentation, (2) creative design, and (3) emotional experience. This can enhanc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the virtuous circle that teachers help students solve their own problems by themselves and make students feel satisfied with the process. Accordingly, the creative robot-making and its application with a convergent teaching aids blocks have been proposed. But, existing ICT convergent blocks are limited for students in order to realize their ideas with them easily and quickly. Thus, new ICT convergent blocks to support STEAM education are need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the design of ICT convergent blocks as teaching aids for STEAM education. Through the in-depth case studies of existing ICT convergent blocks, the design for ICT convergent blocks that can create different forms quickly and easily were proposed based on the driven-problems. ICT 기술의 진보에 따라 융합제품과 융합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교육환경에서도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교육인 STEAM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STEAM 교육의 학습준거 틀인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은 기존의 주입식, 암기식 교육과 다르게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성취를 통한 학습 동기를 부여받는 선순환 구조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창의적 로봇 제작 및 활용 교육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블록 교구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ICT 융합 블록 교구들은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의 아이디어 실현을 위해 빠르고 쉽게 다양한 형태를 구체화하며 실험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도구로써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STEAM 교육을 지원하는 ICT 융합형 창의 블록 교구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TEAM 교육에 적합한 ICT 융합형 창의 블록 교구 개발을 위한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STEAM 교육 준거 틀을 기반으로 기존 ICT 융합형 창의 블록의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창의적 설계 단계에서 학습자가 아이디어를 쉽고 빠르게 다양한 조형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는 ICT 융합형 창의 블록을 위한 디자인 방안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