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쟁사상을 둘러싼 쟁점 검토

        박태원 ( Tae Won Park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2 No.-

        기존의 화쟁사상 연구들은 크게 두 가지 상이한 태도 위에 진행되고 있다. 화쟁사상과 원효의 일심 및 전체사상을 무차별하게 결합시켜 다루는 경우가 하나이고, 양자를 구별하여 취급하는 경우가 다른 하나이다. 그리고 화쟁사상의 범주와 대상을 제한시켜 탐구하는 연구들은 다시 그 범주와 대상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대해 입장이 갈라진다. 원효 사상 전체를 화쟁의 논리에 의거하여 독해하려는 방식에서는 화쟁사상과 원효사상은 구별할 필요가 없이 완전히 하나로 결합되어 버린다. 이러한 독해는 ‘화쟁’이라는 말의 의미와 범주를 지나치게 자의적으로 확대시키고 있고, 그에 따라 화쟁 특유의 문제의식과 실제 범주로부터 일탈하고 있다. 확인 가능한 자료에 의거하는 한, 화쟁사상의 범주는 원효사상의 전체 체계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화쟁’은 구체적 쟁론들을 염두에 둔 문제 해결의 태도를 담고 있는 언어이며, 원효 자신도 그러한 의미로서 사용했다고 보아야 한다. 화쟁사상의 범주는 ‘불교 이론에 관한 상이한 견해들’로, 화쟁의 대상은 ‘불교 이론에 관한 상이한 견해들로 인해 생겨난 배타적 대립과 불화 및 상호불통 상황’이라 보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신, 구유식의 갈등이나 중관과 유식의 공·유 대립은 원효가 전개한 화쟁 논법의 대상으로 보기 어렵다. 아울러 화쟁이론의 성격은 ‘화해이론으로서의 종합주의’라기 보다는, ‘통섭(通攝)이론으로서의 화회(和會)주의’라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 원효가 구사하고 있는 화쟁의 논리 형식을 확인하는 작업은 화쟁 원리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모든 쟁론 상황에 적용하기만 하면 화쟁이 되는, 그러한 논리 형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원효의 화쟁 논리에 대한 관심이 그러한 기대를 담고 있는 것이라면, 그 탐구 결과는 공허할 수밖에 없다. 화쟁 논법의 구성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긴요한 것은, 화쟁의 논리 형식을 펼쳐내는 ‘원천’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세밀한 포착이다. ‘긍정·부정의 자유자재’ ‘극단적 견해를 버림’ 등의 논리형식은 그럴듯해 보일지 몰라도, 실제 쟁론에 적용하기에는 모호하거나 막연하여 문제 해결에 무력하다. 쟁론의 문제 해결을 위해 실제로 요구되는 것은, ‘긍정과 부정 및 극단적 견해의 내용 여하를 변별하는 경계선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 긍정과 부정의 적절한 경계선을 포착하는 능력이 수반되지 않는 ‘긍정·부정의 자재’는 공허할 뿐 아니라 위험하기조차 하다. 화쟁의 논리형식이 솟구치는 ‘원천’은, 이 ‘긍정·부정의 적절한 변별과 판단을 위한 경계선 포착력’을 근원적 수준에서 계발시키고 발전시켜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원효의 화쟁 논법이 그러한 원천에 기반하는 것이라면, 화쟁 논법은 불교적 쟁론뿐 아니라 세간의 쟁론 일반의 치유에도 유효할 수 있는 보편적 화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 만약 화쟁 논법의 원천에서 그러한 내용과 의미를 포착할 수 없다면, 화쟁사상의 한계는 명백하다. 향후의 화쟁사상 탐구는 이 점에 주력해야 한다. There has been two different types of study on the Won-hyo`s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One type is to connect the thought of dispute-reconciliation with the whole system of Won-hyo`s philosophy indiscriminately, another type is to treat them discriminately. The type of connecting the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 with the whole system of Won-hyo`s philosophy indiscriminately expands the category and meaning of the word dispute-reconciliation(和諍)` too much, thus deviates from the actual category and problem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word that has the desire to solve the concrete disputes, and Won-hyo must have to use the word with this meaning. The category of the philosophy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n the Buddhist theories, and the object of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s the situation of exclusive confrontation and conflict and non-communication caused by it. The disagreement between ex-school of Yogacara(舊唯識) and neo-school of Yogacara(新唯識), and the confrontation of emptiness(空)·existence(有) of Madhyamaka(中觀)·Yogacara(唯識) cannot be regarded as the object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和諍).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principle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ource of dispute-reconciliation`s logic must be elucidated in detail. The source of dispute-reconciliation`s logic is to develop the capability to grasp the boundary line for the appropriate discrimination and decision of affirmation or negation. I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is to be founded on that source, hi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could not only have the healing capability on the Buddhist disputes but have the universal capability of healing on mundane disputes. The research on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argument(和諍論法) hereafter needs to concentrate on this subject. Subject : Buddhist Philosophy, Philosophy of Won-hyo`s dispute-reconciliation

