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ISA ICT 설문조사 분석을 통한 OECD 국가의 학교 정보화 실태 비교 연구

        김준형 ( Jun Hyu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3

        21세기의 키워드는 정보통신기술(ICT) 이며, 사회전반에 걸쳐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미래인재의 육성을 그 기본 책무로 하고 있는 학교교육은 과거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학업성취도와 ICT 소양을 함양하여야 하는 사회적 요구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시대적 맥락에서 국제사회와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선진국들의 협의체인 OECD는 미래인재들이 그들의 미래를 위해 기본적으로 함양해야할 소양을 정의하고, 2000년부터 매 3년마다 PISA를 통해 OECD 국가들의 15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ICT 설문조사를 시행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ECD 각 국가별로 학교에 ICT가 얼마나 많이 투입되고 활용되고 있는 지 또 연도별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교 정보화 인프라 현황, 수업에서의 ICT 활용 정도, 학생들의 정보소양 및 ICT에 대한 학생태도 등을 지금까지 총 5회 실시된 PISA ICT 설문 결과 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 ICT 교육 추세가 초기의 정보소양교육 위주에서 ICT 활용교육으로 확대 전개되고 있다고는 하나, 2012년 현재, 수업시간에서의 ICT 활용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ICT 활용교육은 예상보다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정보화의 모범국가이었던 한국이, 2012년 현재, OECD 평균이거나 이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본 연구결과가 향후 교육정보화 강화방안에 대한 경고음으로 받아드려져 한국의 교육정보화발전과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s one of the key words in this 21st Century. It puts great impacts on every corner of societies, and pushes them to change and shift their paradigms. Especially, schools, whose main role is to let their students to prepare their futures, are in the middle of social requests to enhance the school achievements and ICT Literacies of their students. In this context, OECD, which is a consortium of countries that are leading the international societies and economies, has defined DeSeCo,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that every student should bear for his/her future. It also developed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nd has executed surveys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ICT questionnaires every three years from 2000 through PISA. In this study, it is compared how much ICT has been deployed and used in OECD schools and what was their trends from 2000. Four main issues are discussed including ICT infrastructure, use of ICT in classes, ICT literacy and attitude toward ICT. It is carried out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five raw data sets gathered by PISA ICT questionnaires from 2000 to 2012. It is shown, at the moment of 2012, that the trends of ICT in schools is expanding from ICT Literacy training to ICT in classes, but that the usage of ICT in classes of the OECD schools are still quite lower than the expectation. It is also shown that status of ICT in schools of Korea are less and worse than OECD averages. We hope that our results are considered as an warning signal for Korean Education.

      • KCI등재

        미래교육을 위한 교육정보미디어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담론

        김영환 ( Young Hwa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최근 교정미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담론이 과거에 비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담론의 발전을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미래교육의 올바른 방향 규명을 위한 교육정보미디어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는 최근의 미래교육에 대한 담론들이 첨단정보와 미디어 위주로 심하게 왜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 교정미의 정체성에 관련된 논의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학의 동향, 정보미디어와 미래의 관계, 여러 정보미디어의 속성과 이들이 인간에게 주는 영향들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을 만을 바라보지 말고 교육전반을 추구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는 담론을 형성해야 한다. 셋째, 이론적 연구는 물론 실천을 위한 실천학문공동체를 형성해야 한다. 넷째, 체험학습과 정보미디어를 연계시켜야 한다, 다섯째, e-러닝지상주의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교육관을 이끌어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교육실천가들과 함께 교육담론을 형성한다. 일곱째, 여타 정보미디어는 물론 교육방송에 대한 연구와 활동이 강화되어야 한다, 여덟째, 타 학회와 상대적 개념구분에서 벗어나 새로운 영역을 창조해야 한다. Fortunately, we are having more discussions to find the identity of KAEIM(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dia and Information) and we need more of them. Also, it would be very preferable to have more intensive and divergent discussions. In order to continue the discu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KAEIM,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tasks and roles of KEAIM for future education. Recently, there are some discussion on the future education,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too much on the high technology and media to be a good discussion on the future education. This is a good time to check the issues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KAEIM, the trends of futur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future, and the effects of various media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 find the role and tasks of KAEIM for future education. As a conclusion, eight guidelines were identified.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매체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교육정보미디어연구"와 "전화교육연구"를 중심으로

