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 3세대 HCI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의 역사적 맥락과 비전

        이현진(Lee Hyunjhi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1

        HCI discipline has come through historical paradigm shift according to evolutionary changes of technology culture and society in our information age. Design methodology in HCI has responded to those HCI paradigm shifts by changing its role and weight for the new design needs. This study reviews historical context of HCI and HCI design from various perspectives of other researchers and then the 3rd HCI paradigm as a new upcoming challenge for HCI design methodology research. Papers and case studies are explored to find trends and characters of the 3rd HCI design methodology. As a conclusion three visionary approaches are proposed as requirements for the 3rd HCI design methodology. Those include control of unexpectable design attributes design process as a design eco-system and genre oriented approach for knowledge construction and various views of design evaluation.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탄생한 HCI 학문 분야는 현재까지 기술과 사회 문화적 변화에 따라 그 존재 양식과 학문 성격에 있어서 역사적인 변화의 흐름을 이어왔으며 이에 따라 HCI 분야에 있어서 디자인의 역할과 비중 방법론에 있어서도 다양한 역사적 맥락과 변화들을 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술과 HCI HCI에서의 디자인에 대한 역사적 변화의 흐름과 문맥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비교 연구하였고 새로이 제기되는 제 3의 HCI의 패러다임과 연계하여 디자인 특히 HCI를 위한 디자인 방법론의 역할과 환경 변화 현황의 문제들을 고찰하고 연구 방향에 대한 비전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제 3세대 HCI 패러다임에 맞는 디자인 방법론은 불확실성을 조율하는 디자인 방법론 디자인의 생산 및 소비 과정에 대한 연속적 통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 프로세스 창의성 증대 및 다면적 가치 추구를 위한 장르적 전개 방법론의 요건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HCI 디자인 고유의 지식 및 평가 체계와 역할의 정립에 공헌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심미성을 상호작용 속에서 이해하라: HCI에 미학의 방법론을 적용하려는 연구경향에 관해

        이재준 ( Jae J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2

        오늘날 HCI 연구 분야에서 상호작용 주체의 경험(소위 사용자 경험)은 다양한 HCI 인공물들을 통해 점차 일상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있으며 이제 단순한 관심의 차원을 넘어 그 중요성이 심각하게 평가되고 있다. 일상생활은 경험의 개인적 측면, 취향이 소비되고 교환되는 장소이며, 이를 구현하는 산물들에 의해 다시금 문화적으로 재생산되는 장소이다. 이와 관련해서 일상세계에서의 경험을 구성하려는 HCI연구에서 미학은 중요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논문은 HCI연구와 미학의 관련성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밝히고, 최근 HCI연구에서 미학의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경향들을 분석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성취하기 위해 이 경향들을 ``환원주의적 연구 패러다임``과 ``전일론적 연구 패러다임``으로 구분한다. 또한 이 두 가지 패러다임을 근거로 세 가지 접근 방법을 분석한다. 즉, ``환원주의적인 미학적 접근법``,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접근법``, ``인터랙션 비평의 접근법``이 그것이다. 이 방법들은 미학의 영역에서는 이미 보편화되어 있으며, 따라서 HCI연구에 적용할 경우 충분한 타당성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입장의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살필 것이며, 이를 통해 컴퓨터과학-공학을 토대로 한 HCI 연구와 인문학을 토대로 한 미학의 연구가 체계적으로 만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야를 제공할 것이다. On HCI research field,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computer(so called, ``user experience``) is not just a ``buzz word`` of late. But it has become a core issue of the research. His/her experiences might be considered parts of daily life through many different interaction artifacts. Everyday life is a place where personal experiences are consumed and exchanged with their concrete products(like images, desires, etc.) and the products are reproduced culturally. Through the interaction as cultural action in everyday life HCI researches need the approaches of Aesthetics. This paper explains inevitabi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CI and aesthetics, and provides an overview of researches trend that apply approaches of aesthetics in HCI with two paradigms: reductionist research paradigm and holistic research paradigm. And the paper analyse the three approaches of the two: reductionist aesthetic approaches, approaches of pragmatist aesthetics, and interaction criticism. These approaches are considered to be traditional methods of aesthetics and useful in understanding aesthetic experiences of HCI. Finally the paper compares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critically. Eventually, the research provides a thread for a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HCI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and aesthetics of humanity science.