      • KCI등재

        하술상 수상논문 : 천태의 사상과 원효의 사상의 공통점 연구

        이병욱 ( Byumg Wook L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8 No.-

        이 논문에서는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여 불교를 이해할 때 종파적 견해를 넘어서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 공통점은 3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천태의 일심삼관(一心三觀)은 공(空)·가(假)·중(中)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 공·가·중의 맥락이 원효사상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이다.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의 대의(大意)부분에서 ``이치 없음의 지극한 이치``를 말하고 있는데 이치가 없다[無理]는 것은 부정의 표현으로서 공(空)의 정신을 나타내는 것이며, 지극한 이치[至理]는 이치가 없다는 부정을 통한 긍정이므로 이는 가(假)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치가 없음의 지극한 이치``라는 표현은 공(空)과 가(假)를 합해서 중도의 이치를 드러낸 것이다. 둘째, 원효의 화쟁(和諍)사상은 널리 알려진 것이지만, 천태사상에서도 화쟁사상과 비슷한 회통(會通)사상이 있다는 것이다. 천태는 진리의 입장에 서면 경전에서 말한 것이 다른 내용이 아님을 알 수 있다고 하면서 회통의 기준으로서 진성해탈(眞性解脫), 실혜해탈(實慧解脫), 방편해탈(方便解脫)을 제시한다. 이 3가지 해탈을 기준점으로 해서 10가지의 3법을 회통한다. 그에 비해 원효는 포괄적으로 불교이론을 화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처럼 세부적 내용에서 조금 차이점은 있지만 큰 틀에서 화쟁사상과 회통사상을 말하고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셋째, 4실단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 있다. 이 공통점은 앞의 제시한 2가지 공통점과 의미비중이 다르다. 천태사상의 4실단은 교판론을 제시할 때 주요한 근거가 되는 것인데, 원효사상의 4실단은 주변에 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4실단의 제일의실단을 해석할 때 원효사상에서는 화쟁사상의 맥락을 제시하고 있다. 이 점은 천태사상의 4실단의 이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4실단은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면서 동시에 사상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다. 이상의 내용에서 살펴보았듯이,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에서는 일심삼관과 회통 사상이라는 주요한 공통점이 있고, 4실단은 공통점이긴 하지만 이것이 동시에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요소도 된다. 따라서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은 종파적인 관점에서 보면 서로 다른 듯이 보여도 사상 속에서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In this paper, I will emphasize to transcend the sectarian view of understanding buddhism, by means of suggesting the common points of T``ien-t`ai`s and Wonhyo`s thought. The common points are said by three points. First, T`ien-t`ai`s i-hsin sankuan(一心三觀) that means k`ung(空), chia(假), chung(中), is discovered in Wonhyo`s thought. Wonhyo says wu-li chih chih-li(無理之至理) in Geumgangsammai- gyeonglon(金剛三昧經論). Here wu-li(無理) indicates k`ung(空) and chih-li(至理) means chia(假), and wu-li chih chih-li(無理之至理) indicates chung(中). Second, Wonhyo`s hwajaing(和諍) thought is discovered in T`ien-t`ai`s thought. T`ien-t`ai Chih-i(天台智依) suggests chen-hsing chieh-t`o(眞性解脫), chen-hui chieh-t`o(實慧解脫), fang-pien chieh-t`o(方便解脫) as the standard of hui-t`ung (會通). He harmonizes ten san-fa(三法) by means of three chieh-t`o(解脫). Third, the common point of T`ien-t`ai`s and Wonhyo`s thought is to apply catvari -siddhanta(四悉檀). This common poi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 common points. Catvari-siddhanta(四悉檀) in T`ien-t`ai`s thought is the important base of chiaop`an lun(敎判論) whereas Catvari-siddhanta(四悉檀) in Wonhyo`s thought does not have the important base of the theory.

