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훤당 도학시가 후대 도학시에 끼친 영향

        신태수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5

        The Dohak poems of Hanhwondang Kim Going-pil are closely related to his life. When Haengjang by Gi Dae-seung is put together with supplementary content for it, it seems clear that his life consisted of three indicators including "behavioral norms," "Chein goals" and "perceptive attitudes." These three indicators are necessary conditions for Dohak and correspond to components of Dohak poetry. It is the components of Dohak poetry that form the paradigm of Dohak poems and build a vessel to contain the intended values of Dohak.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Dohak and the components of Dohak poetry are equivalent to each other and share the Seongjeukri theory as part of their common fundamental history. When the subject of perception is brought in as a criterion, only the components of Dohak poetry get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a perceptive system in Dohak poems. The perceptive system of Dohak poetry is very dynamic, which is evidenced by mutual support between the Seongjeukri theory and the components of Dohak poetry. Hanhwondang's Dohak poems had huge impacts on Dohak poems by following generations. They first included the "Ipingeuk" theory in the components of Dohak poetry established by him and secondly put the content and methods of Wigijihak in the components of Dohak poetry established by him. 寒暄堂 金宏弼의 道學詩는 한훤당의 삶과 연관이 깊다. 奇大升이 찬술한 <行狀>과 그 追補 內容을 취합하면, 한훤당의 삶은 ‘행위 규범’과 ‘체인 목표’와 ‘인식 태도’라는 指標로 구성되어 있다. 세 지표는 도학의 필요조건으로서, 도학시 구성 요소와 대응된다. 도학시 구성 요소야말로 도학시의 패러다임을 형성하며 도학의 지향가치를 담아내는 그릇이다. 도학의 필요조건이 있고 도학시 구성 요소가 있으니, 양자의 관계를 따져보지 않을 수 없다. 양자는 等價的이고, 性卽理說을 所從來로 한다. 인식의 주체를 기준으로 할 때, 도학시 구성 요소만이 도학시의 인식체계를 형성하는 데 관여한다. 도학시의 인식체계는 동태적이다. 성즉리설과 도학시 구성 요소가 상대방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이렇게 볼 수 있다. 한훤당 도학시는 후대 도학시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 근거를 후대 도학시에서 찾을 수 있다. 한훤당이 마련한 도학시 구성 요소에 ‘立人極’論이나 爲己之學의 내용과 방법을 담았다는 점이 그것이다.

      • KCI등재

        한훤당 도학사상의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이상성 ( Sang Seong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2 嶺南學 Vol.0 No.22

