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인훈의 인용, 『화두』의 메타모르포시스(Metamorphosis)

        배지연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9

        This paper studied on the citation patterns of Hwadu(화두), with attention that the various texts presented in Hwadu are being rewritt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ader. Prior to this, the paper noted the process of equating the concept of biological occurrence, which is emphasized as a ‘topic’, to novel writing as the ‘genetics of consciousness’ applied to consciousness and language. and the main texts cited in the Hwadu were analyzed at embryological dimension, i.e. in terms of phylogenesis and repetition of individual occurrence.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citation of Nakdong River(낙동강), which is the most repeatedly cited form of Hwadu, and studied on the fact that the narrative of Hwadu itself shows the process of the occurrence of the Huadu by repeating the phylogenesis of the Nakdong River. In the process, the Hwadu, which appears to have been distracted by disparate text, attempted to ‘summit disparate things’ through the Nakdong River, it can be inferred that the readers’ world of reading and rewriting Nakdong River in their own way is showing the readers’ world. Meanwhile, Choi In-hoon’s previously published texts are called in Hwadu and meta-story is written about them.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analyzed the two texts most commonly quoted in Hwadu, the citation and rewriting patterns of these two texts are suggested to be the repetition of varied individual occurrence (metamorphosis). Through this discussion, Hwadu is showing that disparate text and discourse can unite the narrative’s cracked past, present and future times through a single story. This paper notes that the concept of metamorphosis, which is presented as important in Hwadu is starting from Hoisaein(회색인), published 30 years ago,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wo novels, he emphasized that the concept of ‘metamorphosis’ used in the two novels is also becoming metamorphosis. In Hoisaein(회색인) the possibility of Metamorphosis, which had been a failure, is presented as possibl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one finds one’s identity with one’s ancestors, not with the West in Hwadu. In this regard, the processes of variation inherent in the time between the two novels need to be discussed more closely. 이 논문은 『화두』에 제시된 다양한 텍스트들이 독자의 입장에서 다시쓰기 되고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화두』의 인용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에 앞서 『화두』 에서 ‘화두’로서 강조되는 생물학적 발생 개념을 의식 및 언어에 적용한 ‘의식의발생학’으로서 소설 쓰기로 등치하는 과정에 주목하고, 『화두』에 인용되는 주요 텍스트들을 발생학적 차원, 즉 계통발생 및 개체발생의 반복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화두』에서 가장 반복적으로 인용되는 조명희의 「낙동강」의 인용양상을분석하고, 『화두』의 서사 자체가 「낙동강」의 계통발생을 되풀이함으로써 『화두』라는 개체 발생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질적인 텍스트가 산만하게 배치된 것으로 보이는 『화두』가 「낙동강」을 통해 ‘이질적인 것들의 종합’을 시도하였고, 이 과정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낙동강」을 읽고 다시쓰기 하는 독자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재구할 수 있었다. 한편, 『화두』에는 최인훈이 이전에 발표한 텍스트들이 호출⋅인용되고 그에 대한 메타이야기가 서술된다. 이러한 시각에서 『화두』에 가장 중심적으로 인용되는 두 텍스트(「옛날옛적에 훠어이 훠어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를 분석했고, 이 두 텍스트를 인용하고 다시쓰기 하는 과정이 변이된 개체발생(메타모르포시스)의 반복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화두』는 이질적인 텍스트들과 담론들이 화자의 균열된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들이 특정한서사적 구조를 통해 통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화두』의 메타모르포시스의 개념이 30년 전에 발표된 「회색인」에서출발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회색인」과 『화두』의 간극을 통해 두 소설에서 사용되는 ‘메타모르포시스’의 개념 또한 메타모르포시스(변이)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서구의 것이 아니라 조상과 ‘한국적인 것’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회색인」에서 실패로 머물렀던 ‘메타모르포시스’의 가능성이 비로소 『화두』에서는 ‘가능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두 소설 사이의 시간들에 내재된 변이의 과정들은 보다 면밀하게 논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話頭의 내재적 구조 一考

        박문기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8 No.-

        Ganhwa Seon is a practice method more concise and straightforward than any other, which is obviously a unique merit point of Ganhwa Seon. Holding up one subject as a key for solution and concentrating only on it is the most concise and simple method among the other self-oriented practice methods and also attaining directly the ultimate solution through hwadu is really the most effective and straightforward one. Then, how can we attain the power of breaking down the whole through penetrating only a piece of hwadu? As a result of this study I can sum up the following three points;The first point i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hwadu investigation as the direct objective method. Ganhwa Seon pursues to directly accomplish the final target in terms of both investigation method and practicing objective. Unlike the other methods, in Ganhwa Seon there is not any gradual procedure defined such as the grade, the step or the state. It consistently seeks the final target, namely ultimate enlightenment through the unique method of hwadu investigation. Secondly, hwadu itself belongs to the realm of real Dharma. Hwadu is the targeted subject to be broken through and at the same time it has the same origin as all true nature if defined from the viewpoint based on true form of nature or one's true nature. The realms of existing phenomena are all derived from the fundamental origin and simultaneously the fundamental origin is contained in the realm of phenomena because it cannot survive by itself. Based upon this doctrine, the fundamental essence of hwadu contains the true Dharma of reality though its form belongs to the realm of phenomena. The third point is the feature of integrative aspects contained in hwadu. Since a single hwadu is interpenetrated and correlated with all realms of Dharma, complete enlightenment is realized if a piece of hwadu is broken through and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enables us to master all Dharmas. Just like Indra’s net of the ten profound aspects doctrine where all the beads are shining on a single bead and the doctrine of the three thousand worlds in a single thought based on the Tiantai school where all the existences in the universe are contained in a thought, hwadu is the realm of true nature embracing the whole realms of Dharma. Therefore, if we break through a single hwadu, then we can attain perfect enlightenment by cutting off all of the ten thousands doubts. 중국에서 형성되었지만 오늘날 한국불교의 대표적 수행법으로 자리하고있는 간화선은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두 참구를 강조하고, 1700공안으로 언급되는 수많은 화두 중에서 오직 단 하나의 화두만을 타파하면완전한 깨달음을 얻게 된다고 말한다. 참구하는 화두에 어떤 내재적 구조,기능이 있기에 이러한 주장이 가능한 것인가. 본 논문은 이에 대한 고찰이다. 첫 번째로 살펴지는 것은 화두 참구법이 가진 목표의 직접 지향성이다. 간화선은 수행 목표나 참구 방법 모두 깨달음이라는 최종 목적지를 곧바로지향한다. 여타의 수행법에서 보이는 점차적인 방법이나 계위와 같은 것은전혀 없다. 모든 단계적인 것을 배제하고 오로지 구경의 깨달음을 직접 목표로 한다. 따라서 화두를 타파하면 곧 깨달음이고 그렇지 못하면 미혹한 상태의 지속이다. 또한 화두는 이미 그 자체로 眞法이다. 선사들의 가르침에 의하면, 모든존재는 실상으로부터 파생한 것이고 실상은 만유존재에 내재하며, 동시에 實相卽萬有이다. 화두가 비록 타파해야 할 대상이지만 실상으로부터 파생해 실상을 내포하고 또한 실상즉화두이므로 화두를 타파하기만 하면 곧바로 실상의 체득이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화두에는 법계 일체가 함축되고 연관되어 있어 단지그 하나의 화두를 타파하는 순간 그대로 전체의 타파, 전체의 깨달음으로 이어진다. 화엄의 십현문이나 천태의 관문이 이의 이해를 크게 돕는다. 특히인다라망 중심의 이론구조나 일념삼천설은 이의 이해에 단연 두드러진다.