      • KCI등재후보

        천태의 사상과 원효의 사상의 공통점 연구

        이병욱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8 No.-

        In this paper, I will emphasize to transcend the sectarian view of understanding buddhism, by means of suggesting the common points of T'ien-t'ai's and Wonhyo's thought. The common points are said by three points. First, T'ien-t'ai's i-hsin sankuan(一心三觀) that means k'ung(空), chia(假), chung(中), is discovered in Wonhyo'sthought. Wonhyo says wu-li chih chih-li(無理之至理) in Geumgangsammaigyeonglon(金剛三昧經論). Here wu-li(無理) indicates k'ung(空) and chih-li(至理) means chia(假), and wu-li chih chih-li(無理之至理) indicates chung(中). Second, Wonhyo's hwajaing(和諍) thought is discovered in T'ien-t'ai's thought. T'ien-t'ai Chih-i(天台智顗) suggests chen-hsing chieh-t'o(眞性解脫), chen-hui chieh-t'o(實慧解脫), fang-pien chieh-t'o(方便解脫) as the standard of hui-t'ung(會通). He harmonizes ten san-fa(三法) by means of three chieh-t'o(解脫). Third, the common point of T'ien-t'ai's and Wonhyo's thought is to apply catvāri-siddhānta(四悉檀). This common point is different from the above common points. Catvāri-siddhānta(四悉檀) in T'ien-t'ai's thought is the important base of chiaop'anlun(敎判論) whereas Catvāri-siddhānta(四悉檀) in Wonhyo's thought does not have the important base of the theory. 이 논문에서는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여 불교를이해할 때 종파적 견해를 넘어서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 공통점은 3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천태의 일심삼관(一心三觀)은 공(空)·가(假)·중(中)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 공·가·중의 맥락이 원효사상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이다. 원효의『금강삼매경론』의 대의(大意)부분에서 ‘이치 없음의 지극한 이치’를 말하고 있는데 이치가 없다[無理]는 것은 부정의 표현으로서 공(空)의 정신을 나타내는 것이며, 지극한 이치[至理]는 이치가 없다는 부정을 통한 긍정이므로 이는 가(假)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치가 없음의 지극한 이치’라는 표현은 공(空)과 가(假)를 합해서 중도의 이치를 드러낸 것이다. 둘째, 원효의 화쟁(和諍)사상은 널리 알려진 것이지만, 천태사상에서도 화쟁사상과 비슷한 회통(會通)사상이 있다는 것이다. 천태는 진리의 입장에 서면 경전에서 말한 것이 다른 내용이 아님을 알 수 있다고 하면서 회통의 기준으로서 진성해탈(眞性解脫), 실혜해탈(實慧解脫), 방편해탈(方便解脫)을 제시한다. 이 3가지 해탈을 기준점으로 해서 10가지의 3법을 회통한다. 그에 비해 원효는 포괄적으로불교이론을 화쟁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처럼 세부적 내용에서 조금 차이점은 있지만 큰 틀에서 화쟁사상과 회통사상을 말하고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셋째, 4실단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 있다. 이 공통점은 앞의 제시한 2가지 공통점과 의미비중이 다르다. 천태사상의 4실단은 교판론을 제시할 때 주요한 근거가 되는 것인데, 원효사상의 4실단은 주변에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4실단의 제일의실단을 해석할 때 원효사상에서는 화쟁사상의 맥락을 제시하고 있다. 이 점은 천태사상의 4실단의 이해에서는 찾아볼 수없는 것이다. 따라서 4실단은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공통점이면서 동시에 사상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측면도 있다. 이상의 내용에서 살펴보았듯이,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에서는 일심삼관과 회통사상이라는 주요한 공통점이 있고, 4실단은 공통점이긴 하지만 이것이 동시에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요소도 된다. 따라서 천태사상과 원효사상은 종파적인 관점에서 보면 서로 다른 듯이 보여도 사상 속에서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 KCI등재후보

