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ㆍ韩汽车产业竞争力的比较研究

        Jin, Ying-Sun(金英笋) 글로벌경영학회 2011 글로벌경영학회지 Vol.8 No.1

        Automobile industry represents one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It is related to many industries and considered as pillar industries in almost all the late-development countries. Automobile industry starts in Korea by the 1960s. During less than 40 years, it develops in a rather quick way. In 1997, automobile industry is the fifth place in both automobile total output and export; Meanwhile the export of the saloon cars accounts for 7% of world’s total exports, which is in the fourth place of the world and covers northern America, western Europe and more than 40 countries and areas. For now Korea has already become an essential manufacturing base in world’s automobile industry, which represents the success of development of automobile technology. To some degree, the achievement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is the concentrated reflection to “progress model” strategy by Korean government. Without their effort, Korean automobile industry can not be that successful. Furthermore, as the pillar and leading industry, it is playing a tremendous role to rapid increase of Korean economy. In other words, if they start from cultivating a competitive ethnic automobile industry and also from realizing rapid economic progress under its driving force, the strategy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is a great triumph. This paper does a comprehensive analysis to competitiveness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through the following three indicators, which includes basic, core and internationalized competitiveness of the automobile industry system. It aims to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automobile industry. 汽车产业是象征一个国家产业竞争力的产业,并与众多产业相关联,几乎所有的后发国家都将其确立为本国的支柱企业。韩国汽车工业60年代初期从零起步,在不到40年时间里,汽车产业异军突起,早在1997年,汽车总产量、出口量均居全球排名第5位,轿车的出口量占世界轿车出口总量近7%,居全球第4位,产品覆盖了北美、西欧等40多个国家和地区,至此韩国已经成为世界汽车产业一个重要的生产基地,标志其汽车产业技术跨越的成功。在一定程度上,韩国汽车工业取得的成绩,是韩国以政府主导为特征的“赶超型”经济发展战略的集中体现。如果没有政府坚持不懈的支持,韩国汽车工业很难取得今天的成就。另外,汽车工业作为韩国经济发展的支柱和主导产业,对战后韩国经济快速增长起到了巨大的带动作用。可以说,如果从培养起一个具有相当竞争力的民族汽车工业,并在其带动下实现经济快速稳定增长角度看,韩国汽车工业发展战略是成功的。 本文将通过从汽车产业竞争力体系中的产业基础竞争力、产业核心竞争力和产业国际化能力这三大指标来对韩国汽车产业的竞争力进行综合分析,借鉴韩国汽车产业发展过程中的经验和教训。

      • KCI등재후보

        中․韩汽车产业竞争力的比较研究

        김영순 글로벌경영학회 2011 글로벌경영학회지 Vol.8 No.1

        汽车产业是象征一个国家产业竞争力的产业,并与众多产业相关联,几乎所有的后发国家都将其确立为本国的支柱企业。韩国汽车工业60年代初期从零起步,在不到40年时间里,汽车产业异军突起,早在1997年,汽车总产量、出口量均居全球排名第5位,轿车的出口量占世界轿车出口总量近7%,居全球第4位,产品覆盖了北美、西欧等40多个国家和地区,至此韩国已经成为世界汽车产业一个重要的生产基地,标志其汽车产业技术跨越的成功。在一定程度上,韩国汽车工业取得的成绩,是韩国以政府主导为特征的“赶超型”经济发展战略的集中体现。如果没有政府坚持不懈的支持,韩国汽车工业很难取得今天的成就。另外,汽车工业作为韩国经济发展的支柱和主导产业,对战后韩国经济快速增长起到了巨大的带动作用。可以说,如果从培养起一个具有相当竞争力的民族汽车工业,并在其带动下实现经济快速稳定增长角度看,韩国汽车工业发展战略是成功的。本文将通过从汽车产业竞争力体系中的产业基础竞争力、产业核心竞争力和产业国际化能力这三大指标来对韩国汽车产业的竞争力进行综合分析,借鉴韩国汽车产业发展过程中的经验和教训。 Automobile industry represents one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It is related to many industries and considered as pillar industries in almost all the late-development countries. Automobile industry starts in Korea by the 1960s. During less than 40 years, it develops in a rather quick way. In 1997, automobile industry is the fifth place in both automobile total output and export; Meanwhile the export of the saloon cars accounts for 7% of world’s total exports,which is in the fourth place of the world and covers northern America, western Europe and more than 40 countries and areas. For now Korea has already become an essential manufacturing base in world’s automobile industry, which represents the success of development of automobile technology. To some degree, the achievement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is the concentrated reflection to "progress model" strategy by Korean government. Without their effort, Korean automobile industry can not be that successful. Furthermore, as the pillar and leading industry, it is playing a tremendous role to rapid increase of Korean economy. In other words, if they start from cultivating a competitive ethnic automobile industry and also from realizing rapid economic progress under its driving force, the strategy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is a great triumph. This paper does a comprehensive analysis to competitiveness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through the following three indicators, which includes basic, core and internationalized competitiveness of the automobile industry system. It aims to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Korean automobile industr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automobile industry.

