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용적 제도가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석승혜(Seok, Seung-Hye),유승호(Shryu, Seung-Hoo)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일국의 경제 발전에서 포용적 제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미래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인덱스로 게임산업에 주목하고, 독일과 한국의 게임의 제도화 과정과 제도의 차이가 게임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한국과 독일의 게임제도를 비교하는 이유는 양국에서 게임은 국가주도에 의해 육성되기 시작하였지만, 현 시점에서 한국과 독일의 게임제도는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지점으로 제도에 주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게임의 제도화 과정에서 개방적/폐쇄적 연결망은 게임의 사회적 위상에 영향을 준다. 이로 인해 둘째, 법제도에서 게임 인력은 독일의 경우 아티스트로, 한국의 경우 잠정적으로 중독자(중독생산자)로 분류되며, 인센티브 제도에서도 독일은 게임산업의 수익이 재투자되는 창작자 보호로, 한국은 그 수익이 중독치료를 위한 집단으로 이전되는 징벌적 수탈로 이어지게 된다. 셋째, 이러한 제도적 포용성의 차이는 게임시장 규모의 성장과 창조기업 및 인력의 지역적 유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같이 유망 산업인 게임산업에 대한 포용성의 상실은 한국사회가 경제발전의 기회로부터 멀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he effect of the inclusive institution on a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we focused on the gaming industry as an index that can drive the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The reason to compare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is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develop the game by the State, but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at the present time are sharply opposed, because the institutions can focus on the main points that are experiencing this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pen/closed network in institutionalized aspect affects the social status of the game. This second, game workers in the legal institution has been classified as artists in Germany, as addicts in South Korea. And, Germany also has incentives to creators protected profits reinvested in the gaming industry, Korea leads to punitive exploitation is being transferred to the group for addiction treatment that revenue. Third, this exclusive and inclusive institutional system could affect the stable growth of the game market. As a result, South Korea's state institutions will notice that you get a result away from opportunities for economic development due to the loss of inclusiveness.

      • KCI등재

        포용적 제도가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독일의 게임산업 제도화를 중심으로

        석승혜,유승호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일국의 경제 발전에서 포용적 제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미래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인덱스로 게임산업에 주목하고, 독일과 한국의 게임의 제도화 과정과 제도의 차이가 게임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한국과 독일의 게임제도를 비교 하는 이유는 양국에서 게임은 국가주도에 의해 육성되기 시작하였지만, 현 시점에서 한국과 독일의 게임제도는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지점으로 제도에 주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게임의 제도화 과정에서 개방적/폐쇄적 연결망은 게임 의 사회적 위상에 영향을 준다. 이로 인해 둘째, 법제도에서 게임 인력은 독일의 경우 아티스트로, 한국의 경우 잠정적으로 중독자(중독생산자)로 분류되며, 인센티브 제도에서도 독일은 게임산업의 수익이 재투자되는 창작자 보호로, 한국은 그 수익이 중독치료를 위한 집단으로 이전되는 징벌적 수탈로 이어지게 된다. 셋째, 이러한 제도적 포용성의 차이는 게임시장 규모의 성장과 창조기업 및 인력의 지역적 유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같이 유망 산업인 게임산업에 대한 포용성의 상실 은 한국사회가 경제발전의 기회로부터 멀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he effect of the inclusive institution on a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we focused on the gaming industry as an index that can drive the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The reason to compare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is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develop the game by the State, but the gam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nd Germany at the present time are sharply opposed, because the institutions can focus on the main points that are experiencing this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pen/closed network in institutionalized aspect affects the social status of the game. This second, game workers in the legal institution has been classified as artists in Germany, as addicts in South Korea. And, Germany also has incentives to creators protected profits reinvested in the gaming industry, Korea leads to punitive exploitation is being transferred to the group for addiction treatment that revenue. Third, this exclusive and inclusive institutional system could affect the stable growth of the game market. As a result, South Korea's state institutions will notice that you get a result away from opportunities for economic development due to the loss of inclusiveness.

      • KCI등재

        게임콘텐츠에서 묘사된 한국 캐릭터ㆍ스테이지의 문화적 영향

        이창섭,이현정,김향미 한국게임학회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3

        게임유저는 게임콘텐츠에서 묘사된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국가에 대한 문화적 이미지를 형성 한다. 대전액션게임은 다양한 게임콘텐츠 장르 중 하나이며, 대게 국가별 게임캐릭터와 게임스 테이지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액션게임인 킹오브파이터즈(King of Fighters, KOF) 시 리즈에서 묘사된 한국인 게임캐릭터와 한국의 게임스테이지를 살펴봄으로서, 게임유저가 형성 할 수 있는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초기의 KOF94부터 KOF2003까지 총 10개의 KOF시리즈를 연구한 결과, KOF시리즈 초기작에서는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가 매우 부 정적으로 묘사되었음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국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은 새로운 시리즈가 발매될수록 감소되었으며, 특히 국내 기업의 자금을 지원받아 제작된 KOF2001과 KOF2002에서는 한국의 긍정적인 문화적 이미지가 강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Game users can create cultural images about foreign countries from game contents what they play. Most fighting action games provide various game characters and game stages where the game characters come from. This study analyzes that Korean game characters and game stages of The King of Fighters (KOF) series, one of popular fighting action games. We find that KOF describes Korea negatively in the beginning KOF series but the negative descriptions of Korea were gradually weaken as newer KOF series were released.