        The Chosun Dynasty`s Dohak(道學) has been eventually ``characterized`` by Hanhweondang(寒暄堂) Kim Goeng-Pil(金宏弼). Although Hanhweondang inherited Dohak from his master Jeompiljae Kim Jong-Jik, he constructed a totally new system of thought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his master had created. Also, he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the most innocent type of politics in our history through his pupil, Cho Kwang-Jo. The key points of Hanhweondang Dohak were new understanding and practice movement of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Before him, other Dohak scholars had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ary Learning』. However, 『the Elementary Learning』 has finally become the most important scripture of Dohak thanks for Hanhweondang, which meant that Dohak has turned from pursuit and emphasis on metaphysical value to practice of fundamental duty of human reality: emphasis on realistic practice of absolute truth, rather than denial of transcendental foundation and truth. Although Chosun Dynasty chose Neo-Confucianism as its founding principle, the Dynasty`s Dohak has been set its main direction by Hanhweondang`s faith and spirit. The characteristics of Hanhwendang Dohak are strong spirit of independence, self-practice, high-degree of theory, and philosophical innocenc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Chosun Dynasty`s Confucian scholars appraised Hanhwendang as the very first figure of Chosun Dynasty to succeed the stream of Korean Confucianism. In our current academic worlds, products of Hanhweondang Dohak study are rather not sufficient. No master`s or doctor`s thesis has been yet submitted in philosophical field and it has been about forty years since his collection of works, 『Gyeonghyeonrok』, which is inappropriate for today`s scholars to study. At the same time, volume of book about Hanhweondang Dohak is not enough compared to other Dohak scholars. The reason for this insufficient products of Hanhweondang Dohak study not only rests on lack of documents and reference, but also on scholars` passive understanding and cognition.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I suggest three further tasks for future study of Hanhweondang Dohak. First, we should newly publish `『Today`s Sohak of Hanhweondang』`` to distribute it widely and develop its practice movement. Second, ``Hanhweondang Academic Society` or ``Research Center for Hanhweondang Dohak``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modern interpretation of <Hanbinggye> and its practice movement is necessary. 寒暄堂 金宏弼(1454~1504)에 의해 조선의 道學은 비로소 그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한훤당은 스승 점필재 김종직에게 도학을 전수 받았으나 스승과는 다른 성격의 사상 체계를 이룩하였고, 그의 제자 정암 조광조를 통해 우리 역사상 가장 醇正한 정치〔至治〕를 펼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였다. 한훤당 도학의 핵심은 『小學』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천 운동이었다. 그 이전에도 다른 도학자들이 『소학』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지만, 한훤당에 이르러 『소학』은 도학의 가장 중요한 경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것은 도학이 형이상학적 가치의 중시와 추구로부터 인간 현실에서의 근본적 도리의 실천으로 그 성격을 전환함을 의미하였다. 초월적 근원과 진리에 대한 부정이라기보다는 절대 진리의 현실적 실천을 중시하는 의미하는 지닌 것이었다. 조선은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채택하였지만, 조선조 도학은 한훤당의 신념과 정신에 의해 큰 방향이 결정되었다. 한훤당 도학의 특징은 강한 주체성, 修己的 實踐性, 고도의 이론성, 철학적 醇正性을 들 수 있다. 이런 내용으로 인해 조선조의 유학자들은 한훤당이 한국 유학의 統序를 잇는 조선조 첫 번째 인물〔首賢〕이라고 평가하였다. 한훤당의 도학사상의 현대 우리 학계의 연구 성과는 매우 적은 편이다. 철학적인 분야에서 석사, 박사학위 논문이 한 편도 제출되지 않았으며, 그의 문집인 『국역 경현록』은 출판된 지 40여년이 지나 오늘날 연구자들이 참고 하기에 매우 부적합하다. 뿐 만 아니라 한훤당 도학에 대한 단행본 역시 다른 도학자들에 비해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한훤당 도학에 대한 철학적 연구 성과가 부족한 것은 무엇보다 문헌이 부족한 이유도 있지만 연구자들의 소극적인 이해와 인식에도 원인이 있다. 이런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향후 한훤당 도학 연구의 향후 과제로는 첫째, ``『한훤당 선생의 현대 소학』``을 새로 편찬하여 널리 보급하고 그 실천 운동을 전개하는 것이며, 둘째, ``한훤당학회`` 혹은 ``暄두道學 연구소``의 창립이 요청된다. 끝으로, <한빙계>의 현대적 해석과 실천 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송당학파(松堂學派)의 도학(道學)정신에 내재된 사상적 특성