      • KCI등재

        근미래 자동차 산업을 위한 산업디자인 연구

        홍경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9 No.-

        Recently, Autonomous cars and electric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duced, causing a major change in human daily life. There are various types of automobiles depending on their use and function, and new automobiles with advanced technology will continue to be designed and develop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and future industr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industrial desig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successfully develop the automobile industry that will develop in the future. An industrial design strategy (direction) for the automobile industry, which is more advanced than the existing industrial design strategy, is urgently needed. This study studied the rapidly developing near-future automobile industry and studied how the automobile industry will affect human civilization in the near-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near-future industrial design strategy (direction) for the new concept of the automobile industry and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near-future automobile industry. This study researched in-depth the role of industrial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the near-future and the automobile industry. Industrial design directions for the near-future automobile industry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These five directions were deduced from creative design using new energy, ultra-technical innovation design, new industrial design, eco-friendly design for residential environment protection, and teamwork industrial design. The near-future world culture and civilization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science accompanied by rapid change. Therefore, it is time to study the role and prospects of the automobile industry according to the role and change of human lifestyle. This study analyzed and researched all expected fields of the near-future automobile industry and presented the direction and role of industrial design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times. 최근, 자율주행자동차(Autonomous Car)와 전기 자동차 등이 개발 생산됨으로서, 인류의 일상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자동차는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근미래 산업의 발전과 함께 첨단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자동차가 계속하여 디자인되고 개발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발전될 자동차 산업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는 산업디자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산업디자인 전략보다 발전적인 자동차 산업을 위한 산업디자인 전략(방향성)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근미래 자동차 산업에 관한 모습을 연구하고, 자동차 산업이 근미래 인류 문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근미래 자동차 산업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하여 산업디자인은 어떠한 개념으로 대비해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와 함께 신개념의 자동차 산업을 위한 근미래 산업디자인 전략(방향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근미래 자동차 산업에 관한 연구와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위한 산업디자인의 역할에 대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근미래 자동차 산업을 위한 산업디자인 방향은 다음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신에너지를 활용한창조적 디자인, 초 기술 혁신 디자인, 신조형 산업디자인, 주거 환경보호 친환경 디자인, 팀워크 산업디자인으로 이러한 5 가지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근미래 세계문화와 문명은 급속한 변화를 동반한 새로운 기술과 과학의 발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인류의 생활양식의 역할과 변화에 따른 자동차 산업의 역할과 전망에 관한 연구는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근미래 자동차 산업에 대한 예상되는 모든 분야에 대하여 분석하고 연구하여 급변하는 시대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의 방향성과 역할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율주행차 기술의 산업 간 특성 차이에 대한 연구 : 자동차와 비자동차 산업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정한,정태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1