      • KCI등재

        AIM: 유비쿼터스 HCI 환경을 위한 에이전트 기반 지능형 미들웨어 설계 및 구현

        장현수,김연우,최정환,강동현,송창환,엄영익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6 No.1

        With the emergence of ubiquitous computing era, it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a middleware which takes full advantage of HCI factors to support user-centric services. Many kinds of studies on HCI-friendly middleware for supporting user-centric services have been performed.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problems in supporting HCI factors, which are needed for user-centric service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gent-based intelligent middleware, which is called AIM, that provides user-centric services in ubiquitous HCI environments. We describe the middleware requirements for user-centric services by analyzing various HCI-friendly middleware and design AIM middleware which effectively supports various HCI factors such as context information management, pattern inference of user's behavior, and dynamic agent generation, etc. We introduce service scenarios based on the user's modalities in smart spaces. Finally, prototype implementation is illustrated as a manifestation of the benefits of the introduced infrastructure.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사용자 중심 서비스를 위해 HCI 요소를 최대한 활용하는 HCI 미들웨어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HCI 미들웨어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사용자 중심 서비스 제공에 반드시 필요한 HCI 기능들에 대한 종합적 지원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중심 서비스 지원을 위한 에이전트 기반 지능형 HCI 미들웨어인 AIM(Agent-based Intelligent Middleware)을 제안한다. 먼저 기존의 여러 HCI 미들웨어들을 분석하여 HCI 미들웨어의 요구조건을 도출하고, 상황 정보 관리, 사용자 행동 패턴 추론, 동적 에이전트 생성 등을 통해 여러 HCI 기능들을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AIM을 설계한다. 또한 스마트 공간에서 사용자 모달리티 기반 서비스 시나리오를 소개하고, 프로토타입 구현을 통해 소개한 미들웨어의 이점을 보인다.