        황지원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5 No.-

        Although Park Yeong(1471~1540)’s status has never been low in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deepening process of Joseon Neo-Confucianism and the Dohak-Movement of Sirimpa, it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academia until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sources of the Dohak-Movement of the SongDang school, which was developed in the 16th century by Park Young and his disciples, and to investigate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Dohak-Learning(道學精神) they intended. The SongDang School's Dohak-Movement succeeded in the discontinuity of Dohak after GimyoSahwa(己卯士禍), and later acted as a catalyst to raise various discussions related to Neo-Confucian orthodoxy. In particular, it maintained attitude of practical philosophy by keeping faith in the tradition of Dohak in the most faithful manner and, showed an open attitude academically. They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atus of the Great Learning ≪大學≫ as an indispensable scriptur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acquire academic income through scripture, and to achieve in the path of holding mind(存心) and honoring his virtuous nature(養性). In 1572, the SongDang School established the GeumoSeowon, linking Park to the Neo-Confucian Orthodoxy of Gil-jae, thereby clarifying their consciousness of Neo-Confucian and formulating it by receiving Bsestowal of Title Boards(賜額) of King Seonjo(1552~1608). However, until the late 16th century, Seonsan, which was recognized as the home of the SongDang School, was gradually absorbed into the Yeoheon School with the academic influence of Jang Hyeon Gwang(1554~1637). Nevertheless, they did not abandon SongDang Learning, but rather strengthened the consciousness of philosophical ground, and had consciousness which Yeoheon learning succeeds to SongDang learning, and the intention was clearly shown by orienting Jang Hyeon Gwang to GeumoSeowon. 조선성리학의 이론적 심화과정과 사림파의 도학운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박영(朴英, 1471~1540)의 위상은 결코 작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되어 왔다. 이 연구는 16세기 박영과 그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었던 송당학파의 도학운동에 대한 사상적 연원을 탐색하고, 이들이 지향했던 도학정신이 지닌 학문적 특성을 구명하는 데 중요한 목적이 있다. 송당학파의 도학운동은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단절된 도학의 맥을 계승하면서 이후 도통과 관련한 다양한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도학 본연의 전통을 가장 충실하게 지켜 실천철학적 태도를 고수하였고, 학문적으로도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들은 근본을 정하는 데 필요불가결한 경전으로서 ≪대학≫의 위상을 강화하고 경전을 통해 학문적인 소득을 얻은 다음 존심(存心)・양성(養性)의 길에 들어서야 성취가 있기 마련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송당학파는 1572년 금오서원을 건립하여 길재의 도통에 박영을 연결시킴으로써 그들의 도통의식을 명확하게 하였고, 선조의 사액(賜額)을 받음으로써 이를 공식화하였다. 그러나 16세기 후반까지 송당학파의 본거지로서 인식되었던 선산은 이후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학문적 영향력이 강하게 미치면서 점차 여헌학파(旅軒學派)로 흡수되어갔다. 하지만 이들은 송당학을 포기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상적 연원의식을 공고히 하면서 여헌학이 송당학을 계승하고 있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금오서원에 장현광을 배향함으로써 이런 의도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회재 이언적의 도학적 사유와 학술사상 - ‘독락(獨樂)’과 ‘리(理)’중시 경향을 중심으로

        김경호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haracter of Doak that Yi Eun-jeok aimed and analyze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that theoretically supported his Doak.Through this process, I will show that the discussion of Neo-Confucian philosophy such as 'Mugeuktaegeukbyeon', which Yi Eun-jeok learned, is reflected in his thoughts and practices and is revealed as a life attitude like 'Dokrak'. Yi Eun-jeok observes his Dohak through many ups and downs as he lives through the era of saga. He pursued Dohak with Cho Kwang-jo, which was the mainstream in Jungjong’s reign, but walking on another path shows that Dohak was different. However, his pursuit of Doglak when he returned to his hometown after Gimyosahwa and taught students while studying Sohak shows the Dohak's practice of Dokseon.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Yi Eun-jeok' Dohak could be mentioned in the Dotong line wa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s excellent pilosophy of neo-Confucianism. Yi Eun-jeok participated in the 'Mugeuktaegeuk' debate, which was discussed by Son Jung-don and Joe Han-bo, and conducted the first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debate in Korean Confucian History. In this argument, the 'Li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aegeuk', which Yi Eun-jeok raised, played a decisive role in establishing the Li Philosophy genealogy of Korean Confucianism in the future. In addition, by strongly criticizing the thoughts of Buddhism or Taoism, which were still present in this debate, it clearly shows the viewpoint of criticism of heresy to protect Confucian values and ideology. 이 글에서는 회재 이언적이 지향했던 도학의 성격을 고찰하고, 그의 도학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했던 리를 중시하는 성리철학의 개념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이언적이 제기했던 ‘무극태극변’과 같은 논의가 그의 사유와 실천 속에 반영되어 있으며, ‘독락’과 같은 삶의 태도로 드러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 수행되었던 논의가 이언적의 성리철학적 성격을 탐구하는데 치중했다면, 이 논문은 그의 도학자적 삶의 태도와 지향을 성리철학과 결합하여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언적은 사화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도 자신만의 도학을 모색하고 견지했던 인물이다. 그는 중종 대에 주류를 이루었던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의 학자들과 함께 하면서도 이들과는 다른 행보를 보여준다. 이러한 이언적의 입장은 그가 추구했던 도학의 결(성격)이 달랐음을 알려준다. 일심(一心)을 강조하였던 이언적의 심학화된 도학의 성격은 ‘독락(獨樂)’을 추구하면서 ‘독선(獨善)’을 지향했던 그의 도학자적 감성으로 드러난다.