        This study analyzes 7,889 patents filed in the United States for differences and changes in industrial, technological,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In particular, we analyze application trends, industry concentration, convergence and applicability of technology, the number of inventors, marketability, and source of technology. We found that autonomous vehicle patents had increased rapidly since 2010, with the non-automobile industry growing faster than the automobile industry. While the automobile industry focused on vehicle control technology, non-automobile industry focused on communication technology. Patents are distributed more widely among different firms in the non-automobile than in the automobile industry. Whereas technological breadth is relatively narrow for the non-automobile industry, both the number of family patents and the number of non-patent citations were higher for the non-automobile industry than for the automobile industry. The number of inventors in the automobile industry was higher before 2010 but became lower after 2010. In sum, the non-automobile industry is ahead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terms of originality, marketability, complexity, and size of technology, so that companies belonging to the non-automobile industry are likely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the future.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의 산업적, 기술적, 동태적 특성의 차이와변화를 미국특허상표청에 출원된 특허 7,889건을 수집하여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도 및 기술별 출원동향, 산업별 기술의 기업집중도, 기술의 융합성과 응용성, 발명인 수, 기술의 시장성, 기술의 원천성을 분석한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 특허는 2010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였는데, 자동차 산업에 비해 비자동차 산업이 더욱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자율주행차 하위 기술별로는 자동차 산업은 차량제어 기술에, 비자동차산업은 통신 기술에 집중하는 등 분업적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단, 자동차산업은 상위업체에 기술이 집중된 반면 비자동차 산업은 기술이 보다 다양한 기업에 분포되어 있다. 기술의 응용범위와 융합 정도를 나타내는 IPC 수는 자동차 산업이 비자동차 산업보다 많았고, 발명인 수는 2010년 이전에는자동차 산업이 많았지만 2010년 이후에는 비자동차 산업이 더 많아졌다. 기술의 시장성 지표인 패밀리 특허수와 기술의 원천성 지표인 비특허 인용 수는 모두 비자동차 산업이 더 많았다. 종합하면, 비자동차산업의 기술개발이속도는 물론 원천성, 시장성, 복잡성 및 투자노력에 있어 자동차산업을 앞지르고 있어 향후 비자동차 산업에 속한 기업이 기술의 주도권을 확보할 개연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술적으로 산업의 기반 차이에 따른기술 특성의 변화를 쳬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정량적 방법을 제시한 점과기술경영과 실무적 관점에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있다.

      • KCI등재

        중국의 자동차 산업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최병헌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China become world number one country at the annual automobile output and sales volume in 2009. This fact has a significant meaning following two sides. Firstly China will keep number one position continuously in world automobile industry for a long time. Secondly, China can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paradigm shift of automobile industry. This paper tried to approach China's automobile industry structure through the Porter's five forces model. Firstly,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condition for China's automobile industry structure. Secondly, the future change direction for China's automobile structure was handled, and then the key forces for such changes were approach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current automobile industry structure of China is rarely favorable for vehicle manufactures, and industry norm has changed due to the emergence of the alternative energy vehicles. At the point of gasoline engine vehicle manufactures, the automobile industry structure of china will be changed to be more and more unfavorable because of the growth of buyers' bargaining power and the increase of substitutes' threat. Most of all Chinese government strong hope for the electric vehicle or the hybrid vehicle to be proliferated at its' domestic market in future, and such a government intervention will be a critical driving force for the automobile industry structure change. 중국은 2009년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에서 세계 1위가 되었다. 이는 두 가지 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첫째, 중국이 앞으로 당분간 세계 1위 자리를 계속 유지하며 세계 자동차 산업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 중국이 자동차 산업규범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는 포터의 다섯 가지 경쟁요인에 의한 산업구조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중국 자동차 산업의 발전 현황과 산업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의 완성차 제조업체에 대한 소비자 협상력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로 대변되는 대체재 위협도 계속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체에너지차뿐만 아니라 가솔린 내연기관 자동차 제조기업간 경쟁은 최상위권 10여개 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구조조정정책과 맞물려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다만 공급자 협상력과 신규 기업 진입 위협은 완성차 제조업체에게 유리한 면과 불리한 면이 혼전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중국의 자동차 산업구조는 기존 완성차 제조업체들에게 점차 비우호적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산업구조 변화의 핵심 동인(動因)은 대체에너지차 보급 확대 및 상용화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국 정부는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 세계 1위와 대체에너지차 상용화 기회를 십분 활용하여 산업규범 변화의 주도권을 획득하려고 할 것이다. 결국 산업구조 변화의 실질적인 동인은 대체에너지차 상용화를 위한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자동차산업정책에서의 정부, 기업, 시민의 관계 연구