      • KCI등재

        看話三要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고찰 -『高峰和尙禪要』를 중심으로

        김숙현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7 No.-

        看話三要는 간화선 수행을 할 적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중요한 用心으로서 대신근, 대분지, 대의정을 말한다. 신심과 의심에 분심을 하나 더 첨가하여 간화삼요라는 체계를 세운 사람은 원대의 선사 高峯原妙이며, 그 출처는『高峰和尙禪要』이다. 본고에서는『선요』전반의 내용을 토대로 간화삼요가 구체적으로 어떤 용심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해 보았다. 간화삼요의 첫 번째에 해당하는 대신근은 화두를 참구하기 전에 먼저 갖추어야 할 용심이며, 신행의 첫걸음이자 깨달음을 이루게 하는 초석인 만큼 수미산을 의지하는 것과 같이 확고부동해야 한다. 믿음은 모두 네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깨달음의 문이 있다는 믿음, 불성에 대한 믿음, 화두공부에 대한 믿음. 스승인 본분종사에 대한 믿음 등이다. 그러나 간화삼요의 대신근은 불성에 대한 믿음과 화두공부에 대한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불성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될 때 도를 닦고자하는 발심이 생기게 되고, 또 화두에 대한 믿음이 있을 때 화두의심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大憤志는 화두참구가 수월해진 省力處에 이르렀으나 의정이 계속 지속되지 않을 때 필요한 용심이다. 이러할 때 더욱 간절한 마음으로 분발심을 내어 용맹정진을 해야 대의정이 일어나게 된다. 대분지는 대의정을 일으키게하는 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용심이라 하겠다. 세 번째는 대의정이다.『선요』에서는 疑, 疑情, 疑團이라는 세 용어의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疑의 경우는 화두를 들다 또는 의심하다라고 할 때 쓰이는 용어로서, 화두를 처음 들기 시작할 때의 誦話頭, 念話頭까지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반면 疑情은 오롯이 화두만 간절하게 의심이 되는 화두일념의 상태이다. 대의정은 의정의 상태가 계속 이어지는 것인데 의정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대분지의 용심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대의정은 대분지 이후 일어나는 용심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리하여 의정의 상태가 계속되는 대의정의 상태가 되면 화두와 내가 모두 고요해지는 무심삼매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疑團은 온통 의심덩어리로 뭉쳐져 있다는 뜻이다. 의정이 내적심리상태가 화두의심에만 집중되어져 있을 때를 가리키는 반면 의단은 몸과 마음이 하나의 의심으로 집중된 상태를 말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심, 분심, 의심이 간화삼요의 대신근, 대분지, 대의정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대신근, 대분지, 대의정은 그대로 간화공부의 차제이며, 서로 상생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유기적 관계 속에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대신근은 화두를 참구하게 하는 용심이고, 대분지는 대의정을 일으키게 하는 용심이며, 대의정은 의정이 끊어지지 않고 지속되는 상태로서 마침내 간화의 구경인 무심삼매의 경지에까지 이르게 하는 용심이라는 점에서 간화삼요는 참선의 요체가 되는 것이다. The Three Essentials of Kanhua Chan refer to the three attitudes (or, functional mind 用心) - great faith, great efforts and great doubt - which are essential in practicing Kanhua Chan. The first to advocate them was Chan Master Gaofeng Yuanmiao 高峰原妙 of the Yuan Dynasty in his Gaofeng yuanmiao chanshi chanyao(hereafter, Chanyao) 高峰和尙禪要. This paper examined this three essentials in detail based on『Chanyao』. The first of 'Three Essentials', the great faith is an attitude as a prerequisite to hwadu investigation, so it should be adamant as it is both a starting point of Buddhist practice and a foundation for enlightenment. The faith can be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They refer to the faith in: 1) the attainability of enlightenment, 2) Buddhahood, 3) hwadu investigation, 4) an authentic master. After all, the faith in Buddhahood gives rise to an aspiration for the Path, and the faith in hwadu investigation can lead one to a real hwadu doubt. Second, the great efforts are an attitude needed when practitioners reach the 'energy-saving stage' 省力處 but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hwadu doubt. By this time, they should give rise to an even more greater effort to produce the great doubt. Like this, the great efforts are a very important attitude in that they produce an impetus to create the great doubt. The third is the great doubt. In regard to the concept of doubt, Chan Essential explains three types of the doubt - doubt 疑, doubt feeling 疑情, and doubt mass 疑團 - which are used separately. Here, the first is used as having a comprehensive meaning including even 'reciting hwadu' 誦話頭 and 'recollecting hwadu' 念話頭 which is usually done by the beginners. The second refers to the one-minded state of hwadu investigation. This great doubt is a continuation of the doubt feeling, but, as it is not easy to maintain this state, the attitude of the great efforts is required. Accordingly, the great doubt is characteristically the attitude arising after the great efforts. Thus, if the great doubt, which is a continuation of the doubt feeling, lasts, practitioners can go into the stage of thought-free concentration in which both hwadu and I become tranquil. The third and last doubt mass means a type of doubt that is clustered into a mass. Whereas the doubt feeling indicates a state of concentration only on hwadu doubt internally, the doubt mass refers to a stage of concentration in which both the body and mind become one with the doubt. The three essentials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faith, the efforts, and the doubt; they are, however, different in their subtle meanings from those dealt with in this paper. The three essentials in themselves are the sequential stages of hwadu investigation while having an close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producing synergy. Here, the great faith is an attitude that gives rise to hwadu investigation; the great efforts is that which produces the great doubt; and the great doubt is the state of continuing the doubt feeling without stopping and also an attitude allowing practitioners to reach thought-free concentration.