      • KCI등재

        기획심포지엄 : 미학,예술학의 안과 밖 ; HCI에서의 심미적 경험에 관한 프래그머티즘의 해명

        이재준 ( Jae Joon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3 No.-

        본 논문은 미학의 방법론이 컴퓨터과학의 방법론으로서 수용되기 위한 융합의 가능성을 확인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철학적 미학의 이론이 어떻게 컴퓨터과학을 위한 배경이론으로서,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컴퓨터공학의 실천, 특히 HCI(인간-컴퓨터 상호작용)를 위한 이론 모형으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일이다. 일군의 HCI 연구는 지난 10여 년 간 미학의 방법론을 수용해왔다. 초기 연구들은 주로 HCI인공물의 외양과 관련된 심미적 측면에 관심을 가졌고, 그 이후 연구들은 HCI에서 인간의 경험 측면, 특히 HCI인공물을 사용할 때 이루어지는 선호의 경험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최근의 HCI 연구에서는 심미적 경험이 단순한 만족과 즐거움에 제한되지 않는 좀 더 복잡한 특성을 지닌 것이라는 자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매카시와 라이트의 연구에서 대표적으로 드러난다. 매카시와 라이트의 HCI연구는 HCI에서의 경험을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이 제시하는 심미적 경험으로까지 확장시킨다. 특히 이들의 연구는 앞선 연구들보다 풍부한 개념들과 이에 대한 체계들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의의 타당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과 체계들은 부분적으로 모호하며 엄밀하게 논증되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은 HCI에서 심미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분석적 방법 대신 구성적 방법을 사용하려는 매카시와 라이트의 전일론적 입장을 옹호하고, 다만 그들의 입장이 지닌 모호함을 극복하기 위해 듀이의 미학에서 사용된 심미적 경험의 구성작용을 근본적 구성주의 입장에서 재해석한다. 듀이의 심미적 경험 개념이 지닌 함축성에도 불구하고 그 모호성은 매카시와 라이트의 HCI 개념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듀이의 경험 개념은 경험 주체와 대상 사이의 대립을 전일론적 통일성에서 해소함으로써 인간과 컴퓨팅 머신 사이의 상호작용 관계를 매우 긍정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렇지만 이는 HCI 설계를 위한 이론 모형을 목표로 할 경우 매우 불충분한 설명일 수 있다. 듀이의 전일론적이고 구성주의적 설명은 현대 컴퓨터과학과 인지과학에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 근본적 구성주의와 유사한 입장을 취한다. 따라서 근본적 구성주의를 통해 매카시와 라이트의 개념을 좀 더 객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 특히 다우텐한 등이 제시한 신체화의 개념은 ``경험의 연속성``이라는 테제를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서 더욱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그들의 개념적 설명은 HCI에서의 심미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한 토대론적 의미를 지닌다. 프래그머티즘 미학은 HCI에서의 심미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한 여타의 논의들에 비해 매우 적합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HCI 경험의 생산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더욱 구체화되고 엄밀한 논의로 진척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to be accepted the methodology of aesthetics as the methodology of computer science, and explores how the philosophical theories of aesthetics can be applied as the background theory for the practice of computer science, especially a model for the theory of the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Over the past 10 years, a group of HCI research has been to accept the methodology of aesthetics. Early studies primarily related to the appearance and aesthetic aspects of HCI artifacts, and then they paid attention to many aspects of human experience(preference) with HCI artifacts. However, the recent HCI researches accepted aesthetics are not restricted to simple satisfaction and pleasure experienced with HCI artifacts and are aware of the more complex attributes of aesthetic experiences. This recent trend is highly manifested in the study of McCarthy and Wright. McCarthy and Wright have rationalized the aesthetics of HCI by John Dewey`s pragmatist aesthetics. In particular, their theoretical concepts and terms are discussed systematically than in other studies. But their using concepts and terms are partially ambiguous and therefore their discussion is insufficient to get the rigorousness. The paper supports their holistic stance that reputes the analytic method but accepts the constructivist method to expla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HCI, and reinterprets Dewey`s constructivist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with the radical constructivism in order to eliminate ambiguity of their discussion. Notwithstanding some deep implications of Dewey`s constructivist explanation, its ambiguity has mirrored in their arguments: it shows many pathways to understand a continuous rela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subject and object of experience), but doesn`t provide any concrete theoretical models to design practical HCI artifacts. In the fundamental assumptions, Dewey`s constructivist concepts are similar with radical constructivism that has provided contemporary computer 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theoretical grounds. Radical Constructivist explanations of HCI, especially Dautenhan`s definitions of embodiment of HCI give McCarthy and Wright`s thesis, ``continuity of experienc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reasons. Eventually, pragmatist aesthetics provides HCI researches the valid background, but the pragmatist aesthetics of HCI such as McCarthy and Wright`s research needs to be well refined and rigorous in order to be implemented into HCI practice nonetheless.

      • KCI등재

        실내 주광 활용을 위한 천공 구분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김유신(Yu-Sin Kim),김현선(Hyun-Sun Kim),홍성관(Seong-Kwan Hong),박병철(Byoung-Chul Park),최안섭(An-Seop Cho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0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4 No.1