        이상보(Lee Sang-B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주장은 한국의 지동차 산업 발전과정에서 생겨난 국가와 기업, 시민사회간의 갈등 및 협력관계가 다양한 양태로 변화되어 왔고 이들 행위지들의 가변적 관계가 자동차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가 중심적인 또는 시장 중심적인 분석을 탈피하여 자동차 산업에서의 이해관계자와 변화과정에 초점을 두어 그 역동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가와 기업관계의 변화를 연구하는데 있어 자동차산업의 발전에 그 범위를 두는 이유는 일반적인 산업정책에서 찾을 수 없는 국가와 기업, 시민집단 간의 거시적인 관계가 왜 그리고 어떻게 형성되고 이후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동차산업에 대한 산업부문연구(industry sectoral analysis)를 통해 국가와 기업, 시민사회의 관계를 1960 년대, 1970 년대,1980 년대, 1990 년대, 2000년대 이후의 각 시기를 통해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자동차 산업에서 국가와 기업, 시민사회의 관계형성과 변화를 통해 파악해 본 산업발전과 정책변화의 설명은 기존의 국가 중심적, 시장 중심적 이론의 한계를 부각시키는 것이었다. 그리고 국기와 기업, 시민사회의 시대적 관계는 각 세력 간의 갈등과 협력의 결과 이루어진 균형적 산물이라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이에 기존의 이분법적인 국가와 시장, 정부와 기업관계에서 벗어나 국가와 기업, 시민의 관계를 상호 절충된 관계의 변화로 설명함으로써 자동차 산업정책이 일관되었다거나 정책의 효율성이 극대화되었다는 설명이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explaining the dynamics and diversity of stakeholder relations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during the development era(1 960-201 0). For that purposes, this paper intends to the analysis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s among state, business, and civil society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has been estimated the most successful case of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which produce automobiles. But, most existing theories of development about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give undue stress on the roles and the capability of the state, therefore they cannot explain the transition of the role in developmental coalition. The theoretical basis is "the model of state-business-civil society interaction" in auto industry. This study divides the period according to the leading actor. In 1960s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largely depended on foreign capital and technology, in 1970s it was led by highly centralized government guidance and private enterprise operated under it. In those days, state intervention was very direct and powerful. But things have changed since 1980. Private enterprise led the development of auto industry and the export-led industrialization of auto industry, while the role of state considerably more indirect in that field. Since assuming the system of economic liberalization and stabilization policies in the J 980s, the Korean state has changed from a developmental to a regulatory state. In fact, state capacity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had been very effective and powerful. Recently the interaction of state, business and civil society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problem of the technological or trade in the automobile industry. It is certain that the future of Korean auto industry rely on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s. State capacity will be estimated by its strateg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and trade in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business and civil society. A strategic interaction among state, business, and civil society enable Korean automobile industry to keep a relative independent position !Tom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Finally, a major proposi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ower and ability of a state is not fixed. The relationships among state, business, and civil society in Korean automobile industry can be changed.