      • KCI등재

        寒暄堂 道學詩의 形象美學과 志向價値

        신태수 영남퇴계학연구원 2020 퇴계학논집 Vol.- No.26

        道學詩의 구성 요소는 화자와 대상과 목표이다. 화자는 仁義를 갈구하는 자이고, 대상은 고유한 덕목을 지닌 인식의 객체이고, 목표는 불변의 도학적 가치이기 때문에 도학시의 구성 요소는 ‘화자→대상→목표’의 질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질서의 형성 과정에서 현실과 이상의 넓은 間隙이 확인된다.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공력을 대거 투입하지 않으면 안 될 터인데, 화자는 그 자신의 위기지학이 보잘것없다고 하며 潔癖症을 드러낸다. 결벽증이 현실과 이상 간의 간극을 크게 인식하도록 하므로, 도학시에는 ‘결벽증의 작용 - 현실과 이상의 간극 인식’이라는 원리가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드러내는 까닭은 역설적으로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좁히기 위함이다.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적합한 수양 방법을 설정해야 한다. 居敬, 存養, 窮理, 理의 절대성 추구, 律身的 삶의 지향, 비타협적 자세의 견지 등이 화자가 제시하는 수양 방법이다. 이 수양 방법이 지향하는 가치는 두 가지다. ‘天理 體認의 순수한 삶 지향’과 ‘현실 극복을 위한 至治의 방향 제시’가 바로 그것이다. The components of Dohak poems include the speakers, objects, and goals. The speakers are those who pursue Inui; objects are the objects of consciousness with their unique virtues; and goals represent immutable values of Dohak. There is an order of "the speakers→objects→goals" in Dohak poem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widen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is order. There should be a massive input of effort to narrow down the gap, and the speaker reveals his or her mysophobia, saying that his or her own Wigijihak is trivial. Since mysophobia makes one recognize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sharply,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mysophobia - recognition of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 works in Dohak poem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is revealed to narrow it down. One should adopt proper cultivating methods to narrow down the gap. The speaker proposes pursuit of absoluteness in Geogyeong, Jonyang, Gungri, and Ri, orientation toward Yulsin-based life, and adherence to an uncompromising attitude. These cultivating methods are oriented toward two values: one is 'orientation toward pure life based on the profound recognition of Cheonri in the mind,' and the other is 'proposal of a direction toward Jichi to overcome the reality.'

