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race Your Taste’ - YouTube 이용 동기와 추천 시스템 사용 패턴의 연관성 연구

        이소형(So Hyeong Lee),이중식(Joongseek Lee),이준환(Joonhwan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최근 미디어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소비하고 경험하고 있다. 특히 시각적, 청각적 매체를 활용한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역할이 급부상하고 있다 . 구글의 유튜브(YouTube)는 단순히 온라인 영상 제공 서비스 역할을 넘어 콘텐츠 크리에이터(creator)의 창작 공간, 소통의 창, 정보를 습득하고 학습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사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추천시스템 사용 패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튜브 콘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입도와 추천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유튜브 사용자들의 콘텐츠 이용 동기와 사용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는 연구 실험 대상자의 48 시간 동안의 유튜브 시청 히스토리 내용의 일부가 담겨있다. 유튜브 콘텐츠 접근 경로는 6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콘텐츠 이용 동기는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3 가지(휴식/재미, 정보검색, 음악감상)로 구분되었다. 통계 분석과 실험 참여자들의 개별적 사용 패턴 분석을 통해 콘텐츠 이용 목적과 콘텐츠 접근 경로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 “My vision tells me nothing!”: 청각 큐 중심의 공간 탐색에서 사용자 행동 분석 연구

        이기훈(Kihun Lee),유선경(Sunkyeung Yoo),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정보 큐 없이 청각적 정보 큐에 의존해야하는 상황에서 소리로만 공간을 탐색할 때 사용자의 행동 유형과 패턴을 이해하였다. 우리는 청각보조 도구인 지능형 헤드셋(UWB+IMU+NLP) SSEI(Sound-driven Spatial Exploring Instrument)를 개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3 명의 참여자들을 모집하여 시각적 큐가 최소화된 공간에서 SSEI 를 사용해 공간을 탐색하는 태스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사용자들은 비시각적 상황에서 청각 큐로 방향 정보만 제공할 때 1) ‘방향중심 탐색’과 ‘거리중심 탐색’의 두 가지의 행동유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가지 2) 행동유형을 기반으로 ‘방향정립’, ‘반복조정’, ‘검증반복’ 세 가지 행동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각중심으로 공간을 탐색할 때 방향 드리프트 현상에 대한 조정 큐 설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능형 청각 보조 도구의 인터페이스의 개선 방향에 기여하고 청각 신호에 의존해야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행동 패턴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 읽고 싶진 않지만 끄고 싶지도 않아: 스마트폰 배지 알림의 의의 탐색

        이수민(Soomin Lee),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는 배지 알림을 확인하지 않고 몇백 개씩 방치하면서도 배지 기능을 끄지는 않는 사용자들의 배지 알림에 대한 인식과 사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배지 알림을 확인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와 해당 알림을 읽지 않는 이유를 분석하고, 평소에 배지 알림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다른 푸시 알림과 함께 배지 알림을 사용하는 패턴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자 21 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중요하지 않거나 급하지 않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배지 알림이나 생활 및 쇼핑 어플리케이션의 관련성이 낮은 광고 배지 알림들이 주로 바로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은 잠금 화면의 알림 미리 보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대부분의 알림 내용을 확인 및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경우 배지 알림은 처리가 급하지 않거나 관심이 없어서 남겨진 소식의 개수를 표시하는 경우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직 처리하지 못한 일과 답하지 않은 메시지가 남아있으니 이들을 처리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기 위한 리마인더로서 배지를 사용하는 패턴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고전적인 알림 형태인 배지 알림의 의의 및 기능을 새롭게 탐색하였다.

      • 비대면 주문 시스템의 사용 행태 분석을 통한 UX 개선 방안 도출

        백인섭(Insup Baek),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최근 다양한 업종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인건비 절감 등을 이유로 키오스크 및 모바일 앱을 통한 주문 방식이 확장되고 있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는 롯데리아 560개 매장, 맥도날드 190개 매장에서 키오스크를 도입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키오스크 시장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2024년에는 44억 760만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미국 맥도날드는 2017년 말까지 미국 2500여 개 매장에 키오스크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한 설문 업체가 진행한 키오스크에 대한 수용도 설문조사에서 20.4%의 사용자가 키오스크의 확장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이유로는 조작이 힘들어서라고 응답했다. 이에 본 연구는 대면 방식의 주문과 키오스크, 모바일 앱 등의 비대면 주문 방식의 멘탈 모델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대면 주문 시스템의 메뉴 탐색 및 주문 프로세스의 설계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30명의 키오스크 사용자와 10명의 모바일 앱 사용자의 비대면 주문 과정의 관찰과 사전·사후 인터뷰를 통해서 사용자 멘탈 모델과 시스템이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의 차이를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주문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대면 방식의 익숙한 사용자의 멘탈 모델과 비대면 방식의 주문 시스템의 메뉴의 탐색 과정의 불일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한 기존 대면 주문 방식의 사용자 멘탈 모델의 적용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 일정의 유동성을 반영한 모바일 일정관리 도구에 대한 연구

        윤정원(Jungwon Yoon),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언제든지 일정을 생성할 수 있고, 이동하는 와중에도 약속 시각을 변경하거나 취소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동 전화의 등장과 보편화로 개인의 삶에 있어 일정의 유동성이 증가한 것이다. 하지만, 일정의 유동성이 증가한 만큼 일정에 대한 불확실성은 커졌다. 본 연구는 ‘일정의 유동성을 수용할 수 있는 모바일 일정관리 도구는 일정의 계획과 수행의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여, ‘프린지 캘린더(fringe calendar)’라는 새로운 모바일 일정관리 도구를 제안했다. 이를 일정 관리의 계획성과 수행성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계획성 측면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모바일 기반의 세분화된 시간 관리 인터페이스의 구현과 발전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AI 스피커 멀티턴 서비스의 대화 분리감을 위한 청각큐 연구