      • KCI등재

        한국⋅베트남 자동차산업 국제경쟁력 분석: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Thanh Liem, Nguyen,현인규 한국유통경영학회 2022 유통경영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Vietnamese automobile industry us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as a model. To this end,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i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Korea and Vietnam to derive meaningful resul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lassical theories related to competition theory of Porter’s Diamond Model, the authors will present the analysis of Korea and Vietnam’s automobile industry with 4 main factors: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and Firm Strategy, Structure, and Rivalry. The authors establish research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data was collected from reliable official sources of two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analytical method is normalize the data and assign an index value of 100 to the country with the higher data value, from which the index value of the other country is calculated. The value of each of the four determinants factors is the average of the dependent facto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Vietnamese automobile industry has competitiveness in terms of demand and support industries, and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cluding factor conditions, corporate strategies, structures, and competition, is low.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was greater than that of Vietnam in the four determinants as expected. Implications: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Vietnamese automobile industry were presented focusing on the four determina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the automobile industry, balanced growth in all fields of the country is necessary. In addition, if t he state has a firm will, necessary or insufficient factors can be achieved through cooperation with foreign companies.

      • KCI등재후보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의 정부정책에 존재하는 제도적 한계 요인 및 실효성에 관한 고찰

        박미정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1

        The Chinese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utomo- bile-related restrictions in large cities to solve urban traffic and enviro- nmental problems. In terms of policy, China's automobile industry market is currently mixed with various policies including environmental friendly policies related to the same type of industry. Various policy variables exist according to market development situation and changes in industrial environment. Recently, government policies surrounding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market reflect the market situation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olicy purpose and to grasp the ultimate goal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situation at home and abroad in China when establi- shing the policy related to the automobile industr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imitation factors of rationality of each policy orientatio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ssues and issues related to the policies of the Chinese automobile industry market,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through this, and to draw the ultimate implications of the government policies contained in them. The policies to be studied include automobile purchase restriction policy, used car distribution activation policy, and new energy automobil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promotion policy. In this regard, it is required to approach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trends and changes in policies of the overall Chinese automobile industry from various perspectives. 중국 정부는 도시교통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자동차 관련 제한정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정책적 측면에서 보면 현재 중국의 자동차산업시장은 동종 업종과 관련하여 환경 우호적 정책을 포함한 여러 정책들이 혼재해 있다. 시장 발전 상황과 산업 환경의 변화 요인에 따라 다양한 정책 변수가 존재하며 최근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을 둘러싼 정부 정책들은 외부 환경에 의한 시장 상황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산업 관련 정책 수립 시점의 중국 국내외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책 목적을 분석하고 궁극적 지향점을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수행의 목적은 중국 자동차산업시장의 정책들에 관한 이슈와 쟁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각 정책 지향점의 합리성 한계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정책 실효성을 고찰하여 그 속에 담긴 정부 정책의 궁극적 함의를 도출해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 정책으로 자동차구매제한정책, 중고차 유통활성화정책, 신에너지 자동차 개발 및 보급 촉진 정책 등이 해당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중국 자동차산업시장 전반에 나타난 발전 현황과 추세, 정책의 변동 사항에 관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과 분석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 자동차산업의 대독일 수출경쟁력 분석