      • KCI등재

        Exploring Game-related Mocumentary: Focus on “Tekken Hot War”

        Sukhee Han(한석희)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1

        본 연구는 2006년 MBC 게임에서 제작한 게임 관련 모큐멘터리 (페이크 다큐멘터리) “철권열전” 시즌 1을 세밀하게 분석한다. 게임 산업이 발달하고 진화함에 따라, 경쟁, 게임 조사, 인터뷰 등과 같은 게임 관련 영상과 비디오들 또한 제작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게임 관련 미디어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시청하며, 게임 관련 미디어는 여가를 위한 그들의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하지만, 게임 관련 모큐멘터리는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많이 제작되지 않았으며, 그러므로 연구도 충분치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모큐멘터리의 특징을 분석하고 탐구하는 것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본 반다이 남코에서 제작한 대전액션게임 철권을 기반으로 하는 게임 관련 모큐멘터리 “철권열전”의 다양한 특징들을 탐구하며 구체적으로 1) 스토리 2) 영상 타입 3) 허구성 항목으로 조사한다. 이를 통해, 조사되지 않은 분야를 탐구하는 게임 관련 모큐멘터리의 질적 연구를 실시할 뿐만 아니라, 게임과 미디어 산업에 유의미한 함축성들을 제공한다. This study detailedly analyzes the Season 1 of mocumentary “Tekken Hot War”, game-related mocumentary (also known as fake documentary) produced by MBC Game in 2006. As game industry has been developed and advanced, many game-related films and videos are also produced well such as competition, game research, interview, and so forth. These days, many people watch these game-related media online and off-line, and game-related media become a part of their life for leisure. However, game-related mocumentaries are not produced much yet all around the world, and consequently studies are not enough. Thu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and explore the trait of the mocumentary. Especially, this study explores various traits of game-related mocumentary “Tekken Hot War” which was based a fighting action game Tekken produced by Japanese company Bandai Namco and researches it by 1) Story 2) Type of Scene 3) Fake (Mock) Factor in detail. Throughout this, it not only doe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game-related mocumentary that explores undiscovered areas, but also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into the game and media industry.

      • KCI등재

        음악의 비트 요소를 활용한 사용자 친화적 리듬댄스게임 연구

        이태하,정승화,구본철 한국게임학회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5 No.2

        본 연구는 음악과 유저의 움직임 간의 자유로운 인터랙션에 주목하는 리듬댄스 게임의 사용 자 친화적 게임 플레이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리듬댄스 게임들은 사용자의 움직임과 개성적 인 춤에 제한을 부여하게 되는데, 이 제한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는 댄스음악에서 가 장 기본 토대를 이루는 비트값을 사용하는 게임 방식을 선택하였다. 음악의 비트를 느끼는 방 식은 어깨, 무릎, 고개의 세부분으로 나누어 키넥트를 통해 추출된 각 신체 포지션 값으로 자동 적으로 파악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의 정해진 규칙이 아닌 자신의 춤을 추는 개인적 방 식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This Study suggests the user-friendly game playing method of rhythm dance game focusing on the natural interaction between music and user's movement. When the existing rhythm dance games have given the limitation to users, this study chose the game playing method using beat that is consist of basic element in dance music for minimizing the limitation. Beat feeling method automatically figures out each body position value extracted with Kinect that divided into three parts of shoulder, knee, and head. Accoring to this process, users can play the game to individual dance style, not fixed rules for game.

      • KCI등재

        게임 이용 후 평가에 의한 재이용 의도 및 전환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지훈(Lee, Ji-Hun) 한국게임학회 2009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9 No.6

        게임사들은 제품 및 서비스 등을 수요자들에게 제공하지만 수요자의 욕구와 필요는 시대를 거듭하면서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하지만 게임사들은 자본과 기술의 동일성 때문에 독특한 제품 및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가 어렵다. 특히 유저들에게 인기 있는 FPS 게임은 유저들의 욕구를 최대한 반영하여 게임 개발에 임하지만 비슷한 욕구로 인해 타사 FPS 게임과 비슷한 게임으로 계속 개발되고 있다. 이는 특정 수요자의 욕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더 나아가 충성도가 높은 고객 감소 및 신규고객 미확보 등으로 시장 활동의 어려움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PS게임 이용자들이 게임이용 후 재이용 의도 및 전환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용자의 심리적 욕구를 찾아내고자 한다. 그 결과 현재 이용하는 FPS 게임에 대해 만족 및 재이용 의도는 84.9%로 나타났고, 스페셜 포스 게임으로 전환의도는 9.6%로 서든어택 게임으로 전환의도는 5.5%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게임 이용자들의 욕구가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Game producers provide their products and service to users. But the need and desire of users change in many ways as time goes. But game Co. Ltd is difficult because of the capital and the technical identities for providing characteristic products and service etc. Specially, the FPS game which is popular among users is developed by game Co. Ltd as the maximum reflects desire of users, but is similarly developed in other companies FPS game by similar desire. This cannot accept from desire of a certain prospective customer furthermore, decrease of a loyalty customer and a new customer, and a company is difficult of market activity.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find of user's psychological needs by FPS game user after gaming on reusing intention and switching intention factors influencing. As the result, the intention of satisfaction and re-use for FPS game is 84.9%, the conversion intention to special force game is 9.6% and the conversion intention to the game of Sudden attack is 5.5%. It shows that desire of the user for certain games is changing.