        조수빈(Soobin Cho),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에서는 AI 스피커의 멀티턴 서비스 사용 시 사용자가 멀티턴 서비스의 대화 분리감을 인지하는지, 어떤 청각큐가 대화 분리감에 어떤 효과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사용자가 어떤 청각큐를 선호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 참가자 10 명이 20 분간 청각큐를 제공하지 않는 프로토타입과 각각 세 가지 다른 청각큐를 제공하는 세 가지 프로토타입을 사용하도록 한 후 15-20 분간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프로토타입에 사용된 세 가지 청각큐는 Auditory Icon, Musicon, 그리고 Voice Alter 이다. 조사 결과, 멀티턴 서비스의 대화 분리감은 약하며, 청각큐가 대화 분리감을 증대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가장 분리감이 강한 청각큐는 특이한 목소리의 Voice Alter 지만, 강한 분리감과는 별개로 자연스러우며 서비스에 잘 어울리는 Musicon 이나 Auditory Icon 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내용은 대화 분리감이 중요한 AI 스피커의 멀티턴 서비스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다.

      • “여권 사진이 어디 있더라?” 객체 인식을 활용한 사진 검색 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강슬기(Selki Kang),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혼잡한 스마트폰의 사진첩에서 ‘여권’을 검색하면 내가 촬영한 여권 사진이 화면에 나타난다. 이처럼, 머신러닝을 통한 객체 인식이 발전함에 따라 사진 관리에도 새로운 인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사진 관리 서비스에서 ‘검색’을 사용하는 행태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2 명의 참가자로부터 일주일간 구글 포토(Google Photos) 사용 기록과 검색 기능 사용의 목적과 사용 검색어를 수집하였다. 총 80 번의 구글 포토 사용 기록 중, 검색은 2 번째(22.50%)로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된 목적은 특정 사진 취하기 (38.89%)로 나타났다. 수집된 45 개의 검색어와 인터뷰 데이터를 통해 객체 인식을 활용한 검색의 특징 세 가지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사진 사용 목적과 검색어의 불일치, 2) 검색어의 재조정, 3) 검색어 형성이 애매한 사진의 존재. 이를 통해 객체인식을 통한 사진 검색에서도 의미적 괴리(semantic gap)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객체인식을 통해 사진을 검색하는 행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온라인 강의 정보 탐색 및 수강신청 행동 분석과 개선안 : 서울대학교 수강 신청 시스템을 중심으로

        최지윤(JiyooN Choi),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1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대학의 강의들은 일련의 체계를 가지고 모여 교과 과정을 형성한다. 학교는 교과과정을 이상적으로 설계하지만 학생들은 현실적인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강의를 소비한다. 학교와 학생 모두 강의 정보와 수강신청에 관련한 모든 행동이 온라인 시스템으로 전환된 이후 매우 편리해졌다. 하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수강계획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학교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학교가 제공하는 교과과정 체계를 따르지 않음에 따라 여러가지 행정, 교육적인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학생들이 실제로 어떻게 '강의 정보를 탐색하고 수강 신청을 하는지' 정보 행동 모델을 수립하고, 각 단계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프로토타입을 제작, 다시 실제 사용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IM)를 활용한 운전행태 조사방법에 관한 연구

        표민기(Mingi Pyo),이중식(Joongseek Lee),이남민(Nammin Lee),유보미(Bomi Yu),이동진(Dongjin Lee),최유진(Yoojin Choi)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운전자 경험(Driver Experience)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차량과 기술 중심이었던 운전에 대한 관점이 사용자의 행동과 감정으로 변화하며, 운전행태를 운전자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의 경험은 문화적·법적 규범, 도로 상황, 개인의 심리적 요소 등 다양한 내외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변수가 다양하고 통제가 어렵다는 점에서, 기존의 조사방법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조사방법의 적용을 통해 한계점과 보완점을 규명하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obile Instant Messenger, MIM)를 활용한 새로운 방법론을 설계하였다. 총 2차의 파일럿 실험을 통해 조사방법의 유용성 을 평가하고, 동시에 운전자 경험을 구성하는 3가지 축(물리적·인지적·행동적 변수)을 설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메신저의 위치공유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운전자의 물리적 변수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당일 운행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제공, 추가 설문시 운전 당시의 맥락 재현을 용이하게 하였다. 수도권 운전자 200여명을 대상으로 한 8일간의 실험 기간 동안, 이탈률 10%, 설문응답률 97%의 높은 참여율을 보이며 2,000개가 넘는 운행정 보가 수집되었다. 본 조사방법의 적용을 통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내의 메신저를 활용하여 다수의 물리적 운행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었고, 둘째, 실험참여자와 메신저를 통한 활발한 인터랙션 및 운전정보 제공을 통해 실험참여의 흥미도와 자발성을 높일 수 있었으며, 셋째, 향후 수집된 운전자 경험요소의 분석을 통해 운전자 유형(Typology)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To oberve and understand overall driver experiences, appropriate new research method is required. However, current methods had several limits because of complexity of driving factors and physically-restricted environments. Thus, this study aims to make a new research method using mobile instant messenger to collect three aspects of driver’s experiences, locomo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Two pilot researches were onducted to find the most suitable methods and main research was successfully progressed using mobile instant messenger(MIM) embedded in smart phone. Over 2,000 separate driving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209 drivers in capital area near Seoul for 8 days, including 6 weekdays and week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