        김태헌 한독경상학회 2020 經商論叢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HS 4 and HS 6 units of the automobile industry through TII and TSI and to find countermeasures to the trade deficit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in the trade with German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rade with Germany by Korea’s automobile industry is intensifying trade inequality due to the tariff elimination effect of the Korea-EU FTA,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trade deficit in Korean-German trade. Second, the import specialization tendency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vis-à-vis Germany is clear, and the export dependence on passenger cars (HS 8703) and automobile parts/additions (HS 8708) is very high. Third, in the Korean-German automobile trade, Korea is specialized in exporting small cars and lightweight cars, while Germany is characterized by export specialization of medium and large cars. Fourth, the higher the import specialization level, the wor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and the trade in passenger cars (HS 8703) has a very distinct trend of import and export specialization by type of automobile in horizontal intra-industry trade. Fifth, the initiative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next-generation electric vehicles is changing, as the electric vehicle (HS 870360) with a spark-ign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was converted from an absolute export specialization to an import specialization. Sixth, in the case of automobile parts/adjuncts (HS 8708), Germany has been strengthening its export competitiveness, while Korea has a problem in securing product diversity. Therefore,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needed to enhance export competitiveness for Korean automobiles: 1) a long-term specialized strategy to make high quality-high value-added “small but strong cars,” 2) strategies for import substitu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absolute import specialization items, and strategies for domestic demand-based export promotion based on the theory of representative demand, 3) localization of German automobile parts,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mark for domestic parts,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standard unification, 4) reinforcement of export strategic items to target the German market, 5) rapid export strategy for electric vehicles and hydrogen cars in preparation for EU environmental regulations, etc.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역불균형지수(TII)와 무역특화지수(TSI)를 통해 자동차산업 HS 4~6단위 품목군의 수출경쟁력을 진단하고 한국자동차산업의 대독일 무역역조현상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대독일 자동차산업은 한-EU FTA의 관세철폐효과로 인해 무역불균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대독일 무역역조현상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둘째, 한국자동차산업의 대독일 수입특화 경향이 뚜렷한 가운데, 승용자동차(HS 8703)와 자동차 부품/부속품(HS 8708)에의 수출의존도가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다. 셋째, 한독 승용자동차무역에서 한국은 소형차와 경차에 수출특화되어 있는 반면, 독일은 중대형 자동차에의 수출특화 경향이 뚜렷하였다. 넷째, 자동차산업의 수입특화도가 높을수록 경쟁력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었고, 승용자동차(HS 8703)의 무역은 수평적 산업내무역 내에서 차종간 수출입 특화경향이 매우 뚜렷하였다. 다섯째, 불꽃점화식 내연기관 전기자동차(HS 870360)가 절대수출특화품목에서 수입특화품목으로 전환되는 등 차세대 전기자동차의 국제경쟁력 주도권이 변화하고 있었다. 여섯째, 자동차 부품/부속품(HS 8708)의 경우 독일은 수출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제품의 다양성 확보에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자동차산업의 대독일 무역역조현상을 극복하고 수출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첫째로 고품격-고부가가치형 ‘강소(強小)자동차’로의 중장기적 특화전략 추구, 둘째로 절대수입특화품목에 대한 수입대체공업화와 대표수요론에 입각한 내수기반 수출촉진전략 추구, 셋째로 국내수요가 증가하는 독일산 자동차 부품의 국산화, 국산부품의 사용승인 및 인증마크 획득, 규격통일 등 제도적 장치 마련, 넷째로 독일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수출전략품목의 강화, 마지막으로 EU 환경규제를 대비한 전기 및 수소자동차의 조속한 타깃형 수출전략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 자동차산업의 산업내무역 동태적 변화에 대한 분석 : 對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안명호(Myungho AN),최재영(Jae Young Choi) 한국통상정보학회 2018 통상정보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관세청에서 HS코드 6단위로 분류한 자동차산업 237개 항목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산업무역박스를 활용해 1996∼2015년 기간 동안 한·미 그리고 한·중 간 자동차산업의 산업내무역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동차산업에서 전기·전자장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사안을 감안, 자동차산업을 완성차, 전기·전자장치, 기타 부품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국의 미국에 대한 교역패턴은 수출우위 산업으로 산업내무역이 지속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나, 미래 자동차산업의 핵심 분야인 전기·전자장치에서는 2009년 이후 수입우위 산업으로 전환되고 산업내무역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중국과의 교역에서는 전기·전자장치 분야에서 수출우위이면서 산업내무역도 확대되는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intra-industry trade between Korea & US and between Korea & China using the industry trade box. It analyses 237 items of automobile industry classified by HS Code 6 units in Korea Customs Service from 1996 to 2015. As the proportion of electronic parts in the automobile industry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is study divides the automobile industry into finished car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par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Korea s trade pattern with the United States is an export-oriented industry. However,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which are key sectors of the future automobile industry, have been turned into import-dominated industry since 2009 and intra-industry trade has been on the decline. On the other hand, trade with China shows that there is export dominance in the field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nd that intra-industry trade is on the r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