        왕얼 ( Yue Wang ),이영주 ( Young Ju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매체에 대한 연구 동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2006년에서 2012년, 최근 7년간 대표적 학술지에 출판된 교육매체 연구들을 매체의 유형, 매체연구방법, 매체연구 주제, 연구대상, 4가지 범주로 나누어 두 나라의 매체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교육매체에 관한 대표 학술지로 한국 학술지의 <교육정보미디어연구>와 중국 학술지의 <전화교육연구(電化敎育硏)>를 선 택하여 총 278편(한국 105편, 중국 173편)의 연구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매체유형은 양국에서 컴퓨터 웹2.0기반 매체가 다수였으나, 컴퓨터기반 매체연구가 중국에서는 지속적으로 수행되 었고, 한국은 2008년이후 실행되지 않았다. 연구 방법면에서는 양국 모두, 개발연구와 실험연구를 많 이 시용하고 있었으나, 중국에서의 질적연구 비중이 두드러지게 낮았다. 매체연구주제는 양국 모두 매 체속성연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 대상면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공통적으로 유아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매체 연구의 빈도가 저조했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papers on educational media in school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representative journals from 2006 to 2012, for the past seven years, were analyzed by the four categories: educational media type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subjects to find out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media in two countries. We chose two representative journal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and <Electrifying Education Research> to collect data. We analyzed a total number of 278 research papers(Korea: 105, China: 173). The research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media types, we found that the most media type is computer web 2.0-based media, While China have maintained conducting research on computer-based media, Korea discontinued computer-based media research since 2008. The two countries mainly used experi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most in the past seven years. However,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China is remarkably low. For the research trend of media topic, the most research of the two countries is the study of media attribute research. Last, in terms of media research subjects, college student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here are few research studies in which participants are students at kindergartens, middle, or high schools.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 연구

        신승용 ( Seung Young Shin ),이문호 ( Moon Ho Lee ),김상연 ( Sang Yon Kim ),이신희 ( Shin Hee Lee ),김미량 ( Mi Ry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발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SWOT 분석을 시행하였다. SWOT 분석은 해외 사례 분석과 전국 713명에 이르는 교사와 각 시도 교육청별 교육정보 공유체제 관리자를 중심으로 한 설문과 협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해외 사례 분석을 위해 iTunes UK-12외 6개에 이르는 주요 교육정보 공유 사이트들의 우수사례를 교육정보 수집, 공유 분배 등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고, 교사와 관리자 중심 설문과 협의회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를 근거로 현행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강점과 약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디지털 교과서 및 개인 미디어의 확산, 소셜태깅기술의 대두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개선 기회요인으로 제시했고, 저작권에 대한 낮은 인식과 수동적 교육정보컨텐츠 소비층, 중앙집중적 교육컨텐츠 관리방식을 위협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정보 공유체제의 안정적 확산을 위해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개방, 공유, 소통 및 참여의 키워드 수용, 콘텐츠의 일방적 제공, 관리체제에서 공유와 협력으로의 인식 전환, 콘텐츠 증가에 따른 원활한 소비 유통을 위한 저작권 문제 등을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carried out SWOT analysis for the purpose of seeking a developmental strategy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Korea. SWOT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urvey and consultation centering around analysis on the foreign cases, 713 teacher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administrators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roughout the nation. As for the analysis of foreign case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n the excellent cases of 6 main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ites including iTunes UK-12 in accordance with phases of collection, sharing and distribution and analyz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and conference conducted focusing 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drawn from the foregoing, this study produce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Meanwhile, this study suggested expansion of digital textbook and personal media, and the rise of social tagging technology as opportunity factors for improvement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but suggested low understanding of copyright, passive consumers of educational information contents and centralized management method of educational contents as threat factor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opening, sharing, cooperation and acceptance of participatory keywords, unilateral supply of contents, conversion of understanding from management system into sharing and cooperation and the problem of copyright for smooth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contents tasks to be solved on the preferential basis for stable expans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 KCI등재