      • KCI등재

        연구논문 : 근대 초기 유학자의 현실인식과 대응논리 -운양 김윤식을 중심으로-

        정성희 ( Seong Hee Je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2 No.-

        운양 김윤식은 조선말에서 식민지시기에 이르는 격변의 시대를 살다간 지식인이며 관료였다. 사상적으로는 온건개화론으로 분류되지만 그 바탕에는 도학적 가치관이 자리잡고 있었다. 유학과 국가의 운명을 하나로 보아, 유학의 쇠퇴를 국가적 위기를 초래한 원인으로 진단하고 있다. 그러므로 동도서기적 입장에서 유학적 주체성을 가지고 서양의 문화를 받아들여 위기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김윤식 개화론의 바탕이 된 도학사상의 기본은 실천성을 강조하는 명덕론에 잘 나타나 있다. 즉 명덕을 행사(行事)로 보고 『대학』의 팔조목 역시 명명덕(明明德)에 속하며 지(知)와 행(行)을 포괄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무론이나 개화론은 어떤 명분에 치우치기보다는 실용적 측면을 중시하고 있으며, 맹목적인 개화도 무조건적인 수구(守舊)도 아닌 도학을 바탕으로 당시 우리나라에 가장 급하고 가장 적합한 것이 무엇이냐에 초점이 있었다. 김윤식은 당시 가장 절실한 조선의 시무는 외교라고 보았다. 그가 보기에 지리적으로 치우쳐 있고, 국제정세에 어두운 조선이 당시 조선을 두고 다투던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외교를 통하여 각국과 조약을 맺고 그 조약을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거기에는 당시까지 계속되고 있던 청과의 속방 관계를 인정하고 청의 보호 아래서 다른 나라와 조약을 맺는다는 전제가 달려있었다. 그러나 청일전쟁, 러일전쟁의 결과를 지켜 본 김윤식은 서구의 침탈에서 조선을 보호해줄 수 있는 나라로 일본을 설정하였다. 즉 사대의 대상이 청나라에서 일본으로 넘어간 것이고, 김윤식에게는 그 과정이 매우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1919년 3.1 독립운동 시기에 「대일본장서」를 보내 독립을 청원하지만, 그것은 그야말로 ‘청원’이었다. 김윤식은 이 모든 것이 시무에 충실한 것이었다. 김윤식의 대청 대일 의식의 변화를 보면 민족적 자각보다는 사대적 질서가 익숙했던 전통적 지식인으로서, 또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는데 골몰한 시무를 앞세우는 관리로서의 한계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In this study I tried to apprehend the thoughts and influence of Kim Yoon-Sik who was a Confucian and bureaucrat from late days of Chosun Dynasty to the colonial period. He was evaluated as a proponent of ``Dongdoseogiron``(東道西器論) and a moderate enlightener. However the foundation of thougnts of ``Dongdoseogiron`` and moderate enlightening was ``Dohak``(道學). Thougnts of ``Dohak`` Kim Yoon-Sik‘s thougnts of ``Dohak`` was appeared in Myeongdeokron(明德論) clearly. He understood Myeongdeok(明德) as being practical, and thought that 8 articles from ``Kyeokmul``(格物) to ``Pyeongcheonha``(平天下) In {Daehak(大學)} belonged to ``Myeongmyeongdeok``(明明德) and implicated ``Ji``(知), ``Hang``(行). He thought that Dohak must have practicality not limited to theoretical thoughts. Furthermore by expanding the concept of ``Simseongron``(心性論) he asserted that it must be developed to the stage of ``Chiin``(治人). ``Simuron`` of Kim Yoon-Sik Though Kim Yoon-Sik was classified as a enlightener he layed his Simuron on the thougnts of Dohak. In spite of differences of ``Simu``(時務) of Chosun from China or the West, he criticized radical enlighteners that it was stupid to blindly accept western way of prospering. This point of view well exposed his ideological features of moderate enlightening based on ``Dongdoseogi``(東道西器). What he thought seriously and importantly was not by radical or moderate enlightening but the way of practical help. This practical ``Simu`` of him was based on ``Myeongdeokron``(明德論) by emphasizing being practical. Foreign policy Kim Yoon-Sik pursued national reinforcement asserting diplomatic treaty with surrounding nations in order to prevent war and depend sovereignty. But he on the other hand wanted to continue dependency(屬邦) on China(淸) by receiving protection against western powers. After Sino-Japanese War he expected the protection effect from China(淸) to Japan. This change in his recognizing was originated in that Chosun could not depend sovereignty without protection of a powerful country.

      • KCI등재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와 그 의미 -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를중심으로 -