        원효의 평화사상에 관한 연구

        김강녕 한국민족사상학회 2012 민족사상 Vol.6 No.1

        This paper aims to analyse Wonhyo's peace thought. For the purpose of that, this paper searches for his life, writing and writings, his peace thought and its realization methods, today's meanings of his peace thought, etc. The age of Wonhyo(617-686) was that of constant severe conflicts and wars among three Kingdoms, and the political unification of them by Shilla. War and death were was every where everyday life. After the political unification, It was necessary to build the systematization of state administration and ‘the philosophy of integration’, the ideal for peoples who had fighted for a long time. Buddism is a religion of compassion which thinks much of harmony and peace. He wrote Sibmun Hwajaengron(十門和諍論), the Reconsiliation of Ten Disciplines. To Wonhyo, Hwajaeng was a kind of philosophical method and logic than a special and systematic thoughts. To him, Hwajaeng was a kind of philosophical method and logic than a special and systematic thoughts. The thought of Wonhyo based on reconciliation of disputes can show us guideline for solving world peace problem and Korean Unification. The core of Wonhyo's thought is said to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s and the Huayn(Avatansaka Sutra) thought. Obstacle to peace in each person is the mind defined by ignorance. Ignorance means one could not understand that all things could not exist by themselves, but are codependent and correlated and that they are not permanent. Wonhyo thinks obstacles to the real and ultimate pesce and the false believes in the existence of ego-soul and thinks-in-themselves. The abolition of the false believes in the existence of ego-soul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perfection of one's personality by the practice of six paramitas. The ways to build up the real peace mean the transformation from the society of desire to the society of aspiration, because aspiration includes benefiting others as well as benefiting oneself. In order to build up the real peaceful world, as Wonhyo put it, we should go to the world of altruistic aspiration(communitarism) through the middle way from the world of ego-centrism desire. 이 글은 우리 역사상 가장 많은 불교저술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후대의 사람들에 그의 사상 특히 일심-화쟁-무애의 사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 있어서도 많은 존경을 받고 있는 승려인 원효대사의 평화사상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효의 일생과 주요저서 및 사상, 원효의 평화사상과 실현논리, 원효의 평화사상의 현대적 의미의 순서로 고찰한 후 결론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원효의 화쟁과 원융회통의 사상은 원효가 살았던 신라말기와 통일신라 초기뿐만 아니라 그 후 한국불교와 한국정신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질로 정착되었음은 물론 중국과 일본, 그리고 멀리 천축국(인도)에까지, 동아시아 전체에 통하는 보편사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화쟁에 바탕을 두고 있는 원효의 사상은 우리에게 세계평화와 관련된 주요문제들을 풀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 줄뿐만 아니라 오늘날 남북한 분단체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된 평화세계의 건설은 인아집과 법아집을 타파하고 6바라밀의 실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인아집의 타파는 정법(正法)에 의한 훈습을 통하여 자아의 주체성과 실재성에 대한 집착을 제거하여야 한다. 법아집의 타파는 예컨대 맹목적 신앙, 배타적 국가주의, 극단적 평등주의 등과 같은 삿된 집착의 대치(對治)를 말한다. 이 세상의 모든 모순과 대립은 무명(無明)과 불각(不覺)에 의해 발생하므로 무명의 성질과 그 퇴치방법을 이해시켜 깨달음(覺)으로 나아가게 될 때 조화와 통일, 상생(相生)과 평화의 길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화쟁(和諍)과 일심(一心)과 원융(圓融)을 강조하는 원효의 평화사상이 공업사상(共業思想)으로 널리 받아들여 질 때, 다 같이 잘 사는 원생의 공동체의 실현, 진정한 의미의 세계평화의 실현을 우리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평화세계의 건설은 욕망사회에서 소망사회 즉 범부의 수동적인 업생(業生)이 아니라 보살의 능동적인 원생(願生)이 충만한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며,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적 욕심(欲心)을 버리고 남도 생각하는 이타적 원심(願心)을 가진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들의 공동서원에 의해 평화실현이 점점 더 많이 구현되는 것임을 원효는 우리에게 잘 가르쳐주고 있다.