        평생교육 구현을 위한 공공 교육정보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성우,이재경,김환식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4

        최근 민간 교육정보서비스 사이트들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에듀넷과 같이 정부의 지원 하에 실시되는 공공 교육정보서비스의 차별화는 국가 교육정보화 사업의 성공과 평생교육 체제의 정착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교육요구에 부응하면서도 민간부문 교육정보서비스와의 차별화를 기할 수 있도록 공공 교육정보서비스를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서비스와 내용 등을 다각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 개선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라는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어 평생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공공 교육정보서비스의 향후 개선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외 관련 분야의 사례 및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아울러, 공공 교육정보서비스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에듀넷을 중심으로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 교육정보서비스의 개선 방향 및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개선방향으로는 공공성, 선도적 역할, 조정기제로서의 역할이 강조되었으며, 세부 추진전략으로는 평생학습 분야 중 노인을 위한 컨텐츠와 서비스의 개발, 이- 커뮤니티(e-community) 활성화를 위한 지원, 교육으로의 공간으로 통하는 게이트웨이 역할, 교수-학습의 활동 지원, 이용자가 직접 수정/개발하는 컨텐츠 확보 및 제공, 지식 정제소 역할, 교육학술정보화촉진법 제정이 다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에듀넷과 같은 공공 교육정보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정책이 보다 체계적이며 실질적으로 수립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visions and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public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including the EDUNET in Korea, in terms of the lifelong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and determined the current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the public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including the EDUNET. It also analyzed the similar case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and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services on education and derived som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es. The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al visions and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public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which were based on the suggestions from the several discussion with the experts and the end-users. The sense of public duty, the role of taking lead, and the coordination function among the similar organizations and services were proposed as the visions of the EDUNET, as a representative service of the public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The practical strategies to realize the visions above were suggested as following. First, the EDUNET takes a role as a gateway to the educational cyberspace and serves as a knowledge clearing house, providing qualified date and information, intensifying searching function, and enhancing the usability of the existing services. Second, it supports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pecially in K-12 schools. Third, it supports for e-communities activities such as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Fourth, it develops the educational content and services in the area of lifelong learning including for the aged people. Fifth, it gathers and supplies the educational content developed and modified by the end-users. Finally, it recommends to arrange the legal and organizational issue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encouragement law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practical and the systemic planning of the public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such as EDUNET in Korea.

      • KCI등재

        교육정보화 사업의 성공 지수 도출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박근상 ( Keun Sang Park ),김영훈 ( Young Hoon Kim ),강성욱 ( Sung Wook Kang ),김창한 ( Chang Han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교육정보화 사업을 평가하고 적극적인 성공요인을 도출하여 보다 발전적인 교육정보화 사업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교육정보화 사업의 성공 지수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정보화 전문가와 현장 교사로 이루어진 협의회에서 문헌 연구와 협의를 통하여 교육정보화의 성공 요소를 도출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연구결과로서 교육정보화 성공 요인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 지원으로 분류하고, 19개 부요소와 54개의 평가지표를 설정하였다. 이들 평가지표에 대하여 168개 문항의 설문을 작성하였다. 교육정보화의 성공 요인들(factors)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 효율적인 우선순위 설정을 제안하여 정책 담당 부서 및 현장에서 제한된 제반 자원의 활용을 통해 교육정보화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였다. A purpose of this study develops the evaluation index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to devise plan`s course for the growth of education. It has derived factor of success and evaluation of advanced enterprise of education information, until now. We surveyed, field study and consult with the council from experts of education information and schoolmaster. Then, we made a selection weights and successful factors for education informatiz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successful factors of educational informatization has classified into Hardware, Software, Human-ware and Support, which set 19 secondly factors and 54 evaluation elements. Accordingly, investigation executed using 168 questions of those evaluation elements. We grasped the relative value and priorities, developed fruitful model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by application of various resources which is restricted from the politic office and the field.