        정석태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9

        Over the course of his life, Toegye Lee Hwang rewrote his Sino-Korean poems multiple times. This is the reason why for many of his Sino-Korean poems, two or three different versions can be found. While most of his rewriting involved merely changing one or two characters, some poems were heavily revised or edited over time. One of his works that went through extensive rewriting is his poem entitled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 士敬見示. For this work, a total of four versions can be identified— the version presumed to be the original and three rewritings of the first version. Lee Hwang rewrote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 趙士敬見示, a serial poem consisting of 60 seven-character verses and 5 seven-character rhyme poems, into two new poems under two separate titles: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 四首. These separate titles consists of 14 seven-character verses that review the history of Dohak (a Confucian school of thought) in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a seven-character rhyme poem, Yutan (有嘆), where the poet declares his commitment to preserving and furthering the discipline. These two poems reflect Lee Hwang’s deepening and more matured understanding of Dohak, which had taken place since he began writing the original poem. Moreover, he also revised the end notes of 早春閒居次趙士敬 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and thus turned it into an academic work where the author expresses his opinions on Dohak. After being rewritten into an academic treatise, 早春閒居次趙士敬 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 was rewritten several times over. Of the poems comprising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 相唱酬韻十四首, the 12th poem about Jeompiljae Kim Jong-jik has been completely rewritten at least twice. The three versions in existence today reflect a downward shift in Lee Hwang’s understanding of Kim Jongjik’s position, from a scholar to a writer, than to a mere follower. This shift definitely reflects the fact that Lee Hwang’s opinion about Kim Jongjik changed as his understanding of Dohak became deeper and more mature. On the other hand, the shift is a result of Lee Hwang’s efforts to adjust his opinion according to the atmosphere of the political and academic circles at the time: scholars were trying to put Kim Jongjik under a negative light and reduce his role in the advancement of Dohak, on account of their conflict with Hanhwondang Kim Goengpil, one of his disciples. Therefore, the rewritten poems express Lee Hwang’s newly adjusted—or negatively revised—opinion about Kim Jongjik during his last years.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한 평생 자신이 지은 시문(詩文) 원고를 계속해서 개고하였다. 그 결과 특히 한시작품(漢詩作品)에서 서로 차이를 보이는 두세 종의 원고를 상정할 수 있는 예가 많이 발견된다. 대부분은자구 한두 글자를 수정한 것이지만, 어떤 것은 시간적 간격을 두고 작품전체를 대폭 수정하거나 산절(刪節)한 예, 다시 말하면 개고한 경우도 더러 발견된다. 그중 최초 원고로 추정되는 원고 1종에 중간에 개고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원고 3종을 포함해서 4종의 원고를 상정해볼 수있는 「次韻具景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라는 작품도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작품을 가지고 퇴계 이황의 한시작품 개고과정을 추적해보고, 개고사유와 그 의미에 대해서 논의해보았다. 퇴계 이황은 먼저 칠언절구 60수와 칠언율시 5수의 연작시 「次韻具景 瑞金秀卿所和權景受六十絶幷景瑞五律趙士敬見示」라는 하나의 작품을 산절해서, 중국과 우리나라 도학 역사의 논평이라는 일관된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나는 칠언절구 14수의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 唱酬韻十四首」와 도학의 계승 발전에 대한 자임과 결단에의 각오를 표명한 칠언율시 1수의 「有嘆」의 독립된 2제(題) 2편(篇)의 새로운 작품으로만들어놓았다. 자신의 도학 이해의 심화 및 성숙에 맞추어 이미 지어놓은 작품을 새롭게 개고한 것이다. 퇴계 이황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를 작품 본문(本文) 뿐만 아니라 편말주(篇末註)까지 고르게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도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하나의 학술적인 저작(著作)으로 만들어놓았다. 특히 「早春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相唱酬韻十四首」는 개고과정을 거쳐 하나의 학술적인 저작이 되었기 때문에 퇴계 이황은 그것을계속해서 수정 보완하였다. 그중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관련 제12수는 적어도 2차례 이상 작품 전체를 고치는 개고과정을 거쳤고, 그에 따라 현재 본문 전체가 달라진 3종의 원고,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논평의 초점이 ‘학자(學者)→문장가(文章家)→문하인물(門下人物)’로 옮겨지면서 본문 전체가 개고된, 그래서 점필재 김종직의 위상이 점차 축소 또는 조정된 3종의 원고가 존재한다. 이것은 퇴계 이황 자신의 도학 이해의 심화 및 성숙에 따른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생각 또는 평가가 달라진측면 외에도 이른바 도학의 시대가 열리면서 도학의 입장에서, 제자 한훤당 김굉필과 관련해서 점필재 김종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려는, 다시말하면 점필재 김종직을 학자가 아닌 문장가로 평가해서 우리나라 도학의 역사에서 그 위상을 대폭 축소시키려는 정치․사상계의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서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기존의 자신의 생각을 적정하게축소 조정한 결과의 산물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정하게 축소 조정한 것에 따른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새로운 논평을, 점필재 김종직의 평가에 대한 자신의 만년정론(晩年定論) 을 자신이 이미 지어놓은 한시작품을 개고해서 담아둔 것이라고 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작시원리를 통해 본 高應陟道學時調의 문학적 특성

        송재연(Song, Jae-yeon)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Dohak-sijo(道學時調) written by Ko Eung-choek(高應陟), by comparing the Bu(賦) and Dohak-sijo(道學時調)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versification. Ko Eung-choek(高應陟) enjoyed reading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expressed various art forms, such as Chinese poetry[漢詩], Do(圖), Sul(說), Bu(賦), Sijo(時調). Especially,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a Bu(賦) and Dohak-sijo(道學時調), Ko Eung-choek(高應陟) expressed great awakening about Confucian scriptures. But differences between Bu(賦) and Dohak-sijo(道學時調) are found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versification. In the Bu(賦), the Confucian ideology and spiritual awakening were explained by way of arranging things[鋪陳], metaphor, and catechetical dialogue. On the other hand, in the Dohak-sijo(道學時調) they were embodied by Yongjeon(用典) and metaphor literarily. In generall, Dohakja(道學者) will express the Confucian ideology and spiritual awakening. But Ko Eung-choek(高應陟) expressed the Confucian ideology and spiritual awakening by literary form of Sijo(時調), and made an effort to express his own ways.