        천공커버법칙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전운량을 활용하여 천공 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 HCI(Hourly Clearness Index) 방법은 측정된 태양의 수평 일사량을 이용하여 천공 상태를 결정한다. HCI 방법에는 Erbs et al. 방법(1982)과 Orgill and Holland 방법(1977) 등이 있으나, 이와 같은 기존의 방법은 약 30여 년전에 수립된 것으로 현재의 대기 상황과 다소 다르기 때문에 실제 전운량에 의한 천공 상태와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HCI에 의한 천공 구분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이에 기상청 데이터를 이용한 천공커버법칙에 의한 천공상태와 측정된 수평 일사량을 이용한 HCI의 천공상태를 비교?분석하여 기존 HCI 방법의 시간별 보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보정된 HCI 방법이 기존의 HCI 방법에 비해 천공별 유사성이 다소 향상되었다. Sky cover method can be used to determine sky condition by cloud amount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HCI (Hourly Clearness Index) method is another method determined by measured horizontal global radiation data. The results of the HCI methods of Erbs et al. (1982), Orgill and Hollands (1977) seem to be not good enough because of the air pollution such as smog phenomenon or yellow sand phenomenon and so on. Therefore, HCI should be correc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HCI.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on the sky conditions from Sky cover method and HCI, and then presents hourly correction factor based on Sky 채팩 method. The results of corrected HCI improved.

      • 4 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HCI 의 역할

        한상규(Sang-kyu Han),한수교(Sugyo Han),나누리(Nuri Na),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HCI 는 인간과 정보기술 사이를 이어준다. 다가오고 있는 4 차 산업혁명에서는 어떤 기술들이 인간과 어떻게 연결되어 나타나며, 그 속에서 HCI 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된 미래 기술을 알아보기 위해 미래 예측 기법을 활용한 국내외 보고서 9 건을 메타 분석하여 ICT 핵심기술 52 개를 도출하였고, 이 기술들을 바탕으로 HCI 측면에서 중요한 기술과 연구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HCI 관련 직종 및 연구 전문가에 의한 2 차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4 차 산업혁명의 원천으로 언급되는 기존 기술들과 다르게 HCI 적 접근이 필요한 기술로 감성컴퓨팅, 음성인식, 디지털메시 등 12 개를 도출하여 HCI-기술 로드맵을 완성하였다. 이를 통해 4 차산업 혁명에서 HCI 의 역할로 ‘인간을 닮은 기술 완성’과 ‘기술 사용장면의 사용자 측면 구체화’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 KCI등재

        HCI 이론을 적용한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

        이정희(Lee, Jeong-Hee),이재무(Lee, Jae-Mu) 한국게임학회 200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7 No.2

        본 연구는 HCI 이론을 적용하여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한다. 사람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원리나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인 HCI 이론은 다양한 영역의 프로그램 개발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그리고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도 널리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HCI 이론을 적용한 게임형 코스웨어 평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게임형 코스웨어 평가 연구에서도 HCI 이론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HCI의 구성요소인 유용성(Usefulness), 사용성(Usability), 감성(Affect)의 관점에서 평가 준거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준거는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criterion for evaluation on game-style courseware by the application of HCI theory. The HCI theory, which deals with principles or methods for developing systems people can use conveniently and pleasantly, has been applied to overall area of program development. And it also has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learning program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a game-style courseware evaluation on the basis of the HCI theory. Thu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CI theory to studies on the game-style courseware evaluation. This paper shows that evaluation criteria are developed on three viewpoint bases : usefulness, usability, and affect which are as elements in HCI.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a basis for evaluation on game-style coursewares.

      • 지속가능 HCI: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 분석

        Carl Hannes Lohmander,이기현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본 연구는 지속가능 HCI 측면에서 한국 HCI 학회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를 분석한다. 지속가능발전은 현재와 미래 세대의 필요를 모두 충족하는 개발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United Nations (UN) 은 지속가능발전 목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만들어 우리가 지속가능발전에 구체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UN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17 개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기계학습 분류기를 만들어 한국 HCI 학술대회 논문의 지속가능발전 기여 정도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한국 HCI 학회가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에 고르게 기여하고 있는지, 지속가능발전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한국 HCI 학회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그 결과, 한국 HCI 학회는 그동안 지속가능발전에 기여를 하고 있었지만, UN SDGs 측면에서 고르지 못한 기여를 하고 있었다.