      • KCI등재

        원효의 화쟁사상과 화쟁교육론의 대안교육적 가능성

        안승대(An, Seung-Dae)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2 No.-

        이 연구는 대립과 경쟁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서구의 근대교육, 한국교육의 대안으로서 화쟁교육을 탐구해보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연구는 화쟁교육론의 근거로써 화쟁사상이 서구의 동일성의 사유체계, 실체론과 이분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불일불이의 사유체계를 통해 대안적 교육론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원효는 승려이자 교육자이기도 하였기에 원효의 화쟁사상은 화쟁교육의 사상으로 분석하여 재구성해 볼 수 있다는 점, 원효의 일심무애화쟁의 사상체계 속에서 화쟁은 실천적 작용으로서의 用의 사상이기에 화쟁교육의 의미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이 연구는 화쟁교육론의 교육목적으로는 不一不二의 화쟁인과 화쟁사회의 실현, 실천원리로는 불일불이, 훈습, 용의 작용원리를 각각 제시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화쟁교육론의 대안적 교육론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쟁교육론은 근대적 교육, 한국교육이 추구해온 고립적 독립적 자아대신 연기적 자아 관계 속의 자아개념으로의 재정립을 통해 새로운 교육론의 성립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화쟁교육은 근대교육, 한국교육의 문제점인 경쟁과 대립, 효율성과 생산성 대신 공존과 자연, 생태적 가치를 추구한다. 셋째, 화쟁교육은 교육의 가능성을 무한히 열어놓으며, 그 어떠한 허무주의나 회의론도 부정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heory of Hwajang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modern education, which has pursued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theory of Hwajaeng education is bas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Hwajaeng, the fact that the theory of Hwajaeng show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education theory through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reality theory and dichotomy in the West, and that Wonhyo was also a Buddhist monk and educator, and that Wonhyo’s Hwajaeng theory can be analyzed and reconstructed as the idea of Hwajang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e theory of Hwajang education as the principles of education practice, such as human beings who are neither one nor two, educational purpose of pursuing Hwajaeng society as a society of neither one nor two, educational contents on seeking a man of Hwajaeng and Hwajaeng society, and the principles of Yong(用),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discus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educational theories in Hwajaeng education theory as follows. First, Hwajaeng education theory shows the possibility of a new educational theory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self-concepts in the acting self-relationship instead of the isolated independent self that modern education has pursued. Second, Hwajang education pursues coexistence, nature and ecological values instead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at modern education has pursued. Third, Hwajang education opens up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indefinitely, and denies any nihilism or skepticism.

      • KCI등재

        원효의 화쟁방법 연구 : ‘모두 옳다’고 판단한 경우를 중심으로

        김영일(Kim, Yeong-il)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8 No.-

        원효(元曉, 617-686)의 대표적인 사상 중의 하나인 ‘화쟁사상’은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아왔다. 그 중에서도 ‘화쟁방법’ 분야는 20세기 중반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성과가 누적되어 있다. 본고는, 지금까지 선학들이 이루어놓은 연구성과를 겸허히 수용하면서, 그 위에서 원효가 대부분의 경우에 판단을 내린 ‘제설이 모두 옳다’는 경우에 한정하여 그의 화쟁방법을 탐구해 보고 있다. 첫째, ‘모두 옳다’는 판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하나의 예시를 들어서 살펴보았다. 오늘날 남아있는 『십문화쟁론』의 내용이 매우 불완전한 까닭에, 대신하여 『열반종요』에 실제로 실려 있는 소위 ‘화쟁사례’를 검토해 보았다. 여기에서 우리는 원효가 어떠한 주제에 대해서 논의하는 과정에서, 먼저 제설의 주장을 생생하게 제시하고, 나중에 반드시 자신의 판정과 그 이유를 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단일한 기준[一門]’이라는 것은 원효가 화쟁을 위해서 제시한 성전에 대한 해석이 ‘1셋트’라는 의미인데, 원효는 이것을 논쟁에 적용하여 화쟁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자세히 살펴보면 2가지 경우가 있는데, 하나는 제시된 성전의 문구에 대한 직접적인 해석의 결과를 가지고 화쟁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제시된 성전의 문구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해석한 결과를 가지고 화쟁하는 경우이다. 셋째, ‘복수의 기준[二門]’이라는 것은 원효가 화쟁을 위해서 제시한 성전에 대한 해석이 ‘2셋트’라는 의미인데, 원효는 이것을 논쟁에 적용하여 화쟁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도 자세히 살펴보면 2가지 경우가 있는데, 하나는 성전의 저자가 가진 의도 등을 파악하여 그것으로 제설을 화쟁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성전에 대한 원효 자신의 탁월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설을 화쟁하는 경우이다. One of Wonhyo s representative theories, The Theory of Harmonization, has been drawn attention by many researchers. Among them, the field of The Method of Harmonization has accumulated a variety of research achievements from the mid-20th century. Accept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this article explores his method of harmonization only in the cases that Wonhyo judged in most cases, all theories are correct. First, we took an example of what the judgment of all theories are correct is. As the contents of the remaining Reconciliation of Disputes in Ten Aspects are incomplete today, instead, we reviewed the cases of harmonization that is contained in the Essentials of the Nirvana Sutra. Here we can see that in the course of discussion, Wonhyo first presents the claims of theories and later must present his own judgment and reasons. Second, Singular Standard means One Set of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that Wonhyo presented for harmonization, and he applies this method to the arguments. Here, there are two cases, one in which a direct interpretation of a given scripture is used by Wonhyo to harmonize the theories, and the other in which a given scripture interpreted from a holistic perspective is applied by Wonhyo to reconcile the theories. Third, the Plural Standard means Two Sets of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s that Wonhyo suggested for harmonization, and this method is applied to the arguments. Here again, there are two cases, one in which Wonhyo grasps the intentions of the scripture s author and applies to the arguments, and the other in which Wonhyo s own excellent understanding of the scripture is applied to the arguments.