      • KCI등재

        기능성게임의 게임성과 효과성 분석 모델 사례 연구

        윤태복,김민철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6

        기능성게임은 단순히 재미를 즐기기 위한 수단이 아닌 교육, 의료, 홍보,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별한 목적을 의도로 개발되어 활용된다. 이러한 기능성게임은 일반적인 게임이 가지는 게임성과 함께 특별한 목적에 부합하는 효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게임성과 효과성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기능성게임의 게임성과 효과성을 살펴보고 우수한 기능성 게임의 모델을 찾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에서는 상용화되어 서비스 중인 몇몇 기능성게임과 일반게임의 게임성과 효과성을 살펴보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Serious games are developed not only as a means of enjoying fun, but also as a special purpose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cine, public relations, and management. Such a serious game should have the effect of meeting the specific purpose with the game of the general ga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how both game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This study examines game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of serious game, and suggests a method of finding model of superior serious game. In the experiment, we examined the game performance of some commercial and general games using the proposed method and confirmed the meaningful results.

      • KCI등재

        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난 게임성 전이 분석 연구 :크리스 크로포드의 모델을 중심으로

        김은정(Eun-Jung Kim) 한국게임학회 2019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9 No.6

        게임 산업의 성장과 게임 미디어의 대중화로 인해 “게임 같은(game-like)” 미디어 콘텐츠들이 하나둘씩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게임의 트랜스미디어 현상의 하나인 게임성 전이를 통해 성공하는 콘텐츠의 심급에 자리한 게임성과 그 원리, 작동방식을 밝히고 현대 미디어와 문화 안에 자리한 게임의 역할과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게임성 전이의 현황을 조사하고 크리스 크로포드의 창의적 표현 분류 모델을 활용해 게임적 구조와 작동 원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게임성 전이의 단계별 유형을 공간탐험형, 스테이지형, 추리경쟁형, 상호경쟁형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game performance and its principle and operation method at the depth of successful content through gameness transition, which is one of the transmedia phenomena of game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gameness transition and analyzed the game structure and working principle by using Chris Crawford"s creative expression taxonomy model. As a result, the types of gameness transition could be extracted into space exploration type, stage type, reasoning competition type, and mutual competition type.

      • KCI등재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 게임 QA 시스템 개발

        윤태복,양성일 한국게임학회 2022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2 No.6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게임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게임 개발사는 제작된 게임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가지고 있다. 게임 개발 절차에는 콘셉 기획, 사업성 검토, 프로토타이핑, 개발, QA(품질검사), 상용화 서비스, 운영관리 등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게임 QA는 게임의 원활하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게임 QA를 위한 자동화되고 지능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위하여 Extractor for Game QA(E-GQA), Machine learning for Game QA(ML-GQA), Creator for Game QA(C-GQA), Actuator for Game QA(A-GQA)을 개발하였다. 실험에서는 상용화 게임에 적용하여 원활하게 작동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Lazzro의 ‘4가지 재미요소’ 기반 힐링 게임 특성 분석

        강호인,변혜원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6

        Recently, some games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ing function are released. The healing games tend to make people relax. With the features of simple healing contents, the healing games provide users psychological stability more than strong stimulus. The games don't give users continuous excitement, so the popularity of the games goes down so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domestic and international healing games on the basis of the platform, such as mobile, console and PC. We analyze the feature of healing games with the four keys to fun(Hard Fun, Easy Fun, Serious Fun, People Fun) suggested by Nicole Lazzro. By this analysis, we find how much of the 4 keys to fun the games includ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4 keys to fun and the popularity of the healing games. 최근에 신체적, 심리적 힐링(healing) 기능이 있는 게임들이 출시되고 있다. 힐링 게임은 사용자에게 힐링의 요소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힐링 콘텐츠의 속성 상 콘텐츠가 비교적단순하여 강한 자극 보다는 심리적 안정을 주는 특성이 강하다. 지속적인 자극과 게임의 몰입성 측면이 다소 약하여 힐링 게임의 경우 인기가 지속적이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힐링 게임을 모바일, 콘솔, PC 등 플랫폼 종류별로 분류하여 조사하고 Nicole Lazzro가 제안한 ‘4가지 재미요소(Hard Fun, Easy Fun, Serious Fun, People Fun)’를 기준으로 힐링 게임들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 분석을 통해 기존의 힐링 게임들이 ‘4가지 재미요소’를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재미요소와 힐링 게임의 인기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