      • KCI등재

        최인훈 문학관의 한국적 특수성 : 화두를 중심으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와의 비교분석을 동반하며

        정의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6

        Choi In-Hoon attempted to wrap up the whole world of his own literature through the Hwadu. The Hwadu presents not only personal, literary, historical, and socio-political contexts in which his works were created, but also meanings in diverse horizons given to those works by Choi In-Hoon. Moreover, Choi In-Hoon’s critical minds based on the literature/arts, socio-politics, and history of civilization, stated through the critical and theoretical introspection, are extended and intensified in the Hwadu. Also, the Hwadu is a work with autobi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e Hwadu, we meet with the core chances in Choi In-Hoon’s life. They overlap not only with the Korean-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liberation & division, the Korean War, the April 19th Revolution, the Yushin dictatorship, the struggle for democracy and transition into the civilian government,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world-historical order caused by the collapse of socialism, but also with the socio-political events in the world history. It is also needed to pay attention to the nature and composition of the text of Hwadu.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self-criticism and Cho Myeong-Hee’s Nakdong River that was read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North Korea, the Hwadu has the structure in which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text engage with each other, which is the circular narrative structure similar to Marcel Proust’s In Search of Lost Time. However, the original experience of Hwadu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xperience of In Search of Lost Time. The personal experience of Hwadu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tough development proces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which could be characterized as Japanese occupation and ideological conflicts & division. Choi In-Hoon suggested his own special and universal literary view and literary world by expressing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modern history of Korea into literature. 화두를 통해서 최인훈은 자신의 문학세계 전체에 대한 총결산을 시도하였다. 화두에는 최인훈의 작품들이 창작된 개인사적, 문학사적, 역사적, 정치사회적 맥락들, 그리고 최인훈이 이들 작품에 부여하는 다양한 층위의 의미가 그 자신에 의해서 제시된다. 아울러 최인훈이 비평적이고 이론적인 성찰을 통해 개진한 문학예술적, 정치사회적, 문명사적 문제의식들이 화두에서 연장되고 심화된다. 또한 화두는 자전적성격의 작품이다. 우리는 화두에서 최인훈의 삶에 있어서의 핵심적인 계기들과 만나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 사일구 혁명, 유신독재, 민주화투쟁과 문민정부로의 이행, 사회주의권의 몰락으로 인한 세계사적 질서의 재편과정이라는, 한국사적인 동시에 세계사적인 정치사회적 사건들과도 겹친다. 화두는 텍스트의 성격과 구성에 있어서도 주목을 요한다. 북한에서 고등학교 1학년 시절 읽었던 조명희의 「낙동강」과 자아비판의 경험을 중심으로, 화두는 마르셀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와 유사한 순환적인 서사구조, 즉 텍스트의 처음과 끝이 맞물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화두의 원체험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원체험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화두의 개인적인 체험은 일제강점과 이념대립 및 분단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20세기 한국현대사의 굴곡진 전개과정과 분리할 수 없는 체험이다. 최인훈은 이러한 한국현대사, 이와 함께 전개된 한국문학사의역사적인 현실을 문학화 하는 작업을 통하여, 특수하면서도 보편적인 자신만의 문학관과 문학세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혜암의 선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황금연 대각사상연구원 2020 大覺思想 Vol.34 No.-

