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산림협력 방향과 과제: 국제사회 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최현아 통일연구원 2018 統一 政策 硏究 Vol.27 No.2

        To sustainable inter-Korean cooperation, this study was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strategy of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based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i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Korea (DPRK). While forest-related policies in DPRK have been newly proposed since Kim Jong Un's regime,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European Union's sustainable afforestation projects and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strategy for future inter-Korean cooperation.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inter-Korean cooperation needs supporting at government level to large scale project and at non-government level to small scale project. It should be concurrently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forest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t needs to include capacity building and international issues includ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is study findings can help to understand and establish a step-by-step approach for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지속가능한 남북협력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사회의 북한 산림 복구 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향후 남북산림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 내 산림관련 정책들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유럽연합의 지속가능한 조림사업의 성과를 분석하여, 향후 남북산림협력 진행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부차원의 대규모 사업과 함께 국제사회를 포함한 민간차원의 소규모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따른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능력배양을 위한 산림교육 지원을 포함하여 국제적인 이슈와 연계한 지속가능한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산림협력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준비 중인 남북산림협력 추진 시 북한 산림복구 지원을 위한 단계별 접근 전략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STEAM 교육을 지원하는 ICT 융합형 블록 교구 개발을 위한 디자인 제안 - 조형 구축을 위한 블록 형상과 방법을 중심으로 -

        최현아,김소영,박재완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With the advance of ICT, convergent products and services have appeared. Our educational environments need to foster ICT-based convergent capable people through STEAM education. A standard framework for STEAM education consists of 3 steps: (1) situation presentation, (2) creative design, and (3) emotional experience. This can enhanc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the virtuous circle that teachers help students solve their own problems by themselves and make students feel satisfied with the process. Accordingly, the creative robot-making and its application with a convergent teaching aids blocks have been proposed. But, existing ICT convergent blocks are limited for students in order to realize their ideas with them easily and quickly. Thus, new ICT convergent blocks to support STEAM education are need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strategies for the design of ICT convergent blocks as teaching aids for STEAM education. Through the in-depth case studies of existing ICT convergent blocks, the design for ICT convergent blocks that can create different forms quickly and easily were proposed based on the driven-problems. ICT 기술의 진보에 따라 융합제품과 융합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교육환경에서도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교육인 STEAM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STEAM 교육의 학습준거 틀인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은 기존의 주입식, 암기식 교육과 다르게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성취를 통한 학습 동기를 부여받는 선순환 구조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창의적 로봇 제작 및 활용 교육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블록 교구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ICT 융합 블록 교구들은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의 아이디어 실현을 위해 빠르고 쉽게 다양한 형태를 구체화하며 실험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도구로써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STEAM 교육을 지원하는 ICT 융합형 창의 블록 교구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TEAM 교육에 적합한 ICT 융합형 창의 블록 교구 개발을 위한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STEAM 교육 준거 틀을 기반으로 기존 ICT 융합형 창의 블록의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창의적 설계 단계에서 학습자가 아이디어를 쉽고 빠르게 다양한 조형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는 ICT 융합형 창의 블록을 위한 디자인 방안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Boat Tail Shape on Aerodynamic Drag of SUV

        최현아,박성오,문호균,김문상,조정식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22 No.1

        Longitudinal vortex formed at the rear area of the vehicle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vehicle aerodynamic drag. The boat tail shape is applied to reduce the longitudinal vortex strength of the SUV so that the aerodynamic drag is improved. For this study, a commercially available SUV produced by domestic automobile company, Hyundai Motor Company, is selected as a baseline model. The boat tail shape is modeled on the baseline model using the morphing technique. The effects of boat tail shape on the aerodynamic drag has been numerically analyzed for a SUV with or without undercover. A commercial flow solver, ANSYS Fluent, is used for this study. The driving speed of SUV is 140 km/h. Even though the same boat tail shape is applied to the same vehicle, the aerodynamic drag improvement depends on the flow pattern behind the vehicle. It can be improved when the strength of the longitudinal vortex is weakened by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boat tail shape.

      • KCI등재

        김정은 시대 환경관련 활동과 협력 방안: 습지 생물다양성 보전 대내외 활동변화를 중심으로

        최현아 통일연구원 2019 統一 政策 硏究 Vol.28 No.2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Korea (DPRK) has emphasized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Kim Jong Un regime and is trying to participate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cently, it has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Conservation and wise use of wetlands in the DPRK based o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joining international conventions such as Ramsar Convention and designating of the protected areas.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to preserve wetland biodiversity in DPRK and the current status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future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This study suggested stepwise cooperation under different assumptions - coordinated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nhanced cooperation under partially lifted sanctions, and full cooperation. The proposed sustainable inter-Korean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related to international issue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addition, it can help to achieve strategic priorities for UN Strategic Framework in DPRK and cooperation projects to preserve biodiversity in wetlands. 북한은 김정은 정권 이후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정책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지속가능한 발전을 포함하여 환경관련 국제적 논의와흐름을 같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최근 북한 정부는 람사르협약을 포함한 국제협약 가입, 국제보호지역 등재와 습지 생태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습지의 현명한 이용과 보전을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 내 습지 생물다양성보전을 위한 정책과 국제사회와의 교류·협력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남북환경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때 대북제재 해제 여부에 따른 단계별 협력방안으로 국제사 회와의 공조 협력, 남북의 강화된 협력, 완전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남북환경협력 방안은 지속가능한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국제적 노력과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북한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유엔전략계획 전략 우선순위와 성과목표 달성, 습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필요한 협력사업을 도출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eoul

        최현아,이우균,김소라,곽한빈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6 No.4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emperature (℃) and precipitation (mm) in Seoul, Korea. Th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were measured at 31 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s) in Seoul for 10 years from 1997 to 2006. In this study, 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ting (IDSW) was applied to interpolate the non-measured spaces. To estimate th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variability, the mean values and frequencies of hot and cold days were examined. Th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were 32.80℃ in 1999 and -19.94℃ in 2001, respectively. The year 2006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hot temperatures with 79 hot days, closely followed by 2004 and 2005. The coldest year was in 2001 with 105 cold days. The annual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creased by about 1℃ and 483mm during the 10-year period,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variability differed between high-elevation forested areas and low- elevation residential areas. However, the precipitation variability showed little relation with the topography and land use patt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