      • KCI등재

        상호작용 예술 혹은 상호작용 인공물: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HCI에 도입하려는 입장

        이재준 현대미술학회 2010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 No.14

        The seeds of many different and multiple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computing machine are growing on the ground where art and technology can not be separated by each other. We have not any clear distinctions between interactive artworks of aesthetic world and interactive artifacts of technological world. These 'not-clear' problems are not the objects that the aesthetics will search as new criteria for its definitions,but some general phenomena that aesthetic pluralism of our culture has. The article analyses the edge of the interactive art as an exemplar of pluralist culture and the other edge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n investigates Netzspannung project that Monika Fleischmann and Wolfgang Strauss have participated in long ago and ACM TOCHI's 2008 special issue, 'the aesthetics of interaction'. These case-studies provide us the theoretical threads for understanding the new techno-art domain in the future. The article treats some innovative theories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especially theories of HCI) critically for this. HCI, a domain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ology has interested in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human over half a century. But now so called 'the third generation of HCI'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human in order to grasp fundamental elemen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computing machine, and the pragmatist aesthetic studies of HCI provide it a meaningful insight. P. Wright and J. McCthey, M. G. Petersen, and D. Vyas construct the theoretical models of HCI based on J. Dewey's the pragmatist aesthetics. They insist that interactive artworks and interactive artifacts have a continuity of themselves, some experiences of them can be considered into an aesthetic experience, and so an aesthetic theory of HCI can be reconstructed from the analysis of the aesthetic experiences. But their theoretical attempts remain the abstract level of conceptualization. On the contrary to this, the pragmatist aesthetics have many concrete cases of analysis, and they can get some concrete concepts for an aesthetic theory of HCI by their referring to its cases. And the pragmatist aesthetic of HCI can also get a theoretical and practical system of their theory by applying Activity Theory of HCI into their studies like O. Bertelsen. Futhermore, these theoretical trials for comprehending and constructing some interactive phenomena make a new condition and challenge of the aesthetics.

      • SCOPUSKCI등재

        은도금된 활성탄소섬유의 HCI 제거에 관한 연구

        박수진 ( Park Su Jin ),진성열 ( Jin Seong Yeol ),유승곤 ( Yu Seung Gon ) 한국공업화학회 2004 공업화학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독성가스의 한 종류인 염화수소(HCI)의 제거를 위해 활성탄소섬유(activated carbon fibers, ACFs)의 표면에 전해 은(Ag) 도금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도입된 Ag가 활성탄소섬유의 표면과 기공특성 그리고 HCI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Ag가 도입된 활성탄소섬유의 표면특성은 XRD와 SEM을 통해 각각 관찰하였고, 77 K/N_(2) 등온 흡착특성은 BET식과 Boer의 t-polt을 이용하여 비표면적 미세기공의 부피를 확인하였다. 또한 HCI의 제거효율은 가스 검지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금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탄소섬유 표면의 Ag의 함량은 증가한 반면에 활성탄소섬유의 흡착특성인 비표면적과 미세기공부피 등은 점차 감소하였다. HCI의 제거효율은 미처리 활성탄소섬유에 비하여 Ag가 도입된 활성탄소섬유에서 높은 값을 보였지만. 일정량 Ag가 도입된 Ag-5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활성탄소섬유의 흡착특성과 표면에 도입된 Ag는 HCI의 제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In this work, the activated carbon fibers (ACFs) containing silver metal were prepared by Ag electroplating, in order to remove the toxic HCI.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ACFs were determined by using XRD and SEM measurements. 77 K/N2 adsorption isotherm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were investigated by BET and t-plot methods. Also, HCl removal efficiency was confirmed by a gas-detecting tube technique. As a result, Ag content on the ACF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lating time. However, within the range of well-developed micropore structures, a slightly gradual decrease of adsorption properties, such as BET`s specific surface area and total pore volume, were observed by increasing the plating time. HCI removal efficiency of all Ag/ACFs except extremely treated sample (Ag-5)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of untreated ACF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nce of Ag on the ACF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HCI removal over carbon surfaces, due to catalytic reactions of ACFs-Ag-C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