      • 제3장 원효의 일심·화쟁사상과 통불교논의

        윤종갑 한국민족사상학회 2009 민족사상 Vol.3 No.2

        This thesis took the problem for identity of the Korea Buddhism good through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元曉). It is originality of the Korea Buddhism and a search for the originality as a problem to say that no matter how much the problem will evaluate identity of the Korea Buddhism of no matter how much prescribing character of the Korea Buddhism. In other words originality and the originality nature of the Korea Buddhism considered it mainly on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something or other. Tongbulgyo of Korea Buddhism is caused by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appears Wonhyo’s comment about which scholars have merely admired its significance. It is Ceh Man-Sen to have evaluated a characteristic of the Korea Buddhism in Wonhyo so much. The originality of the Korea Buddhism was Wonhyo, and Ceh Man-Sen insisted on Wonhyo doing a base on One MindㆍHarmonization Thought of Wonhyo. Wonhyo insisted on Tongbulgyo doing a practical tangle Ceh Man-Sen and altercation of all theories by harmony and coexistence together, but it is that this decided tradition and character of the Korea Buddhism. The claim of Ceh Man-Sen becomes the animadversion afterwards until problem and Tongbulgyo today of I of the Korea Buddhism. I can divide it with three classes of a critical viewpoint and a situation of the halfway that is going to total these two people for situation and this in support of Tongbulgyo. In the point of view of the writer, Korea Buddhism was characterized as Tongbulgyo. It is strong for the present and future Korea Buddhism to confirm a homogeneity of the Korea Buddhism lay the foundation. I do the basics in the past and can plan the future now. The homogeneity of genuine Korea Buddhism is a present model modernizing now in this sense. It is important that it is not shut in the past and plans tomorrow newly and practices it. 이 글은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원효의 일심ㆍ화쟁사상을 통하여 살펴 본 것이다. 한국불교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는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서 한국불교의 독자성과 창조성에 대한 탐색이기도 하다. 즉 한국불교의 독자성과 창의성이 무엇인가를 원효의 일심ㆍ화쟁사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흔히 한국불교는 통불교로 규정된다. 이렇게 한국불교의 특징을 통불교로 평가한 것은 육당 최남선이다. 최남선은 한국불교의 독창성은 통불교이며, 통불교는 원효의 일심ㆍ화쟁사상에 바탕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원효는 모든 이론적ㆍ실천적 갈등과 쟁론을 조화와 상생으로 아우르는 일심ㆍ화쟁사상을 주장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한국불교의 전통과 성격을 결정지었다는 것이다. 최남선의 통불교 주장은 그 이후 한국불교의 정체성 문제와 맞물러 오늘날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그것은 통불교를 지지하는 입장과 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 그리고 이 둘을 종합하고자 하는 중도적인 입장 등 세 부류이다. 필자는 한국불교는 통불교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한국불교만의 특징이 아닌 불교의 중도적인 사상에 기인하는 보편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은 현재는 물론이거니와 미래의 한국불교를 위해 굳건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과거를 밑거름으로 하여 현재의 모습을 성찰하고 앞으로 나아갈 미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진정한 한국불교의 정체성은 고정된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끊임없이 새롭게 정초해 나가야 할 현재와 미래의 시대적 실천이다.