        이 논문은 혜암성관(慧菴性觀, 1920∼2001)선사의 수행과 사상을 그의 불교관을 비롯하여 참선관․화두관․견성관의 순서로 엮어 살펴본 글이다. 기록을 통해보면, 선사는 첫째, 한 인간으로서 자기의 삶, 자기 관리에 무엇보다 철저했던 인물이다. 둘째, 출가 이후 그의 삶 전체는 붓다의 제자로서 한 치의 어긋남이 없는 수행자의 삶을 일관한 귀감이었다. 셋째, 그의 수행 전체는 오로지 화두참구를 통한 생사해탈에 금생 전체를 걸었던 간화선의 종장이었다. 선사의 수행 전반(全般)을 이루고 있는 기본기조는 참선을 위해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한 하루 한 끼의 공양과 장좌불와, 육신의 원활한 운용을 위한 일(운력)의 세 가지다. 불구덩이같이 좋지 않은 이 세상에서 오직 할 일은 붓다와 같이 자기 마음을 깨쳐 고해에 빠진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자기 마음을 깨치는 수행은 오직 참선이고, 그 가운데도 화두를 참구하는 간화선이란 것이 그의 불교와 수행을 보는 핵심이다. 그에게 있어서 불교는 인간에게 있어 최상의 혁명이며, 참선은 인간의 본래면목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깨달음의 길이다. 본래면목으로 돌아가기 위해 번뇌와 망상을 다 버리고 대무심(大無心)의 경지를 얻어야 하며, 이는 화두참구를 통해 돈오돈수 함으로써 구경각(究竟覺)에 이르는 것이다. 불교의 성불하는 방법 중 관법과 주력, 독경․묵조선 등 그 어떤 것도 화두참구를 통한 간화선에 미치지 못하며, 다른 종교나 무종교인을 포함한 인간 모두가 참선을 하여 자신의 주인공을 깨달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에게 있어 참선은 자성에 합하여 청정심을 보양하고 밖으로 치달려 구하지 않는 자성공양이며, 자기와의 고독한 행군이고 치열한 전쟁이다. 또 믿음에서 바로 들어가 빼기를 하는 작업, 즉 곁가지를 제거하는 일이다. 그 전쟁을 위한 무기가 바로 화두다. 또 1700공안이라고 하는 전등록의 많은 화두는 그 가치가 동등하다. 따라서 수행자는 그 가운데 오직 하나만 가지고 깨달으면 견성성불하고, 그것은 숙면일여가 되기 전에는 풀 수 없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서야한다고 하였다. 또한 무엇보다 화두의 생명은 설명하지 않는 데 있으며 설명될 수도 없고, 설명하면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모두다 죽어버린다는 입장을 분명히 천명하였다. 또 화두참구가 잘되지 않을 때는 “조작으로라도 ‘이뭣고’를 해서 공부하고, 그렇게 하면 ‘이뭣고’가 참 의심뭉치 하나로 되며,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터진 것을 견성이라 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또한 우리나라 전통 참선은 간화선이며, 묵조선은 사구(死句)에 해당하고, 염불이나 묵조선․수식관 등은 비교적 하기는 쉽지만, 정력(定力)이 쌓이기 어려운 단점이 있음을 분명히 하고, 우리의 정통 선맥은 다른 법을 하나도 설하지 않고 오직 이 돈오돈수법, 그냥 확철대오(廓徹大悟)하는 법을 설하는 것이며, 다른 것은 모두 외도법이라 하였다. 정리하면, 불교는 인간에게 최상의 혁명이며, 참선을 제외하고 불교는 없다. 생사해탈을 위해서는 반드시 구경각을 성취해야 하며, 구경각인 대무심의 경지를 성취하기 위한 최상의 방법은 참선이고, 참선 중 최고의 수행법은 간화선의 화두참구이다. 즉, 화두참구를 통한 돈오가 증오이며 해탈이고 구경각이라는 철저한 확신 아래 구경각을 성취하기 위한 최상의 수행법칙으로 하루 한 끼의 공양과 장좌불와, 거기에 육신의 원활한 운용과 동정일여(動靜一如)의 수행을 위한 운력의 세 가지를 수행 내내 실천해온 한국불교, 특히 대한불교조계종의 전통적이고 모범적 수행자이며, 간화선의 참구에 있어서도 전통에서 조금도 벗어남이 없는 간화선의 종장이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actice and thought of Hyeam Seonggwan慧菴性觀(1920-2001), along with his Buddhistic ideas of meditation, Hwadu話頭, and Gyeonsung見性. According to records, his life is summed up in three ways. First, he was a thoroughgoing person in his life and management. Second, he was a man who practice Seon禪 thoroughly as a Buddha’s disciple. Third, he was the master of Ganhwaseon看話禪, who devoted his life to enlightenment through practice. The basis of his performance is to maintain the best condition for Cham-Seon參禪. The practice is three things: eating a meal once a day一種食, Jangjwa-Bulwa長坐不臥, and working to keep the body healthy. In this world as a fire pit, all he has to do is to achieve enlightenment like Buddha and to save humankind. The practice on that is Ganhwaseon referring to Hwadu and it is the core of his Buddhist thought and performance. As for him, Buddhism is the greatest revolution for man, and Seon is the way of enlightenment to return to human nature. In order to return to human nature, a performer must abandon his anguish and delusions and gain Daemushim大無心, which leads to the enlightenment of Subitism頓悟頓修 through Hwadu. In Buddhism, there are methods to be Buddha such as meditation, dharani, reading sutra, Mukjoseon黙照禪, but Ganhwaseon is the best way. He insisted that all human beings, including other religions and atheists, should realize their Juingong主人公 through Chamseon. As for me, Chamseon is an effort to cultivate a clean mind in combination with nature, a solitary march, and a fierce struggle. Hwadu is the weapon for a struggle. It is also to get out of the mind and remove the side branches. The 1,700 public records in Transmission of the Lamp are equal value as Hwadu. Only one of these public records can lead to realization and become Buddha, above all, the vitality of Hwadu is not explained and cannot be explained. He made it clear that if someone explained or heard the topic, everyone would die. He advised a performer to do the following when referring to Hwadu when it is not going well. “If you manipulate ‘What is this?’ and study it, the lump of doubt becomes one, and if you go one step further from it, you'll attain enlightenment.” He also said, “The Korean traditional chamseon is not Mukjoseon included in Sagu 死句 but Ganhwaseon. Yeombul念佛, Mukjoseon, and susikgwan數息觀 are easy to practice, but it is difficult to build power of samadhi. The Korean authentic Seon explains the method of Subitism, that is, Hwakcheoldaeo廓徹大悟 without preaching other dharma, and other dharmas are not orthodox.” In other words, Buddhism is the greatest revolution for humans, and there is no Buddhism except for Chamseon. In order to escape from life and death, a performer must achieve ultimate enlightenment究竟覺, and the way to achieve Daemushim of ultimate enlightenment is meditation, and the best performance of meditation is Ganhwaseon that refers to a Hwadu. In other words, sudden Enlightenment頓悟 acquired through referring to a Hwadu is abhisaṃbuddha-bodhi證悟, nirvana, and ultimate enlightenment. Like this, he performed eating a meal once a day, Jangjwa-Bulwa長坐不臥, and working to keep the body moving smoothly as a performance to achieve enlightenment with broad faith. This is the performance of Dongjeong Ilyeo動靜一如. He din’t deviate from the tradition of reffering to a Hwadu, and was the master of the most exemplary Ganhwaseon.