      • KCI등재

        한재 이목의 도학정치론과 철학사상

        홍원식 ( Wonsik Hong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4 No.-

        한재 이목은 김종직의 제자로 사림파 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며, 무오사화(1498) 때 젊은 나이로 희생되었다. 그는 특히 차를 찬미하는 「다부」를 지은 것으로 유명하며, 이 속에서 ‘오심지차(吾心之茶)’를 말하여 본격적인 ‘유교적 차’의 시대를 연 인물로 평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대표적 문헌인 「천도책」과 「허실생백부」를 중심으로 그의 도학정치론과 그 바탕이 되는 성리설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그는 이전의 천인감응론에 성리학적 관점을 더해 하늘과 사람은 하나의 이치로 관통하며, 여기에서 사람이 힘써야 할 것은 내 마음 속의 하늘이라고 말하여 사람 중심적이고 마음(心) 중심적 철학을 전개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나라의 흥망은 오로지 군주의 덕성에 달렸다고 주장하며 도학정치론을 폈다. 이어 그는 마음공부를 강조하며, 사욕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마음공부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의 이러한 도학정치론과 철학은 사림파의 생각을 전형적으로 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Hanjae(寒齋) Lee Mok(李穆) is one of the disciples of Kim-Jongjik(金宗直) and a Salimpa(士林派) Confucian scholar who died at a young age because of Muosahwa(戊午士禍). He is especially known as famous for write a poem named 「Daboo(茶賦)」which contributed to opening the “confucian tea age” by referring to “The tea of my mind(吾心之茶).” In this paper, I analyzed his “political thought of Dohak(道學政治論)” which based on neo-confucian thoughts that focused on his representative literature 「Chundo-chaek(天道策)」and 「Hushil-shaengbaekbu(虛室生白賦)」. He added a neo-confucian perspective to the previous “theory of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human(天人感應論)”, that insisted upon heaven and man were penetrated by one law. Furthermore, he also developed a human-centered and mind-centered philosophy by declaring what man should do was to make a greater effort to “the heaven in my mind.” And then, based on this philosophy, he developed his “political thought of Dohak” by arguing that, the rise and fall of the country depended solely on the virtues of the emperor. He emphasized the “mind-cultivation” through saying the core of “mind-cultivation” was endeavor to maintain the state without “personal-selfish-desire(私欲).” His philosophy and “political thought of Dohak” can be considered as typical idea of Salimpa.

      • KCI등재

        도학가사 관천가 연구

        전일환(Jeon Ihlhwan) 한국언어문학회 2009 한국언어문학 Vol.70 No.-

        Gwancheonga(管天歌) is a Dohakgasa(道學歌辭). The purpose of Dohakgasa is to elucidate the principle of Choseon's Dohak and to educate the younger generation. The author, Jeon Huidae(全希大), wrote Gwancheonga based on the theory of Jeongjuseonglihak(程朱性理學). It is said that he was enlightened to the principle when he was 71. He wanted his enlightenment transferred to the future generation. Gwancheonga is anthologized in his Widangmunjip(韋堂文集) . Jeon Huijae studied theories of Taegeukdoseol(太極圖說), Myeongdoron(明道論), Igichongron(理氣總論) and Seonglijapseol(性理雜說). He made his understanding of the theories into songs. The songs were written with the tone of 4.4 and 4 foot syllabic scheme to be sung easily. The author studied under Yeonjae(淵齋) Song Byeongseon(宋秉璿). He also corresponded with Myeonam(勉巖) Choi Ikhyeon(崔益鉉), Ganjae(艮齋) Jeon Woo(田愚) and governor Jeong Taehyeon(鄭泰鉉) about the theory of Dohak(道 學). It can be easily inferred that there was a profound scholarly interchange between them. The Introduction part praised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 - a united action of principle Ri(理) and energy Gi(氣) - from which ‘the whole world and the creation’ has ensued. Main part demonstrates how ‘the tradition of Chinese Dohak’ was received and developed in Choseon. As is the case with the other Gasa(歌辭) literature, the conclusion part encouraged future generations to learn and follow the truth of Dohak, to be able to make morally enlightened world. Gwancheonga is characterized by its strick adherence to a tone of 4.4 of Gasa of the late Choseon Dynasty. The 4.4 tone is a variation of the typical 3.5.4.3 versification rule during the last phrase of Yangbangasa(兩班歌辭).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