      • KCI등재

        원효 화쟁사상의 평화교육적 함의

        오기성 한국평화종교학회 2017 평화와 종교 Vol.0 No.4

        원효의 화쟁사상은 일반적으로 서로 대립하는 견해들을 조화・통일시킴으로서 다툼을 없애 고 의견을 통합하는 사상으로 이해되어 왔다. 따라서 원효의 화쟁이론은 다툼과 언쟁을 지양한 다. 그것은 타인과의 타협과 관용, 그리고 진실한 소통을 중시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화쟁사 상은 대화를 통한 평화문화 형성에 중점을 두는 평화교육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연구는 원효의 화쟁사상이 평화교육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화쟁사상의 등장 배경과 특성을 검토하고, 둘째, 원효가 제 시한 화쟁의 논리와 방법을 고찰하였다. 셋째, 화쟁사상이 평화교육에 주는 함의를 언어 환각 에서의 탈피하기, 차이 인정을 넘어 조화로운 하나 형성하기, 인집(人執)과 법집(法執)에서 벗 어나기, 일리(一理)를 전제한 리(理)와 정(情)의 통합적 접근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Wonhyo’s Hwajaeng thought in general emphasizes harmonizing all the different or disputing thoughts in the Buddhist schools. Hwajaeng thought sublate struggle and argument. It places importance on compromise, tolerance, and sincere communication with others. From this point of view, Hwajaeng thought has a close association with peace education that focuses on the formation of peace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Wonhyo’s Thought of Hwajaeng and to draws the implications that Wonhyo’s Thought of ‘Hwajaeng’ gives peace education. For this, First, this study review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of Hwajaeng. Second, this paper consider the logic and the methods of Hwajaeng presented by Wonhyo. Third, this study inquire the implication of Wonhyo’s Thought of Hwajaeng for Peace Education. This paper presented overcoming verbal hallucination, forming a harmonious one beyond recognition, Free from extreme attachment to own perception of a person and extreme attachment to own position, an integrated approach to cognition and emotion based on accepting the partial truth of each opinion.