      • KCI등재

        보조선과 임제선의 동처와 부동처 -한국의 간화선은 보조선인가 임제선인가-

        고영섭 ( Young-seop K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6

        이 논문은 한국 간화선의 정통성을 조사선과 간화선의 연속과 불연속의 측면 위에서 보조선과 임제선의 동처와 부동처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달마 이래 사조 道信(580~651)의 문하에서 선법을 받아온 法朗에 의해 북종선과 접목했던 한국의 선법은 道義(?~821~?)에 의해 남종선에 접목하면서 선사상 사의 지형도를 크게 변형시켰다. 한국의 선법은 7~8조에서 그 맥이 끊어진 북종뿐만 아니라 육조 慧能(638~713)에 의해 남종선이 시작된 이래 특히 임 제종 楊岐파의 법맥을 이어왔다. 때문에 고려 중기에 자생한 普照禪과 고려 후기에 재전래한 臨濟禪이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가 늘 문제가 되어 왔다. 조사선풍의 흐름을 계승해온 임제선과 남종선의 사굴산문 선법을 계승해 온 보조선은 그 법통과 법맥이 다르지 않다. 고려 중기에 구산선문을 통합하 고 선법 중심의 선교통합을 도모했던 보조선과 당송대를 거치면서 고려 후 기에 다시 전래된 임제선의 원천은 애초부터 다른 것이 아니었다. 五祖 法演 과 圓悟 克勤 그리고 大慧 宗고가 종래의 조사선풍의 ‘返照’ 행법을 ‘看話’ 행 법으로 정비하자 조사선풍으로 수행해온 지눌 역시 간화선법과 주체적으로 접목하였다. 지눌은 대혜의 간화선법을 접목하면서도 종래의 조사선풍을 완 전히 버린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조사선풍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 간화선법 과 접목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간화선법은 그의 제자인 진각 慧諶 (1178~1234)에 의해 본격화되었다. 고려 중기 무신정권 시대에 권력에 휘둘리며 극심한 禪敎의 대립을 목격 한 지눌은 권력과의 긴밀한 연루로 인한 교단의 타락상과 모순을 비판하면 서 무신정권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자 하였다. 반면 고려 말기에 太古와 懶翁 등에 의해 재전래된 임제선법은 頓悟頓修에 입각한 看話決擇의 수행법과 捨 敎入禪의 사상체계를 강조하였다. 그런데 지눌과 태고의 사상은 그들이 처 한 시대상황과 역사인식 및 교단상황으로 인해 그것을 듣는 대상이 달라서 배제하였거나 서있는 입각지가 달라서 계승의 강조점이 달라졌을 뿐 근본적 인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눌이 禪淨一致를 추구한 것이나 태고가 念佛 禪을 수용한 것 역시 당시의 시대상황과 역사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학계에서 보조선과 임제선이 근원부터 다른 것처럼 인식되고 있는 것은 청허 휴정 이후 편양 언기 등의 임제법통 정립이라는 정 통성 문제를 가미시켜 이해하기 때문이다. 당대와 송대의 임제선이 지닌 장점 못지 않게 고려의 보조선이 지닌 장점 역시 엄존한다. 또 證悟보다 解悟에 집중해온 頓悟漸修와 禪敎一元의 체계 가 頓悟頓修에 입각한 看話決擇을 역설해온 체계보다 더 강력하다고 할 수 는 없다. 하지만 임제선이 ‘隨處作主 立處皆眞’의 기치로 ‘주인공’을 강조해온 선사상이듯이 보조선 역시 고려 중기의 ‘주인공’으로서 “땅에서 넘어진 자 땅 을 짚고 일어나라”는 ‘마음의 토대’ 혹은 ‘사유의 입각지’로서의 ‘주체성’을 강 조한 선사상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따라서 한국의 간화선은 ‘보조선풍이자 임제선법’이며, 보조선은 ‘조사선풍이자 임제선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선교일 원의 기반 위에서 돈오점수와 간화결택을 강조하였던 보조선의 장점이 사교 입선의 기반 위에서 돈오돈수와 본분종사의 인가를 강조하였던 임제선의 행 법 속에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The study researched the mutual understanding(同處) and mutual misunderstanding (不同處) of Bojo Seon and Linzi Chan from the aspect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Chan of the Patriarch and Seon Observing Hwadu with regard to the legitimacy of Korean Seon Observing Hwadu. The Korean Seon, which is connected to Northern School Seon by Beoprang who studied Seon under Dharma since then The fourth master Tao-hsin(道信, 580~651), changed the topology of Seon philosophy significantly when it is connected to Southern School Seon by Doui(道義, ?~821~?). Since the beginning of Southern School Seon by Yukjo Hyeneung, it has maintained the Dharma lineage of Linzi Chan Yangqi(楊岐, 1095~1149) branch unlike Northern School Seon whose lineage was disconnected in the 7~8th generation. Because of this reason, there has been an issue about whether the Bojo Seon that was naturally created in the middle of Goryeo Age was identical to Linzi Chan that was reintroduced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Age. The Bojo Seon that has succeeded Methods of Seon of Sagulsanmun(□掘山門 禪 法) of Linzi Chan and Southern School Seon that has succeeded the flow of Chan of the Patriarch was not different in terms of its Dharma lineage. The origin of Bojo Seon that unified The Seon gatess of nine mountains(九山禪門) and searched for the unification of Seon and Doctrine by focusing on Seon and the origin of Linzi Chan that was reintroduced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Age via Tang and Song were not different. As Ojo Beopyeon, Wono Geukgeun and Daehye Jonggo arranged the training method of Direct introspection of the mind(返照) of Chan of the Patriarch as ‘Observing the Hwadu’, Jinul who trained Chan of the Patriarch also connected it to Seon Observing the Hwadu subjectively. Although Jinul connected his training method to Seon Observing the Hwadu of Daehye, he did not abandon existing Chan of the Patriarch. On the contrary, he might connect it to Seon Observing the Hwadu to enlarge the extension of Chan of the Patriarch. Seon Observing the Hwadu was earnestly performed by his disciple, Jingak Hyesim. In the middle of Goryeo Age, Jinul, who witnessed the serious conflict between Seon and Doctrine, being affected by the military political power, tried to keep a distance from the military political power while criticizing the corruption and contradiction of school as i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power. On the contrary, The Linzi Chan that was reintroduced by Taego and Naong in the end of Goryeo emphasized the training method of right judgement of Ganwha(看話決擇) and the philosophy system of Entering the Seon gate after completing the study of doctrine(捨 敎入禪) on the basis of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However, there was no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houghts of Jinul and Taego although there was an exclusion because the subjects were different, resulting from their different historical situations and doctrinal situati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mphasis on succession because the footing was different. Jinul``s search for The convergence of Seon and pure land(禪淨一致) and Taego``s assertion of Chanting meditation(念佛禪) were also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historical recognition. The reason that Korean academic world has recognized Bojo Seon and Linzi Chan as different ones is that it understands them by adding the issue of legitimacy to establish the The patriarchate of Linje Sect(臨濟法統) connected from Cheongheo, Hyujeong, Pyeonyang and Eongi. As the Linzi Chan of Tang and Song has advantage, the Bojo Seon of Goryeo has also advantage. It can``t be said that the system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and unitary of dhyana and doctrine(禪敎一元) focusing on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ruth(解悟) rather than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through correct wisdom(證悟) is more powerful than the system emphasizing right judgement of Ganwha(看話決擇) based on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the Linzi Chan is the Seon philosophy emphasizing hero with the banner of ‘Suceojakju Ipceogaejin’(隨處作主 立處皆眞), the Bojo Seon was the Seon philosophy that emphasized the ‘subjectivity’ as ‘the ground of mind’ or ‘footing of thought’, mentioning ‘the person who falls in the ground should stand up leaning on the ground’ as a ‘hero’ in the middle of Goryoe Ag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Seon Observing Hwadu was ‘Bojo Seon’ and ‘Linzi Chan’ and ‘Bojo Seon’ was ‘Chan of the Patriarch’ and ‘Linzi Chan’. It is because the advantage of Bojo Seon that emphasized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and right judgement of Ganwha(看話決擇) on the foundation of unitary of dhyana and doctrine(禪敎一元) is projected on the family style of Linzi Chan that emphasized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nd original share master(本分宗師) on the foundation of Entering the Seon gate after completing the study of doctrine(捨敎入禪).