      • KCI등재

        요구분석과정을 통한 정보화교육 및 정책방향의 탐색 : 여성정보화를 중심으로 Focusing on Women Informatization

        김미량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1

        'Cyber Korea 21' 이라는 국가 정보화 계획을 중심으로 전 국민의 정보화를 위한 노력 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보화에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교육'에 있음을 주지하고 다양한 정보화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 제공되고 있다. 특히 대상층을 달리하는 특성화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면서 정보소외계층으로 간주되던 '여성'의 정보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추진되어온 여러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이 최종 대상자인 여성의 요구를 간과한 채 정보격차 해소의 차원에서 일괄적으로 진행되어온 경향이 컸던 바,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여성의 정보화를 위해 다양한 여성층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체적인 요구가 무엇인지를 확인해 보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과정과 정보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여성의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 정책결정에 반영하기 위해 최종 사용자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대상층 및 범주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는 정보화과정의 차별화, 특성화, 다양화 전략을 강구해 보았다. 이는 정보화 정책 및 교육 프로그램이 최종 사용자의 요구를 수렴, 반영하여 개발, 제공될 때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을 전제한 것으로, 이러한 요구분석의 결과는 향후 재검토될 여성정보화 관련 정책 및 교육 프로그램에 개발의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otenti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already had a profound impact on many ways of our living and society. According to this trend, our government shows the planned vision for informatization called 'Cyber Korea 21' and fully supports the education for informatization, which is the key factors to narrow down the digital divide. In spite of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different targets and related policies, there are still lots of digital dividers who need a help for joining a golobalized, technologized society. Above all, we need to show serious concerns for 'women' who tend to be alienated from the new digitized cyber world.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policy-making for informatization through need analysis focusing on women. Despite most of the policies are apt to be implemented based on top-down approach, we need to turn our attention to some critical and basic needs from the perspectives of end users - if they are successfully fulfilled. Therefore, this study performed the need analysis ⅰ) to identify the women's specific needs for educational programs/policies related to informatization, ⅱ) minimize the possible barriers, ⅲ) elicit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strategies, ⅳ)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ⅴ) specialize the educational process for wo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various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or empowering women to engage in a high-quality living through the process of informatization.

      • KCI등재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 현황과 특징

        박성일,박정환,정동욱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중국의 교육정보화도 세계의 정보화추세와 중국 내의 경제, 사회발전에 힘입어 성황리에 추진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사회정보화의 일환으로 교육정보화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초교육정보화로 교육의 현대화와 교육의 평준화 및 미래 정보화 사회에서의 국가적 도약을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기초교육정보화를 위한 기반시설 구축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정보화 추진을 위한 법규와 제도 마련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화교육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는 짧은 기간 내에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는 수많은 인구의 교육 부담과 넓은 지역 및 낙후된 경제기반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보급에 따르는 어려움을 극복해야 하고, 질적·양적 측면에서 교사의 적극적 노력이 요구되며, 정보기술과 교육의 긴밀한 접목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교육정보화, 특히 기초교육정보화는 결국 정부의 행위에 많이 의존하기 마련이다. 정부의 법률적, 제도적 및 조직적 노력으로 교육정보화는 그 발전 속도를 배가할 수 있으며, 바로 중국 정부의 경험이 이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중국의 기초교육정보화의 체제적 추진방식, 정부와 기업체 및 금융업체의 협동적 추진 방식, 중국식 정보화 표준화, 격차해소를 위한 현실적 해결책 등은 선진국이나 선진국을 향해 가는 나라들이나 모두 참고할만한 중요한 경험이라고 본다.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 China is being moved ahead successfully that keeps pace with the global trend of informatization and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Chinese government is going to have great efforts in educational informatization as a part of social informatization and so expects educational modernization, educational equalization, and national leap in the future informatizational society. For these expectations, the Chinese government is going to invite capital 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the fundamental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have efforts in establishment of laws and regulations as well as in education of informatization. Thanks to these efforts, the China`s fundamental education informatization is going to make rapid progress for short period. But, it is true that the China`s fundamental education informatization have many problems because of the education load according to the great population, the broad area, and the backward economical foundation, and so on. So, it is needed to overcome the problems on the supply of computers and Internet, expected rapid progress of teachers in both side of quantity and quality and needed to have more efforts for graft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 The China`s experiences such as systematical driving method of fundamental education informatization, cooperative driving method among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financial agencies, china`s own unique standardization for informatization, and solutions for abolishing the informatizational differentials, etc. are very considerable to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 KCI등재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개발 연구