      • KCI등재

        원효 화쟁철학의 형성과 발전

        박태원(Park, Tae-Wo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90 No.4

        원효사상의 체계와 내용을 관통하는 원리, 원효철학의 모든 것을 직조해 내는 근본원리, 원효의 모든 통찰을 수렴하는 상위원리는 ‘통섭’이다. 통섭과 화쟁은 특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화쟁의 꽃이 필 때라야 통섭의 열매가 맺는다. 원효의 화쟁사상은 그 시대 불교사상계의 분열적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미시 해석학적 방법이다. 이 글에서는 원효 화쟁철학에서 주목되는 ‘문門구분의 사유방식’을 중심으로 화쟁철학의 형성과 발전단계를 추적해 보았다. ‘문門구분을 통한 화쟁’을 중심에 두고, 다른 두 축인 ‘모든 쟁론의 인식적 토대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마음지평(一心) 열기’와 ‘언어 환각에서 풀려나 언어를 사용하기’를 양 옆에 세운 후, 이 세 축이 서로 맞물려 힘을 보태면서 끝없이 상승해 가는 구도. - 이것이 원효의 화쟁에 대한 필자의 독법이다. 통섭이나 화쟁의 통찰을 전개할 때 구사하는 ‘문門구분’의 ‘문門’은, ‘일련의 타당한 인과계열’ ‘조건적으로 타당한 의미맥락’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원효는 이 ‘문門 구분 사유방식’을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一心二門에서 포착하여 확대, 발전시켜 간 것으로 보인다. 원효는 기신론의 ‘이문二門 구별’에서 ‘문門 구별의 연기적 사유’를 포착한 후 다양한 유형의 이문二門구별로 발전시킨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론과 주장들을 조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사실에 부합하는 정확한 이해에 접근하려 한다. 아울러 다양하게 분석한 이문二門들의 ‘통섭通攝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배타적으로 엇갈리는 이론과 주장들이 화해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렇게 볼 때 연기적 사유의 원효적 유형인 ‘문門구별의 사유방식’은 크게 세 단계에 걸쳐 발전하고 있다. 첫 단계는 기신론의 ‘진여/생멸 이문二門 구별’에서 문門 구별의 사유방식에 눈뜬 것이며, 두 번째 단계는 이 ‘문門구별의 사유방식’을 활용하여 ‘문二門 구별의 다양한 방식들’을 전개하는 것이고, 세 번째 단계는 ‘문門구별의 사유방식’을 통해 상이한 이론과 관점들이 ‘서로 열고 서로 안을 수 있는’ 통섭通攝과 화쟁和諍의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효의 ‘문門구별 사유방식’은 이 세 번째 단계를 발전의 정점으로 삼는다. The meta-principle which penetrates all the system and contents of Won-Hyo’s philosophy is ‘Mutual Opening and Embracing’(通攝). ‘Mutual Opening and Embracing’ and ‘Reconciliation’(和諍) have close relation. This treatise analys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Won-Hyo’s reconciliatory philosophy centering on the Mun(門)-division thinking. Won-Hyo used the term Mun(門) when he folds the ‘Reconciliation’(和諍) and ‘Mutual Opening and Embracing’(通攝), and the term means a series of appropriate causal relation. After capturing the Mun(門)-division thinking in the ‘Two Mun’(二門)-divis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大乘起信論), Won-Hyo developed it as diverse form of ‘Two Mun’(二門)-division. Through the diverse form of ‘Two Mun’(二門)-division he could reac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ories and argues. On the whole Won-Hyo’s Mun(門)-division thinking had developed through three stages. The first is the stage of finding out the Mun(門)-division thinking. The second is the stage of folding diverse form of Mun(門)-division by using the Mun(門)-division thinking. The third is the stage of preparing the space of ‘Reconciliation’(和諍) and ‘Mutual Opening and Embracing’(通攝) through the Mun(門)-division thinking.

      • KCI등재

        대안적・보완적 교육이념으로서 화쟁의 교육이념에 관한 연구

        안승대(An Seung Da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4

        이 연구는 화쟁사상을 적용하여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해보고자 하는 목적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익인간 교육이념은 체계와 내용의 부재, 이데올로기적 왜곡의 문제, 교육이념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어 온 문제가 있었으며, 교육이념이 답해야 할 새로운 시대적 요구로는 새로운 민족주의와 민주주의교육, 포스트모더니즘과 지식기반사회의 요구, 생태주의 교육의 요구 등이 있다. 둘째, 화쟁사상은 화해와 통합의 사상이라는 점,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깨달음의 사상이라는 점, 일심이문의 체계와 일심무애화쟁의 내용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에서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통일과 생태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민족주의와 다문화교육, 지식기반사회의 창의융합적 지식과 같은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도 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이념으로서의 적합성을 보여준다. 셋째,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보완하는 화쟁의 교육이념은 화쟁하는 인간, 화쟁하는 사회, 화쟁하는 교육을 추구한다. 홍익인간 교육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화쟁의 교육이념은 교육적 원리로 조화롭게 어울리되 무조건 하나됨을 강요하지 않는 불일불이의 원리, 각각의 현상과 진리를 부정하면서 보다 높은 차원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는 긍정과 부정, 개합과 입파의 자재의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educational ideal replacing the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have problems as such: the absence of system and contents, distorted ideology, HongIkIngan educational ideal and social conflict. Second, The ideas of HwaJaeng is that an ideas of conciliation and coordination, of overcoming a distorted ideology, of democracy and nationalism and of systemic. Because of this, the ideas of HwaJaeng can take place of the educational ideal of HongIkIngan. Also, The ideas of HwaJaeng is correspondence with unification, ecology and postmodernism that urgent questions in Korea education. Third, The educational ideal of HwaJaeng seeks for human, society and education to harmonize the various disputes, seeks for educational principles not adhering the two and not keeping the one, boundlessness of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