      • KCI우수등재

        보조지눌의 ‘무자화두십종병’과 청허휴정의 ‘간화십종병’의 항목 배치 비교

        엄미경 불교학연구회 2023 불교학연구 Vol.76 No.-

        This paper compared and examined the arrangement of items in Pojo Chinul’s Ten Diseases of Mucha hwadu (無字話頭十種病) and Ch’ŏnghŏ Hyujŏng’s Ten Diseases of Kanhwa (看話十種病). The Ten Diseases of Kanhwa, represented by illnesses that can occur during hwadu exploration, originated from the hwadu exploration method sporadically presented in Dahui Zonggao’s Shuzuang (書狀), and Pojo Chinul compiled the same or similar items into ten categories. Chinul was followed by his disciples Chin’gak Hyesim, Ch’ŏnghŏ Hyujŏng and Paekp’a Kŭngsŏn of Chosŏn, Chinhŏ P’algwan, and Yongsŏng Chinjong. The order of the Ten Diseases of Kanhwa presented in Ch’ŏnghŏ Hyujŏng’s Sŏnga kwigam (禪家龜鑑) is different from that found in other records.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order of arrangement was connected with the level of maturity in kanhwa Sŏn’s hwadu ch’amgu practice. As a result, starting from the harsh pain of counting where one discerns righteousness and morality as “having mind” (有心), it is the place where you can move your eyebrows and blink your eyes with “no mind” (無心), find a way to live in the way of “words” (言語), or use letters to discuss a topic and prove one’s point of view. Trying to notice right away, being confined in the boundary where nothing happens as a “silent silence” (寂默), understanding that there is nothing, “nothing nothing,” or a certain way, and waiting for enlightenment while being delusional are possible. Therefore, the Ten Diseases of Kanhwa of Ch’ŏnghŏ Hyujŏng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degree of maturity according to the journey of studying the hwadu, which progresses from coarseness to “having mind” (有心), “no mind” (無心), “words” (言語) and ‘”silent silence” (寂默). Therefore, it would be most appropriate to name the order of the Ten Diseases of Sŏn (十種禪病) presented in Pojo Chinul’s Kanhwa kyŏrŭi ron (看話決疑論) as the “Ten Diseases of Mucha hwadu” (無字話頭十種病), and the order of the Ten Diseases of Sŏn (十種禪病) presented in Ch’ŏnghŏ Hyujŏng’s Sŏnga kwigam, as the “Ten Diseases of Kanhwa”, because these orders of presentation are related to the level of maturity of the hwadu ch’amgu i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화두’, 간화선 수행의 본질과 교육적 시사점