        임정훈 ( Jung Hoon Leem ),임병노 ( Byung Ro Lim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본격적인 스마트 시대를 맞아 교육현장에 활발히 보급·확산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양질의 스마트교육용 콘텐츠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를 목적으로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이러닝, 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지털교과서, 모바일러닝과 스마트러닝, 소프트웨어를 위한 평가준거 및 품질인증 관련기준과 해외 품질인증 및 질 관리 기준들을 탐색하여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기준 초안을 도출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협의회, 타당성 검사와 교육용 앱을 대상으로 한사례 분석을 거쳐 최종 품질인증기준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인증을 위한 일반 기준으로 내용영역 4지표, 교수학습지원영역 7지표, 화면 및 인터페이스영역 4지표, 관리영역 3지표, 기술영역 3지표 등 총 5영역 21지표 21문항이 개발되었으며, 우수 스마트교육 콘텐츠를 평가할수 있는 스마트영역으로 소셜네트워크 상호작용, 지능적 맞춤화, 자기주도적 창발성, 접근성, 상호운용성 표준, 끊김 없는 서비스, 기술의 혁신성 등 7지표 7문항이 추가로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품질인증기준들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스마트교육 콘텐츠 유형을 고려한 기준 개발, 비형식 콘텐츠들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 발굴, 스마트 콘텐츠 개발 전문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적용가능성탐색, 개발자와 심사자들이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및 심사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t this smart learning period, Researchers tried to develop quality assurance criteria for smart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advance the quality of smart learning and suggest guidelines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he preliminary criteria by exploring existing evaluation criteria and QA guidelines of e-learning, multimedia contents, digital textbooks,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After several workshops, validity checks, case analysis were done by experts in various areas, final QA criteria for smart learning were developed. As a result, four items in contents area, seven items in teaching-learning support area, four items in screen-interface area, three items in management area, and three items in technical area were suggested. Total 21 items, 21 questions in 5 areas were developed. In addition, we developed 7 special items for the quality contents - social network interaction, intelligent customization, self-directedness, accessability, interchangeability, seamless service, and innovation. For the validation of the QA criteria and items, some considerations should be made such as type-based criteria development, additional criteria development for informal learning contents, applicability tests in diverse areas, and concrete guidelines development for various stake-holders.

      • KCI등재

        스마트기기의 속성 및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의 인식

        임정훈 ( Jung Hoon Leem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의 보급과 확산을 담당하게 될 핵심인력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이 스마트기기의 속성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에 있어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시도교육청 스마트교육 선도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의 속성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의미분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선도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명료화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이 스마트교육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관하여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 수업상황에 스마트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교육 선도교사들은 스마트기기에 관해 ``개방적인``, ``변화하는``, ``접근성이 높은``, ``최신의``, ``흥미진진한`` 같은 긍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믿을 수 없는``, ``불안정한`` 같은 부정적 인식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선도교사들의 스마트기기에 관한 속성들을 요인분석을 통해 범주화한 결과 스마트성, 역동성, 창발성, 즉시성, 연속성, 친밀성 등 여섯 가지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IPA 분석 결과,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수업준비의 효율성, 수업운영 전략의 다양성, 상호작용성 증진, 학습내용전달 및 이해의 효과 성, 교수학습 관리의 효율성, 학습성과 향상 등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향후 스마트교육에 관한 교사연수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실천적 과제들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s and educational possibility of smart education in school sett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analyse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ategorize 52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feeling and perception on smart devices. Also, this study conduct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ducational usefulness and potential which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perceive on smart education. As a result, smart education leading teachers had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simultaneously on smart devices. Their perception on smart devices were categorized into six factors: smart, dynamic, emergent, instant, continuous, and friendly. According to IPA, the importance scores of paradigm change of teaching and learning, efficiency of preparation, diversity of implementation strategies, improvement of interactivity, effectiveness of contents delivery and understanding, efficiency of management of i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were higher than performance scores. Finally, some considerations were recommended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eacher training program on sma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