        안성규 ( An Sung-gy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간화선(看話禪)은 선어(禪語)인 화두(話頭)로써 번뇌망념을 제어하는 수행법이다. 그런데 간화선은 의심의 감정을 형성[疑情]하고 그 형성된 의심의 감정을 더욱 몰아부쳐 하나의 덩어리로 만든 뒤[疑團] 이것을 궁극적으로 깨부수어[打破]하여 깨달음을 얻는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행법을 참의(參意)법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것은 화두의 의미를 추구하는 수행법이다. 이렇게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간화선 수행법은 창안자인 대혜(大慧宗杲, 1089∼1163)가 애초에 구상한 방법과는 다르다. 그의 간화법은 의외로 간명직절한 수행법이었다. 그는 ‘단지 망념이 일어날 때 화두를 들어라 그러면 망념은 붉은 화로위의 한 송이 눈처럼 사라진다. [妄念起時, 但看話頭, 正恁麼時, 如紅鑪上一點雪相似.]’라고 하여 ‘단간화두(但看話頭:단지 화두를 간한다.)’라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행법을 참구(參句)법이라고 부를 수 있다. 즉 일구인 화두를 단지 참구하는 방법이다. 화두는 공안(公案)중에서 핵심적인 일구(一句)를 가리킨다. 일구는 현성공안(現成公案)으로서 지금여기에 나를 존재하게 하는 활구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었다. 화두는 그 속성 자체가 무의어(無義語) 이면서도 중도실상(中道實相)을 지시하는 진법의 단서라는 성격을 가진다. 참구법에 의하면 망념이 일어날 때 화두를 들면 그 순간이 시각(始覺)이고 이것은 곧 본각(本覺)으로 이어지는 구도였다. 깨달음이 달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망념이 제거된 상태로가 곧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참의적 간화선 수행법은 만약 ‘의정’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다음단계인 ‘의단’형성은 구상할 수 없는 것이며 타파는 기약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의정’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면 수행의 추력으로 작용하겠지만 생기지도 않은데도 억지로 구상하여 집착하면 자칫상기증(上氣症)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대의 간화종장이라고 불려지는 성철에 의해 선양된 간화법은 참의법으로 화두참구시에 반드시 ‘어째서. 어떤 것이’라는 의문사를 들것을 강력히 주문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의문의 감정을 형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설정된 것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자칫 의식집중훈련이나 정신수련으로 흐를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간화선 수행법의 본질은 참구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일구를 통한 번뇌의 제어에 있다고 보고 일구의 수립과 의식상에 내면화하는 것을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중등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자신의 목표를 수립하는데 영감을 주는 일구가 화두로서 설정되기 위해서는 학부모와 교사의 관심과 구체적인 지도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Ganhwaseon practice is method of observing the truth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wadu. By the way It is generally known that Ganhwaseon form doubt emotions and further drive away the formed feelings of doubt into one mass and eventually break them down to gain enlightenment.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Chamyi method. This practice would be that the next step, the mass of doubt emotions, is inconceivable and that a breakaway is impossible if the doubt emotions is not formed. The method of performing these commonly recognized Ganhwaseon was not the one that the creator had devised. He said, 'Just remind me of the Hwadu when delusions occur, and the wrong idea disappears like a snow flower on a red brazier.' That's just the way to look at the Hwadu. In other words, if one raises the issue when delusions occurs, that moment is the moment of enlightenment and this is the structure that leads to the original realization. This method is referred to as the Chamgu method. This method of execution of the founder has been transformed into emphasize what is doubt emotions during the latter phase of the Song Dynasty and the early days of the Yua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the changed method of Ganhwaseon was adop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as of now, it has been established as the practice of carrying out the current state-of-the-art Ganhwaseon. The Hwadu refers to the key phrase of Koan. The Hwadu is a condensed statement that reflects one's current issues. In such a case, the proposed section will act as a powerful tool and act as a power to solve the problems of one's own reality. and The Hwadu can serve as a message of hope in young people's hearts. For example, the question 'Who am I, what do I live for?' and 'how do I live' may be an example of Hwadu whose identity and goal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and parents to instruct teens in a kind and caring manner to keep a phrase of hope in their hearts.

      • KCI등재

        간화선 수행 관련 술어(述語)에 내포된 은유

        박재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4

        This paper considers the metaphors deployed in the main predicates related to Ganhwaseon (看話禪) practice. In Seon (禪) practice, we assume some kind of experience referred to as enlightenment, and emphasize Hwadu (話頭) practice as the means which allows us to experience this enlightenment. Several unique predicates are use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eon practice, and these predicate terms are therefore important in helping students to develop a clear understanding of Seon practice. The Korean predicates eod-da (얻다), deul-da (들다), and kkae-da (깨다) are examined in detail. The Korean expressions Hwadu-reul (화두를) eod-da and Hwadu-reul bat-da (받다) imply an ontological metaphor, which causes, or results from, the ontological objectification of Hwadu. Also, the Korean term Hwadu-reul deul-da is an orientational metaphor, which can be seen as the cause or result of hierarchical and vertical thought in relation to Hwadu.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term Hwadu-reul kkae-da is a structural metaphor that causes or reflects the thought of recognizing Hwadu as a gate. 이 논문은 선불교의 간화선 수행법과 관련된 주요 술어(述語)가 함축하고 있는‘은유적 사고’(metaphoric thinking)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선(禪)에서는 깨침으로지칭되는 모종의 경험을 상정하고 그것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화두 수행을강조한다. 그리고 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수행 관련 술어가 동원된다. 이술어들에는 은유적 사고가 내포되어 있는데 그 맥락을 유추해 보면, 수행자에게 간화선 수행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 본 논문에서는 간화선의 화두 수행을 설명하는 용어 가운데 한국어 ‘얻다’, ‘들다’, ‘깨다’ 등의 술어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화두를 ‘얻다’ 혹은 ‘받다’라는 표현에는 존재론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 화두를 존재론적으로 대상화하는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사고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 화두를 ‘들다’라는 표현에는 지향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 화두와 관련하여 위계적이고 수직적인 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사고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두를‘깨다’ 혹은 ‘타파(打破)’라는 표현에서는 구조적 은유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것은화두를 관문처럼 인식하는 사고를 유발하거나 그러한 의식이 반영된 것임을 알수 있다.

      • KCI등재

        간화선(看話禪)과 천태(天台)의 구조적 연관성

        박문기(Mun Gi B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2

        간화선은 화두의 타파를 통해 자신의 본성을 깨닫는 수행법이다. 대부분의 화두는 선지식이 수행자를 지도하면서 가르친 말씀이나 행동의 奇緣語句들로 우리의 ``본래면목``을 체득하기 위한 하나의 과제이다. 선에서는 이런 ``본래면목``을 실상, 본심, 본성, 일념, 일구 등이라 하면서 이는 모양이나 언어문자로 표현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것이라 한다. 형태적인 면에서의 화두는 이 일념, 일구가 안이비설신의와 어우러져起動하기 이전의 세계이다. 이런 점에서 화두는 이미 실상이다. 깨닫지 못했을 때에는 과제이고 도구이자 열쇠이지만 화두는 이미 실상의 세계에 있다. 반면 천태 일념삼천설은 일념을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일념에 십계와 십계호구,백계에의 십여시와 삼종세간 등 삼천세계가 있다 하고, 이 삼천세계가 각각 호구호융하고 있어 삼천이 무궁무한하게 전개됨을 밝힌다. 일념이 삼천이지만 삼천의 각각은 일념 아님이 없다. 여기에 일념의 존재상으로 공가중 삼제가 있고, 이 삼제 각각에 또한 공가중이 있어 원융삼제하다. 선이 이론적 설명을 배제하고 오로지 본래면목이나 본성 등을 체득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면 천태 일념삼천설의 일념은 매우 논리적인 설명 구조를 보인다는 점에서양자의 차이가 있다. 하지만 무한 삼천의 호구호융이 일념이라는 점에서 천태의 일념 역시 궁극적으로는 이론을 떠나 있다. 그리고 화두가 ``실상``을 체득하고자 하고 천태가 ``중도``를 깨닫도록 한다는 점에서 이들 모두 담고 있는 내용이나 표현하는 주체, 지향하는 목표는 동일하다. 한편 이의 체득을 위한 수행법에서는 동이점이 보인다. 간화선은 화두에 대한 강력한 의심을 필수로 한다. 의심이 없으면 간화의 방법이 아니며, 그것도 단지 의심하는 정도가 아니라 온 몸으로 덩어리 되어 지속되는 의단독로의 타성일편을 강조한다. 천태의 경우, 실상을 궁극적으로는 부사의경으로 설명하며 이의 체득에 일심삼관을 말한다. 일심에 공가중 삼관과 이 삼관이 원융하는 원융삼관이어야 하며, 이는 思議로서 살필 수 있는 것이 아닌 不思議一心三觀이라 한다. 간화의 참구법과 천태 관부사의경의 구체적 행법인 일심삼관 모두 비사의적인 방법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간화가 화두 하나의 타파로 일체의 타파를 말하고 있는 것처럼 천태의 관부사의경 역시 음입계경을 비롯한 십경의 어느 것에서든 성취된다면 구경으로 보고 있다는 점 역시 같은 구조이다. 그러나 간화가 ``의심``을 핵심 요소로 하고 있음에 비해 천태는 의심을 언급하지 않으며, 천태는 삼제가 원융하는 무진의 세계를 일심삼관으로 관하는 관법을 말하지만 간화는 ``觀``법은 아니다. The structure of Tiantai is different from that of Seon, and particularly Patriarchal Seon. The Tiantai School analyzes all Buddhist doctrines and practices and systemizes their logical structure in order to explain the direct experience of completeness and immediacy. On the other hand, Seon does not focus on all those but only emphasizes directly entering into true reality. In other words, the emphasis of Seon is direct experience rather than the understanding of reality. Seon masters think that understanding through intellectual discrimination cannot reveal ultimate reality, and so they admonish practitioners to abandon knowledge attained by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scripture and doctrine and to experience reality directly and physically. In Ganhwa Seon, a hwadu is a device practitioners use to grasp and awaken to true reality. Ganhwa Seon aims to comprehend all things by penetrating a single hwadu. A hwadu can be called a concentration of mind, the whole of mind, or true reality. When a practitioner cannot reach a state of awakening by other means, a hwadu is instrumental in reaching said awakening. Nevertheless, a hwadu is a true reality. For instance, all beings exist in true reality which is the true reality of the Middle Way, and we can not escape this principle. The realm of hwadu can be said to be the world prior to conceptual thinking, but it pervades the as many dharma realms throughout the universe as there are grains of sand in the Ganges river. It is also the original mind, the original nature, the one thought, the one word, and the one mind which encompasses all distinctions, such as great and small, long and short, circumference and circle, blue, yellow, red, and white, etc. It seems to be both the beginning and the whole, and it seems to be one but cannot be said to be only one. In addition, it is crystal clear both inside and outside and yet seems to be empty. Thus, one thought and one word are true reality and truthful dharma. This one thought and one phrase is the hwadu in which eye, ear, nose, tongue, body, and mind are still. The technique of investigating the hwadu in Ganhwa Seon means to not to discriminate between the one mind, one word, etc. but to lump these all together in the doubt mass ( uidan) and then break through it is. How can a phrase of the Tiantai School explain that which is difficult to verbalize? Tiantai Buddhism explains the principle of the one thought in its doctrines of the Three Thousand Worlds in One Thought and the Perfect Harmony of the Threefold Truth. The former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mind and essentially means that one thought contains three thousand worlds. In other words, one moment of thought equates to ten dharma worlds, ten aspects of suchness and three realms. It is well known that the doctrine of Three Thousand Worlds in One Thought implies that one thought contains all ten dharma realms. Each of the ten dharma realms comprises one hundred worlds that compose a thousand worlds by ten aspects of suchness. And finally, the thousand worlds can be multiplied by the three realms to become three thousand worlds. However, the concept that one thought contains ten dharma realms does not mean that dharma nature originates in such a way. When one thought arises then an infinite number of dharma worlds also arise, but they do not interrupt or hinder each other. There may seem to be many, but they actually do not exist and to be the one actually cannot be said to be non-existence. In addition, it seems to be many but non-difference, and is the one but not the sameness. Therefore, it is described as the many are one and the one is many. It means that the ten dharma realms (十界互具), the ten aspects of suchness, and the three realms encompass each other. Thus, the term three thousand worlds does not mean it is a finite number, because all worlds are contained in a particle of dust and are unlimited in number, that is, eighty-four thousand, and it is all d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